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44B1 -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44B1
KR101735344B1 KR1020110002178A KR20110002178A KR101735344B1 KR 101735344 B1 KR101735344 B1 KR 101735344B1 KR 1020110002178 A KR1020110002178 A KR 1020110002178A KR 20110002178 A KR20110002178 A KR 20110002178A KR 101735344 B1 KR101735344 B1 KR 10173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ound source
bit
alarm sou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72A (ko
Inventor
유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44B1/ko
Priority to US13/288,496 priority patent/US8836488B2/en
Publication of KR2012008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설정된 알람 시각에 알람 실행 시,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설정된 비트를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 비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면, 재생되는 알람 음원을 뮤트(mute)시키는 과정과, 재생되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재생되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횟수만큼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면,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식적인 움직임을 유도해서, 사용자가 더욱 수월하게 잠에서 기상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알람 종료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주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Method of turning alarm off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알람 음원의 비트를 사용하는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는 스케줄에 대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알람 서비스는 설정된 시간이 되면 기상, 조깅, 회의, 모임 등의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때 알람 서비스는 알람 음원을 가청적, 가시적 또는 진동 수단을 통해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스케줄을 통지할 수 있다. 현재 알람을 종료하는 방법으로는 키패드를 조작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인식,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의 폴더를 열고 닫는 등, 사용자의 단순한 입력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 무의식적으로 알람을 종료하여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거 본래 기능인 사용자의 스케줄을 통지하는, 특히 기상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알람 서비스는 사용자가 알람을 종료시킬 때까지 상기와 같은 스케줄 통지 수단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알람한다. 그러므로 알람이 종료되기 전에는 사용자 주변의 타인들까지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비트에 맞춰 사용자에 의해 비트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면, 알람을 종료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알람을 종료하는 방법은 설정된 알람 시각에 알람 실행 시,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설정된 비트를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 비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을 뮤트(mute)시키는 과정과,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비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비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설정된 비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면,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설정된 비트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 및 상기 설정된 비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설정된 알람 시각에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 입력 비트 수신 시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을 뮤트시키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설정된 비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면, 상기 설정된 비트의 출력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비트와 일치하는 비트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야 알람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의식적인 움직임을 유도해서, 사용자가 더욱 수월하게 잠에서 기상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알람 종료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주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알람 서비스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실행 및 종료를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종료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비트'라는 용어는 음원의 템포, 음원의 리듬 또는 일정 주기의 시간 등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정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알람 설정 모드'라는 표현은, 알람 실행 및 종료를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알람 실행 모드'라는 표현은 알람 시각에서부터 알람 종료 시각까지, 알람 음원이 재생 또는 뮤트되고, 설정된 비트가 출력 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고, 그 입력에 따라 알람이 종료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스케줄에 대한 알람 서비스를 종료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알람 실행 모드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비트가 입력되면 알람 음원을 뮤트시킨다.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비트가 입력되면 알람을 종료한다. 그러나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비트가 입력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는 알람 음원을 다시 재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알람을 종료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된 방식을 의식해서, 모바일 단말기에 비트를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본 발명의 설정된 방식은 주로 일련의 입력을 요구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의식적이고 연속적인 움직임을 요구하여 효율적으로 알람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음원을 재생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주의를 유도하여 주변 타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극소화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센서부(110), 터치스크린(120), 키 입력부(130), 저장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DMB 단말기, 태블릿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단말기와 3G 단말기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이용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알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센서부(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른 어떠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가속도 센서는 x 축, y 축 및 z 축의 3 축 가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스핀(spin) 축에 직교하는 한 개 이상의 축 주위의 관성 공간을 기준으로 하고, 각 운동량을 사용하여 각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센서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x 축, y 축 및 z 축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센서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대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제어부(160)에 의하여 알람 실행 시 턴 온되고, 알람 종료 시 턴 오프된다.
