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799B1 -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799B1
KR101645799B1 KR1020140098349A KR20140098349A KR101645799B1 KR 101645799 B1 KR101645799 B1 KR 101645799B1 KR 1020140098349 A KR1020140098349 A KR 1020140098349A KR 20140098349 A KR20140098349 A KR 20140098349A KR 101645799 B1 KR101645799 B1 KR 10164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ion
formula
cyanide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725A (ko
Inventor
김철
이슬아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7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에 특이적으로 선택성이 있는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A Novel Julolidine Based Compounds, Agent Selecting Aluminum Ion Or Cyanide Ion Using The Same, Detecting Method And Detec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에 특이적으로 선택성이 있는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가장 흔한 금속이며 지표면에서 산소와 규소 다음으로 풍부한 성분이다. 그러나 과다한 알루미늄은 인간의 조직과 세포에 손상을 유발시켜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WHO에서는 과다한 알루미늄을 식품오염원의 하나로 규정했으며, 음용수의 알루미늄 농도를 200μg/L(7.41μM)로 제한하였다. 게다가 물에서 알루미늄 무기물의 용해도는 산성 조건하에 증가하며, 이런 알루미늄 이온(Al3 +)의 증가는 식물과 어류에 치명적이다. 따라서, 넓은 pH 범위에서 WHO가 권장한 제한 농도 이하에서 알루미늄 이온(Al3 +)을 검출할 수 있는 민감하고 선택적인 센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시안화 음이온(CN-)은 가장 빠르게 작용하는 독극물로 알려져 있으며, 시안화 음이온(CN-)의 유독성은 시토크롬c 산화효소의 철 이온과 결합하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철 이온과 결합하면 시안화 음이온(CN-)이 전자 전달을 방해하여 저산소혈증을 일으킨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시안화 음이온(CN-)이 많은 화재관련 사망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안화 음이온(CN-)의 독성에도 불구하고 섬유와 수지, 제초제의 합성 원료와 금 채취에 시안화 음이온(CN-)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시안화 음이온(CN-)을 검출할 수 있는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시안화 음이온(CN-)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화학 센서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른 요소의 간섭 없이 간단한 색 변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안화 음이온(CN-) 수용체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시안화 음이온(CN-) 수용체는 플로라이드와 아세트산 이온을 검출하거나, 비싼 기기를 사용하거나, 합성과정이 복잡하고, 오직 유기용매에서만 검출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수용액 상에서 시안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다.
금속 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화학센서의 발전은 생물학적 산업과 환경적 과정에서 중요한 적용 가능성 때문에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이다. 게다가 여러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하나의 수용체는 좀 더 효과적이며, 단일 검출 수용체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다. 금속 이온과 음이온 모두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 중 형광과 색 변화 검출 방법은 그들의 높은 민감성과 쉬운 조작, 빠른 반응, 적은 비용으로 더욱 인기가 있다.
따라서, 수용액 상에서 금속 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화학센서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Soojin Kim, Jin Young Noh, Sol Ji Park, Yu Jeong Na, In Hong Hwang, Jisook Min, Cheal Kim, Jinheung Kim. RSC Advances. 4 (2014) 18094-18099
본 발명은 금속 이온 중에서 알루미늄 이온(Al3 +)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형광을 방출하며, 음이온 중에서 시안화 이온(CN-)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색 변화를 나타내는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주롤리딘 화합물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의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72822909-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8-하이드록시주롤리딘-9-카복사알데하이드 및 벤즈하이드라자이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은 금속 이온과 배위 결합하여 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하면 형광이 방출되어 알루미늄 이온(Al3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세포 내의 알루미늄 이온(Al3 +)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은 시안화 이온(CN-)과 결합하면 색 변화가 관찰되어 시안화 이온(CN-)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다양한 금속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형광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알루미늄 이온(Al3 +)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형광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알루미늄 이온(Al3 +)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 488nm에서 측정한 형광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의 결합비를 나타낸 잡플랏(Job's plot)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이 1:1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ESI-MS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알루미늄 이온(Al3 +)을 검출할 때, 다양한 금속 이온으로부터 방해를 받는지를 형광의 세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pH 2 내지 12에서 알루미늄 이온(Al3 +)의 유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광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의 A, B, C, D, E, F 및 G는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알루미늄 이온(Al3 +)을 각각 0, 10, 20, 40, 70, 90 및 100μM을 첨가하였을 때의 사진이고, H, I, J, K, L, M 및 N은 상기 A, B, C, D, E, F 및 G에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각각 20μM 첨가하였을 때의 형광 발현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다양한 음이온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다양한 음이온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30% 메탄올 수용액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시안화 이온(CN-)의 농도를 10 내지 200 당량 증가시켰을 때의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13은 30% 메탄올 수용액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시안화 이온(CN-)의 농도를 10 내지 200 당량 증가시켰을 때의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30% 메탄올 수용액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시안화 이온(CN-)의 농도를 10 내지 40 당량 증가시켰을 때의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15는 30% 메탄올 수용액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시안화 이온(CN-)의 농도를 40 내지 200 당량 증가시켰을 때의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시안화 이온(CN-)을 검출할 때, 다양한 음이온으로부터 방해를 받는지를 관찰한 흡광도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시안화 이온(CN-)을 검출할 때, 다양한 음이온으로부터 방해를 받는지를 관찰한 색 변화 사진이다.
