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774B1 -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774B1
KR101733774B1 KR1020160074712A KR20160074712A KR101733774B1 KR 101733774 B1 KR101733774 B1 KR 101733774B1 KR 1020160074712 A KR1020160074712 A KR 1020160074712A KR 20160074712 A KR20160074712 A KR 20160074712A KR 101733774 B1 KR101733774 B1 KR 10173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sub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무
이규영
진영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케이엔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7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링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연결부, 유압연결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유압연결부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회전부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제1 구동부와 함께 회전하여 주 어태치먼트 방향인 사용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에 연결되는 부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는 주 어태치먼트와 별도로 구비되는 멀티 어태치먼트가 구비되며, 멀티 어태치먼트에는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가 구비되며, 유압이 상시 연결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시 유압라인의 체결 및 분리의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재난상황에서 인명구조시 어태치먼트의 교체시간 소요없이 바로 부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빠른 시간에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THE ATTACHMENT OF HYDRAULIC MACHINE FOR DISASTER RECOVERY}
본 발명은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기계의 암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는 공사 현장의 건축물 기초 공사등을 위하여 굴삭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굴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붐의 선단부에 클램프를 매개로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버킷, 드릴, 커터, 집게 등이 있으며, 이중 재난 구조시 잔해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집게, 커터, 드릴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한편, 일반 공사현장과 달리 재난 구조시에는 복구시 인명구조를 위해 신속한 잔해제거가 필요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어태치먼트의 교체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기존의 어태치먼트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2003호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는 어태치먼트의 교체시 하나의 어태치먼트만 사용이 가능하며, 클램프이 교환 및 유압라인의 교체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구조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2003호(2013년 12월 27일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의 교체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주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링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연결부, 유압연결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유압연결부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회전부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제1 구동부와 함께 회전하여 주 어태치먼트 방향인 사용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에 연결되는 부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가 제공된다.
이때, 결합부 및 부 어태치먼트는 복수로 구성되며,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는 유압연결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유압공급부는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 중 사용방향에 배치되는 부 어태치먼트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 어태치먼트는 결합부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부를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부는, 사용방향의 부 어태치먼트가 주 어태치먼트보다 더 연장되어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동부의 구동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부는 구동시에도 유압연결부에 유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리니어 유니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압연결부는 주 어태치먼트가 연결된 링크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 어태치먼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부 어태치먼트가 사용방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는 주 어태치먼트와 별도로 구비되는 멀티 어태치먼트가 구비되며, 멀티 어태치먼트에는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가 구비되며, 유압이 상시 연결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시 유압라인의 체결 및 분리의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재난상황에서 인명구조시 어태치먼트의 교체시간 소요없이 바로 부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빠른 시간에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멀티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암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멀티 어태치먼트가 도시된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멀티 어태치먼트의 내부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멀티 어태치먼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멀티 어태치먼트(100)가 구비된 암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는 붐에 연결되어 주 어태치먼트(10)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멀티 어태치먼트(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압기계의 암은 복수의 링크(20)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암은 끝단에서 다른 링크(20)와 연결되며, 연결되는 조인트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어태치먼트(10)는 붐의 선단에 구비되며, 유압을 전달받아 작업이 수행되도록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 어태치먼트(10)는 집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난 구동시 잔해물을 절단하거나 집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주 어태치먼트(10)는 다양한 각도에서 잔해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절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2 자유도 이상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집게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목적에 따라 버킷, 커터, 드릴, 해머 등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적용될 수 있다.