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280B1 -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280B1
KR101732280B1 KR1020150184058A KR20150184058A KR101732280B1 KR 101732280 B1 KR101732280 B1 KR 101732280B1 KR 1020150184058 A KR1020150184058 A KR 1020150184058A KR 20150184058 A KR20150184058 A KR 20150184058A KR 101732280 B1 KR101732280 B1 KR 10173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cobalt
cobalt 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나유정
조태근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0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 C07D311/1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substituted in position 3 and unsubstituted in position 7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은 코발트 이온(Co2+)에 특이적 선택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폐이차전지에서 코발트 이온(Co2+)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NOVEL COUMARIN BASED COMPOUNDS, AGENT FOR SELECTING COBALT ION, COLLECTING METHOD AND DETEC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코발트 이온(Co2 +)에 특이적으로 선택성이 있는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이온은 생체 내, 환경적, 그리고 화학적으로 매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금속이온들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검출제를 디자인하고 합성하는 것이 주목 받아왔다.
코발트는 암석과 토양, 그리고 바닷물의 필수 미량 요소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발트 이온은 헤모글로빈의 합성과 철의 신진대사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비타민 B12와 다른 생물학적 복합체의 주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코발트 이온에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심장병, 갑상선 비대, 천식, 피부염, 혈관확장과 같은 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학적으로 상당한 오염물질이므로, 민감(sensitive)하고 선택적으로 코발트 이온을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요구된다.
종래, 미량의 코발트 이온(Co2 +)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분광분석법, 원자흡수 분광법, 형광 분석법 또는 전기 화학적 방법 등과 같은 방법을 이온 검출에 이용하였으나, 정교한 장비나 복잡한 준비과정, 그리고 숙련된 사용자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정이 번거롭지 않고, 간편하게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색 변화를 이용한 이온 검출 방법은 육안으로 목표 이온의 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관심을 받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폰과 더불어 모바일기기의 판매증가로 인해 폐리튬이온전지 등 폐이차전지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 등 이차전지에는 고가 금속인 코발트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폐이차전지에서 코발트를 회수해 재활용할 시 다른 금속 보다 경제적 효과가 높고 환경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폐이차전지에서 금속 이온을 검출하고 회수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코발트 이온을 검출하고 회수하는데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우수한 민감도 및 선택성을 갖는 신규한 화학 센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금속 이온 중에서 코발트 이온(Co2 +)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색 변화를 나타내는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상기 쿠마린계 화합물을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125958673-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2-클로로-N-(2-((3-니트로-2-옥소-2H-크로멘-4일)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및 2-(아미노메틸)-피리딘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폐이차전지에서 코발트 이온(Co2 +)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를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다양한 금속 이온 중에서 코발트 이온(Co2 +)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무색에서 옅은 보라색으로 색이 변화하므로, 색 변화를 통해 코발트 이온(Co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쿠마린계 화합물을 이용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 방법을 이용하여 코발트 이온을 포함하는 폐이차전지로부터 코발트 이온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다양한 금속 이온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다양한 금속 이온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코발트 이온(Co2 +)의 농도를 점점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의 결합비를 나타낸 잡플랏(Job’s plot)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이 1: 1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ESI-MS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을 검출할 때, 다양한 금속 이온으로부터 방해를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을 검출할 때, 다양한 금속이온의 방해를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한 색 변화 사진이다.
도 9는 pH 2 내지 12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과 결합하여 흡광도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수돗물과 음용수에서의 코발트 이온(Co2 +) 정량 분석 도표이다.
도 11은 실리카에 담지 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코발트 이온(Co2+)에 대한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125958673-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금속 이온들 중에서 코발트 이온(Co2 +)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색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코발트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클로로-N-(2-((3-니트로-2-옥소-2H-크로멘-4일)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및 2-(아미노메틸)-피리딘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125958673-pat00003
[화학식 1]
상기 반응식 1의 반응은 상온에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코발트 이온과 결합하여 색 변화를 통해 코발트 이온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금속 이온 중에서 코발트 이온(Co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과 결합하면, 무색에서 옅은 보라색으로의 색 변화가 나타난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양한 금속 이온, 예컨대 Na+, K+, Mg2 +, Ca2+, Al3 +, Ga3 +, In3 +, Cr3 +, Mn2 +, Fe2 +, Fe3 +, Co2 +, Ni2 +, Cu2 +, Zn2 +, Cd2 + 또는 Pb2 + 중에서 코발트 이온(Co2 +)과 결합하는 경우에만 무색에서 옅은 보라색으로의 색 변화가 나타나며, 코발트 이온과의 결합은 1 대 1로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양한 금속 이온 중에서도 코발트 이온에 대해 특이적인 선택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를 제공한다.