터치스크린(120)은 표시부(미도시)와 터치 패널(미도시)를 포함한다. 표시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태 및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동작 상태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미도시)은 표시부(미도시)의 일면에 장착된다. 또한 터치 패널(미도시)을 통해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패널(미도시)은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가 발생한 영역의 좌표 값을 검출한다. 터치 패널(미도시)은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해 접촉 위치를 파악하는 감압식, 상실된 전하를 감지해 접촉 위치를 파악하는 정전식, 적외선 차단을 감지해 접촉 위치를 파악하는 적외선식 등의 방법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후, 터치 패널(미도시)은 터치가 발생하였음과 터치가 발생한 영역의 좌표 값을 알리는 터치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알람을 실행하고 종료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전술된 프로그램들이 수행되는 중에 사용 또는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사용자 알람 실행 및 종료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알람 실행 및 종료 설정 정보의 예로는 알람 시각, 알람 실행 시간, 후보 알람 음원의 리스트, 설정된 알람 음원, 설정된 비트, 설정된 비트 출력 방법, 사용자 입력 비트 수신 방법, 알람 종료를 위한 비트 일치 횟수 그리고 비트 일치 카운터 등이 될 수 있다. 설정된 알람 시각은 주기적으로 반복 가능하다. 예컨대 설정된 알람 시각이 오전 6시가 될 수 있고, 매주 월요일 내지 금요일 오전 6시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알람 실행 시간은 알람 실행 모드가 진행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실행 시간 대신 음원의 반복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알람 실행 시간 동안 음원이 반복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설정 정보 중의 설정된 비트를 출력하는 방법으로는 터치스크린(120)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이미지로 출력하거나 제어부(160)에 연결된 별도의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일정 주기의 진동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저장된 사용자 입력 비트 수신 방법으로는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감지된 터치 또는 마이크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목소리를 사용자 입력 비트로 수신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사용자 입력 비트 수신 방법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나아가 저장된 비트 일치 횟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소정의 비트 일치 횟수 또는 연속적인 특정 비트 일치 횟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비트 일치 카운터는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는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이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오디오코덱(CODEC)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타이머(162)를 포함한다. 타이머(162)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필요한 시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간 데이터는 제어부(160)에 의해 일정 시간의 카운트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알람 설정 모드에서 알람 실행 및 종료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알람 실행 모드에서 알람 실행 및 종료 설정 정보에 따라 알람 음원을 재생시키거나, 뮤트시키거나, 알람을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의 일치 여부와 그 횟수를 판단하고, 알람 실행 시간 초과 여부를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실행 및 종료를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하기에는 특정 순서로 설정 과정들이 서술되었지만, 다른 순서로 하기의 설정 과정들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설정 정보들은 터치스크린(120) 또는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우선 알람 설정 모드에서 알람 실행 및 종료를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210 과정에서 키 입력부(130) 또는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입력된 알람 시각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220 과정에서 알람 실행 시간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230 과정에서 알람 실행 모드에서 재생될 알람 음원을 설정한다. 이때 알람 음원은 새롭게 입력되는 알람 음원이 되거나 미리 저장된 후보 알람 음원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알람 음원은 저장부(140)에 설정된 알람 음원으로 저장될 수 있다.
알람 음원이 설정된 후, 제어부(160)는 240 과정에서 알람 음원에 따라 출력될 비트, 즉 설정된 비트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의 출력 방법을 함께 설정한다. 알람 음원에 따라 출력될 비트를 설정할 때 제어부(160)는 비트 추출부(미도시)를 통해 설정하거나 미리 정해진 정규 시간 간격을 가진 비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비트 추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트 추출부(미도시)는 음원으로부터 설정된 비트를 추출한다. 비트를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비트 추출부(미도시)는 설정된 알람 음원의 음악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그런 다음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분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하여 비트 추출부(미도시)는 특정 세기를 기준으로 비트를 추출한다. 즉 비트 추출부(미도시)는 특정 세기 이상의 세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의 주기를 비트의 주기로 지정하여 비트를 설정한다. 또는 제어부(160)는 일정 주기, 일례로 3 초의 정규 시간 간격을 가진 비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3 초의 시간 간격를 가진 비트는 알람 실행 모드에서 매 3 초 마다 표시부(미도시) 또는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된다. 제어부(160)는 이와 같은 설정된 비트와 그 출력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 다음 제어부(160)는 250 과정에서 설정된 알람 음원과 설정된 비트를 매핑한다. 이때 알람 음원과 비트가 시간적으로 매핑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알람 음원의 재생 시점과 비트의 출력 시점이 동일하도록 매핑한다. 제어부(160)는 260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는 방법을 설정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으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방향과는 상관없는 특정 속도의 움직임, 소정의 궤적에 따른 움직임, 또는 왕복운동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선택적으로 270 과정에서 비트 일치 횟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280 과정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알람 실행 및 종료 정보를 하나의 알람으로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종료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60)는 310 과정에서 설정된 알람 시각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저장부(140)로부터 설정된 알람 시각을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타이머(162)를 사용하여 알람 시각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 이때 아직 알람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알람 실행 모드에 진입하고, 320 과정으로 진행한다. 