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16B1 -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16B1
KR102011216B1 KR1020180051494A KR20180051494A KR102011216B1 KR 102011216 B1 KR102011216 B1 KR 102011216B1 KR 1020180051494 A KR1020180051494 A KR 1020180051494A KR 20180051494 A KR20180051494 A KR 20180051494A KR 102011216 B1 KR102011216 B1 KR 10201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unit
theft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환성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5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되어 소화기 도난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주변에 화재발생을 알려줄 수 있으며 소화기관리자로 하여금 소화기 위치이동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르게 대처함은 물론 소화기 위치 이동 감지 시 관리자단말기측으로 소화기 주변을 촬영 전송하여 소화기 도난이 발생된 것인지 또는 화재 발생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소방서에 화재발생을 빠르게 전송하여 초기진압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theft of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정소에 비치된 소화기의 위치이동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이를 경고음으로 알려줌은 물론 관리자단말기측에 소화기 위치이동을 전달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여 소화기의 도난여부 또는 화재여부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건물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일정 거리마다 소화기가 비치되어 화재를 동반하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와 같은 비상시에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공장소에 비치되는 소화기는 화재발생시 즉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도난방지를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난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기 도난사고는, 단지 소화기 도난으로 인한 물적손실로 끝나지 않고 화재발생시에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진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작은 피해로 마무리될 수 있는 사고가 자칫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현장 방문하여 일일이 도난을 확인하고 소화기 도난이 발생될 경우 다시 새로운 소화기를 비치하도록 하고 있는 바,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일일이 방문해서 소화기에 대한 도난여부를 확인하고 있음에 따라 관리자의 피로감이 커지게 되고 실질적으로 소화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 20-0378294호인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소화기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소화기 안착부가 몸체 상부에 형성되고, 소화기 안착부로부터 소화기가 이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 분실방지장치가 몸체 내측에 설치되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향 및 비상등으로 소화기가 소화기 비치대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음향출력부 및 점등부가 몸체 외측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소화기 비치대 상부에 형성된 소화기 안착부로부터 소화기가 이탈될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하여 소화기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고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비치대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설치된 소화기받침대를 폐기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화기 관리자측으로 소화기 분실상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화기 관리자가 관리실을 비운 상태에서 소화기의 분실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가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78294호(2005.03.02. 등록)
본 발명은 소화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하고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관리자단말기에 즉시 전송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소화기의 위치 이동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소화기 위치 이동 감지 시 관리자단말기측으로 소화기 주변을 촬영 전송하여 소화기 도난이 발생된 것인지 또는 화재 발생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은, 소화기가 비치된 벽면에 구비되는 위치감지하우징과; 상기 위치감지하우징에 구비되어 소화기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경고음저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음저장부에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경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전송부에 의해 전송된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화재발생을 확인하면 이를 소방서에 전송하는 화재발생전송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이 구비된 벽면에 비치되는 소화기와 연결되는 도난방지커넥터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도난방지커넥터가 꽂아지고 꽂아진 도난방지커넥터가 빠질 때 상기 경고음발생부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고 상기 전송부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도난방지커넥터가 빠짐을 전송하며 상기 영상전송부에 의해 촬영부의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감지접속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되어 소화기 도난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주변에 화재발생을 알려줄 수 있으며 소화기관리자로 하여금 소화기 위치이동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르게 대처함은 물론 소화기 위치 이동 감지 시 관리자단말기측으로 소화기 주변을 촬영 전송하여 소화기 도난이 발생된 것인지 또는 화재 발생에 의해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소방서에 화재발생을 빠르게 전송하여 초기진압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기(1)가 비치된 벽면에 구비되는 위치감지하우징(100)과, 위치감지부(10), 제어부(20), 경고음발생부(30), 전송부(40), 촬영부(50), 영상전송부(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은 예를 들어 앙카볼트나 또는 접착제와 같은 수단으로 소화기(1)가 비치된 벽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은 소화기(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0)는,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부(10)와 상기 경고음발생부(30), 전송부(40), 촬영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위치감지부(10)와 상기 경고음발생부(30), 전송부(40), 촬영부(50)를 각각 제어한다.
