KR101736149B1 -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49B1
KR101736149B1 KR1020150137661A KR20150137661A KR101736149B1 KR 101736149 B1 KR101736149 B1 KR 101736149B1 KR 1020150137661 A KR1020150137661 A KR 1020150137661A KR 20150137661 A KR20150137661 A KR 20150137661A KR 101736149 B1 KR101736149 B1 KR 10173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group
acid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992A (ko
Inventor
이승용
이윤희
지윤택
나건
최상규
Original Assignee
(주)나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팜 filed Critical (주)나노팜
Priority to PCT/KR2015/0103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7784A1/ko
Priority to KR1020150137661A priority patent/KR1017361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8192
    • A61K47/4894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며, 광학특성과 질병 표적특성을 갖는 광민감성 물질을 포함하여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Dry multiple encapsulated composition containing photosensitizer for improvement of a pimpled skin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은 비록 생명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나 그 발생빈도가 높으며 현대인의 경우 다양한 원인과 기후, 스트레스 등으로 점점 더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여드름은 진균 및 세균의 감염에 의한 난치성 피부질환으로서, 장기적인 치료기간을 필요로 하며 치료도 쉽지 않다.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호르몬제, 항생제 투여가 처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여드름 예방과 치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만족할 만한 효과적인 측면이나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 부작용이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호르몬제의 경우에는 피부의 홍반이나 건조증 등 장기 투여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인 벤조일퍼록사이트(benzoyl peroxide)와 레티노익산(Retinoic acid)는 발암성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의 문제가 있다. 그 외 여드름 치료제로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및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를 사용하여 효과를 보고 있으나, 내성균의 출현 등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한편,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이란 각종 병변에 대해 선택성 및 광증감성이 있는 광민감성 물질(photosensitizer)을 이용하여 수술 없이 병변을 치료할 수 있는 일종의 화학요법제와 같은 근치법이다. 예컨대, 상기 광민감성 물질을 정맥주사에 의해 대상자에 투여하고, 이에 적절한 광(light)을 조사함으로써, 광민감성 물질이 산소분자를 활성화시켜 단일항(singlet) 상태의 산소로 변환 혹은 새로운 라디칼을 만들어 병변만을 선택적으로 공격, 궤멸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광민감성 물질로는 포르피린(porphyrin)류의 화합물이 대표적인데, 잠분이나 뽕잎, 녹조류 등에서 추출되는 포르피린계 화합물은 광민감성 물질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광학적 특성을 갖고 있고, 비교적 세포투과력이 큰 적색광(700-900nm)에 의해 전자 전이를 일으키는 성질과 그에 따른 여기상태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기술로는 이러한 광민감성 물질인 활성물질을 액상 또는 유화물에 첨가하거나 포스포리피드류를 사용하여 Liposome형태로 안정화시켜 활성물질의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제품 내에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활성성분의 변성을 막지 못하며, 또한 포스포리피드를 이용하여 Liposome으로 만드는 과정 또한 복잡하고 고가의 비용을 요하며 생산수율 또한 낮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 현재 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liposome형태의 carrier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분말형태의 건식다중캡슐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기존의 기술로는 이러한 건식다중캡슐은 분말상태에서는 안정하지만 액체와 혼합 시 스스로 팽윤되어 캡슐이 깨어져서 캡슐 안에 포함되어 있던 효능물질이 배어나와 변성이 되는 단점 때문에 사용 시 분말과 액상을 섞어서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10-1321950(등록일자 2013.10.18)
이에 본 기술은 액상 안에서도 깨지지 않고 사용시 액상과 혼합성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드름 피부 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와 광감작제가 결합된 공중합체 및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와 소광제가 결합된 결합체를 포함하는 이온 복합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으로 다당류를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1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제1 알콜, 제 2알콜, 지방산, 다당류, 검류, 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를 단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을 가열하여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2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며, 광학특성과 질병 표적특성을 갖는 광민감성 물질을 포함하여 여드름 피부의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의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a) 캡슐의 지름이 1.0mm, (b) 캡슐의 지름이 0.1mm인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와 광감작제가 결합된 공중합체 및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와 소광제가 결합된 결합체를 포함하는 이온 복합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는 글라이콜 키토산, 키토산, 폴리-L-리신(PLL), 폴리-베타-아미노 에스터 고분자, 폴리 에틸렌이민(PEI), 폴리(아미도아민) (PAMAM)덴드리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HO-(CH2CH2O)n-H로 표현되는 구조식을 가지며, 이 경우 반복 연결되는 에틸렌 옥사이드((CH2CH2O)-)를 가지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강한 친수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특성이 단백질 또는 화합물과 결합하는 경우에 생체친화성을 부여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한쪽 말단이 메톡시기(CH3O-)로 치환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의 형태로도 존재하는데, 그 구조식은 CH3O-(CH2CH2O)n-H로 표현된다.