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100B1 -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100B1
KR101734100B1 KR1020157009023A KR20157009023A KR101734100B1 KR 101734100 B1 KR101734100 B1 KR 101734100B1 KR 1020157009023 A KR1020157009023 A KR 1020157009023A KR 20157009023 A KR20157009023 A KR 20157009023A KR 101734100 B1 KR101734100 B1 KR 10173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rocessing
communication
processing operation
pack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927A (ko
Inventor
요헤이 하세가와
요헤이 이이자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8Flow ba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2Centrali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1Centralised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5Involving tunnels, e.g.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제어 대상이 확대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들)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1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관련 출원에 대한 기재]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 특원2012-221482호(2012년 10월 03일 출원)에 의거한 것이며, 동(同)출원의 모든 기재 내용은 인용으로서 본서에 편입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네트워크를 제어 장치에 의해 집중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픈플로우(OpenFlow)라고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2 참조). 오픈플로우는, 통신을 엔드투엔드(end-to-end)의 플로우로서 파악하고, 플로우 단위로 경로 제어, 장해 회복, 부하 분산, 최적화를 행하는 것이다. 비특허문헌 2에 사양화되어 있는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와의 통신용의 시큐어 채널을 구비하고,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의해 적절히 추가 또는 개서 지시되는 플로우 테이블에 따라 동작한다. 플로우 테이블에는, 플로우마다, 패킷 헤더와 조합하는 매치 조건(Match Fields)과, 플로우 통계 정보(Counters)와, 처리 내용을 정의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의 세트가 정의된다(비특허문헌 2의 "4.1 Flow Table"의 항 참조).
예를 들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패킷을 수신하면, 플로우 테이블로부터, 수신 패킷의 헤더 정보에 매칭되는 매치 조건(비특허문헌 2의 "4.3 Match Fields" 참조)을 갖는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의 결과,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엔트리가 발견되었을 경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통계 정보(Counters)를 갱신함과 함께, 수신 패킷에 대하여, 당해 엔트리의 인스트럭션 필드에 기술(記述)된 처리 내용(지정 포트로부터의 패킷 송신, 플러딩, 폐기 등)을 실시한다. 한편, 검색의 결과,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엔트리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시큐어 채널을 거쳐서,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대하여 엔트리 설정의 요구, 즉, 수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정보의 송신 요구(Packet-In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처리 내용이 정해진 플로우 엔트리를 받아서 플로우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된 엔트리를 제어 정보로서 사용하여 패킷 전송을 행한다.
특허문헌 1에는, 광 패스 확립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 IP 네트워크를 광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복수의 광 에지 라우터와, 광 에지 라우터 사이를 광 패스로 접속하기 위해서 광 패스 단위에서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광 크로스 커넥트 장치로 구성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WO2004/071033호
Nick McKeown 외 7명, "OpenFlow : Enabling Innovation in Campus Networks", [online], [2012년 7월 13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www.openflow.org/documents/openflow-wp-latest.pdf> "OpenFlow Switch Specification" Version 1.1.0 Implemented(Wire Protocol 0x02), [online], [2012년 7월 13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www.openflow.org/documents/openflow-spec-v1.1.0.pdf>
상기 인용된 기술문헌의 각 개시를, 본서에 인용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분석은, 본 발명에 따라 주어진 것이다.
상기 비특허문헌 1, 2의 오픈플로우로 대표되는 집중 제어형의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세심한 제어가 가능하다. 그때, 특정 층(예를 들면, 네트워크층)에 속하는 통신 기기가 접수한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그 하위의 층(예를 들면, 데이터 링크층)의 패킷 전송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결정하면, 하위층에 있어서의 통신 플로우가 편재할 가능성이 있다. 하위층에 있어서, 통신 플로우가 편재하면, 특정 통신 플로우에 대해서 충분한 대역이 확보되지만, 다른 통신 플로우에는 충분한 대역이 확보되지 않는 등,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용이 저해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대상이 확대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함에 기여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특허문헌 1의 광 크로스 커넥트 장치 및 광 에지 라우터에, 비특허문헌 1, 2의 오픈플로우 스위치 상당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세밀한 입도로 경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광 IP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IP 네트워크와 광 네트워크를 개별적으로 경로 제어하는 기술의 개시에 지나지 않고, 양자를 통합한 네트워크 전체의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1 처리 규칙(즉, 패킷 처리 규칙이며, 여기에서 "패킷 처리 동작"이라고 함)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1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계층화된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를 통한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를 통한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스텝과,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제1 패킷 처리 동작을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알려진, 특정 기계에 결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를 통한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처리와,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제1 패킷 처리 동작을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magnetic)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의 비트랜션트(non-transient) 기억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양태에 의하면, 제어 대상이 확대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함에 기여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1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
도 6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
도 8은 제어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의 일례.
도 9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를 집약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3은 제어 장치(2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4는 후보가 되는 의사 회선(pseudo line)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정리한 도면.
도 15는 도 11에 대하여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
도 16은 도 3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
도 19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 및 60-3)에 관한 프로퍼티를 집약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제어 장치(20a)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2는 후보가 되는 광 패스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정리한 도면.
도 23은 도 20에 대하여 ID3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3개의 의사 회선과,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제어 장치(20b)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8은 의사 회선마다 산출한 최대값과 평균값을 정리한 도면.
도 29는 도 26에 대하여 ID44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
도 30은 의사 회선마다 산출한 최대값과 평균값을 정리한 도면.
도 31은 도 24에 나타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에 대한 각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마다 대역 추정값을 정리한 도면.
우선, 도 1을 사용하여 일 실시형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 개요에 부기한 도면 참조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일례로서 각 요소에 편의상 부기한 것이며, 이 개요의 기재는 하등의 한정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이 확대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래서,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은,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와, 네트워크의 제1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1 처리 규칙(즉,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1 통신 기기(101)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100)는,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한다.
제어 장치(100)는,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통신 기기(101)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한다. 여기에서, 제1 통신 기기(101)를 통한 수신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제2 층을 고려하지 않고 결정하면, 제2 층에 있어서의 통신 플로우가 편재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와 같이, 제2 층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면서,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결정하면, 제2 층에 있어서의 통신 플로우의 편재를 피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00)는, 상위층(예를 들면, 제1 층)에 있어서의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의 결정을, 하위층(예를 들면, 제2 층)에 있어서의 통신 플로우의 중복을 회피하도록(하위층에 있어서의 통계 다중 효과를 기대하여) 행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30)과 서버(40-1 및 40-2)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OFS(10-1)∼OFS(10-3))와, 이들의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를 포함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에 대하여, 수신 패킷에 대한 처리를 규정하는 패킷 처리 규칙(즉, 본원에서는 "패킷 처리 동작"이라 함)을 설정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는, 제어 장치(20)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 처리(패킷의 전송)를 행한다.
