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58B1 -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58B1
KR101732958B1 KR1020150083171A KR20150083171A KR101732958B1 KR 101732958 B1 KR101732958 B1 KR 101732958B1 KR 1020150083171 A KR1020150083171 A KR 1020150083171A KR 20150083171 A KR20150083171 A KR 20150083171A KR 101732958 B1 KR101732958 B1 KR 10173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reaction solution
moisture
ai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214A (ko
Inventor
안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이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이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이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8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9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본 카트리지는,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로 기화되는 반응용액이 수용된 용액저장부; 상기 용액저장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용액으로부터 기화된 상기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 및 상기 흡습기재의 상기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APPARATUS FOR AIRBORNE DISINFECTION, AND CARTRIDGE THEREFOR}
본 발명은 공기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실내 환경에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공기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s)은 병원 혹은 가정 등의 실내 환경에서 공기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히드록실 라디칼의 살균 특성은 1960년대 초에 영국의 포톤 다운(Porton Down) 및 네덜란드의 TNO에 의해 알려졌다. 히드록실 라디칼 또는 그 유사물질을 사용하는 공기 기반 살균은 외부 환경에서는 자연적으로 발생되지만, 외부와 환기되기 어려운 실내 환경에는 자연 살균 효과가 극히 감소된다.
히드록실 라디칼의 살균 기능을 실내에 제공하기 위한 일례로, 국제특허공보 WO 2005/026044호에는 공기 기반 살균제로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여기서는, 테르펜(Terpene) 등과 같은 올레핀(Olefin)과 함께 오존(Ozone)을 공급함으로써, 올레핀 기체를 오존과 반응시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한다.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기본적인 화학반응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실내 환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히드록실 라디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계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지관리 및 보충이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올레핀 저장부 및 오존발생부가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히드록실 라디칼 발생장치가 개발되었다(국제특허공보 WO 2012/059736호). 여기서, 히드록실 라디칼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는, 오존과 반응시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물질로서, 예컨대 과산화수소수(H2O2) 혹은 올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 및 교체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종래의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또는 올레핀 등과 같은 액상의 반응물을 수용하는 반응물 저장부(91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심재(915)가 이 저장부(905)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그 일단이 카트리지(905)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심재(915)는 섬유질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반응물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재(915)의 노출된 상단까지 빨아 올려진 후 자연적으로 증발되도록 하여, 반응물 기체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공기살균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에는 심재의 상부를 노출시켜야 하는데, 장치의 이동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저장부에 수용된 반응물 용액이 누출되기 쉽다. 특히, 심재는 섬유질 조직으로 되어 있으나, 여기에 흡습된 용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또한, 주변온도의 변화에 따라 반응물 용액이 증발 후 응축될 수 있는데, 따라서 항공 또는 해운 등의 방법으로 카트리지를 이송하는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용액 유출 현상이 심각해진다.
