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245B1 -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245B1
KR101735245B1 KR1020160101621A KR20160101621A KR101735245B1 KR 101735245 B1 KR101735245 B1 KR 101735245B1 KR 1020160101621 A KR1020160101621 A KR 1020160101621A KR 20160101621 A KR20160101621 A KR 20160101621A KR 101735245 B1 KR101735245 B1 KR 10173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ell
emergency
situation
image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전윤나
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윤나, 한상훈 filed Critical 전윤나
Priority to KR102016010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난 또는 실수에 의한 비상벨을 누르는 경우 이를 관리실에서 확인할 수 있어 비상 상태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비상벨을 누르는 순간 주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저장하여 범죄의 예방 및 범인을 검거할 수 있는 증거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함체에 설치된 비상벨을 누르는 단계;
비상벨이 울리면 감시카메라가 작동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
비상벨 신호와 촬영된 영상이 관리실에 송신되면 관리자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비상벨이 울린 장소의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출동을 준비하는 단계;
쵤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의 마이크 음성을 통해 장난 또는 실수로 파악되면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본 발명은 비상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난 또는 실수에 의한 비상벨을 누르는 경우 이를 관리실에서 확인할 수 있어 비상 상태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비상벨을 누르는 순간 주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저장하여 범죄의 예방 및 범인을 검거할 수 있는 증거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등 공중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에서는 빈번히 범죄가 발생한다. 이러한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고 범죄의 발생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인터폰과 같은 비상호출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상호출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케이스가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비상호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426호 "방범용 비상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위험 상황시 통제실에 위치하는 관리자와 대화가 가능하도록 비상벨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방범용 비상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 등록실용신안은 관리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나, 비상벨을 실수로 누르거나, 관리자의 부재시에는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고, 나아가 비상상황이 미해결 상태로 종료되었더라도 발생된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426호 "방범용 비상벨"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이용자의 장난 또는 실수로 비상벨을 누르더라도 비상벨과 연동되는 감시카메라에 의해서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자가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및 함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l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함체에 설치된 비상벨을 누르는 단계;
비상벨이 울리면 감시카메라가 작동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
비상벨 신호와 촬영된 영상이 관리실에 송신되면 관리자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비상벨이 울린 장소의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출동을 준비하는 단계;
쵤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의 마이크 음성을 통해 장난 또는 실수로 파악되면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함체는 벽면에 부착되는 비상용 함체로서, 후면이 벽면에 고정되고, 정면이 개방된 몸체와, 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로는 비상벨, 마이크, 스피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며, 몸체로는 감시카메라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감시카메라는 비상벨과 연동되어 비상벨이 눌러진 경우 작동하여 전방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및 함체에 따르면 주변 지역의 영상과 주위 음성을 관리실에 전송될 수 있도록 통제할 수 있으며, 이는 영상 및 음성을 통해 비상 사태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및 함체에 관한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는 건물의 벽면 또는 기둥 등에 설치되며, 소방법 등에 적법하고, 적합한 위치에서 설치된다.
함체(100)는 내부로는 통신 및 전원공급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의 제어부를 통해 음성 및 동영상 또는 스틸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함체(100)는 다시 몸체(110)과 도어(12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절한 방습,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10)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120)와 결합되는 프레임(112)은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요홈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도어(120)는 프레임(112)을 감싸면서 몸체(110)의 격벽(114)과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10)의 내부, 즉 수용공간으로는 감시카메라(102), 제어부(104)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20)의 표면으로는 스피커(122), 마이크(124), 비상벨(1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 카메라(102)는 광각 렌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변의 이미지를 가져오며, 스피커(122)는 비상벨(126)과 연동되어 부저 소리를 발생하거나 관리실에서 음성이 송출된다.
이때, 부저 소리는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04)는 관리실과 오디오와 이미지(사진 또는 동영상)에 신호를 전달 하고, 설치된 함체(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비상벨(126)은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알리는 것으로 조작이 감지되면 스피커 (122)에서 시끄러운 초인종 소리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비상벨(126)이 작동되면 보안 작업이 수행되었다는 것을 감지하면 감시카메라(102)를 작동시킨다.