수신 패킷의 매치 필드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처리를 제어 장치(20)에 문의한다. 문의를 받은 제어 장치(20)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고,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설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의 문의가 없는 경우여도, 특정 패킷에 관한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 사이는 논리 경로상에서의 접속에 상당한다. 환언하면, 도 2의 접속은, 제3 층(네트워크층)에서의 접속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오픈플로우 스위치 사이는, 제2 층(데이터 링크층) 및 제1 층(물리층)을 거쳐서 접속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1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과 10-2)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PTN(50-1)∼PTN(50-4))를 포함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는, 이더넷(등록상표, 이하 동일) 케이블 등을 거쳐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2)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 및 50-4)와 접속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는, 이더넷 케이블이나 광 파이버 케이블 등의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과 50-4)의 접속도 같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있어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과 10-2)를 연결하는 의사 회선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에, MPLS-TP(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의사 회선을 형성한다. 그때, 송신 측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에서는, 패킷 전송 시에, 수신 패킷을, MPLS 라벨을 사용하여 캡슐화한다. 캡슐화된 수신 패킷을 수취한 수신 측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는, MPLS 라벨을 사용하여 패킷의 캡슐화를 해제한다(디캡슐화함).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에, 2개의 의사 회선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과 50-4) 사이에서도, 2개의 의사 회선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4) 사이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 사이의 접속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의사 회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형성하는 의사 회선의 수를 2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도 예시로서, 의사 회선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여기에서는 의사 회선이라고 기재하지만, 논리 회선이나 논리 경로, 회선, 경로 등을 사용하는 예도 가능하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가, 오픈플로우 스위치(10-2)를 향하여 패킷을 전송할 때에는, 패킷을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에 전송하거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에 전송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포트를 선택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2)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 또는 50-4)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과 10-2)는, 복수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형성하는 복수의 의사 회선에 의해 접속된다.
제어 장치(20)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에 대하여, 각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가 패킷을 수취했을 때의 처리를 규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0)는, 각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에 따라,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에 있어서, 특정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의사 회선1에 수용되고, 다른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의사 회선2에 수용한다는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의 결정(TCP 플로우의 할당)은, 수신 패킷을 캡슐화할 때의 MPLS 라벨을 지정함으로써 실현된다. MPLS 라벨을 지정함으로써, 각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의사 회선 중에서, 특정 의사 회선을 지정할 수 있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는, 제어 장치(20)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 처리(패킷의 캡슐화)를 행한다.
수신 패킷의 매치 필드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처리를 제어 장치(20)에 문의한다. 문의를 받은 제어 장치(20)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고,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에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가 제어 장치(20)의 제어 대상이다.
도 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이하,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3)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라고 표기함)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는, 통신부(11)와, 테이블 관리부(12)와, 테이블 데이터베이스(테이블 DB)(13)와, 전송 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1)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에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하는 제어 장치(20)와의 통신을 실현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1)는, 비특허문헌 2의 오픈플로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어 장치(20)와 통신한다. 단, 통신부(11)와 제어 장치(20)의 통신 프로토콜은, 오픈플로우 프로토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는, 제어 장치(20)로부터의 요구를 따라, 오픈플로우 스위치(10)에 관한 프로퍼티(접속 포트수, 접속처,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를 제어 장치(20)에 통지한다.
테이블 관리부(12)는, 테이블 DB(13)에 유지되어 있는 테이블을 관리하는 수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관리부(12)는, 제어 장치(20)로부터 지시된 패킷 처리 동작을 테이블 DB(13)에 등록하고, 전송 처리부(14)로부터 신규 패킷을 수신한 것이 통지되면,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 또한, 테이블 관리부(12)는, 각 테이블에 저장된 패킷 처리 동작의 실효(失效)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 당해 패킷 처리 동작을 제거 또는 실효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테이블 DB(13)는, 전송 처리부(14)가 수신 패킷의 처리를 행할 때에 참조하는 테이블을 1개 이상 저장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전송 처리부(14)는, 테이블 검색부(141)와, 액션 실행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이블 검색부(141)는, 테이블 DB(13)에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매치 필드를 갖는 패킷 처리 동작을 검색하는 수단이다. 액션 실행부(142)는, 테이블 검색부(141)에 의해 검색된 패킷 처리 동작의 인스트럭션 필드에 나타낸 처리 내용에 따라 패킷 처리를 행하는 수단이다. 전송 처리부(14)는,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매치 필드를 갖는 패킷 처리 동작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를 테이블 관리부(12)에 통지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4)는, 패킷 처리에 따라, 테이블 DB(13)에 등록되어 있는 통계 정보를 갱신한다.
도 5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가 접수한 TCP/IP 플로우를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내지 50-3) 중 어느 하나로의 전송을 실현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A1이 설정되고, 수신처 IP 어드레스에 A2가 설정된 TCP/IP 플로우를 접수했을 경우, 도 5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처리가 실행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가, 이러한 수신 패킷(송신원 IP 어드레스=A1, 수신처 IP 어드레스=A2)을 수신하면,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의 테이블 검색부(141)는, 도 5의 테이블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패킷 처리 동작을,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으로서 찾아낸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의 액션 실행부(142)는, 그 인스트럭션 필드에 나타낸 내용에 따라,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에 접속된 포트로부터 당해 수신 패킷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가,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B1이 설정되고, 수신처 IP 어드레스에 B2가 설정된 TCP/IP 플로우를 접수했을 경우,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와 접속된 포트로부터 당해 패킷을 전송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는, 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각 패킷 처리 동작의 실효 조건에, 각각 "생존 시간(TTL; Time To Live)"으로서 T1 시간과 T2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 관리부(12)는, 도 5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패킷 처리 동작이 T1 시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당해 패킷 처리 동작을 삭제하는 동작을 행한다. 전송 처리부(14)는, 각 패킷 처리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생존 시간"을 관리하는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각 패킷 처리 동작에 대응한 통계 정보는, 당해 패킷 처리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갱신된다. 이상과 같은 패킷 처리 동작은, 오픈플로우 스위치(10-2), 오픈플로우 스위치(10-3)에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도 6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이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50-4)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라고 표기함)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의 주된 내부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의 주된 내부 구성에 일치한다. 그 때문에,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의 내부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의 상이점은, 테이블 DB(13)에 등록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다르다는 점이다. 테이블 DB(13)에 등록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다르면, 액션 실행부(142)가, 당해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실행하는 패킷 처리의 내용도 상이하다.
도 7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이다. 도 7의 예에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가 접수하는 TCP/IP 플로우를 의사 회선1 또는 의사 회선2를 사용하여 패킷의 전송을 실현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A1이 설정되고, 수신처 IP 어드레스로서 A2가 설정된 TCP/IP 플로우를 접수했을 경우, 도 7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처리가 실행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가, 이러한 수신 패킷(송신원 IP 어드레스=A1, 수신처 IP 어드레스=A2)을 수신하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테이블 검색부(141)는, 도 7의 테이블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패킷 처리 동작을,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으로서 찾아낸다. 그리고,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액션 실행부(142)는, 그 인스트럭션 필드에 나타낸 내용에 따라, 패킷 처리한다(의사 회선1을 사용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액션 실행부(142)는, 의사 회선1에 대응한 MPLS 라벨을 사용하여 수신 패킷을 캡슐화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는, 캡슐화 후의 패킷을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를 향하여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가, 송신원 IP 어드레스=C1, 수신처 IP 어드레스=C2의 패킷을 수신하면, 의사 회선2를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또,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는, 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 실효 조건에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와 마찬가지로, 생존 시간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는, 제어 장치(20)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수신한 패킷을 전송할 때의 의사 회선을 선택한다. 환언하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마다, 당해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을, 제어 장치(20)가 결정한다.
