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236B1 -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236B1
KR101733236B1 KR1020150180996A KR20150180996A KR101733236B1 KR 101733236 B1 KR101733236 B1 KR 101733236B1 KR 1020150180996 A KR1020150180996 A KR 1020150180996A KR 20150180996 A KR20150180996 A KR 20150180996A KR 101733236 B1 KR101733236 B1 KR 10173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harging
loading
melting furnace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규
Original Assignee
구동기계(주)
권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기계(주), 권태규 filed Critical 구동기계(주)
Priority to KR102015018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3/123Furnace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 F27D2003/127Charging cars, lift trolleys for carry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자재의 계량 및 장입 작업을 자동화하여, 정밀하게 계량된 부자재를 용해로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장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재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부자재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집유닛(이동호퍼대차) 및 장입유닛(장입대차)의 대기(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를 각각 향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인근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부자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자재를 중량계량하는 계량호퍼와, 상기 하부레일을 소정 높이에서 횡단하되, 상기 계량호퍼의 아래를 지나가는 교량구조물에 설치된 상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계량된 부자재를 공급받아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호퍼대차와, 상기 하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일측에 부자재를 장입하는 장입호퍼가 마련되어, 상기 교량구조물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이송호퍼대차로부터 상기 부자재를 상기 장입호퍼에 공급받아 상기 용해로에 장입하는 복수개의 장입대차 및, 상기 저장부, 상기 계량호퍼, 상기 이송호퍼대차 및 상기 장입대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Charging Control System For 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자재를 정밀하게 계량(계근)하여, 용해로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장입할 수 있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주철(GC)과 구상흑연주철(GCD)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해로에 원자재(주물용 선철, 고철 등)와 부자재(페로실리콘, 가탄제, SiC 등)를 함께 장입하여 용해하는 공정이 행해진다. 종래, 원자재와 부자재를 용해로에 장입하는 개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철장에서 크레인 등의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원자재를 장입대차에 적재한 후, 장입대차를 이동시켜 적재된 원자재를 용해로에 장입한다. 계속해서, 원자재가 용해된 정도(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부자재를 수작업으로 필요한 양만큼 계량(계근)하여 용해로에 직접 투입한다.
하지만, 전술한 절차로 부자재를 용해로에 장입할 경우, 부자재를 수작업으로 계량함에 따라 계량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계량된 부자재를 용해로에 도수로 단순 반복하여 투입함에 따라 작업자에게서 허리, 목, 어깨, 팔다리 등에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 질환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뜨거운 용해로 주변에 상시 부자재를 적재해야 하므로 주위 작업환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높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8100호 "용해로 부 자재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이하, 종래의 기술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각기 다른 부자재가 저장된 다수개의 공급유닛과,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부자재를 순차적으로 계근하여 수집하는 수집유닛과, 수집유닛에서 수집된 부자재를 전달받아 용해로에 장입하는 장입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장입유닛에 원자재와 부자재를 저장하는 공간이 분할되어 있지 않아서, 원자재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부자재의 투입량을 즉각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집유닛과 장입유닛의 이동경로가 동일한 평면상에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어서, 작업장 내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아울러, 장입유닛이 수집유닛으로부터 부자재를 직접 전달받기 때문에 긴 대기(지연)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자재의 계량 및 장입 작업을 자동화하여, 정밀하게 계량된 부자재를 용해로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장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재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부자재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집유닛(이동호퍼대차) 