제어부(104)에는 적어도 고유 정보인 장치 ID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장치 ID는 감시카메라(102)와 스피커(122)를 통해 처리된 이미지 또는 음성 신호 등 관리실에 전송될 때 해당 신호 등에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면 관리실 측에서는 장치 ID와 일치된 비상벨(126)이 설치된 함체(100)의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신호 등에 포함된 장치 ID를 사용하여 함체(100)의 위치 및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어부(104)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충전 가능한 니켈전지 등이 설치되어 단전시 비상용으로 전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04)를 통해 감시카메라(102)는 주변 상황 변화를 알 수 있도록 몇 초 마다 간헐적으로 사진으로 주변을 찍어 관리실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04)에서는 스피커(122)와 마이크(124)의 오디오(음성) 등을 처리하며, 특히 스피커(122)를 통해 발생되는 초인종 소리는 관리실 쪽에서 정지 신호를 받지 않는 한 정지 하지 않도록 통제하므로, 비상벨(126)을 작동시킨 사용자는 주위의 범인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증가 된다.
한편, 관리실에서는 마이크(124)를 통해 전송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실 쪽에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인식하여 긴급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응급 경우에는 경찰에 신고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오디오 관리실 쪽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에 증거로 제출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104) 쪽에서 음성 신호를 바탕으로 스피커(122)를 통제하 고 괸리실에서는 스피커(122)를 통해 음성 송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피해를 발생하는 경우에, 관리실 쪽에서 음성을 사용하여 범인에 대하여 경고를 자극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다음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호출을 제어하여 함체(100)를 통해 범죄 예방 방법 및 비상호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함체에 설치된 비상벨(126)을 누르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비상벨(126)이 눌리면 스피커(122)를 통해 먼저 경고음이 송출된다. 이 경우 경고음, 초인종 소리처럼 시끄러운 대신 사용자 주변의 공간으로 들릴 정도의 음량이라면 좋다.
또한 경고 소리는 전자 소리와 같은 것 이어도 좋다. 그러나 이것 이외에 멜로디와 음성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때, 마이크(124)는 활성화되어 사용자는 마이크(124)를 통해 자신의 상태 또는 주변상황을 관리실로 송출할 수 있다.
다음은 비상벨(126)이 울리면 감시카메라(102)가 작동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때, 감시카메라(102)는 작동하여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스틸, 선택적으로 마이크(124)에서 사용자의 목소리와 동시에 관리실 쪽에 전달된다.
계속하여, 비상벨(126) 신호와 촬영된 영상이 관리실에 송신되면 관리자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비상벨(126)이 울린 장소의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스피커(122) 및 마이크(124)를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출동을 준비하는 단계(S300)을 수행한다.
관리실은 마이크(124)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감시카메라(126)을 통해 모니터링된 상황을 판단하고, 이때 영상은 패킷 방식으로 할 경우 패킷 데이터의 취향에 맞춰 이미지 처리된다.
이 경우 처리되는 이미지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동영상 또는 사진일 수 있다. 그러나, 사진일 경우 주변 상황 변화를 알 수 있도록 몇 초마다 간헐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은 관리실에서 시용자의 상황이 확인되는 동안 계속 되므로 지속적으로, 이미지 및 오디오 현재 위치 정보 및 장치 ID를 관리실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관리실에서는 위험을 감지하게 되면 스피커(122)를 통해 시끄러운 경고음이 집중적으로 송출되며, 위험을 벗어났거나 아니라 판단되면 스피커(122)에서 관리자의 지시사항과 같은 음성이 송출된다.