도 8은 제어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의 일례이다. 제어 장치(20)는,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와, 네트워크 구성 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 구성 DB)(22)와, 제어 메시지 처리부(23)와, 경로/액션 계산부(24)와, 네트워크 경로 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 경로 DB)(25)와,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와, 패킷 처리 동작 데이터베이스(패킷 처리 동작 DB)(27)와,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와의 통신을 행하는 노드 통신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노드 통신부(28)를 통하여, 제어 장치(20)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노드(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의 프로퍼티를 집약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0)의 초기 기동(부트) 시, 또는, 정기적으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대하여, 각각의 프로퍼티에 관한 송신 요구를 행한다. 요구를 받은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등은, 자기의 프로퍼티를 제어 장치(20)에 응답한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이들의 응답을 집약하여,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한다.
도 9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를 집약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의 접속처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2 및 10-3)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오픈플로우 스위치(10-2)를 향하여 패킷을 전송할 때에 선택할 수 있는 포트는 2포트 존재하고, 각각,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3)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이러한 정보를 집약하여,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한다.
도 10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의 포트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의 포트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4)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 사이에서 형성 가능한 의사 회선은, 의사 회선(1-1∼1-3)의 3회선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4) 사이에서 형성 가능한 의사 회선은, 의사 회선(2-1∼2-2)의 2회선이다. 또, 도 10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형성 가능한 의사 회선의 개수는 예시이며, 도 10에 나타낸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이러한 정보를 집약하여,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23)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제어 장치(20) 내의 해당하는 처리 수단에 제어 메시지 정보를 인도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구성 DB(22)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과, 패킷 처리 동작 DB(27)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에 의거하여 TCP/IP 플로우마다 네트워크 경로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에 있어서의 수신 패킷의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혹은,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있어서의 수신 패킷을 전송할 때에 사용하는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계산한 네트워크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한다. 또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계산한 네트워크 경로를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에 인도한다.
도 11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이후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TCP/IP 플로우를, 플로우 ID에 의해 식별된다. 플로우 ID가 다른 TCP/IP 플로우는, 송신원 IP 어드레스와 수신처 IP 어드레스의 조합이 다른 것으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우 ID가 ID1∼ID10의 TCP/IP 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의 논리 경로로 전송된다. 한편, ID11 및 ID12의 TCP/IP 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3)의 논리 경로로 전송된다. 또한, ID1∼ID3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1에 수용된다. ID4 및 ID5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2에 수용된다. ID6 및 ID7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3에 수용된다. ID8 및 ID9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2-1에 수용된다. ID10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2-2에 수용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된 네트워크 구성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된 네트워크 경로에 의거하여,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 및 의사 회선을 계산한다. 또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패킷 처리 동작마다 실효 조건을 산출하여, 각 패킷 처리 동작의 실효 조건 필드에 설정하는 값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면,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또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각 TCP/IP 플로우에 대응한 패킷 처리 동작의 "생존 시간"을 결정한다. 또, 패킷 처리 동작의 생존 시간의 결정에는, 미리 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송신원 IP 어드레스, 수신처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생존 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경로/액션 계산부(24)에서 계산된 네트워크 경로에 의거하여,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고, 각각의 패킷 처리 동작을 패킷 처리 동작 DB(27)에 등록한다. 또한,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등으로부터의 패킷 처리 동작 제거 통지 등에 의해, 오픈플로우 스위치(10)에 설정된 패킷 처리 동작에 변경이 생겼을 경우에도, 대응하여 패킷 처리 동작 DB(27)의 내용을 변경한다.
패킷 처리 동작 DB(27)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기억한다.
또, 도 4, 도 6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 및 도 8에 나타낸 제어 장치(20)의 각 부(처리 수단)는, 이들의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12는 예시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은 도 12의 시퀀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 장치(20)의 네트워크 경로 DB(25)에는, 도 11에 나타낸 네트워크 경로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는 도 9에 나타낸 내용이며,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는 도 10에 나타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가 통신 단말(30)로부터,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접수한다(도 12의 스텝 S001). 또, 당해 TCP/IP 플로우의 플로우 ID를 ID13으로 한다.
당해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패킷을 수신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서는, 테이블로부터 수신 패킷에 따르는 매치 필드를 갖는 패킷 처리 동작을 검색하지만, 발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는,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수신 패킷을 포함시켜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도 12의 스텝 S002; Packet-In).
요구를 받은 제어 장치(20)는, 플로우 ID가 ID13인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계산하고, 오픈플로우 스위치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과 10-2) 사이의 논리 경로, 또한, 의사 회선2-2를 사용하는 것으로 계산되며, 해당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생성된다. 또, 제어 장치(20)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생성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에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도 12의 스텝 S003; FlowMod).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대하여, 스텝 S002에서 수신한 패킷을 되돌리고, 당해 패킷을 전송하도록 지시한다(도 12의 스텝 S004; Packet-Out).
상기의 지시 및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는 수신 패킷을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를 향하여 전송한다(도 12의 스텝 S005). 또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는, 설정된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ID13의 TCP/IP 플로우를 의사 회선2-2에 수용한다(도 12의 스텝 S005).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로부터 전송된 패킷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4)를 통해,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도달한다.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설정된 후에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는, 제어 장치(20)에 문의하지 않고, ID13의 TCP 플로우에 대응하는 패킷을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전송한다(도 12의 스텝 S006).
다음에, 제어 장치(20)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어 장치(2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또, 상술한 ID13의 TCP/IP 플로우에 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예로 들어,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설명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제어 메시지 처리부(23)에 의해,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을 지시받는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수신 패킷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 또는 10-3) 중 어느 하나에 패킷을 전송할 것인지 판단한다. 본 스텝에 있어서, ID9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그때의 판단은, 제어 장치(20)가 갖는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수신 패킷의 전송처가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상기의 수신 패킷은,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전송되어야 할 패킷으로 판단된 것으로 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를 실현 가능한 의사 회선의 후보를 열거한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도 9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와, 도 10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를, 네트워크 구성 DB(22)로부터 취득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에 형성되는 의사 회선1-1∼1-3과,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과 50-4) 사이에 형성되는 의사 회선2-1∼2-2의 5개의 의사 회선이 후보가 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열거된 의사 회선의 각각에 대해서, 통계 처리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계수한다. 혹은, 경로/액션 계산부(24)가 실시하는 통계 처리에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평균값의 산출, 이동 평균의 산출, 최대값이나 최소값의 산출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된 네트워크 경로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의사 회선 중에서, 후보가 되는 의사 회선을 추출하고, 그 개수를 계수한다. 도 14는 후보가 되는 의사 회선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정리한 도면이다.
스텝 S105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후보가 되는 의사 회선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의사 회선2-2가 해당한다. 본 스텝이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 ID13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 및 의사 회선이 확정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확정한 ID13의 TCP/IP 플로우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에 반영한다(네트워크 경로 DB(25)의 갱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ID13의 TCP/IP 플로우의 수용처는 이하와 같이 확정하고 있다.