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주 어태치먼트(10)와 병렬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주 어태치먼트(10)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병렬적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붐의 끝단 링크(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 어태치먼트(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부 어태치먼트(110)는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 어태치먼트(10)가 사용될 때, 부 어태치먼트(11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주 어태치먼트(10)의 구동 범위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의 측면에 구비되며, 주 어태치먼트(10)가 외측으로 최대 각도로 구동하더라도 직접 접촉되어 작업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주 어태치먼트(10)보다 사용빈도가 낮은 기능을 갖는 부 어태치먼트(110)가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주 어태치먼트(10)를 이용하여 작업시 시야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의 외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내측 또는 양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어태치먼트(1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멀티 어태치먼트(100)가 도시된 부분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어태치먼트(100)는 부 어태치먼트(110), 결합부(140), 제1 구동부(130), 유압연결부(120), 제2 구동부(150), 리니어 유니언(151), 고정부(160), 내부유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 어태치먼트(110)는 유압을 전달받고 최종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제1 부 어태치먼트(110)는 유압해머, 제2 부 어태치먼트(110)는 커너로 구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는 유압연결부(120)를 통하여 유압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유압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는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마주보는 방향에 180도를 바라보며 구비될 수 있다. 붐에 구비되는 경우 붐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붐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부 어태치먼트(110)의 내부 유압구동 메커니즘, 사용 목적 및 기능 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합부(140)는 후술할 제1 구동부(130)와 연결되며, 부 어태치먼트(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결합부(140)는 복수로 구성되어 제1 구동부(130)의 둘레에 소정각도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부(140)가 구비된 경우 2개의 부 어태치먼트(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40)는 부 어태치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끝단에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부 어태치먼트(11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나머지 미사용 결합부(140)는 블라인드 플레이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140)의 중심부근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내부유로(200)가 구비되어 부 어태치먼트(110)가 결합시 별도의 유압라인의 체결 없이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유로(200)는 부 어태치먼트(110)의 유압포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두 개의 결합부(140)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는 유압을 공급받고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가 구비된 경우, 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는 부 어태치먼트(110)의 수에 따라 소정각도의 스텝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부 어태치먼트(110)가 구비된 경우, 붐의 끝단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선택한 부 어태치먼트(110)를 붐의 끝단에 위치시키기 위해 180도로 회전구동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는 내부유로(200)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는 로터리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부의 내부 베인의 개수 또는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가 로터리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제1 부 어태치먼트(110) 선택시는 제1 회전방향, 제2 부 어태치먼트(110)의 선택시는 제1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스텝 모터 등과 같이 모터로 구동되거나, 리니어-로터리 조합으로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압연결부(120)는 후술할 제2 구동부(150)와 연결되며, 유압을 제1 구동부(130) 및 결합부(140)를 통하여 부 어태치먼트(1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압연결부(120)는 제1 구동부(130)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성되며, 제1 구동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원형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압연결부(120)는 부 어태치먼트(110)의 사용시 부 어태치먼트(110)를 지지하며 외력에 저항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 및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압 해머의 경우 순간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구동부(150)와의 연결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50)는 멀티 어태치먼트(100)가 연결된 링크(20)와 상대적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연결부(120)와 고정되어 연결되며, 유압연결부(120)에는 제1 구동부(130)가 연결되어 있어, 제2 구동부(150)의 구동시 최종적으로 부 어태치먼트(110)가 직선운동하게 된다. 그 예로서, 첫째로, 작업수행시 경우에 따라 주 어태치먼트(10)만 사용할 때가 있으며, 이때에는 부 어태치먼트(11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제2 구동부(150)가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둘째로, 부 어태치먼트(110)를 사용하는 경우 주 어태치먼트(10)가 간섭하여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부 어태치먼트(110)가 작업에 필요한 소정거리만큼 주 어태치먼트(10)보다 돌출되는 거리까지 이동될 수 있다. 셋째로, 주 어태치먼트(10)와 부 어태치먼트(110)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예를들어 집게로 구조물을 잡고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첫 번째와 두 번째 위치의 중간 위치로 구동하여 동시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50)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리니어 유니언(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니어 유니언(151)은 피스톤(15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드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152)은 전후방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에 각각 유압이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152)을 관통하는 유로가 구비되어 유압연결부(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 어태치먼트(110)의 작동전 위치의 조정시 길이방향 위치를 조정한 뒤 후술할 고정부(160)로 부 어태치먼트(110)를 고정하고 유압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2 구동부(150)가 유압을 이용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전기식 액추에이터,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내부에 유압연결부(120)에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60)는 부 어태치먼트(110)를 사용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 어태치먼트(110)의 사용시 대부분의 외력은 링크(20)의 길이방향으로 적용되게 된다. 