도 18은 30% 메탄올 수용액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시안화 이온(CN-)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의 1H-NMR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72822909-pat00002

화학 센서로 사용되는 주롤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8-하이드록시주롤리딘-9-카복사알데하이드는 잘 알려진 발색단이며, 물에 잘 용해된다. 또한, 벤즈하이드라자이드 또는 아마이드 그룹을 포함한 구조는 음이온과 수소 결합을 통해 음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색단을 가지는 주롤리딘계 화합물과 물에서 금속 이온과 음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벤즈하이드라자이드 그룹을 포함하는 구조를 합성하여, 금속 이온 및 음이온을 모두 검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주롤리딘 구조 및 벤즈하이드라자이드를 포함하고 있어 금속 이온 및 음이온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금속 이온 중에서는 알루미늄 이온(Al3 +)을 검출하며, 음이온 중에는 시안화 이온(CN-)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8-하이드록시주롤리딘-9-카복사알데하이드 및 벤즈하이드라자이드를 반응을 통하여 제조되며, 상온에서 반응을 진행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양한 금속 이온(예컨대, Mn2 +, Fe2 +, Fe3 +, Co2+, Ni2 +, Cu2 +, Zn2 +, Cd2 +, Hg2 +, Na+, K+, Mg2 +, Ca2 +, Al3 +, Pb2 +, Cr3 +, Ga3 +, In3 +) 중에서도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하는 경우 형광의 세기가 크게 증가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양한 음이온(예컨대, CN-, F-, Cl-, Br-, I-, OAc-, SO4 2 -, N3 - ) 중에서도 시안화 이온(CN-)과 결합하였을 때 색 변화가 관찰된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금속 이온 중에서 알루미늄 이온(Al3 +), 음이온 중에서 시안화 이온(CN-)에 선택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이온(Al3 +) 검출제는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는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증류수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증류수 및 메탄올이 0:10 내지 8:2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하여 형광의 세기가 변화하고, 시안화 이온(CN-)과 결합하여 색 변화가 나타나는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를 포함하는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 장치는 형광 또는 색 변화를 통하여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 장치는 프로브(prob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조
벤즈 하이드라자이드 0.14g(1 mmol)을 에탄올 3mL에 녹인 후, 상기 용액에 8-하이드록시주롤리딘-9-카복사알데하이드 0.23g(1 mmol)를 넣어 서로 혼합하였다. 그 후, 2 방울의 염산을 반응 용액에 넣어준 후 상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노란색 침전물을 걸러내어 차가운 에탄올로 여러 번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 화합물을 얻었으며, 반응식은 하기와 같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72822909-pat00003

또한, 상기 화합물을 1H-NMR, 13C-NMR, HRMS 및 EA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수율: 0.17 mg (51 %).
1H-NMR (DMSO-d6, 400 MHz): δ 11.79 (s, 1H), 11.78 (s, 1H), 8.31 (s, 1H), 7.91 (d, 2H), 7.59 (t, 1H), 7.52 (t, 2H), 6.72 (s, 1H), 3.18 (m, 4H), 2.62 (m, 4H), 1.86 (m, 4H).
13C-NMR (DMSO-d6, 400 MHz): 162.78, 155.37, 151.58, 145.90, 133.83, 132.31, 129.14, 128.96, 128.15, 113.10, 106.96, 106.45, 50.00, 49.54, 27.21, 22.20, 21.38, 20.91 ppm.
HRMS (ESI): [M + H+] : calcd, 335.16, found, 335.23.
EA : Anal. Calcd for C20H21N3O2 (335.41): C 71.62, H 6.31, N 12.53 %
Found: C 71.45, H 6.45, N 12.39 %.