알람 실행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음원이 재생 또는 뮤트시키고 비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비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320 과정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설정된 비트를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알람 음원을 재생할 때, 모바일 단말기(100)의 링 모드(ring mode) 또는 진동 모드(vibration mode) 설정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100)가 링 모드에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50)를 제어하여 음원을 출력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에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일정 주기로 진동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오디오 처리부(150)나 진동부(미도시) 이외에도 사용자가 음원을 인식하도록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든 알람 음원을 재생하는데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320 과정에서 설정된 비트를 출력할 때, 설정된 비트 출력 방법에 따라 터치스크린(120)의 표시부(미도시) 또는 진동부(미도시)를 사용한다.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비트가 출력되는 경우, 설정된 비트는 일 방향으로 흐르는 일련의 기호로 표현되고, 비트 출력 시점은 일련의 기호들 중 특정 기호가 깜빡거리는 식의 가시적 효과로 표현될 수 있다. 표시부(미도시)에서의 비트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의 주기에 따라 진동부(미도시)가 진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표시부(미도시)나 진동부(미도시) 이외에도 사용자가 비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수단이든 비트를 출력하는데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320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 비트의 설정된 수신 방법에 따라 사용자 입력 비트 감지 수단, 즉 센서부(110), 터치스크린(120) 또는 마이크를 턴 온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60)는 비트 일치 카운터 값을 초기화한다.
제어부(160)는 330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 비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비트 감지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비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가 출력될 때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340 과정에 진입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335 과정에서 타이머(162)를 통해 설정된 알람 실행 시간이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아직 알람 실행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60)는 320 과정과 330 과정을 재수행한다. 즉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알람 음원이 지속적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알람 실행 시간이 초과되면, 제어부(160)는 370 과정에 진입하여 알람을 종료한다. 370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340 과정에서 알람 음원을 뮤트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알람 음원이 뮤트된다'라는 표현은 오디오 처리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 음원이 무음 처리되거나,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 음원의 진동이 멈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알람 음원을 뮤트시키지만, 설정된 비트는 계속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출력되는, 설정된 비트에 따라 사용자가 비트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360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설정된 비트가 출력되는 시점과 사용자 입력 비트가 수신되는 시점이 일치하거나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두 시점이 상응하는 경우,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두 종류의 비트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마다, 제어부(160)는 비트 일치 카운터 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360 과정에서 설정된 비트 일치 횟수 만큼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370 과정으로 진행한다. 제어부(160)는 일례로 20초 동안 3초 간격으로 비트가 출력될 때 비트 일치 횟수가 네 번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타이머(162)를 사용하여 설정된 알람 실행 시간의 초과 여부를 파악하고, 비트 일치 카운터를 사용하여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몇 번 일치하는 지 계수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최대 20초 동안에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적어도 네 번 일치하면, 370 과정에 진입한다. 한편 20초 동안 비트 일치 카운터 값이 설정된 비트 일치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335 과정에 진입하고 알람 실행 시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320 과정 및 330 과정을 재수행한다. 즉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설정된 횟수 만큼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알람 실행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뮤트된 음원이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비트 일치 카운터 값을 초기화 한다. 또한 일례로 비트 일치 횟수가 설정된 비트와 사용자 입력 비트가 연속으로 네 번 일치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비트 일치 카운터를 사용하여 연속으로 일치하는 횟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렇게 연속으로 일치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알람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370 과정에서 알람을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라면, 음원 재생을 종료하고, 비트 출력을 종료하며, 사용자 입력 비트 수신 감지 수단을 턴 오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실행 모드 중 언제든지 알람 실행 시간이 초과되면, 제어부(160)는 즉시 알람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알람 종료 기능과 매핑된 키 입력부(130)의 입력으로 알람 실행 모드 중 언제든지 강제 종료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음원과 매핑되어 출력되는 설정된 비트가 관찰 또는 기억되고, 일정 패턴의 동작이 수행되어야 알람이 종료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식적이고 연속적인 움직임을 유도해서, 사용자가 더욱 수월하게 잠에서 기상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행위가 수신되면 알람을 종료하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주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알람 서비스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에서 알람을 종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알람 시각에 알람 실행 시,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에 설정된 비트를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을 뮤트(mute)시키는 과정과,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이 뮤트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비트가 출력되는 시점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시점이 일치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일치하는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하는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뮤트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음원에 설정된 비트는,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으로부터 추출되어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진 정규 시간 간격을 가진 비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터치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비트는,
    일 방향으로 흐르는 일련의 기호로 표시되거나, 상기 비트가 출력되는 시점에 일련의 기호들 중 특정 기호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거나, 주기적인 진동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종료 방법.