또한, 종래의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는 심재 내부에 반응물 용액이 흡습되어 있고, 또한 사용 전에 저장부 내부에 기화되어 있는 반응물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적절한 배출구가 없다. 따라서, 사용을 위해 심재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경우, 저장부 내부의 반응물 기체가 심재에 충전된 용액을 먼저 밖으로 밀어내므로, 사용 초기에 심재의 상단에서 반응물 용액의 누수가 발생한다. 이렇게 누수된 용액은 점진적으로 공기살균장치를 부식 또는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종래의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에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심재를 통해 반응물 기체를 장치 본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일정한 양의 반응물 기체를 장치 본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심재가 반응물 용액에 잠긴 깊이가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에 따라 반응물 용액은 감소할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 심재의 상단에서의 반응물 기체의 증발량은 사용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에 있어서, 오존과 반응하여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물 용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오존과의 화학반응에 이용되는 반응물 기체의 증발량을 사용시간 중에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로서,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로 기화되는 반응용액이 수용된 용액저장부; 상기 용액저장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용액으로부터 기화된 상기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 및 상기 흡습기재의 상기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상기 용액저장부 내에 수용된 상기 반응용액에 침지된 다공성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에서 상기 반응용액으로는 과산화수소수 또는 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올레핀으로는, 테레핀(Terpentine),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델타-리모넨(Delta-Limonene), 밀센(Myrcene), 펜텐(Pentene), 시클로헥센(Cyclohexene), 및 부텐(But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상기 용액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된 발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태양으로서,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로 기화되는 반응용액이 수용된 용액저장부; 상기 반응용액으로부터 기화된 상기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공기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 및 상기 흡습기재의 상기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는, 상기 용액저장부 내에 수용된 상기 반응용액에 침지된 다공성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에서 상기 반응용액으로는 과산화수소수 또는 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올레핀으로는, 테레핀(Terpentine),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델타-리모넨(Delta-Limonene), 밀센(Myrcene), 펜텐(Pentene), 시클로헥센(Cyclohexene), 및 부텐(But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는, 상기 용액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된 발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에서, 오존과 반응시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는 액체인 반응용액의 증발에 의해 공급된다. 여기서, 반응용액의 증발량은 장치에 마련된 외부공기의 유입량, 증기압, 반응기체의 배출구의 크기, 주변온도 및 습도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은 복층 구조의 멤브레인, 반응용액에 침지된 다공성 충전재, 용액저장부 외측에 배치된 발열수단 등을 통해, 종래에 사용되는 심재를 이용한 경우에 문제가 되었던 용액의 유출, 증발량의 변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특히, 단일층 구조의 멤브레인을 통해서는 달성할 수 없는 기술적 효과, 즉 용액저장부의 내압 유지를 통해서 반응기체의 증발면적 유지, 용액저장부의 변형 방지 또는 멤브레인 자체의 변형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살균장치에 적용되는 카트리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에서 멤브레인을 통한 반응기체의 배출 및 외부공기의 유입 과정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임의의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에 오존발생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1회용으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방식으로 공기살균장치에 장착 또는 탈착될 필요는 없고, 공기살균장치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어 반응용액만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사항을 포함하는 한, 공기살균장치에 구비된 일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는, 반응용액(200)이 수용된 용액저장부(100)와, 반응용액(200)으로부터 기화된 반응기체(201)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2)와, 배출구(102)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액저장부(100)는 반드시 독립된 구성품으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카트리지 본체에 마련되어 반응용액(200)이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반응용액(200)은 반응기체(201)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반응기체(201)는 반응용액(200)으로부터 자연 증발 등에 의해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된 후,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반응용액(200)으로는, 과산화수소수(H2O2) 또는 탄화수소계 방향족 물질인 올레핀(Olefin)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올레핀으로는, 테레핀(Terpentine),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델타-리모넨(Delta-Limonene), 밀센(Myrcene), 펜텐(Pentene), 시클로헥센(Cyclohexene), 부텐(Butene) 등이 있다.
배출구(102)는 용액저장부(10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반응기체(201)가 멤브레인(30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카트리지의 사용 전에 반응기체(201)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커버부재(400)에 의해 배출구(102)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부재(400)는 산성인 반응용액(200) 또는 반응기체(201)로 인한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멤브레인(300)은 배출구(102)를 덮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102)의 주변에 멤브레인(300)의 가장자리를 융착시켜 완전히 밀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멤브레인(300)은, 도 3에서 보듯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310), 및 흡습기재(310)의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321 및 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습기재(310)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성 필름(321 및 322)은,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기체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필름으로서,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E(Polyethylene)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의 멤브레인(300)을 통한 반응기체(201)의 배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응용액(200)으로부터 증발되어 용액저장부(100) 내측에 존재하는 반응기체(201)가, 용액저장부(100)의 내측에 배치된 통기성 필름(321)을 통과한 후(화살표 'A1' 참조), 흡습기재(310)에 유증기 혹은 수증기 형태로 흡습된다. 