상기 코발트 이온 검출제는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스-트리스 버퍼(bis-tris buff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폐이차전지에서 코발트 이온(Co2 +)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과 결합하면 무색에서 옅은 보라색으로의 색 변화가 나타나므로, 상기 색 변화를 통하여 폐이차전지에서 코발트 이온(Co2 +)의 회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를 포함하는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 장치는 색 변화를 통하여 코발트 이온(Co2 +)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 장치는 프로브(prob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발트 이온 검출 장치는 색 변화 화학센서(chromogenic chemosensor)로서 고체 센서(solid sensor)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조
4-((2-아미노페닐)아미노)-3-니트로-2H-크로멘-2-온 (4-((2-Aminophenyl)amino)-3-nitro-2H-chromen-2-one) 0.80g(3 mmol)과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chloroacetyl chloride) 244 μL(6 mmol)를 메틸렌클로라이드 5 mL에 넣어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노란색 침전물이 생성되면, 걸러내어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2-클로로-N-(2-((3-니트로-2-옥소-2H-크로멘-4일)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2-chloro-N-(2-((3-nitro-2-oxo-2H-chromen-4yl)amino)phenyl)acetamide)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2-클로로-N-(2-((3-니트로-2-옥소-2H-크로멘-4일)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0.74 g(2 mmol), 2-(아미노메틸)-피리딘(2-(aminomethyl)-pyridine) 205 μL(2 mmol), 및 요오드화칼륨(potassium iodide) 0.58 g(3.5 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 mL에 넣어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노란색 침전물을 걸러내어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0.45 g, 수율 50 %)을 얻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1H-NMR, 13C-NMR, IR 및 EA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 (DMSO-d6, 400 MHz): δ: 10.11 (s, 1H), 9.88 (s, 1H), 8.28 (d, J = 4 Hz, 1H), 8.23 (d, J = 8 Hz, 1H), 7.83 (d, J = 8 Hz, 1H), 7.72 (t, J = 8 Hz, 1H), 7.44 (m, 2H), 7.3 (m, 3H), 7.21 (d, J = 8 Hz, 1H), 7.08 (m, 2H), 3.93 (s, 1H), 3.56 (s, 3H).
13C-NMR (DMSO-d6, 100 MHz): δ: 170.57, 158.30, 155.74, 151.88, 149.37, 147.23, 137.03, 134.83, 133.66, 128.71, 128.59, 126.05, 125.24, 124.89, 123.37, 123.30, 122.89, 117.96, 117.35, 115.07, 59.88, 58.36 ppm.
IR (cm-1, KBr pellet): 3436 (b, vO-H, typical for intramolecular hydrogen bonded O-H), 3000-2800 (vC-H), 1632 (vCvN), 1610, 1582, 1498, 1459, 1430, 1337, 756.
Anal. Calcd for C23H19N5O5 (445.14): C, 62.02; H, 4.30; N, 15.72%.
Found: C, 62.34; H, 4.42; N, 15.51%.
상기 분석을 통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다양한 금속 이온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광 분석
UV-Vis기기(Perkin-Elmer model Lambda 2S UV/Vis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금속 이온과 반응시켜 UV-Vis 흡수파장 성질을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4.5 mg, 0.01 mmol)을 1 mL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12 μL(10 mM)를 취해 2.988 mL의 비스-트리스 버퍼 용액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4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Na+, K+, Mg2 +, Ca2+, Al3 +, Ga3 +, In3 +, Cr3 +, Mn2 +, Fe2 +, Fe3 +, Co2 +, Ni2 +, Cu2 +, Zn2 +, Cd2 + 또는 Pb2 + 등의 다양한 금속 이온(1 당량) 용액을 각각 넣어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금속이온 중 철 이온(Fe2 +)을 제외한 모든 금속이온은 질산염(nitrate salt)을 사용하였고, 철 이온(Fe2 +)은 과염소산염(perchlorate salt)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비스-트리스 버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Na+, K+, Mg2 +, Ca2 +, Al3 +, Ga3 +, In3 +, Cr3 +, Mn2 +, Fe2 +, Fe3 +, Ni2 +, Cu2+, Zn2 +, Cd2 + 또는 Pb2 +의 금속 이온을 각각 포함한 용액의 흡광도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광도와 거의 차이가 없었고(도 1), 색 변화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도 2). 반면, 코발트 이온(Co2 +)을 첨가한 경우에만 흡수 파장이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 무색에서 옅은 보라색으로의 색 변화가 관찰되었다 (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코발트 이온( Co 2 + )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적정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4.5 mg, 0.01 mmol)을 1 mL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12 μL(10 mM)를 취해 2.988 mL의 비스-트리스버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4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코발트 이온(Co2 +)의 농도를 0.1 내지 1.1 당량으로 0.1 당량씩 증가시키면서 UV-vis 기기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코발트 이온(Co2 +)의 양이 1 당량까지 증가할수록 315 nm에서 흡광도는 감소하였고, 550 nm 에서 새로운 흡수파장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98 nm 및 328 nm에서 등흡광점(isosbestic point)이 관찰되었다(도 3).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의 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UV-Vis을 사용하여 잡플랏(Job’s plot)을 얻었고, 결합비가 1 대 1임을 알 수 있었다 (도 4).