상기 분석을 통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다양한 금속 이온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광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10μL(3 mM)을 취해 2.99 mL의 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10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19 당량의 다양한 금속 이온(Mn2 +, Fe2 +, Fe3 +, Co2 +, Ni2+, Cu2 +, Zn2 +, Cd2 +, Hg2 +, Na+, K+, Mg2 +, Ca2 +, Al3 +, Pb2 +, Cr3 +, Ga3 +, In3 +)용액을 각각 넣어 형광(fluorescence) 기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λex = 410 nm). 상기 금속 이온 용액은 모두 질산염(nitrate salt)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Mn2 +, Fe2 +, Fe3 +, Co2 +, Ni2 +, Cu2 +, Zn2 +, Cd2 +, Hg2 +, Na+, K+, Mg2 +, Ca2+, Pb2 +, Cr3 +, Ga3 + 및 In3 +과 같은 금속 이온은 형광 세기가 거의 증가하지 않았고 형광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알루미늄 이온(Al3 +)은 강한 형광세기의 증가를 보였다(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도 1)하여 형광을 방출하므로, 알루미늄 이온(Al3 +)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알루미늄 이온( Al 3 + )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광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10 μL(3 mM)을 취해 2.99 mL의 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1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알루미늄 이온(Al3 +) 의 농도를 1 내지 19 당량으로 1 당량씩 증가시키면서 형광기기를 사용하여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도 3).
알루미늄 이온(Al3 +)의 당량이 증가할수록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10 당량 이후부터는 형광의 세기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19 당량까지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였고, 그 이후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4). 또한, 잡플랏(Job's plot)을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의 결합비가 1 대 1임을 알 수 있었다(도 5).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의 결합비를 알아보기 위하여 ESI-MS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 개의 알루미늄 이온(Al3 +)과 두 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결합했을 때의 값(m/z=423.60, 이론값:423.125)에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어,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은 1:1 결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6).
실험예 3. 다른 금속 이온들 및 pH 가 알루미늄 이온( Al 3 + )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광 세기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10 μL(3 mM)을 취해 2.99 mL의 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1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에 다른 금속이온(Mn2 +, Fe2 +, Fe3 +, Co2+, Ni2 +, Cu2 +, Zn2 +, Cd2 +, Hg2 +, Na+, K+, Mg2 +, Ca2 +, Pb2 +, Cr3 +, Ga3 +, In3 +)을 각각 19 당량씩 넣은 후, 알루미늄 이온(Al3 +)도 19 당량을 넣어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n2 +, Co2 +, Ni2 +, Zn2 +, Cd2 +, Hg2 +, Na+, K+, Mg2 +, Ca2 +, Pb2 +, Ga3 +, In3+등의 금속 이온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의 형광 세기를 방해하지 않았으나, Fe2 +, Fe3 +, Cu2 +, Cr3 + 등의 금속 이온은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Al3 +)의 상호작용을 다소 방해하였다(도 7).
또한, 알루미늄 이온(Al3 +)과 결합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pH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도 8).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10 μL(3 mM)을 취해 2.99 mL의 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10 μM로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에 알루미늄 이온(Al3 +) 30 mM을 넣고 pH 2에서 12까지 각각의 용액을 형광기기로 측정하였다. pH 3 내지 11에서 형광 감도를 나타냈으며, pH 4 내지 10에서 우수한 형광 감도를 나타내었다. pH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형광세기가 약했으며, 알루미늄 이온(Al3 +)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형광의 세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4.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알루미늄 이온( Al 3 + ) 의 세포 내 이미지 분석
알루미늄 이온(Al3 +)의 존재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광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를 각각 0, 10, 20, 40, 70, 90 및 100μM(도 9의 A 내지 G)의 알루미늄 이온(Al3 +)에 네 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20 μL(2 mM)을 취해 2.98 mL의 물에 희석시켜 최종농도를 20 μM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에 30 분간 노출시킨 후 형광 이미지를 관찰하였다(도 9의 H 내지 N).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는 알루미늄 이온(Al3 +)이 존재하지 않거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없을 경우에는 형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세포 내의 형광 세기는 알루미늄 이온(Al3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함께 증가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세포 내의 알루미늄 이온(Al3 +)을 형광으로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5. 다양한 음이온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광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30 μL(3 mM)을 취해 2.97 mL의 30% 메탄올 수용액에 희석시켜 최종농도 30 μM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다양한 음이온(CN-, F-, Cl-, Br-, I-, OAc-, SO4 2 -, N3 -)용액을 각각 200 당량씩 넣어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기 음이온 용액은 모두 사에틸암모늄염(tetraethylammonium salt)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시안화 음이온(CN-)은 무색에서 노란색으로 색이 변하였고, 다른 음이온은 색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11). 또한, 농도가 30 μM 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에 200 당량의 다양한 음이온(CN-, F-, Cl-, Br-, I-, OAc-, SO4 2 -, N3 -)을 각각 넣어 UV-vis로 관찰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다른 음이온의 경우에는 스펙트럼의 차이가 거의 없고, 시안화 음이온(CN-)의 경우 파장이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시안화 음이온(CN-)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시안화 이온( CN - )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광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시안화 음이온(CN-)의 결합 성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UV 적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30 μL(3 mM)을 취해 2.97 mL의 30% 메탄올 수용액에 희석시켜 최종농도 30 μM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시안화 음이온(CN-)의 농도를 10 내지 200 당량으로 10 당량씩 점점 증가시키면서 UV-vis 기기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12). 시안화 이온(C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450nm에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3).