이렇게 하면 관리실에서는 사용자 측에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 영상 또는 오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게다가, 이미지, 영상, 음성을 기억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했듯이, 비상벨(126)의 작동이 나타내는 신호를 받은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거슬러 올라간 상태에서 이미지, 영상 또는 오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실에서는 이미지, 영상 또는 오디오를 인식하여 긴급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응급 경우에는 경찰에 신고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이미지, 영상 또는 오디오는 관리실 쪽에 저장 되어 있기 때문에, 후에 증거로 제출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스피커(122)에서 시끄러운 경고음이 발생하나 관리실 쪽에서 정지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104)가 스피커(122)를 통제하여 경고음이 멈추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경고음이 멈출 수 없기 때문에, 수상한 사람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증가 되고, 관리실에서 음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아닌 수상한 사람에 대하여 경고하여 자극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렇게 쵤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의 마이크(124) 음성을 통해 장난 또는 실수로 파악되면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S400)를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0: 함체 110: 몸체
120: 도어 122: 스피커
124: 마이크 126: 비상벨

Claims (4)

  1. 사용자가 후면이 벽면에 고정되고, 정면이 개방된 몸체와, 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로는 비상벨, 마이크, 스피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며, 몸체로는 감시카메라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함체에 설치된 비상벨을 누르는 단계;
    비상벨이 울리면 감시카메라가 작동하여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비상벨 신호와 촬영된 영상이 관리실에 송신되면 관리자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비상벨이 울린 장소의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출동을 준비하는 단계;
    쵤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의 마이크 음성을 통해 장난 또는 실수로 파악되면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함체의 몸체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와 결합되는 프레임은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요홈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도어는 프레임을 감싸면서 몸체의 격벽과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는 적어도 고유 정보인 장치 ID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장치 ID는 감시카메라와 스피커를 통해 처리된 이미지 또는 음성 신호 등 관리실에 전송될 때 해당 신호 등에 첨가되고, 관리실 측에서는 장치 ID와 일치된 비상벨이 설치된 함체의 정보를 미리 보유하여 신호 등에 포함된 장치 ID를 사용하여 함체의 위치 및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비상벨이 작동하면 작동 시점 이전에서 이미지, 영상 또는 오디오를 저장하되, 상기 이미지는 주변 상황 변화를 알 수 있도록 몇 초마다 간헐적으로 사진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1621A 2016-08-10 2016-08-10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KR10173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21A KR101735245B1 (ko) 2016-08-10 2016-08-10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21A KR101735245B1 (ko) 2016-08-10 2016-08-10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245B1 true KR101735245B1 (ko) 2017-05-12

Family

ID=5874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21A KR101735245B1 (ko) 2016-08-10 2016-08-10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720A (ko) * 2019-12-02 2021-06-10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CN116935605A (zh) * 2023-09-15 2023-10-24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92B1 (ko) 2009-04-15 2009-12-11 주식회사 투윈스컴 영상 및 음성 녹화장치를 구비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1547835B1 (ko) * 2014-09-01 2015-08-28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장)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92B1 (ko) 2009-04-15 2009-12-11 주식회사 투윈스컴 영상 및 음성 녹화장치를 구비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1547835B1 (ko) * 2014-09-01 2015-08-28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장)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720A (ko) * 2019-12-02 2021-06-10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102283440B1 (ko) 2019-12-02 2021-07-29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CN116935605A (zh) * 2023-09-15 2023-10-24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CN116935605B (zh) * 2023-09-15 2023-11-28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47B1 (ko) 감시 시스템
US5717379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US5748081A (en) Multi-functional anti-theft supervising assembly
KR101735245B1 (ko)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IT201800005672A1 (it) Sistema di allarme biometrico scalabile con intelligenza artificiale
KR101618045B1 (ko) 하이브리드형 공원용 화장실 위급상황 알림시스템
KR101412793B1 (ko) 보안기능이 구비된 인형
KR20110047405A (ko)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수동조작장치
KR100368448B1 (ko) 다목적 경보 시스템
KR102011216B1 (ko)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RU72560U1 (ru) Домофон "мобифон"
KR20230001475U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1인 가구를 위한 택배기사사칭 범죄예방용 방범기기
US20180350215A1 (en) Multi-functional network camera control apparatus
KR101704466B1 (ko) 블랙박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을 이용한 방범 관제시스템
JP2004172777A (ja) 緊急通報監視システム
JP3901059B2 (ja) 防犯装置及び防犯システム
KR101093176B1 (ko) 얼굴 인식 비상 호출 시스템
US11217073B1 (en) Instant alert notifier and docking station
JP2010194048A (ja) 救命ボックス装置
KR20020089619A (ko) 일회용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
KR20050047272A (ko) 감시 통로를 이용한 범죄 방지용 방범 장치 및 그 방법
KR200370184Y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보안 장치
WO2022224043A1 (en) Instant alert notifier and docking station
JP200509462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202227B2 (ja) 画像通信型防犯システム、監視装置、多地点動画通信装置、およびtv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