및 장입유닛(장입대차)의 대기(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를 각각 향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인근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부자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자재를 중량계량하는 계량호퍼와, 상기 하부레일을 소정 높이에서 횡단하되, 상기 계량호퍼의 아래를 지나가는 교량구조물에 설치된 상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계량된 부자재를 공급받아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호퍼대차와, 상기 하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일측에 부자재를 장입하는 장입호퍼가 마련되어, 상기 교량구조물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이송호퍼대차로부터 상기 부자재를 상기 장입호퍼에 공급받아 상기 용해로에 장입하는 복수개의 장입대차 및, 상기 저장부, 상기 계량호퍼, 상기 이송호퍼대차 및 상기 장입대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상기 저장부는 부자재를 저장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켓엘리베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호퍼는 상기 버켓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호퍼의 상부에는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하나 이상의 부자재 투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부자재 투입홀에는 격자형상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포대절삭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켓엘리베이터와 상기 계량호퍼 사이에는 상기 부자재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보조호퍼가 구비되어, 상기 계량호퍼에 상기 부자재가 과다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구조물에는 대기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대기호퍼는 상기 이송호퍼대차로부터 상기 부자재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상기 교량구조물의 아래를 통과하는 상기 장입대차의 장입호퍼에 공급하여 상기 이송호퍼대차와 상기 장입대차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계량된 부자재를 용해로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장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입대차의 장입호퍼에 부자재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어서, 원자재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부자재 투입량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장입대차와 이송호퍼대차의 이동경로가 다단으로 구비되어, 작업장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교량구조물에는 대기호퍼가 구비되어 장입대차와 이송호퍼대차의 대기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에 있어서, 도1의 I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에 있어서, 도3의 J부분을 나타낸 결합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호퍼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700)은 용해로(100), 장입대차(200), 저장부(300), 계량호퍼(400), 이동호퍼대차(52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해로(100)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된다. 용해로(10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원자재(A)를 저장하는 고철장(C)이 마련되고, 각각의 용해로(100)와 고철장(C) 사이에는 최단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하부레일(110)이 설치된다.
장입대차(200)는 전술한 하부레일(110)에 이동되게 안착되어, 고철장(C)에서 적재한 원자재(A)를 용해로(100)로 이송하여 장입하는 기능을 한다. 장입대차(200)의 전단부에는 원자재(A)의 장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마우스(210)가 구비된다. 마우스(210)는 용해로(100)의 입구를 둘러싸는 편자 형상이며, 내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원자재(A)가 적재된 화물칸은 틸팅도어(220)에 의해 출구제어가 가능하고, 장입대차(200)의 내부에는 화물칸에 적재된 원자재(A)가 용해로(100)에 원활하게 장입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로피더(230)가 설치된다.
또한, 장입대차(20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장입호퍼(250)가 장착된다. 장입호퍼(250)는 후술되는 이동호퍼대차(520) 또는 대기호퍼(530)로부터 부자재(B)를 공급받아 원자재(A)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용해로(100)에 장입하는 기능을 한다. 장입호퍼(250)에는 실린더의 동력에 의해 게이트가 개폐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254)가 구비된다. 아울러, 내부 적재물의 유, 무를 확인할 수 있는 스윙타입의 자주식 장치를 장착한 적재물 감지 센서(2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300)는 하부레일(110)의 인근에 배치되고, 부자재(B)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저장부(300)는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부자재(B)를 저장하는 저장호퍼(310)와, 저장호퍼(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자재 배출구(316)에서 배출되는 부자재(B)를 일정거리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320) 및, 벨트컨베이어(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부자재(B)를 중량계량하기 위해 소정 높이로 운반하는 버켓엘리베이터(330)로 이루어진다.