·논리 경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에 수용한다.
·의사 회선; 의사 회선2-2에 수용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이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한다. 도 15는 도 11에 대하여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이다. 또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에 대하여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를 인도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인도된 네트워크 경로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네트워크 경로로서 의사 회선2-2를 사용하므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대하여,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 방향의 포트에 ID1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수신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에 대해서는, 의사 회선2-2를 사용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생성한 패킷 처리 동작을 패킷 처리 동작 DB(27)에 등록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제어 메시지 처리부(23)에 대하여, 생성한 패킷 처리 동작을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에 대하여, 설정하는 지시를 행한다. 이상이, 제어 장치(20)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관한 설명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제어 장치(20)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장치 및 그 접속 형태에 있어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또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 중 어느 하나에 한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오픈플로우 스위치(10)가, 1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신 패킷을 폐기하는 등을 제외하면, 당해 출력 포트에 패킷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설정된다. 이 경우, 통신 플로우마다 패킷의 할당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있어서 실현되게 된다. 혹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20)는, 복수의 오픈플로우 스위치(10)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20)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기기가, 복수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규정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결정할 때에, 오픈플로우 스위치(10)가 속하는 층(네트워크층; 제3 층)과는 다른 층(데이터 링크층; 제2 층)에 관한 정보인 의사 회선의 개수를 사용한다. 그 결과, TCP/IP 플로우가 수용되는 의사 회선에 편재가 생기지 않고, 통신 시스템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ID13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을 결정할 때에, 이미 의사 회선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의사 회선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있어서, 수신 패킷의 전송 포트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 방향의 포트가 아닌,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방향의 포트에 결정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ID13의 TCP/IP 플로우가 생기기 전에,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의 의사 회선에는 7개의 TCP/IP 플로우가 수용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과 50-4) 사이의 의사 회선에는 3개의 TCP/IP 플로우가 수용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ID13의 TCP/IP 플로우를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의 의사 회선에 수용하는 것은 불리하다. 즉, ID13의 TCP/IP 플로우를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3과 50-4) 사이의 의사 회선에 수용하는 것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부하의 분산 및 성능 향상(대역의 확보, 저지연 등)에 기여한다. 이상과 같이, 오픈플로우에 의한 제어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더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를 광 파이버 케이블로 연결하는 광 크로스 커넥트도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오픈플로우 스위치 사이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도 2 및 도 3에 상당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도 3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OXC(60-1)∼OXC(60-4))를 포함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와, 광 크로스 커넥트(60-1 및 60-3)는, 이더넷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는, 광 크로스 커넥트(60-2 및 60-4)와 접속되어 있다.
광 크로스 커넥트(60-1과 60-2) 사이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하여 접속한다. 광 크로스 커넥트(60-3과 60-4)의 접속도 같다.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 있어서,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를 연결하는 광학적 전송로(광 패스)를 형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의 통신은, 파장 분할 다중화 전송 방식(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이 사용되고, 복수의 파장을 사용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진다.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서, 광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사용하는 파장을 지정함으로써, 복수의 광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과 60-2) 사이에서, 2개의 광 패스를 형성하고 있다(2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고 있음). 마찬가지로, 광 크로스 커넥트(60-3과 60-4) 사이에서도, 2개의 광 패스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6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광 크로스 커넥트(60-1)와 광 크로스 커넥트(60-4) 사이나, 광 크로스 커넥트(60-3)와 광 크로스 커넥트(60-2) 사이의 접속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 광 패스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 형성하는 광 패스의 수를 2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예시로서, 광 패스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를 향하여 패킷을 전송할 때에는, 패킷을 광 크로스 커넥트(60-1)에 전송하거나, 광 크로스 커넥트(60-3)에 전송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는, 광 크로스 커넥트(60-2 또는 60-4)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는, 복수의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 형성하는 복수의 광 패스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제어 장치(20a)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에 대하여, 각 광 크로스 커넥트가 패킷을 수취했을 때의 처리를 규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0a)는, 각 광 크로스 커넥트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에 따라,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광 패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광 크로스 커넥트(60-1)에 있어서, 특정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광 패스1에 수용하고, 다른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광 패스2에 수용하는 것과 같은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광 패스의 결정(TCP/IP 플로우의 할당)은, 수신 패킷의 전송에 사용하는 파장을 지정함으로써 실현한다. 파장을 지정함으로써, 각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서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광 패스 중에서, 특정 광 패스를 지정할 수 있다.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는, 제어 장치(20a)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 처리를 행한다. 또, 수신 패킷의 매치 필드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처리를 제어 장치(20a)에 문의한다. 문의를 받은 제어 장치(20a)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패킷 처리 동작을 계산하고,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에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및 광 크로스 커넥트가 제어 장치(20a)의 제어 대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과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광 크로스 커넥트(60)(이하, 광 크로스 커넥트(60-1∼60-4)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60)"라고 표기함)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주된 내부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오픈플로우 스위치(10)의 주된 내부 구성에 따른다. 그 때문에,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내부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픈플로우 스위치(10)와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상이점은, 테이블 DB(13)에 등록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테이블 DB(13)에 등록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다르면, 액션 실행부(142)가 당해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실행하는 패킷 처리의 내용도 상이하다.
도 18은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테이블 DB(13)에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예이다. 도 18의 예에서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가 접수한 TCP/IP 플로우를 광 패스1 또는 광 패스2를 사용하여 패킷의 전송을 실현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A1이 설정되고, 수신처 IP 어드레스로서 A2가 설정된 TCP/IP 플로우를 접수했을 경우, 도 18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처리가 실행된다. 광 크로스 커넥트(60-1)가, 이러한 수신 패킷(송신원 IP 어드레스=A1, 수신처 IP 어드레스=A2)을 수신하면,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테이블 검색부(141)는, 도 18의 테이블의 위에서부터 1번째의 패킷 처리 동작을, 수신 패킷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으로서 찾아낸다. 그리고,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액션 실행부(142)는, 그 인스트럭션 필드에 나타낸 내용에 따라, 패킷 처리한다(광 패스1을 사용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액션 실행부(142)는, 광 패스1에 대응한 파장을 사용하여 수신 패킷을 전송한다. 광 크로스 커넥트(60-1)는, 패킷을 광 크로스 커넥트(60-2)를 향하여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광 크로스 커넥트(60-1)가, 송신원 IP 어드레스=D1, 수신처 IP 어드레스=D2의 패킷을 수신하면, 광 패스2를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또, 광 크로스 커넥트(60)는, 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장치(20a)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 또한, 실효 조건으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와 마찬가지로, "생존 시간"이 설정된다. 또, 여기에서는, 패킷의 송신원 IP 어드레스와 수신처 IP 어드레스를 판정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임의의 판정 조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 포트 번호를 판정 조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광 크로스 커넥트(60)에서는, 제어 장치(20a)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수신한 패킷을 전송할 때의 의사 회선을 선택한다. 환언하면, 광 크로스 커넥트(60)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마다, 당해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광 패스를, 제어 장치(20a)가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20a)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20)와 제어 장치(20a)는, 이하의 2점이 상이하다. 첫째, 제어 장치(20a)는 광 크로스 커넥트를 제어 가능(그와 통신 가능)하다. 둘째,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이 상이하다. 즉, 제어 장치(20)와 제어 장치(20a)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 장치(20a)에 대해서 도 8에 상당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어 장치(20a)는, 광 크로스 커넥트(60)도 제어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노드 통신부(28)를 통해,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프로퍼티를 취득한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등에 더해, 광 크로스 커넥트(60)의 프로퍼티를 집약하여,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관리한다.
