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814B1 -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814B1
KR101734814B1 KR1020170048163A KR20170048163A KR101734814B1 KR 101734814 B1 KR101734814 B1 KR 101734814B1 KR 1020170048163 A KR1020170048163 A KR 1020170048163A KR 20170048163 A KR20170048163 A KR 20170048163A KR 101734814 B1 KR101734814 B1 KR 10173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tructure
seat frame
support portion
seat
suppor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왕기
Original Assignee
노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왕기 filed Critical 노왕기
Priority to KR102017004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6Leaf- or flex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스프링구조체(10)를 하부금형틀(21)에 상향 돌출 형성된 하부막음턱(22)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막음턱(22)에 대응되는 상부막음턱(26)이 하향 돌출 형성된 상부금형틀(25)을 하강시켜 셋팅한 상태에서 하부막음턱(22)과 상부막음턱(2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용융액을 주입하여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을 고정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ssembly and suspension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쿠션이 있는 시트가 제공되고 있고,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게 시트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 안전운행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중량에 의한 시트의 처짐 및 차량 주행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여 탑승자의 피로를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 내에는 탄성의 스프링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등록특허 제10-1598967호에와 같이 그 고정 및 연결을 위한 복잡한 구조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의 어려운 불편한 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통상 차량에는 에어컨과 히터로 구성되는 냉난방 장치가 구비되지만, 냉난방 장치가 작동되더라도 하절기나 동절기의 경우 차량 탑승자는 차량의 시트로부터 전달되는 온기 또는 냉기를 그대로 전달받기 때문에 쾌적한 승차감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부 차종에는 시트에 별도의 통풍장치가 설치된 통풍시트 혹은 냉난방시트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조는 시트의 후면 프레임에 장착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장착이 매우 어렵고 까다롭다. 이에 따라 장착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며, 특히 블로워의 경우 단단히 고정함과 동시에 소음, 진동을 흡수하여 정숙한 시트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98967호 등록특허 제10-128184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스프링구조체(10)를 하부금형틀(21)에 상향 돌출 형성된 하부막음턱(22)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막음턱(22)에 대응되는 상부막음턱(26)이 하향 돌출 형성된 상부금형틀(25)을 하강시켜 셋팅한 상태에서 하부막음턱(22)과 상부막음턱(2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용융액을 주입하여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을 고정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만드는 상부막음턱(26) 및 하부막음턱(22)의 각 내측단부에 요철부(27)를 형성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구성하는 와이어를 밀착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금형틀(25)에 형성된 주입로(29)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액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팬(61)은 시트프레임(90)의 하부측에 돌출 위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하여 밀착되는 시트프레임(90)의 상부측으로 통풍팬(61)에 연통된 에어분사구(64)가 사각 평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틀(25)에는 다수의 사출용융액 주입로(29) 및 에어냉각로(71)가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틀(21)에는 다수의 에어냉각로(7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에어냉각로(71)는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방사라인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84)는 하부측이 통공(93)에 삽입된 후 걸림되도록 하부 돌출걸림헤드(89)를 갖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충격흡수부재(84)는 탄성재로 된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지되, 시트부(85)의 내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스프링(86)을 수직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의 스프링구조체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구조체에 전방지지부, 후방지지부, 측방지지부 및 중간측 장착부가 인서트 사출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간측 장착부 상에 통풍팬이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프레임의 실시예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프레임의 변형 실시예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금형틀 및 하부금형틀의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면, 후술되는 S1∼S4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를 형성한다.(S1단계)
상기 스프링구조체(10)는 시트프레임(90)에 장착되어 차량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상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거나, 다단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시트프레임(9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구조체(10)가 완성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구조체(10)를 하부금형틀(21)에 상향 돌출 형성된 하부막음턱(22)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막음턱(22)에 대응되는 상부막음턱(26)이 하향 돌출 형성된 상부금형틀(25)을 하강시켜 셋팅한 상태에서 하부막음턱(22)과 상부막음턱(2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용융액을 주입하여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도록 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인서트 사출공정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가 형성된다.(S2단계)
상기 S2단계에서 형성된 장착홀(34a,39)은 본 발명에서는 피스(82)의 체결구조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을 고정설치한다.(S3단계)
이때, 상기 통풍팬(61)은 시트프레임(90)의 하부측에 돌출 위치되고,(도면상 상부측에 도시됨) 사용자가 착석하여 밀착되는 시트프레임(90)의 상부측(도면상 하부측에 도시됨)으로 통풍팬(61)에 연통된 에어분사구(64)가 사각 평면 형태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한다.(S4단계)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84)는 탄성재로 된 시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하부측이 통공(93)에 삽입된 후 걸림되도록 하부 돌출걸림헤드(89)를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85)에 다수의 스프링(86)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충격흡수부재(84)를 구성하는 시트부(85)의 내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스프링(86)을 수직 배치하여 충격흡수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돌출안착부(95)는 시트프레임(90) 형성 시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수평돌출안착부(95)를 별도 제작하여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수평돌출안착부(95)는 미도시되었으나, 그 설치된 수평방향으로 시트프레임(90) 상에 레일을 형성하여 그 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부(98)는 시트프레임(90)의 제조 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에서 사출 성형 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만드는 상부막음턱(26) 및 하부막음턱(22)의 각 내측단부에 요철부(27)를 형성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구성하는 와이어를 밀착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금형틀(25)에 형성된 주입로(29)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액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틀(25)에는 다수의 사출용융액 주입로(29) 및 에어냉각로(71)가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틀(21)에는 다수의 에어냉각로(71)가 설치되게 구성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가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구성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에어냉각로(71)는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방사라인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이탈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상술된 설명을 토대로 하면,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하여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의하면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구조체를 시트프레임 상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구조체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프링구조체 21 : 하부금형틀
25 : 상부금형틀 31 : 전방지지부
32 : 후방지지부 33 : 측방지지부
34 : 중간측 장착부 61 : 통풍팬
90 : 시트프레임