저장호퍼(310)는 부자재(B)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도 5를 참조하면, 저장호퍼(310)의 상부에는 커버(312)가 형성된다. 커버(312)에는 하나 이상의 부자재 투입홀(314)이 형성되며, 부자재 투입홀(314)에는 격자형상의 플레이트(314a)가 설치되고, 플레이트(314a)의 상부에는 포대절삭날(314b)이 구비된다. 크레인 등의 권상장치에 의해 포대절삭날(314b)에 부자재(B)가 든 포대를 내려놓으면 포대가 찢어지면서, 부자재(B)가 부자재 투입홀(314)로 투입된다. 이때, 플레이트(314a)는 포대 및 이물질이 저장호퍼(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벨트컨베이어(320)는 저장호퍼(3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320)는 자중에 의해 저장호퍼(310)의 부자재 배출구(316)에서 배출되는 부자재(B)를 버켓엘리베이터(330)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부자재 배출구(316)의 양옆에는 고무차단막(318)이 설치되어, 부자재(B)가 벨트컨베이어(320)의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장호퍼(310)의 내측 하부에는 하중분산보(3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벨트컨베이어(320)에 저장호퍼(310) 내부 부자재(B)의 전체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벨트컨베이어(320)의 일측에는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자동조심형 벨트가이드(3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4를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320)를 저장부(300)의 구성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3을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320)가 구비될 경우, 벨트컨베이어(320)의 하부에는 일정 규모의 공간이 확보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버켓엘리베이터(330)는 벨트컨베이어(3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이송된 부자재(B)를 중량계량을 위해 소정의 높이까지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버켓엘리베이터(330)의 소정 위치에는 벨트 탈선방지용 롤러(3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저장부(300)는 하나 이상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저장부(300)는 각기 다른 부자재(B)를 저장하여 후술되는 이동호퍼대차(5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종의 부자재(B)를 혼합, 계량하여 하나의 생산시설에서 다종의 주철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계량호퍼(400)는 저장부(3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버켓엘리베이터(330)의 상부에 연결되고, 부자재(B)를 계량하는 기능을 한다. 계량호퍼(400)는 장치 지지용 철재 프레임(430)에 결합되며, 부자재(B)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420)을 포함한다. 계량호퍼(400)와 프레임(430) 사이에는 진동방지패드(4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방지패드(410)는 전술한 장입대차(200)의 바이브로피더(230)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계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계량호퍼(400)에는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402)가 구비된다.
아울러, 버켓엘리베이터(330)와 계량호퍼(400) 사이에는 부자재(B)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보조호퍼(340)를 설치하여, 정밀계량을 위해 계량호퍼(400)에 부자재(B)가 과다하게 유입되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호퍼(340)에는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342)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346)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분진비산방지커버(344)가 설치된다.
이동호퍼대차(520)는 하부레일(110)의 상부 영역을 소정의 높이에서 횡단하되, 전술한 계량호퍼(400)의 아래를 지나가는 교량구조물(500)에 설치된 상부레일(510)에 이동되게 안착된다. 이동호퍼대차(520)는 공정의 특성과 효율을 고려하여 복수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동호퍼대차(520)에는 위치제어센서(522)와 모터(524)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상부레일(510)을 주행하여 설정된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호퍼대차(520)는 계량호퍼(400)의 아래를 통과하는 경로를 이동하며, 계량호퍼(400)의 아래에서 계량된 부자재(B)를 공급받아, 교량구조물(400)의 아래를 통과하는 장입대차(200)의 장입호퍼(250)에 공급한다. 이동호퍼대차(520)에는 적재물 감지 센서(526)와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528)가 구비된다.
제어부(600)는 시설 내에 어느 곳이든 구비될 수 있으나, 저장부(300) 인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교량구조물(500)의 소정 위치에는 대기호퍼(530)가 구비될 수 있다. 대기호퍼(530)는 이동호퍼대차(520)로부터 계량된 부자재(B)를 분배받아 저장한 후, 교량구조물(500)의 아래를 통과하는 장입대차(200)의 장입호퍼(250)에 공급하여, 이동호퍼대차(520)가 부자재(B)를 공급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켜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700)의 간략한 운용절차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자재(B)가 담긴 포대를 크레인 등의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부자재 투입홀(314)에 내려놓으면 포대가 찢어지면서 부자재(B)가 저장호퍼(310)에 공급된다. 이때, 저장부(300)는 병렬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기 다른 부자재(B)를 저장, 보관한다.