  6.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설정된 알람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 및 상기 알람 음원에 설정된 비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에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재생되는 알람 음원을 뮤트시키며, 상기 설정된 비트가 출력되는 시점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시점이 일치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치하는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미만이면, 상기 뮤트된 알람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알람 음원으로부터 비트를 추출하여 상기 알람 음원에 대한 비트를 설정하거나, 미리 정해진 정규 시간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알람 음원에 대한 비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센서부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부를 통해 상기 알람 음원에 설정된 비트가 주기적으로 진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설정된 비트를 일 방향으로 흐르는 일련의 기호로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비트가 출력되는 시점에 일련의 기호들 중 특정 기호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10002178A 2011-01-10 2011-01-10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173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78A KR101735344B1 (ko) 2011-01-10 2011-01-10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US13/288,496 US8836488B2 (en) 2011-01-10 2011-11-03 Method of turning an alarm off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78A KR101735344B1 (ko) 2011-01-10 2011-01-10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2A KR20120080772A (ko) 2012-07-18
KR101735344B1 true KR101735344B1 (ko) 2017-05-15

Family

ID=4645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78A KR101735344B1 (ko) 2011-01-10 2011-01-10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6488B2 (ko)
KR (1) KR101735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6774B (zh) * 2012-08-22 2015-12-16 华为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的闹钟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3034114A (zh) * 2012-12-26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闹铃提醒方法及装置
CN105516469B (zh) * 2015-11-27 2019-04-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闹钟控制方法及装置
KR101988426B1 (ko) * 2017-12-15 2019-06-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졸음방지용 손목형 전기충격기
CN108494962B (zh) * 2018-03-23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闹钟控制方法及终端
CN109831588B (zh) * 2019-03-19 2021-01-22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设置目标提示音的方法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95B1 (ko) * 2001-07-12 2004-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알람 일시 해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2A (ko) 2012-07-18
US8836488B2 (en) 2014-09-16
US20120176230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344B1 (ko) 알람 종료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CN105389957B (zh) 可穿戴设备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7633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function of mobile device with inertial sensor
JP5359046B2 (ja) 端末装置及び方法
JP6285664B2 (ja) 情報表示のための低電力感知装置及び方法
CN107277266B (zh) 一种模式切换方法及装置
CN105138319B (zh) 事件提醒方法及装置
CN103631375B (zh) 根据电子设备中的情形感知控制振动强度的方法和设备
CN107911544A (zh) 一种移动终端的音量控制方法及装置
CN106303018A (zh) 一种闹钟控制方法与终端
WO2017185782A1 (zh) 一种自定义闹钟提醒的方法及装置
JP2009129248A (ja)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14003592A (ja) 骨伝導振動子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CN108121631A (zh) 屏幕异常状态提醒方法及装置
CN108650401A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3853646A (zh) 被叫提示系统及方法
JP2014187413A (ja) 音響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30033A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8735194A (zh) 节拍的提示方法及装置
CN109119101B (zh) 一种音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852810A (zh) 一种睡眠控制方法
KR102364324B1 (ko) 전자 기기
CN107395910B (zh) 一种来电通知方法及移动终端
KR100689360B1 (ko) 동작인식 스누즈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US10817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