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단백질의 형태를 가지는 제제의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로 대부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말단이 메톡시기로 보호되어 있어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300 내지 50,000인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한쪽 말단이 메톡시기로 치환된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지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민은 그 구조에 따라 선형과 가지형으로 나뉘는데, 이 둘의 합성 방법은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이민은 가지형으로, 여기에는 일차 아민, 이차 아민, 삼차 아민의 수가 1:2:1의 비율로 존재한다.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의 가지사슬은 주사슬 질소 원자의 3-3.5 개당 하나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폴리에틸렌이민은 물, 알콜,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스테르류 등에 용해되는 한편, 고분자량의 탄화수소류, 올릭산(oleic acid), 디에틸에테르에는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독성이 없는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이민의 분자량이 100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공중합체가 유용한 생리활성물질과 잘 결합할 수 없으며, 분자량이 25,000 이상일 경우에는 체내에서 신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이민은 분자량이 100 내지 25,0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는 후술되는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이온 복합체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감작제는 포르피린계(phorphyrins) 화합물, 클로린계(chlorins) 화합물, 박테리오클로린계(bacteriochlorins)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phtalocyanine)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naphthalocyanines) 화합물 및 5-아미노레불린 에스테르계(5-aminoevuline esters)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감작제는 클로린 e6(Chlorin e6), 프탈로시아닌(Zinc Phthalocyanine) 또는 피오포바이드(pheophorbide) A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이민- 피오포바이드(pheophorbide) 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에 소광제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는 콘드로이틴-6-설페이트(C6S), 헤파란 설페이트(HS),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HSPG), 헤파린, 콘드로이틴-4-설페이트(C4S), 콘드로이틴-6-설페이트(C6S), 더마탄 설페이트(DS), 케라탄 설페이트(KS), 및 히알루론산(H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로는 블랙홀 소광제(blackhole quencher, BHQ), 블랙베리 소광제(blackberry quencher, BBQ)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랙홀 소광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고분자, 즉,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를 이용하여 소수성을 갖는 광감작제에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광학 치료 시 용액 또는 물에 잘 용해되어 침전물이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콘드로이틴설페이트-블랙홀소광제 (blackhole quencher, BHQ)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 복합체는 총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 초과~100m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형일 수 있고, 크기는 지름이 0mm초과 내지 10mm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화제 0.1-10중량%, 제1 알콜 0.1-10중량%, 제2 알콜 0.1-10중량%, 지방산 0.1-10중량%, 다당류 1-40중량%,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1-40중량%, 검류 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제1 및 제2 알콜, 지방산, 다당류,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검류 및 정제수의 함량이 상기 범위와 같은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분자 중에 수산기(-OH), 에테르기(-O-), 아미드기(-CONH), 에스테르기(-COO-)의 구조를 가진 비이온성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형, 다가알콜에스테르형,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블록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공중합체의 폴리머릭계면활성제; 레시틴, 라놀린, 콜레스테롤, 사포닌의 천연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알콜은 다가 알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알콜은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베헤닐알콜, 리놀레일알콜, 운데실레닐알콜, 팔미톨레일알콜, 리놀레닐알콜, 아라키도닐알콜, 에루실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글루코스, 수크로스, 마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검류는 수용성고분자중합체로서 카라기난검, 구아검,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아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으로서, 다당류를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1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제1 알콜, 제 2알콜, 지방산, 다당류, 검류 및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단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을 가열하여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2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입자에 친수성폴리머 또는 친유성폴리머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폴리머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또는 카라기난검일 수 있으며, 친유성폴리머는 쉘락 또는 실리콘파우더일 수 있다.
상기 1차 입자를 제조하는 다당류는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글루코스, 수크로스, 마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 입자를 제조하는 제 1알콜은 다가 알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 입자를 제조하는 제 2알콜은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베헤닐알콜, 리놀레일알콜, 운데실레닐알콜, 팔미톨레일알콜, 리놀레닐알콜, 아라키도닐알콜, 에루실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 입자를 제조하는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 입자를 제조하는 다당류는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글루코스, 수크로스, 마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 입자를 제조하는 검류는 수용성고분자중합체로서 카라기난검, 구아검,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아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
1. 이온 복합체의 제조
1-1.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이민- 광감각제 )의 합성
환류 응축기 설치 후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mPEG-COOH)(시그마, 5000Da) 10g을 250ml의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CHCl2) 50ml에 용해시켰다.