계속해서, 저장호퍼(310)에 저장된 부자재(B)가 자중에 의해 부자재 배출구(316)로 배출되어 벨트컨베이어(320)로 안착된다. 부자재 배출구(316)의 양옆에 형성된 고무차단막(318)은 부자재(B)가 벨트컨베이어(320)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벨트컨베이어(320)가 동작하여, 일측에 형성된 버켓엘리베이터(330)까지 부자재(B)를 이송하고, 베켓엘리베이터(330)는 부자재(B)를 소정 높이까지 운반한다.
계속해서, 소정 높이까지 이송된 부자재(B)는 계량호퍼(400)에 공급되고, 로드셀(420)에 의해 부자재(B)를 계량한다. 이때, 베켓엘리베이터(330)와 계량호퍼(400) 사이에 보조호퍼(340)가 마련되어, 과도한 양의 부자재(B)가 계량호퍼(40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량의 정밀도를 높인다.
이어서, 계량된 부자재를(B) 이동호퍼대차(520)에 공급하면, 이동호퍼대차(520)가 상부레일(510)을 따라 이동하며, 교량구조물(500)에 설치된 대기호퍼(530)에 부자재(B)를 공급한다. 대기호퍼(530)가 없어도 슈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부자재(B)를 직접 장입대차(200)의 장입호퍼(424)에 공급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동호퍼대차(520)의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고철장(C)에서 원자재(A)를 적재한 복수개의 운반대차(200)가 하부레일(110) 위를 주행하며, 교량구조물(500)의 아래를 통과할 때, 대기호퍼(530)로부터 부자재(B)를 공급받아 용해로(100)에 원자재(A)와 부자재(B)를 번갈아가며 조금씩 장입한다. 원자재(A)는 틸팅도어(2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이브로피더(230)의 진동에 의해 운반대차(200)에서 미끌어져 조금씩 장입된다. 원자재(A)가 용해된 정도에 따라 장입호퍼(250)의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254)를 이용하여 부자재(B)를 장입량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자재의 계량과 장입 공정을 자동화시켜 주철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업장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는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00 ;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100 ; 용해로
110 : 하부레일
200 ; 장입대차
210 ; 마우스
220 ; 틸팅도어
230 ; 바이브로피더
240, 524 ; 모터
250 ; 장입호퍼
252, 526, 532 ; 적재물 감지 센서
254, 346, 402, 528, 534 ; 에어실린더 및 스윙게이트
300 ; 저장부
310 ; 저장호퍼
312 ; 커버
314 ; 부자재 투입홀
314a ; 플레이트
314b ; 포대절삭날
316 ; 부자재 배출구
318 ; 고무차단막
319 ; 하중분산보
320 ; 벨트컨베이어
322 ; 자동조심형 벨트가이드
330 ; 버켓엘리베이터
332 ; 벨트 탈선방지용 롤러
340 ; 보조호퍼
342 ; 점검창
344 ; 분진비산 방지커버
400 ; 계량호퍼
410 ; 진동방지패드
420 ; 로드셀
430 ; 프레임
500 ; 교량구조물
510 ; 상부레일
520 ; 이동호퍼대차
522 ; 위치제어센서
530 ; 대기호퍼
600 ; 제어부
A ; 원자재
B ; 부자재
C ; 고철장

Claims (5)

  1. 복수개의 용해로;
    상기 용해로를 각각 향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 인근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부자재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자재를 중량계량하는 계량호퍼;
    상기 하부레일을 소정 높이에서 횡단하되, 상기 계량호퍼의 아래를 지나가는 교량구조물에 설치된 상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계량된 부자재를 공급받아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호퍼대차;
    상기 하부레일에 이동되게 안착되고, 일측에 부자재를 장입하는 장입호퍼가 마련되어, 상기 교량구조물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이송호퍼대차로부터 상기 부자재를 상기 장입호퍼에 공급받아 상기 용해로에 장입하는 복수개의 장입대차; 및,
    상기 저장부, 상기 계량호퍼, 상기 이송호퍼대차 및 상기 장입대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부자재를 저장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켓엘리베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호퍼는 상기 버켓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호퍼의 상부에는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하나 이상의 부자재 투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부자재 투입홀에는 격자형상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포대절삭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켓엘리베이터와 상기 계량호퍼 사이에는 상기 