실험예 3. 코발트 이온( Co 2 + )과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ESI -MS 실험
코발트 이온(Co2 +)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결합비를 알아보기 위하여 코발트 이온(Co2 +)과 결합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전기분무 이온화 질량 분광계(ESI-MS)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당량의 코발트 이온(Co2 +)과 1 당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결합했을 때의 값(m/z=899.93, 이론값: 900.13)에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은 1: 1의 결합비로 결합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실험예 4. 결합 방해 실험
다른 금속 이온들이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의 결합을 방해하는지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흡광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4.5mg, 0.01 mmol)을 1 mL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12 μL(10 mM)를 취해 2.988 mL의 비스-트리스 버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 4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에 다른 금속이온(Na+, K+, Mg2 +, Ca2 +, Al3 +, Ga3 +, In3 +, Cr3 +, Mn2 +, Fe2 +, Fe3 +, Ni2 +, Cu2 +, Zn2 +, Cd2+, Pb2 +)을 각각 1 당량씩 넣은 후, 코발트 이온(Co2 +)도 1 당량을 넣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Na+, K+, Mg2 +, Ca2 +, Al3 +, Ga3 +, In3 +, Cr3 +, Mn2 +, Fe2 +, Fe3 +, Ni2 +, Cu2+, Zn2 +, Cd2 + 및 Pb2 + 등의 금속 이온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코발트 이온(Co2 +)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및 도 8).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른 금속 이온의 존재 하에서도 코발트 이온(Co2 +)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pH 변화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코발트 이온( Co 2 + ) 검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코발트 이온(Co2 +)을 검출하는데 있어 pH에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자 다양한 pH 범위에서 흡광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4.5mg, 0.01 mmol)을 1 mL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12 μL(10 mM)를 취해 2.988 mL의 비스-트리스(bis-tris) 버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 4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비스-트리스 버퍼에 용해한 코발트 이온(Co2 +)을 6 μL(20 mM) 첨가하였으며, UV-vis 기기를 사용하여 pH 2 내지 12에서 상기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코발트 이온(Co2 +)에 대한 선택성은 pH 6 내지 12에서 나타났으며, pH 6 내지 10에서 보다 우수한 선택성을 보였다. (도 9).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pH 6 내지 12의 범위에서 코발트 이온(Co2+)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수돗물과 음용수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코발트 이온(Co 2+ ) 정량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해 코발트 이온(Co2 +)을 정량분석 하기 위해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작성하여 수돗물(tap water)과 음용수(drinking water)에 코발트 이온(Co2 +)을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돗물에서는 코발트 이온(Co2 +)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0.00 μM, 코발트 이온(Co2 +)을 10.00 μM을 첨가하였을 때는 9.80 μM을 검출하여 회수율(recovery)이 98.0%(상대표준편차(R.S.D.)= 0.3)으로 우수한 값이 나왔다.
음용수에서는 코발트 이온(Co2 +)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0.00 μM, 코발트 이온(Co2+)을 8.00 μM을 첨가하였을 때는 7.78 μM을 검출하여 회수율(recovery)이 97.3%(상대표준편차(R.S.D.)= 1.0)으로 우수한 값이 나왔다 (도 10).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수돗물과 음용수에서 코발트 이온(Co2+)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실리카에 담지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코발트 이온( Co 2 + )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4.5 mg, 0.01 mmol)을 10 m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이 용액에 실리카 (0.063 내지 0.200 mm) 0.5 g을 첨가한 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비스-트리스 버퍼에 용해한 코발트이온(Co2 +) 1mL(1mM)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준비한 실리카에 담지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이후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그 결과, 용액 상에서 코발트 이온(Co2 +)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선택성과 마찬가지로, 실리카에 담지된 화학식 1의 화합물도 코발트 이온(Co2 +)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옅은 보라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1).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리카에 담지 된 후에도 코발트 이온(Co2+)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코발트 이온(Co2 +)의 검출제를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 장치로서 색 변화 화학센서(chromogenic chemosensor)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화학센서는 고체 센서(solid sensor)일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5125958673-pat00004
  2. 2-클로로-N-(2-((3-니트로-2-옥소-2H-크로멘-4일)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및 2-(아미노메틸)-피리딘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조 방법.