그리고 흡습기재(310)에 흡습된 유증기 혹은 수증기(202)는 다시 반응기체(201)로 증발된 후 통기성 필름(322)을 통과(화살표 'A2' 참조)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반대로, 용액저장부(100) 외측에 존재하는 외부공기(110)는 통기성 필름(322), 흡습기재(310) 및 통기성 필름(3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용액저장부(100) 내측으로 유입된다(화상표 'B' 참조).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의 멤브레인(300)에 의하면, 용액저장부(100) 내측의 반응기체(201)는 외측으로 배출되고, 동시에 외측의 외부공기(110)는 용액저장부(1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의 반응기체(201)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용액저장부(100)의 내압 감소는 외부공기(110)의 유입으로 인해 외부와 평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용액저장부(100)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므로, 만약 내측의 반응기체(201)만이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용액저장부(100)의 내압 감소에 따라 반응용액(200)이 유출되거나, 혹은 멤브레인(300)의 변형 혹은 용액저장부(100)의 변형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300)에 의하면, 사용 중에도 용액저장부(100)의 내압이 항상 외부와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반응기체(201)의 배출 및 외부공기(110)의 유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용액저장부(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300)에 의하면, 반응기체(201)가 먼저 흡습기재(310)에 흡습된 후 다시 증발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흡습기재(310)에 의한 반응기체(201)의 증발 면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반응용액(200)의 양이 감소하더라도, 실제 외부로 배출되는 반응기체(201)의 증발면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공기살균장치에 공급되는 반응기체(201)가 정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반응용액(200)으로는 친수성인 과산화수소수 또는 소수성인 올레핀계 용액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300)은 두가지 성질의 용액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층 구조의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수성 용액 또는 소수성 용액 모두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300)에서, 흡습기재(310) 및 통기성 필름(321, 322)을 PET 및 PE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친수성 및 소수성 용액에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흡습기재(310) 및 통기성 필름(321, 322)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기공의 평균 직경이 3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반응용액(200)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반응기체(201)의 배출 및 외부공기(110)의 유입이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용액저장부(100) 내부에 배치된 다공성 충전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충전재(210)로는 예컨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스펀지 재질(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된 스펀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공성 충전재(210)는 반응용액(200)에 침지되도록 배치되는데, 공기살균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반응용액(200)이 계속 감소하더라도, 증발 계면은 항상 다공성 충전재(210)의 표면이 되므로, 반응기체(201)의 정량 증발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용액저장부(100)의 내부는 높이에 따라 폭(W1)이 일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다공성 충전재(210)의 폭(W2)이 폭(W1)과 대략 유사한 치수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공성 충전재(210)의 배치에 의해, 제품의 이송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산화성 물질인 반응용액(200)에서 발생되는 분해가스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과산화수소수의 경우, 보관용기의 표면 성질에 따라 가스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보관용기의 표면이 거칠거나 액체의 유동이 많으면, 가스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다공성 충전재(210)는 이러한 액체 유동성을 억제함으로써 분해가스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반응용액(200)은 강력한 산화제 혹은 인체 접촉시 손상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다공성 충전재(210)가 반응용액(200)의 상당량을 흡습하고 있으므로, 사고에 의해 카트리지 혹은 공기살균장치가 파손되더라도 반응용액(20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반응용액(200)의 유출로 인한 2차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용액저장부(100)의 외측 주변에 발열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수단(500)으로는, 소정의 열선이 배치된 필름형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발열수단(500)에 의해, 용액저장부(100)를 가열함으로써 반응용액(200)의 온도를 상승시켜 반응기체(201)의 증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발열수단(500)은 공기살균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전기회로가 미리 공기살균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로 기화되는 반응용액이 수용된 용액저장부;
    상기 용액저장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용액으로부터 기화된 상기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 및 상기 흡습기재의 상기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용액저장부 내부에 상기 반응용액에 침지된 다공성 충전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액은 과산화수소수 또는 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은, 테레핀(Terpentine),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델타-리모넨(Delta-Limonene), 밀센(Myrcene), 펜텐(Pentene), 시클로헥센(Cyclohexene), 및 부텐(But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기재 및 상기 통기성 필름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 평균 직경은 3 내지 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기재 및 상기 통기성 필름은 PET 및 PE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된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용 카트리지.