부자재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보조호퍼가 구비되어, 상기 계량호퍼에 상기 부자재가 과다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량구조물에는 대기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대기호퍼는 상기 이송호퍼대차로부터 상기 부자재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상기 교량구조물의 아래를 통과하는 상기 장입대차의 장입호퍼에 공급하여 상기 이송호퍼대차와 상기 장입대차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KR1020150180996A 2015-12-17 2015-12-17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KR10173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6A KR101733236B1 (ko) 2015-12-17 2015-12-17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6A KR101733236B1 (ko) 2015-12-17 2015-12-17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236B1 true KR101733236B1 (ko) 2017-05-08

Family

ID=6016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96A KR101733236B1 (ko) 2015-12-17 2015-12-17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944A (zh) * 2018-12-05 2019-04-09 湖南省金润碲业有限公司 一种有色金属冶炼用加料车
KR102316071B1 (ko) * 2021-06-29 2021-10-25 (주)하나하드닝 연속로 열처리 공급장치 자동화 시스템
CN114353531A (zh) * 2021-12-20 2022-04-15 西安理工大学 一种镁窑自动填料及炉渣清理装置
KR102480512B1 (ko) * 2022-03-28 2022-12-2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KR102480513B1 (ko) * 2022-03-28 2022-12-2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부자재 장입 및 회수 자동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944A (zh) * 2018-12-05 2019-04-09 湖南省金润碲业有限公司 一种有色金属冶炼用加料车
KR102316071B1 (ko) * 2021-06-29 2021-10-25 (주)하나하드닝 연속로 열처리 공급장치 자동화 시스템
CN114353531A (zh) * 2021-12-20 2022-04-15 西安理工大学 一种镁窑自动填料及炉渣清理装置
CN114353531B (zh) * 2021-12-20 2024-03-22 西安理工大学 一种镁窑自动填料及炉渣清理装置
KR102480512B1 (ko) * 2022-03-28 2022-12-2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KR102480513B1 (ko) * 2022-03-28 2022-12-2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부자재 장입 및 회수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36B1 (ko) 용해로 부자재 장입 시스템
JP5586115B2 (ja) 自動注湯機への溶湯供給方法およびその設備
CN106132594B (zh) 熔融金属搬运系统以及方法
JP4038333B2 (ja) チェーンコンベヤ
CN102765613A (zh) 移动重载列车自动定量装卸系统
TWI630160B (zh) 高度差輸送系統
CN108858722A (zh) 一种用于镁碳砖制品的生产线及其工艺
CN211077734U (zh) 硅铁合金原料定量上料装置
KR101537391B1 (ko) 카운터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23171B1 (ko) 자동차 브레이크마찰재 성형용 원재료 정량공급장치
CN110155757A (zh) 一种适用于矿山石料装车的全自动落料系统及方法
JPH07304511A (ja) 粉粒体の連続定量供給装置
CN210150347U (zh) 一种适用于矿山石料装车的落料系统
CN104892075B (zh) 一种肥料封装设备及肥料封装系统
KR100778677B1 (ko) 소결광 과적 방지장치 및 그 과적 방지방법
CA3099175C (en) System for manipulating the load in bulk rail train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CA2212855C (en) Method to maximally utilize the loading capacity of an individual wagon and the train when loading with bulk material
JPH11108742A (ja) エアースライド式コンベアスケール
CN107588840A (zh) 一种自清洁式汽车衡
CN108507652B (zh) 一种全自动电子计量配料补料设备
CN202245083U (zh) 转载破碎站
RU2518925C2 (ru) Механизм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нтенсивности разгрузоч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ранспортно-отвального моста
JP2003192141A (ja) 粉粒体サイロ装置
CN216998474U (zh) 三明治加料装置
CN113217086B (zh) 用于混合井的粉矿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