이후, 0.52 g의 N-하이드록시숙시닐이미드와 0.74 g의 다이사이클로카보다이이미드를 첨가한 후 20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이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필터 과정을 통해서 제거한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에 침전시킴으로써 활성화 형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mPEG-NHS)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폴리에틸렌글리콜 2g을 200ml의 클로로포름에 녹였다. 이후, 0.5g의 폴리에틸렌이민(Alfa Aesar, 1800da)을 50ml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다음, 여기에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녹인 용액을 한 방울씩 떨어뜨림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이민의 공유결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반응은 24시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반응 완료 후 진공농축 장치를 이용하여 총 부피가 30ml이 되도록 농축한 다음,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에 침전시킴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이민의 공유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이민(mPEG-PEI) 1g을 피오포바이드(pheophorbide) A (e.q., 0.07 mmol), 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미드(dicyclohexyl carbodiimide, DCC) (1.2*pheophorbide A in moles) 그리고 N-하이드록시석시닐이미드(HOSu; 1.2*pheophorbide A in moles)을 20ml 인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각각 녹인 후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각각 두 용액을 섞은 후에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또한, 투석막 (Spectra/Por; mol. wt. cutoff size, 1,000)을 이용하여 2일 동안 1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투석한 다음, 최종 반응물을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이민-피오포바이드(pheophorbide) A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1-2. 결합체( 소광제 접합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의 합성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0.1g을 20ml의 증류수에 녹였다. 건조된 DMSO에 BHQ3를 녹인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각각 BHQ의 몰비에 대해 1.5배로 첨가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각각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섞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미반응된 소광제(BHQ3)의 제거는 투석막(Spectra/Por; mol. wt. cutoff size, 1,000)을 이용하여 2일 동안 1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투석함으로써 제거하였고, 투석 후 최종 반응물을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시켜 소광제 접합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결합체를 수득하였다.
1-3. 공중합체 및 결합체의 합성
전술한 1-1. 1-2.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이민-피오포바이드(pheophorbide) A 공중합체와, 소광제 접합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결합체를 3차 증류수에 각각 녹인 후, 질량비를 기준으로 각각 1.0:0.0, 1.0:0.3, 1.0:0.6, 1.0:1.2, 1.0:2.5, 및 1.0:5.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2시간 후, 상기 혼합물을 0.8㎛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2.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
슈크로스 및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를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1차 입자를 제조하였고, 유화제, 레시틴, 만니톨, 지방산,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검류 및 티타늄옥사이드를 가열하여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2차 입자를 제조한 후 제조된 2차 입자를 필요에 따라 친수성폴리머 또는 친유성폴리머로 3차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성분 함량(wt%)

1차 코팅
슈크로스 20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
에탄올(분산제) 적량



2차 코팅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10
유화제 2
레시틴 5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20
만니톨 1
옥수수전분 1
이온 복합체 100mg/100gr이하
정제수(분산제) 적량

3차 코팅
쉘락 5
방부제 미량
에탄올(분산제) 적량
※분산제는 휘발되는 분량으로 전체 분량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1.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와 광감작제가 결합된 공중합체 및 음이온성 기질 고분자와 소광제가 결합된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이민-피오포바이드 (pheophorbide) A이며, 상기 결합체는 콘드로이틴설페이트-블랙홀 소광제(blackhole quencher, BHQ)이며,
    상기 캡슐은 구형이고, 크기는 지름이 0mm초과 내지 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복합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복합체는 총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 초과~100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화제 0.1-10중량%, 제1 알콜 0.1-10중량%, 제2 알콜 0.1-10중량%, 지방산 0.1-10중량%, 다당류 1-40중량%,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1-40중량%, 검류 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분자 중에 수산기(-OH), 에테르기(-O-), 아미드기(-CONH), 에스테르기(-COO-)의 구조를 가진 비이온성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형, 다가알콜에스테르형,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블록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공중합체의 폴리머릭계면활성제; 레시틴, 라놀린, 콜레스테롤, 사포닌의 천연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콜은 다가 알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콜은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베헤닐알콜, 리놀레일알콜, 운데실레닐알콜, 팔미톨레일알콜, 리놀레닐알콜, 아라키도닐알콜, 에루실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글루코스, 수크로스, 마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류는 수용성고분자중합체로서 카라기난검, 구아검,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아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12. 제 1항,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여드름 피부개선용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으로서,
    다당류를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1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제1 알콜, 제 2알콜, 지방산, 다당류, 검류 및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단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을 가열하여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분산매로 하여 2차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에 친수성폴리머 또는 친유성폴리머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폴리머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또는 카라기난검 이며, 친유성폴리머는 쉘락 또는 실리콘파우더인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제의 제조방법.