제어 장치(20a)로부터 프로퍼티의 송신 요구를 받은 광 크로스 커넥트(60)는, 자기의 프로퍼티 또는 프로퍼티들을 제어 장치(20a)에 응답한다. 도 19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 및 60-3)에 관한 프로퍼티를 집약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서 광 크로스 커넥트(60-1)의 포트는, 광 크로스 커넥트(60-2)와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 크로스 커넥트(60-3)의 포트는, 광 크로스 커넥트(60-4)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광 크로스 커넥트(60-1)와 광 크로스 커넥트(60-2) 사이에서 형성 가능한 광 패스는, 광 패스1-1∼1-3의 3경로이다. 또한, 광 크로스 커넥트(60-3)와 광 크로스 커넥트(60-4) 사이에서 형성 가능한 광 패스는, 광 패스2-1∼2-2의 2경로이다. 또, 도 19에 나타낸 광 크로스 커넥트 사이에 형성 가능한 광 패스의 개수는 예시이며, 도 19에 나타낸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21)는, 이러한 정보를 집약하여,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한다.
제어 장치(20a)는, 광 크로스 커넥트(60)도 제어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다. 도 20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플로우 ID가 ID21∼ID30인 TCP/IP 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의 논리 경로로 전송된다. 한편, 플로우 ID가 ID31 및 ID32의 TCP/IP 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3)의 논리 경로로 전송된다. 또한, ID21∼ID23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1에 수용된다. ID24 및 ID25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2에 수용된다. ID26 및 ID27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1-3에 수용된다. ID28 및 ID29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2-1에 수용된다. ID30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2-2에 수용된다. 또한, ID21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1-1에 수용된다. ID22 및 ID30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1-2에 수용된다. ID23 및 ID29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1-3에 수용된다. ID24 및 ID28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2-1에 수용된다. ID25∼ID27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2-2에 수용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된 네트워크 구성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된 네트워크 경로에 의거하여,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 의사 회선 및 광 패스를 계산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a)는,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이, 제어 장치(20)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액션 계산부(24)에 있어서의 TCP/IP 플로우마다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이 다르다. 그래서, 제어 장치(20a)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제어 장치(20a)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동작예와 상이한 것은, 스텝 S203∼S207에 있어서의 동작이다. 따라서, 다른 스텝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미지의 TCP/IP 플로우의 ID를 ID33으로 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를 실현 가능한 광 패스의 후보를 열거한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와, 광 크로스 커넥트(60-1 및 60-3)에 관한 프로퍼티를 네트워크 구성 DB(22)로부터 취득한다. 도 9, 도 10 및 도 19를 참조하면, 광 크로스 커넥트(60-1과 60-2) 사이에 형성되는 광 패스1-1∼1-3과, 광 크로스 커넥트(60-3과 60-4) 사이에 형성되는 광 패스2-1∼2-2의 5개의 광 패스가 후보가 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열거된 광 패스의 각각에 대해서, 통계 처리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광 패스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계수한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된 네트워크 경로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광 패스 중에서, 후보가 되는 광 패스를 추출하고, 그 개수를 계수한다. 도 22는 후보가 되는 광 패스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정리한 도면이다.
스텝 S205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후보가 되는 광 패스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광 패스를 결정한다. 도 22의 예에서는, 광 패스1-1이 해당한다. 본 스텝이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 ID33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 의사 회선 및 광 패스가 확정된다. 최종적으로 ID33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해야 할 광 패스는, 광 패스1-1로 확정된다. 광 패스가 확정되면, 사용할 의사 회선이 확정되고,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있어서의 수신 패킷의 전송처도 또한 확정하기 위함이다.
스텝 S206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확정한 ID33의 TCP/IP 플로우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에 반영한다(네트워크 경로 DB(25)의 갱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ID33의 TCP/IP 플로우의 수용처는 이하와 같이 확정하고 있다.
·논리 경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에 수용한다.
·의사 회선; 의사 회선1-1에 수용한다.
·광 패스; 광 패스1-1에 수용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이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한다. 도 23은 도 20에 대하여 ID3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이다. 또한, 경로/액션 계산부(24)에 의해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에 대하여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가 인도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인도된 네트워크 경로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광 크로스 커넥트(60-1)에 설정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경로로서 의사 회선1-1을 사용하므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대하여,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방향의 포트에 ID33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수신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에 대하여, 의사 회선1-1을 사용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광 크로스 커넥트(60-1)에 대하여, 광 패스1-1을 사용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이상이, 제어 장치(20a)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관한 설명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광 크로스 커넥트(60)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므로, ID33의 TCP/IP 플로우는, 의사 회선2-2에 수용된다. 그러나, 의사 회선2-2가 사용하는 광 패스1-2에는, 이미 2개의 TCP/IP 플로우(ID22 및 ID30)가 수용되어 있다. 한편, 광 패스1-1은, 1개의 TCP/IP 플로우(ID21)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광 패스1-2에 수용하는 것보다도, 광 패스1-1에 수용하는 것이, 보다 통신 시스템의 부하의 분산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또, 의사 회선이 이용하는 광 패스를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로서 광 크로스 커넥트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사용하는 장치가 광 크로스 커넥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라우터 등의 장치에 의해 광 패스를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할 때에, 광 크로스 커넥트(60)가 속하는 층(물리층; 제1 층)에 관한 정보인 광 패스의 개수를 사용한다. 그 결과, TCP/IP 플로우가 수용되는 광 패스에 편재가 생기지 않고, 가일층, 통신 시스템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1쌍의 광 크로스 커넥트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복수의 광 크로스 커넥트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오픈플로우 스위치 사이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도 2 및 도 3에 상당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2) 사이의 접속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24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b)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는, 제어 장치(20b)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 처리를 행한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에는, 3개의 의사 회선이 형성 가능하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과 50-2) 사이에 형성되는 의사 회선은 의사 회선1∼3이다. 각각의 의사 회선은, 복수의 광 크로스 커넥트를 경유한다. 도 24의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 사이에는, 광 패스1∼광 패스8이 형성된다. 도 25는 3개의 의사 회선과,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의사 회선1에는, 광 패스1, 광 패스4 및 광 패스7이 포함된다.