상기 경고음발생부(30)는,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경고음저장부(31)가 구비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음저장부(31)에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 전송부(40)는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소화기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50)는,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부(50)의 촬영된 영상을 통해 소화기(1)의 위치를 이동시킨 사람과 소화기(1)가 비치된 주변공간을 촬영하여 소화기(1)가 도난을 목적으로 이동시켰는지, 주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송부(60)는, 상기 전송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비치된 소화기(1)를 상기 위치감지부(10)가 실시간 감지하는 것으로, 소화기(1)의 위치 이동을 위치감지부(10)가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0)의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20)에 전달되면 상기 경고음저장부(31)에 저장된 경고음이 상기 경고음발생부(30)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전송부(40)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측으로 소화기의 위치가 이동되었음을 문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0)의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2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촬영부(50)에 의해 소화기(1)가 비치된 주변 공간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고 촬영된 영상은 상기 영상전송부(60)로 전달되며 영상전송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송부(40)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측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측으로 소화기 위치이동과 주변 공간을 촬영한 영상이 전송됨에 따라 소화기관리자는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소화기 위치이동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소화기 위치이동과 영상을 보고 소화기(1)의 위치이동여부가 소화기(1)가 비치된 주변화재 진압을 위한 것인지, 또는 도난목적인 것인지를 빠르게 파악한 후, 도난목적으로 소화기의 위치가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전송된 영상을 토대로 도난자를 찾아내어 소화기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 의해 화재진압을 위해 소화기의 위치가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화재발생에 따른 매뉴얼을 진행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소방서에 화재발생을 즉시 신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기(200)에는 상기 영상전송부(60)에 의해 전송된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화재발생을 확인하면 이를 소방서에 전송하는 화재발생전송부(2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가 이동되었을 경우에 소화기관리자가 휴대단말기(200)에 구비된 화재발생전송부(210)를 이용하여 소방서에 화재발생 상황을 즉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된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경광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경광부(70)가 구비됨에 따라 소화기(1)의 위치 이동시 반복적으로 점열되는 경광부(70)에 의해 소화기의 도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기가 이동된 경우에는 경광부(70)에 의해 발생된 화재를 빠르게 인식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진압하거나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이 구비된 벽면에 비치되는 소화기(1)와 연결되는 도난방지커넥터(80)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이 꽂아지고 꽂아진 도난방지커넥터(80)이 빠질 때 상기 경고음발생부(3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고 상기 전송부(40)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이 빠짐을 전송하며 상기 영상전송부(60)에 의해 촬영부(50)의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감지접속부(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는 예를 들어 체결밴드에 의해 기존 비치된 소화기(1)에 연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비치된 소화기를 폐기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난방지커넥터(80)와 커넥터감지접속부(9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기(1)의 이동에 의해 도난방지커넥터(80)가 커넥터감지접속부(90)로부터 빠지게 되면 상기 경고음발생부(3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고 상기 전송부(40)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이 빠졌음이 전송되며 상기 영상전송부(60)에 의해 촬영부(50)의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기 때문에 소화기 위치이동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0)가 고장나거나 또는 위치감지부(10)와 소화기(1) 사이에 방해물이 위치된 경우에도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가 커넥터감지접속부(90)로부터 빠지게 됨에 따라 소화기(10)의 위치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위치감지부 20 : 제어부
30 : 경고음발생부 31 : 경고음저장부
40 : 전송부 50 : 촬영부
60 : 영상전송부 70 : 경광부
80 : 도난방지커넥터 90 : 커넥터감지접속부
100 : 위치감지하우징 200 : 휴대단말기
210 : 화재발생전송부

Claims (3)

  1. 위치감지하우징(100)과;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10)와;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경고음저장부(31)가 구비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음저장부(31)에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30)와;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0)와;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하는 촬영부(50)와; 상기 전송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은,