KR1020150137661A 2015-09-30 2015-09-30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3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340 WO2017057784A1 (ko) 2015-09-30 2015-09-30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50137661A KR101736149B1 (ko) 2015-09-30 2015-09-30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61A KR101736149B1 (ko) 2015-09-30 2015-09-30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92A KR20170038992A (ko) 2017-04-10
KR101736149B1 true KR101736149B1 (ko) 2017-05-17

Family

ID=5842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61A KR101736149B1 (ko) 2015-09-30 2015-09-30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6149B1 (ko)
WO (1) WO2017057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6327A1 (en) 2018-06-29 2020-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hase products
CN112384307B (zh) 2018-06-29 2023-06-16 宝洁公司 双相产品分配器
EP3813768A2 (en) 2018-06-29 2021-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hase products
JP1665824S (ko) 2019-08-21 2020-08-11
CN114727941A (zh) 2019-08-30 2022-07-08 宝洁公司 包装的毛发护理组合物
MX2023004234A (es) 2020-10-27 2023-04-21 Procter & Gamble Acondicionador de calentamiento.
USD1006632S1 (en) 2020-12-11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hair care products
USD1012718S1 (en) 2020-12-21 2024-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hair care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4287D0 (en) * 2009-08-14 2009-09-30 Pci Biotech As Compositions
KR101321950B1 (ko) 2011-05-19 2013-10-28 제너럴바이오(주) 광역학 치료법에 사용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중화용 액상제형 조성물
KR101419124B1 (ko) * 2011-09-16 2014-07-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와 광감작제가 공유 결합된 광역학 치료용 복합체
KR101336501B1 (ko) * 2011-09-28 2013-12-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 광감각제 유도체 및 음이온성 다당류 소광제 유도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용 나노 이온 복합체
KR101518298B1 (ko) * 2011-12-12 2015-05-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나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의 세포 내재화 방법
KR101608122B1 (ko) * 2013-07-23 2016-03-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 민감성 폴리아미노산과 접합된 광응답제 또는 소광제 및 광역학 치료를 위한 소수성 약물 봉입 나노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92A (ko) 2017-04-10
WO2017057784A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149B1 (ko) 여드름 피부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3634377B2 (ja) 生分解性高分子ミセル−タイプ薬物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Zhang et al. Transferrin-mediated fullerenes nanoparticles as Fe2+-dependent drug vehicles for synergistic anti-tumor efficacy
KR101336501B1 (ko)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 광감각제 유도체 및 음이온성 다당류 소광제 유도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용 나노 이온 복합체
CN101415442B (zh) 控释凝胶
Li et al. Photodynamic therapy-triggered on-demand drug release from ROS-responsive core-cross-linked micelles toward synergistic anti-cancer treatment
CN112076159B (zh) 具有不对称膜结构的载药聚合物囊泡及制备方法与在制备治疗急性髓系白血病药物中的应用
Li et al. Photodynamic therapy-mediated remote control of chemotherapy toward synergistic anticancer treatment
CN113663079B (zh) 一种无载体自组装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Zhang et al. Pharmaceutical micelles featured with singlet oxygen-responsive cargo release and mitochondrial targeting for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CN114748639B (zh) 一种光敏剂-羟烷基淀粉-多肽偶联的两亲性大分子化合物、纳米载药系统及其制备方法
WO2021057007A1 (zh) 一种雷帕霉素纳米缓释剂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Diselenide-crosslinked carboxymethyl chitosan nanoparticles for doxorubicin delivery: preparation and in vivo evaluation
CN110790922B (zh) 一种聚卟啉类化合物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736147B1 (ko) 무좀 개선을 위한 광민감성 물질을 함유한 건식다중캡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02814A (ko) 고분자형 암치료용 의약 및 그 제조 방법
CN110511299B (zh) 一种酞菁-羧甲基壳聚糖偶联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622545B1 (ko)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제의 제조 방법
CN113827553B (zh) 用于肿瘤光动力学治疗的瘤内注射给药的酞菁锌在位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104943B1 (ko) 다당류 기반 광역학 치료용 고분자 접합체 및 이의 용도
KR101622544B1 (ko) 광역학 치료용 나노 이온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광역학 치료용 나노 이온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83701A (ko) 글리콜키토산-담즙산 복합체에 항암제가 봉입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CN113041359B (zh) 一种谷胱甘肽响应性抗骨肉瘤前药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190192529A1 (en)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dida auris in blood
CN110339368B (zh) 还原响应的靶向聚乙二醇-聚碳酸酯美登素前药胶束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