  8.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에 있어서,
    오존과 반응함으로써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기체로 기화되는 반응용액이 수용된 용액저장부;
    상기 반응용액으로부터 기화된 상기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가진 흡습기재 및 상기 흡습기재의 상기 2개의 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용액저장부 내부에 상기 반응용액에 침지된 다공성 충전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액은 과산화수소수 또는 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은, 테레핀(Terpentine),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델타-리모넨(Delta-Limonene), 밀센(Myrcene), 펜텐(Pentene), 시클로헥센(Cyclohexene), 및 부텐(But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기재 및 상기 통기성 필름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 평균 직경은 3 내지 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기재 및 상기 통기성 필름은 PET 및 PE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된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장치.
KR1020150083171A 2015-06-12 2015-06-12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KR10173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1A KR101732958B1 (ko) 2015-06-12 2015-06-12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1A KR101732958B1 (ko) 2015-06-12 2015-06-12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14A KR20160146214A (ko) 2016-12-21
KR101732958B1 true KR101732958B1 (ko) 2017-05-08

Family

ID=5773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71A KR101732958B1 (ko) 2015-06-12 2015-06-12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6696A4 (en) * 2020-03-27 2024-04-10 Arkema Inc DEVICE FOR DISTRIBUTING WATER AND ANTIMICROBIAL VAPOR INTO A CLOSED OR PARTIALLY CLOSED SP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53Y1 (ko) * 2017-03-21 2018-12-07 (주)오에이치코리아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
KR200487768Y1 (ko) * 2017-03-23 2018-10-30 (주)오에이치코리아 가정용 및 차량용 공기살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872A (ja) 1998-08-19 2000-02-29 S T Chem Co Ltd 液体薬剤揮散容器
JP2002345931A (ja) 2000-12-28 2002-12-03 Buruzuwan Co Ltd 殺菌脱臭剤燻蒸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殺菌脱臭剤容器
JP2004049229A (ja) * 2002-05-31 2004-02-19 Earth Chem Corp Ltd 加熱蒸散装置、加熱蒸散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872A (ja) 1998-08-19 2000-02-29 S T Chem Co Ltd 液体薬剤揮散容器
JP2002345931A (ja) 2000-12-28 2002-12-03 Buruzuwan Co Ltd 殺菌脱臭剤燻蒸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殺菌脱臭剤容器
JP2004049229A (ja) * 2002-05-31 2004-02-19 Earth Chem Corp Ltd 加熱蒸散装置、加熱蒸散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6696A4 (en) * 2020-03-27 2024-04-10 Arkema Inc DEVICE FOR DISTRIBUTING WATER AND ANTIMICROBIAL VAPOR INTO A CLOSED OR PARTIALLY CLOSED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14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833B1 (ko) 공기살균장치
KR101303605B1 (ko) 막 살균
KR101732958B1 (ko) 공기살균장치 및 카트리지
US806259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US811015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treatment of interior and exterior areas of objects
US8177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US78710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JP6426283B2 (ja) マルチキャピラリーチューブを通して気化および配合される過酸化水素およびオゾンを使用する殺菌装置
US20060120945A1 (en) Reusable apparatus for gas generation
JP2005512769A (ja) ガスの制御された送達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5208039A (ja) 2つに区分された容器、その容器を用いたシステム、およびその容器の使用方法
KR101732959B1 (ko) 공기살균장치용 반응기체 발생 장치
JP5015651B2 (ja) 薬剤容器及びガス供給装置
US848633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disinfection of devices and other areas
WO200814420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KR101717503B1 (ko) 공기살균장치용 반응기체 발생 장치
CN106457204A (zh) ClO2按需消毒海绵或湿巾以及制备方法
KR100740287B1 (ko) 화학약품 이송 장치
US9408931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CN105899160A (zh) 医疗装置清洁系统
EP3833405B1 (en) Techniques and packages for packaging medical supplies
JP5730612B2 (ja) 薬剤収納容器及び薬剤揮散装置
JP3100971U (ja) 二重容器
JP6454616B2 (ja) オゾン処理装置
KR101667286B1 (ko)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