이때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고 사용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160)가 부 어태치먼트(110)에 체결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60)의 형상에 대응하여 부 어태치먼트(110) 각각에는 복수의 보스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세가지 사용 상태에 따라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내부유로(200)는 제2 고정부(160), 유압연결부(120), 제1 고정부(160) 및 결합부(140)를 통하여 부 어태치먼트(110)부에 유압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멀티 어태치먼트(100)의 내부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유로(200)는 제1 내부유로(210), 제2 내부유로(220) 및 결합부 유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부유로(210)는 유압연결부(120)의 회전 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결된 후 유압연결부(1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내부유로(210)는 유압이 공급되는 공급유로(P)와 유압이 회수되는 회수유로(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 유로(230)는 제1 구동부(130)와 유압연결부(120)의 접촉면으로부터 부 어태치먼트(110)의 결합면까지 유로가 형성되며, 공급유로(P) 및 회수유로(T)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결합부 유로(230)에는 각각 두 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내부유로(210)가 사용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방향 측에 위치한 부 어태치먼트(110)에만 유압이 공급되며, 다른 부 어태치먼트(110)에는 유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별도의 밸브 없이도 사용방향 측에 위치한 부 어태치먼트(110)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2 내부유로(220)는 제2 구동부(150)의 내측에서 형성되며, 멀티 어태치먼트(100)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니어 유니언(151)을 통과하며 형성되며, 공급유로(P)와 회수유로(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멀티 어태치먼트(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 어태치먼트(110)가 유압 해머와 커터로 구성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현재 위치에서 커터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1 구동부(130)를 구동시켜 회전한 뒤 커터를 사용방향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제2 구동부(150)를 구동시켜 사용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커터가 주 어태치먼트(10)인 집게보다 전방에 돌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고정부(160)로 고정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고정부(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 어태치먼트(110)의 선택과 위치조정 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160)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부(160)는 걸쇠형으로 형성되며, 부 어태치먼트(110)가 사용시 사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지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정시에는 간섭을 방지하도록 위치하며, 위치 조정 후에는 보스부(161)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 위치에 따라 중간 위치에서 고정되거나(a), 사용방향으로 더 돌출된 위치(b)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는 고정부(160)를 걸쇠형의 예로 나타내었으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파지하거나, 부 어태치먼트(110) 주위를 감싸서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는 주 어태치먼트(10)와 별도로 구비되는 멀티 어태치먼트(100)가 구비되며, 멀티 어태치먼트(100)에는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110)가 구비되며, 유압이 상시 연결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시 유압라인의 체결 및 분리의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재난상황에서 인명구조시 어태치먼트의 교체시간 소요없이 바로 부 어태치먼트(110)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빠른 시간에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주 어태치먼트
20: 링크
100: 멀티 어태치먼트
110: 부 어태치먼트
120: 유압연결부
130: 제1 구동부
140: 결합부
150:제2 구동부
160: 고정부 161: 보스부
151: 리니어 유니언 152: 피스톤
200: 내부유로
210: 제1 내부유로 220: 제2 내부유로
230: 결합부유로

Claims (10)

  1. 주 어태치먼트가 구비된 링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연결부;
    상기 유압연결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유압연결부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주 어태치먼트 방향인 사용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부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부 어태치먼트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는 상기 유압연결부로부터 유압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압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부 어태치먼트 중 상기 사용방향에 배치되는 부 어태치먼트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어태치먼트는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를 상기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사용방향의 부 어태치먼트가 상기 주 어태치먼트보다 더 연장되어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구동시에도 상기 유압연결부에 유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리니어 유니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연결부는 상기 주 어태치먼트가 연결된 링크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 어태치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10. 제2 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부 어태치먼트가 상기 사용방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KR1020160074712A 2016-06-15 2016-06-15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KR10173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12A KR101733774B1 (ko) 2016-06-15 2016-06-15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12A KR101733774B1 (ko) 2016-06-15 2016-06-15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774B1 true KR101733774B1 (ko) 2017-05-10

Family

ID=5874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712A KR101733774B1 (ko) 2016-06-15 2016-06-15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7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0176A2 (en) * 2002-05-17 2003-12-04 Lowell Underwood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0176A2 (en) * 2002-05-17 2003-12-04 Lowell Underwood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4595B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a works machine
AU2016201504B2 (en) A Coupler
CA3018575C (en)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US11142881B2 (en) Excavator having rotatable arm
KR20210006198A (ko)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CN103958786A (zh) 用于动臂回转式挖掘机的液压管路固定装置
US20200407938A1 (en)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JP5318993B1 (ja) 建設機械の掘削バケット
KR101640387B1 (ko)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733774B1 (ko) 재난 구조용 유압기계의 어태치먼트
US20170284073A1 (en) Fabricated wear member assembly attached to a work implement using a retaining mechanism
JP2013204222A (ja) トンネル掘進機
US10883249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hammer tool
JP4213576B2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JP4756160B2 (ja) シールド掘進機、ロータリジョイントおよびシールド掘進機の運転方法
US10384336B2 (en) Hydraulic hammer assembly
KR102467902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JP2020193468A (ja) 建設機械の油圧ピン抜け止め構造
AU2014100573A4 (en) A Coupler
KR102647711B1 (ko) 복합 기능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어태치먼트
US20230134654A1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JP6998148B2 (ja) 筒状構造体および作業装置
JPH09287163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
JP2004107936A (ja)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