Claims (12)

  1.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스프링구조체(10)를 하부금형틀(21)에 상향 돌출 형성된 하부막음턱(22)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막음턱(22)에 대응되는 상부막음턱(26)이 하향 돌출 형성된 상부금형틀(25)을 하강시켜 셋팅한 상태에서 하부막음턱(22)과 상부막음턱(2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용융액을 주입하여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을 고정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만드는 상부막음턱(26) 및 하부막음턱(22)의 각 내측단부에 요철부(27)를 형성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구성하는 와이어를 밀착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금형틀(25)에 형성된 주입로(29)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액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팬(61)은 시트프레임(90)의 하부측에 돌출 위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하여 밀착되는 시트프레임(90)의 상부측으로 통풍팬(61)에 연통된 에어분사구(64)가 사각 평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틀(25)에는 다수의 사출용융액 주입로(29) 및 에어냉각로(71)가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틀(21)에는 다수의 에어냉각로(7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에어냉각로(71)는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부금형틀(25) 및 하부금형틀(21)의 방사라인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8. 와이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태의 면적부가 형성되는 스프링구조체(10)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부(11), 후방부(12) 및 측방부(13)를 인서트 사출하고, 스프링구조체(10)의 중간부(14)의 일부를 부분 인서트 사출하여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및 중간측 장착부(34)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측 장착부(34)에 다수의 장착홀(34a)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 마다에 각각 장착홀(39)을 갖는 내측 돌출부(41,42,43) 및 외측 돌출부(51,52,53)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측 장착부(34) 상의 장착홀(34a)에 통풍팬(61)이 구비된 지지판(6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51,52,53)를 스프링구조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시트프레임(90) 상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다수 안착부(92)에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92)에 형성된 통공(93)에 충격흡수부재(84)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시킨 후 피스(82)로 고정하여 스프링구조체(10)를 차량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전방지지부(31), 후방지지부(32), 측방지지부(33)가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되어 마찰 지지되도록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안착홈부(9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41,42,43)에 대응 밀착되어 장착홀(39)에 체결고정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 다수의 통공(96)이 형성된 수평돌출안착부(95)를 형성하여 시트프레임(90)의 내측에서도 스프링구조체(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84)는 하부측이 통공(93)에 삽입된 후 걸림되도록 하부 돌출걸림헤드(89)를 갖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84)는 탄성재로 된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지되, 시트부(85)의 내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스프링(86)을 수직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KR1020170048163A 2017-04-14 2017-04-14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KR10173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63A KR101734814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63A KR101734814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814B1 true KR101734814B1 (ko) 2017-05-12

Family

ID=5874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163A KR101734814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8658A (zh) * 2017-07-06 2017-09-08 吉林宏泽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靠背帘自动成型机
KR101780670B1 (ko) 2017-05-30 2017-09-21 노규빈 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시트 착석부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용 스프링구조체의 인서트사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218A (ja) 2011-06-15 2013-01-07 Nhk Spring Co Ltd クッション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94623A (ja) 2012-11-08 2014-05-22 Toyota Boshoku Corp 乗物用シート
KR101501078B1 (ko) 2013-12-27 2015-03-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시트의 블로워 장착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218A (ja) 2011-06-15 2013-01-07 Nhk Spring Co Ltd クッション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94623A (ja) 2012-11-08 2014-05-22 Toyota Boshoku Corp 乗物用シート
KR101501078B1 (ko) 2013-12-27 2015-03-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시트의 블로워 장착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670B1 (ko) 2017-05-30 2017-09-21 노규빈 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시트 착석부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용 스프링구조체의 인서트사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7138658A (zh) * 2017-07-06 2017-09-08 吉林宏泽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靠背帘自动成型机
CN107138658B (zh) * 2017-07-06 2021-03-16 吉林宏泽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靠背帘自动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1646B2 (ja) 車両用シート
EP1690732B1 (en) Headrest support and locking member
CN103101457B (zh) 车辆座椅支座总成
US4746168A (en) Motor vehicle seat
US8979204B2 (en) Seat backboard and vehicle seat
US8998311B2 (en) Seat frame for a vehicle seat
KR101734814B1 (ko) 차량용 시트 착석부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 서스펜션 어셈블리
CN104276066A (zh) 用于车辆座椅总成的装饰物附接装置
US20120133183A1 (en) Suspension assembly of vehicle seat
KR20130089125A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US9090188B2 (en) Vehicular seats
US11938852B2 (en) Sensor disposition structure in seat
JP2008523854A (ja) 空気供給装置を備える自動車の座席のシートバック
US8714641B2 (en) Vehicle seat
JP2012232731A (ja) 車両用シート
KR10075696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KR102017463B1 (ko) 차량용 에어가드 유닛과 그 제조방법
KR102633948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8179B1 (ko) 차량용 통풍시트
KR102111591B1 (ko) 통풍 시트와 그 제조 방법
JP700489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641914B1 (ko) 통풍시스템 내장형 시트 폼 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CN108883715B (zh) 具有盲联接器的通风车辆座椅和相关方法
JPH08226698A (ja) 空気調和機
KR101112589B1 (ko)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