의사 회선1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은, 광 크로스 커넥트(70-1, 70-2, 70-5 및 70-7)를 경유하여,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에 도달한다. 또, 도 24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 2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를 향하여 패킷을 전송할 때에는, 의사 회선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 장치(20b)는,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에 대하여, 각 광 크로스 커넥트가 패킷을 수취했을 때의 처리를 규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0b)는, 각 광 크로스 커넥트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에 따라,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광 패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광 크로스 커넥트(70-1)에 있어서, 특정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광 패스1에 수용되고, 다른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광 패스2에 수용되고, 또 다른 TCP/IP 플로우에 대해서는 광 패스3에 수용된다는 패킷 처리 동작을 설정한다.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는, 제어 장치(20b)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 처리를 행한다. 또, 수신 패킷의 매치 필드에 매칭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처리를 제어 장치(20b)에 문의한다. 문의를 받은 제어 장치(20b)는, 당해 수신 패킷에 대한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고,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에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및 광 크로스 커넥트가 제어 장치(20b)의 제어 대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오픈플로우 스위치 및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과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광 크로스 커넥트(70)(이하,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70)"라고 표기함)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도, 광 크로스 커넥트(60)와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광 크로스 커넥트(70)는, 광 패스를 선택할 때에, 광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파장을 전환하는 것은 아니고, 접속 포트를 전환함으로써, 광 패스의 선택을 행한다. 예를 들면, 광 크로스 커넥트(70-1)에서는, 광 패스1을 사용할 때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70-2)를 향한 포트에 패킷을 전송한다. 따라서, 광 크로스 커넥트(70)의 액션 실행부(142)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패킷을 전송하는 접속 포트를 전환한다. 또, 광 크로스 커넥트(70)는, 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 동작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장치(20b)에 대하여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을 요구한다.
광 크로스 커넥트(70)에서는, 제어 장치(20b)가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수신한 패킷을 전송할 때의 광 패스를 선택한다. 환언하면, 광 크로스 커넥트(70)가 수취하는 TCP/IP 플로우마다, 당해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광 패스를, 제어 장치(20b)가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20b)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20a)와 제어 장치(20b)는,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이 상이하다. 즉, 제어 장치(20a)와 제어 장치(20b)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 장치(20b)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 장치(20b)는, 광 크로스 커넥트(70)를 제어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경로 DB(25)에서는, 광 크로스 커넥트(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기억한다.
도 26은 네트워크 경로 DB(25)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26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플로우 ID가 ID41∼ID43인 TCP/IP 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의 논리 경로로 전송된다. 또한, ID41∼ID42의 TCP/IP 플로우는, 각각, 의사 회선1∼3에 수용된다. 또한, ID41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1, 광 패스4 및 광 패스7에 수용된다. ID42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2, 광 패스5 및 광 패스7에 수용된다. ID43의 TCP/IP 플로우는, 광 패스3, 광 패스6 및 광 패스8에 수용된다.
제어 장치(20b)의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구성 DB(22)에 등록된 네트워크 구성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된 네트워크 경로에 의거하여,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논리 경로, 의사 회선 및 광 패스를 계산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b)에서는,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이, 제어 장치(20a)와는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액션 계산부(24)에 있어서의 TCP/IP 플로우마다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이 다르다. 그래서, 제어 장치(20b)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제어 장치(20b)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낸 동작예와 상이한 것은, 스텝 S303∼S307에 있어서의 동작이다. 따라서, 다른 스텝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미지의 TCP/IP 플로우의 ID는 ID44이다.
스텝 S303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를 실현 가능한 의사 회선의 후보를 열거한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관한 프로퍼티와,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50-3)에 관한 프로퍼티와, 광 크로스 커넥트(70-1∼70-7)에 관한 프로퍼티를 네트워크 구성 DB(22)로부터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를 실현 가능한 의사 회선의 후보로서, 의사 회선1∼3이 열거된 것으로 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열거된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에 의거하여, 통계 처리를 실시한다. 그때,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된 네트워크 경로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패스가 수용하고 있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을 산출한다.
도 26의 예에서는, 의사 회선1에 대해서는, 광 패스1, 광 패스4 및 광 패스7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광 패스에 포함되는 TCP/IP 플로우를 계수하면, 광 패스1은 1개의 TCP/IP 플로우, 광 패스4는 1개의 TCP/IP 플로우, 광 패스7은 2개의 TCP/IP 플로우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의사 회선1이 사용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은 2가 된다. 마찬가지로, 의사 회선2 및 3에 대해서도 계산한다. 그 결과, 의사 회선2가 사용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은 2가 된다. 의사 회선3이 사용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은 1이 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패스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총 수를,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의 수로 나눈 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값은,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 1개당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평균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6의 예에서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대해서,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면, 의사 회선1은 1.3(4/3), 의사 회선2는 1.3, 의사 회선3은 1이 된다. 도 28은 의사 회선마다 산출한 최대값과 평균값을 정리한 도면이다.
스텝 S305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산출한 최대값이 최소인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도 28의 예에서는, 의사 회선3의 최대값은 1이므로, 의사 회선3이 선택된다. 본 스텝이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 ID44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이 확정한다. 최종적으로 ID44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해야 할 의사 회선은, 의사 회선3으로 확정된다. 의사 회선이 확정되면, 사용하는 광 패스가 확정된다. 의사 회선의 확정에 따라, 오픈플로우 스위치의 전송처도 확정하기 위함이다.
스텝 S306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확정한 ID44의 TCP/IP 플로우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기억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에 반영한다(네트워크 경로 DB(25)의 갱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ID44의 TCP/IP 플로우의 수용처는 이하와 같이 확정하고 있다.
·논리 경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로부터 10-2)에 이르는 논리 경로에 수용한다.
·의사 회선; 의사 회선3에 수용한다.
·광 패스; 광 패스3, 광 패스6 및 광 패스8에 수용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이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 DB(25)에 등록한다.
도 29는 도 26에 대하여 ID44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반영한 도면이다. 또한, 경로/액션 계산부(24)에 의해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에 대하여 확정한 네트워크 경로가 인도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인도된 네트워크 경로로부터, 오픈플로우 스위치(10-1),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및 광 크로스 커넥트(70-1)에 설정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네트워크 경로로서 의사 회선3을 사용하므로, 오픈플로우 스위치(10-1)에 대하여,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 방향의 포트에 ID44의 TCP/IP 플로우에 대응하는 수신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에 대하여, 의사 회선3을 사용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26)는, 광 크로스 커넥트(70-1)에 대하여, ID44의 TCP/IP 플로우를 광 크로스 커넥트(70-4) 방향의 포트에 전송하는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한다. 이상이, 제어 장치(20b)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및 패킷 처리 동작의 설정에 관한 설명이다.