  3. 청구항 1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
  4. 삭제
  5. 청구항 3의 코발트 이온(Co2 +) 검출제를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Co2 +) 검출 장치.
KR1020150184058A 2015-12-22 2015-12-22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KR10173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58A KR101732280B1 (ko) 2015-12-22 2015-12-22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58A KR101732280B1 (ko) 2015-12-22 2015-12-22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280B1 true KR101732280B1 (ko) 2017-05-02

Family

ID=5874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058A KR101732280B1 (ko) 2015-12-22 2015-12-22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61A (ko) 2018-06-25 2020-01-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발트(Co2+) 이온 검출을 위한 형광 유기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형광 유기 나노 입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188B1 (ko) 2015-03-16 2016-03-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쿠마린-나프톨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구리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638682B1 (ko) 2014-07-23 2016-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퀴놀린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아연이온, 카드뮴이온 및 코발트 이온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82B1 (ko) 2014-07-23 2016-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퀴놀린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아연이온, 카드뮴이온 및 코발트 이온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KR101599188B1 (ko) 2015-03-16 2016-03-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쿠마린-나프톨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구리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yes and Pigments, Volume 109, 2014.10, Pages 127-134
Inorganic Chemistry Communications, 2015.01, Volume 51,Pages 90-9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61A (ko) 2018-06-25 2020-01-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발트(Co2+) 이온 검출을 위한 형광 유기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형광 유기 나노 입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06B1 (ko) 레이셔메트리 거동을 갖는 수은 선택적 형광 감응성화학센서
Tang et al. A highly selective and ratiometric fluorescent sensor for relay recognition of zinc (II) and sulfide ions based on modulation of excited-state intramolecular proton transfer
Lee et al. A multifunctional sensor: chromogenic sensing for Mn2+ and fluorescent sensing for Zn2+ and Al3+
Xu et al. A simple fluorescent probe for Cd 2+ in aqueous solution with high selectivity and sensitivity
Lu et al. A novel chemosensor based on Fe (III)-complexation for selective recognition and rapid detection of fluoride anions in aqueous media
Long et al. A new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probe based on Rhodamine B hydrazone derivatives for cyanide and Cu2+ in aqueous media and its application in real life
Gupta et al. Azoaniline-based rapid and selective dual sensor for copper and fluoride ions with two distinct output modes of detection
Li et al. A novel optical probe for Hg2+ in aqueous media based on mono-thiosemicarbazone Schiff base
Zhou et al. Ratiometric fluorescent Zn2+ chemosensor constructed by appending a pair of carboxamidoquinoline on 1, 2-diaminocyclohexane scaffold
Liu et al. A cyclometalated iridium (III) complex-based luminescent probe for HCO3− and CO32− detection and its application by test strips
Cui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a terbium (III) complex-based luminescence probe for time-gated luminescence detection of mercury (II) Ions
Bhalla et al. Terphenyl based ‘Turn On’fluorescent sensor for mercury
Yue et al. A highly selective “turn-on” fluorescent chemosensor based on 8-aminoquinoline for detection of Zn 2+
KR101732280B1 (ko) 신규한 쿠마린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 검출제, 회수 방법 및 검출 장치
KR101105381B1 (ko) 수은 선택적 형광감응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은 선택적 형광감응성 화학센서
US8377698B2 (en) 8-hydroxyquinoline acetamide compound, 8-hydroxy quinoline thioamide compound and use thereof
Yan et al. A new perylene diimide-based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sensor for selective detection of Cu2+ cation
KR101519442B1 (ko) 신규한 2,3-qa, 2,3-qp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아연이온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CN113387839B (zh) 一种2-氨基-3-(3-苯基-烯丙氨基)-2-二腈、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645799B1 (ko)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CN105334201B (zh) 一种应用三苯胺类染料检测三价铁离子的方法
Li et al. A novel pyrazine derivative as a “turn on” fluorescent sensor for the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Al 3+
CN103194212A (zh) 一种接力识别Zn2+和S2-的比率型荧光探针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03333679B (zh) 一种基于激发态分子内质子转移调控的荧光探针及其合成方法和应用
Choi et al. Schiff base functionalized 1, 2, 4-triazole and pyrene derivative for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Cu2+ ion in the mixed organic-aqueous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