    소화기(1)가 비치된 벽면에 구비되되 앙카볼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벽면에 구비되고 소화기(1)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이 구비된 벽면에 비치되는 소화기(1)와 연결되되 체결밴드에 의해 소화기(1)에 연결 고정되는 도난방지커넥터(80)과;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가 꽂아지고 꽂아진 도난방지커넥터(80)가 빠질 때 상기 경고음발생부(3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고 상기 전송부(40)에 의해 소화기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상기 도난방지커넥터(80)이 빠짐을 전송하며 상기 영상전송부(60)에 의해 촬영부(50)의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감지접속부(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하우징(100)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10)에 의해 소화기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반복적으로 점멸되어 소화기의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경광부(70)가 구비되고,
    화재발생에 의해 상기 소화기(1)가 이동된 경우 발생된 화재를 빠르게 인식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진압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200)에는 상기 영상전송부(60)에 의해 전송된 소화기 주변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화재발생을 확인하면 이를 소방서에 전송하는 화재발생전송부(2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3. 삭제
KR1020180051494A 2018-05-03 2018-05-03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KR10201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94A KR102011216B1 (ko) 2018-05-03 2018-05-03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94A KR102011216B1 (ko) 2018-05-03 2018-05-03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216B1 true KR102011216B1 (ko) 2019-08-14

Family

ID=6762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94A KR102011216B1 (ko) 2018-05-03 2018-05-03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36B1 (ko) * 2022-11-14 2023-02-14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776A (ja) * 1995-12-29 1997-07-15 Masaaki Imae 消火器警報システム
KR200378294Y1 (ko)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20060043781A (ko) * 2004-03-30 2006-05-15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KR200471883Y1 (ko) * 2012-12-20 2014-03-20 한국도로공사 소화기 인출경보장치
KR101765524B1 (ko) * 2016-11-22 2017-08-07 우리네트워크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멀티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소화기 거치대
KR101805571B1 (ko) * 2017-02-27 2017-12-06 주식회사 디엔아이 소화기 압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776A (ja) * 1995-12-29 1997-07-15 Masaaki Imae 消火器警報システム
KR20060043781A (ko) * 2004-03-30 2006-05-15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KR200378294Y1 (ko)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200471883Y1 (ko) * 2012-12-20 2014-03-20 한국도로공사 소화기 인출경보장치
KR101765524B1 (ko) * 2016-11-22 2017-08-07 우리네트워크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멀티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소화기 거치대
KR101805571B1 (ko) * 2017-02-27 2017-12-06 주식회사 디엔아이 소화기 압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36B1 (ko) * 2022-11-14 2023-02-14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TWM491152U (zh) 即時行動影音通報裝置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R102011216B1 (ko) 소화기 도난방지 시스템
KR101452874B1 (ko) 주택 보안 시스템
KR20140053486A (ko) 휴대폰 케이스용 범죄 예방장치
JP4516715B2 (ja) 非常報知システム
KR101735245B1 (ko)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비상호출 제어방법
KR101123488B1 (ko) 선박의 화재 및 침수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능동형 안전시스템
KR20090126988A (ko) 위험 상황 알림용 영상 촬영 및 전송 장치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352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JP2007312209A (ja) 据付型カメラの盗撮防止装置
KR101057149B1 (ko) 순찰용 안전모자 및 그러한 안전모자를 이용한 순찰자 관리장치
KR20120045246A (ko) 화재영상음성감지장치
KR200453024Y1 (ko) 보안 장치
JP2005311995A (ja) 異常・緊急事態検知手段としての携帯電話機
KR20180064762A (ko)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비명 감지기
JP2007280337A (ja) 携帯型小型カメラ(マイク付)を利用した防犯システム
KR101582254B1 (ko)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80350215A1 (en) Multi-functional network camera control apparatus
KR200307383Y1 (ko) 방범·방화·방재 장치
JP2010286982A (ja) 警備システム、異常検知方法
UA16891U (en) On-door speakerphone "mobif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