도 27에 있어서의 스텝 S305에 있어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산출한 최대값이 최소인 의사 회선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경로의 상황에 따라서는, 각각의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이 일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광 파이버 케이블당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수(상술한 평균값)를 고려하여,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경로가 도 29의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 미지의 TCP/IP 플로우(ID45라고 함)를 어느 하나의 의사 회선에 수용할 것인지 검토한다. 도 29의 네트워크 경로에 대하여,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광 패스의 최대값과 평균값을 산출하면, 도 30이 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의사 회선에 대한 최대값은 2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최대값으로부터는, ID45의 TCP/IP 플로우를 어느 하나의 의사 회선에 수용할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산출한 평균값을 사용하여, ID45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출한 평균값이 가장 작은 의사 회선을 선택한다. 도 30의 예에서는, 의사 회선1 또는 2의 평균값이, 의사 회선3보다 작기 때문에, 의사 회선1 또는 2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최대값뿐만 아니라, 광 파이버 케이블 1개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평균값에 의거하여,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해야 할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네트워크 경로에 있어서, 의사 회선1 또는 2에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한다고 결정하게 되면, 광 패스7에, 3개의 TCP/IP 플로우가 수용된다. 이 상태는, 통신 시스템 전체로부터 보면 불균형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미 2개의 TCP/IP 플로우가 수용되어 있는 광 패스7은 가능한 사용하지 않고, 다른 광 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통신 시스템 전체의 부하 분산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사이에 복수의 광 크로스 커넥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수에 대하여 통계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TCP/IP 플로우가 수용되는 광 패스에 편재가 생기지 않고, 가일층, 통신 시스템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b)에서는, 각각의 의사 회선에 포함되는 광 패스가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의 수에 대하여 통계 처리를 행하고, TCP/IP 플로우의 수용처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20c)에서는, 각각의 광 패스가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의 대역(스루 풋; 즉, 단위 시간당에 광 파이버 케이블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량)에 의거하여,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어 장치(20c), 오픈플로우 스위치(10),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 및 광 크로스 커넥트(7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도 상이한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장치(20c)와 제어 장치(20b)의 상이점은, 경로/액션 계산부(24)에 있어서의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이다. 그래서, 제어 장치(20c)에 있어서의 미지의 플로우에 대한 네트워크 경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 장치(20c)의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각각의 광 패스가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에 대해서 대역을 추정하고, 추정한 대역이 가장 작은 광 파이버 케이블을 포함하는 의사 회선을,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하는 의사 회선에 설정한다. 또, 경로/액션 계산부(24)는, 이하의 식(1)을 사용하여, 광 파이버 케이블마다 대역을 추정한다.
Figure 112015034249901-pct00001
또, W는 리시브 윈도우, R은 라운드트립 딜레이 타임, P는 패킷 로스율, C는 상수(constant), X는 각 광 파이버 케이블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수, ω은 각 광 파이버 케이블의 링크 대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라운드트립 딜레이 타임R, 패킷 로스율P에는, 도 24에 나타낸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1)로부터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50-2) 사이에서 MPLS-TP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의 지연 계측 기능(Delay Measurement) 및 로스 계측 기능(Loss Measurement)을 사용하여, 각각의 의사 회선마다 취득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광 패스와, 각각의 광 패스가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대응시켜, 각 광 파이버 케이블의 대역을 추정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광 패스와 광 파이버 케이블의 대응이란, 예를 들면, 광 패스1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광 파이버 케이블1이라고 한다.
도 31은 도 24에 나타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에 대해서, 상술한 각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에 있어서의 광 파이버 케이블의 명칭은, 도 24의 광 패스의 명칭과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광 패스1을 실현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 광 파이버 케이블1이다. 또, 도 31 및 도 32에서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단지 케이블로 표기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광 패스7에는 2개의 의사 회선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광 패스7에 대응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7에 관한 TCP/IP 플로우의 수X는 2가 된다. 다른 광 파이버 케이블에 관한 TCP/IP 플로우의 수X는 1이다. 또한, 각 광 파이버 케이블이 수용하는 TCP/IP 플로우에 관한 리시브 윈도우W, 라운드트립 딜레이 타임R 및 패킷 로스율P는 같은 것으로 한다. 각각의 수치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광 파이버 케이블3, 6 및 8의 링크 대역은, 다른 광 파이버 케이블보다 작다(다른 광 파이버 케이블의 링크 대역의 1/10이라고 함). 도 31에 나타낸 각 파라미터의 값은 예시이며, 이들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장치(20c)의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광 파이버 케이블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각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마다 대역에 대해서 추정값을 계산한다.
도 32는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마다 대역 추정값을 정리한 도면이다. 대역 추정값을 계산한 후, 경로/액션 계산부(24)는, 각각의 의사 회선마다, 각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의 대역 추정값을 합계한다. 그러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사 회선1의 대역 추정값의 합계값은 0.4, 의사 회선2의 대역 추정값의 합계값도 0.4, 의사 회선3의 대역 추정값의 합계값은 3이 된다. 경로/액션 계산부(24)는, 대역 추정값의 합계값이 가장 작은 의사 회선1 또는 2를,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해야 할 의사 회선으로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의사 회선이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에 대해서, 그 대역을 추정하고, 대역 추정값의 합계가 가장 작은 의사 회선을 미지의 TCP/IP 플로우를 수용해야 할 의사 회선에 결정한다. 그 결과, TCP/IP 플로우가 수용되는 광 패스에 편재가 생기지 않고, 가일층, 통신 시스템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형태와 같이 기재될 수 있지만,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태1]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같다.
[형태2]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2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형태1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3]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2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4]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3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5]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의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형태4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6]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3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3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형태2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7]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6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8]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의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형태7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9]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8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10]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7에 따른 통신 시스템.
[형태11]
상기 제2 양태에 따른 제어 장치와 같다.
[형태12]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1 패킷 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형태11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3]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12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4]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13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5]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형태14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6]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형태12 내지 15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7]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16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8]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형태17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19]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18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20]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형태17에 따른 제어 장치.
[형태21]
상기 제3 양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과 같다.
[형태22]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1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3]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2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4]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3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5]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4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6]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2 내지 25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7]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8]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7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29]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8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30]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형태27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형태31]
상기 제4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과 같다.
[형태32]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형태31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3]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2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4]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3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5]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및/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4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6]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 있어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2 내지 35의 어느 하나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7]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6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8]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7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39]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8에 따른 프로그램.
[형태40]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형태37에 따른 프로그램.
또, 인용한 상기의 특허문헌의 다양한 개시는, 본서에 인용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든 개시(특허청구범위를 포함)의 범위 내에 있어서, 또한 그 기본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의 변경 및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틀 내에 있어서 다양한 개시 요소(각 청구항의 각 요소, 각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의 각 요소, 각 도면의 각 요소 등을 포함)의 다양한 조합 및 선택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및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당업자라면 할 수 있는 각종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본서에 기재한 수치 범위에 대해서는, 당해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 내지 소범위가, 별단의 기재가 없는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본원 개시에 있어서, 단수로서 표시된 요소는, 필요에 따라, 복수도 대표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점은 일본어의 특성에 의거하는 것이다.
10, 10-1∼10-3 오픈플로우 스위치
11 통신부
12 테이블 관리부
13 테이블 데이터베이스(테이블 DB)
14 전송 처리부
20, 20a∼20c, 100 제어 장치
21 네트워크 구성 관리부
22 네트워크 구성 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 구성 DB)
23 제어 메시지 처리부
24 경로/액션 계산부
25 네트워크 경로 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 경로 DB)
26 패킷 처리 동작 관리부
27 패킷 처리 동작 데이터베이스(패킷 처리 동작 DB)
28 노드 통신부
30 통신 단말
40-1, 40-2 서버
50, 50-1∼50-4 패킷 트랜스포트 노드
60, 60-1∼60-4, 70, 70-1∼70-7 광 크로스 커넥트
101 제1 통신 기기
141 테이블 검색부
142 액션 실행부

Claims (22)

  1. 통신 시스템으로서,
    계층화된 네트워크(hierarchical network)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1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1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2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함과 함께, 통신 플로우에 관한 처리를 제3 패킷 처리 동작에 의거하여 행하는 제3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고,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의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고,
    상기 제어 장치는, 하기의 식(1)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마다의 대역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통신 시스템.
    Figure 112017006239530-pct00034

    (상기 식(1)에서, W는 리시브 윈도우, R은 라운드트립 딜레이 타임, P는 패킷 로스율, C는 상수(constant), X는 각 광 파이버 케이블에 수용되어 있는 TCP/IP 플로우의 수, ω는 각 광 파이버 케이블의 링크 대역을 나타낸다.)
  11. 계층화된 네트워크의 제1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1 패킷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정하고,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고,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의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제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1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또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를 계수하고, 수용하는 통신 플로우의 수가 최소인 상기 제2 경로를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로서 정함과 함께,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와, 상기 제2 경로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송 매체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송 매체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제어 장치.
  20. 삭제
  21.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1 패킷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정하는 스텝과,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제1 패킷 처리 동작을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의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2. 계층화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1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1 패킷처리 동작, 또는 상기 제1 층과는 다른 제2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2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2 패킷 처리 동작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2 층의 링크를 실현하는 제1 경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경로에 수용되어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정하는 처리와,
    상기 정해진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에 따른 제1 패킷 처리 동작을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설정하는 처리와,
    상기 제1 패킷 처리 동작, 상기 제2 패킷 처리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과는 다른 제3 층에서의 링크를 형성하는 제3 통신 기기에 설정되는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상기 제3 층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하는 처리와,
    상기 제3 층을 실현하는 복수의 제2 경로의 각각이 수용하고 있는 통신 플로우의 수에 대해서 통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와,
    상기 복수의 제2 경로가 사용하는 전송 매체마다의 대역의 추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패킷 처리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규정되는 통신 플로우의 수용처를 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57009023A 2012-10-03 2013-10-02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34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1482 2012-10-03
JP2012221482 2012-10-03
PCT/JP2013/076823 WO2014054691A1 (ja) 2012-10-03 2013-10-02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927A KR20150054927A (ko) 2015-05-20
KR101734100B1 true KR101734100B1 (ko) 2017-05-11

Family

ID=5043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023A KR101734100B1 (ko) 2012-10-03 2013-10-02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6437B2 (ko)
EP (1) EP2905929B1 (ko)
JP (1) JP6492660B2 (ko)
KR (1) KR101734100B1 (ko)
SG (1) SG11201502579XA (ko)
WO (1) WO2014054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27245T3 (es) * 2014-10-07 2021-05-20 Sedonasys Systems Ltd Sistemas y métodos para gestionar redes de comunicación multicapa
JP2016082344A (ja) * 2014-10-15 2016-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67635B1 (en) 2015-03-06 2020-10-21 Nec Corporation Network control device, network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US10313232B2 (en) 2015-03-06 2019-06-04 Nec Corporation Network control device, network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CN106301541B (zh) * 2015-06-05 2019-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置业务保护的方法、控制器和光网络设备
US10505859B2 (en) * 2016-11-10 2019-12-10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acket deadlines in a queue to control the age of information
CN109302504B (zh) * 2017-07-25 2020-08-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Ptn中控制信令通道的建立方法、ptn网元及存储介质
US20210319690A1 (en) * 2018-08-24 2021-10-1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data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7628A1 (en) * 2010-03-17 2011-12-15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node, control serv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2049674A (ja) * 2010-08-25 2012-03-08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138A (ja) * 2000-07-25 2002-02-08 Nec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キャッシュサーバ,中継サーバ,ルータ,キャッシュサーバ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ATE364276T1 (de) 2002-05-17 2007-06-15 Ericsson Telefon Ab L M Dynamische wegeleitung in einem paketvermittelden mehrschichtigen kommunikationsnetzwerk
JP3895360B2 (ja) 2003-02-03 2007-03-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ネットワーク、光エッジルータ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159942A (ja) * 2003-11-28 200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レイヤパス設定方法及び複数レイヤパス設定プログラム
JP2005223522A (ja) * 2004-02-04 2005-08-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経路計算方法、経路計算制御装置および経路計算プログラム。
JP4599101B2 (ja) * 2004-07-09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通信部、伝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903557B1 (en) * 2005-09-21 2011-03-08 Qlogic, Corporation Multipathing using multiple endpoint addresses for load balancing in a network
CN100454841C (zh) 2006-06-02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域路由计算方法和系统
US8442030B2 (en) * 2007-03-01 2013-05-14 Extreme Networks, Inc. Software control plane for switches and routers
KR101343596B1 (ko) 2008-12-19 2013-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계층 자원 전송망 경로 계산에 필요한 자원 관리 및 재귀적 경로 계산 방법 및 장치
JP4792520B2 (ja) * 2008-12-22 2011-10-12 韓國電子通信研究院 多階層転送網のfa−lspに対する階層間teリンク資源管理方法
CN102349268B (zh) 2009-03-09 2015-11-25 日本电气株式会社 OpenFlow通信系统和OpenFlow通信方法
WO2011065268A1 (ja) * 2009-11-26 2011-06-03 日本電気株式会社 負荷分散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93965B2 (ja) * 2010-02-15 2014-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帯域制御システム、帯域制御装置、帯域制御方法および帯域制御プログラム
CN102783098B (zh) * 2010-03-05 2016-01-20 日本电气株式会社 通信系统、路径控制设备、分组转发设备以及路径控制方法
WO2011144495A1 (en) * 2010-05-19 2011-1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n openflow network
US9154433B2 (en) * 2011-10-25 2015-10-06 Nicira, Inc. Physical cont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7628A1 (en) * 2010-03-17 2011-12-15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node, control serv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2049674A (ja) * 2010-08-25 2012-03-08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2660B2 (ja) 2019-04-03
EP2905929A4 (en) 2016-06-01
SG11201502579XA (en) 2015-05-28
EP2905929A1 (en) 2015-08-12
US9906437B2 (en) 2018-02-27
EP2905929B1 (en) 2020-02-19
JPWO2014054691A1 (ja) 2016-08-25
KR20150054927A (ko) 2015-05-20
US20150263939A1 (en) 2015-09-17
WO2014054691A1 (ja)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100B1 (ko)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3678326B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036056B1 (ko) 중앙 제어기들에 의한 네트워크들에서의 지연-기반 트래픽 레이트 제어
EP2637363B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transfer path, and program
EP2652922B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7525919B2 (en) Packet communication method with increased traffic engineering efficiency
KR101810340B1 (ko) 정보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JP5585660B2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処理規則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54281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6323547B2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11611B2 (ja)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情報の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530767A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12856B1 (ko) 스위치 장치, vlan 설정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N107508730B (zh) 一种基于sdn网络的数据中心互联方法及装置
WO2014157241A1 (ja)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情報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e et al. An Efficient QoS Guaranteeing Scheme Considering Multiple Paths on OpenFlow
Rzasa et al. On stability of virtual topologies in dynamic multilaye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