보다 자세하게는, 시안화 이온(CN-)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의 결과가 두 단계로 나뉘었는데, 첫번째 단계로, 시안화 음이온(CN-)의 농도가 40 당량까지 증가할 수록 478 nm에서 흡광도는 감소하고, 350 nm와 400 nm 에서 새로운 흡수파장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4). 또한, 337 nm 및 408 nm에서 등흡광점(isosbestic point)이 관찰되었다.
두번째 단계로, 시안화 음이온(CN-) 의 농도가 40 당량부터 200 당량까지 증가할수록 370 nm에서 흡광도는 감소하고, 290nm와 450nm에서 새로운 흡수파장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24nm 및 403nm에서 등흡광점(isosbestic point)이 관찰되었다(도 15).
상기 두 단계의 과정에 따라 페놀의 -OH와 아마이드의 -NH에서 수소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흡수 파장의 장파장쪽 이동(bathochromic shift)은 시안화 음이온(CN-)에 의한 화학센서의 탈양성자 반응이 ICT(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를 일으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다른 음이온들이 시안화 이온( CN - )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시안화 이온(CN-)의 흡광도에 다른 음이온들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1.01 mg, 0.003 mmol)을 1 mL 메탄올에 녹인 후 30 μL(3 mM)을 취해 2.97 mL의 30% 메탄올 수용액에 희석시켜 최종농도 30 μM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에 다른 음이온(F-, Cl-, Br-, I-, OAc-, SO4 2 -, N3 -)을 각각 200 당량씩 넣은 후, 시안화 이온(CN-)도 200 당량을 넣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16).
다른 음이온들(F-, Cl-, Br-, I-, OAc-, SO4 2 -, N3 -)은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시안화 음이온(CN-)의 흡광도를 방해하지 않았으며, 색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도 17).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른 음이온의 존재 하에서도 시안화 이온(CN-)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가져 시안화 이온(CN-)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검출제로서 사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 시안화 이온( CN - )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양성자 핵자기 공명( 1 H- NMR ) 적정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시안화 이온(CN-)에 의해서 탈양성자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DMSO-d 6 에서 1H-NMR 적정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3.35 mg, 0.01 mmol)을 700 μL에 DMSO-d 6 에 녹인 후, 상기 용액에 시안화 이온(CN-)을 각각 0, 0.5, 1.0, 2.0, 5.0 당량씩 넣고 1H-NMR을 측정하였다(도 18).
2 당량의 시안화 이온(CN-)을 넣었을 때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H 양이온과 아마이드 그룹의 H 양이온 피크가 완전히 사라졌다. 상기 결과는 시안화 이온(CN-)의 첨가가 하이드록실그룹과 아마이드 그룹의 탈양성자 반응을 일으켰음을 의미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
    [화학식 1]
    Figure 112016023537641-pat00023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이온(Al3 +) 검출제는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는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 및 메탄올은 0:10 내지 8: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제.
  9.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6023537641-pat00024
  10. 청구항 3의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제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장치는 프로브(prob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Al3 +) 또는 시안화 이온(CN-) 검출 장치.
KR1020140098349A 2014-07-31 2014-07-31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64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49A KR101645799B1 (ko) 2014-07-31 2014-07-31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49A KR101645799B1 (ko) 2014-07-31 2014-07-31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25A KR20160015725A (ko) 2016-02-15
KR101645799B1 true KR101645799B1 (ko) 2016-08-04

Family

ID=553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349A KR101645799B1 (ko) 2014-07-31 2014-07-31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26B1 (ko) * 2017-08-08 2018-07-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쿠마린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시안 이온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안 이온 검출 방법
CN108456236B (zh) * 2018-03-26 2018-12-11 南京晓庄学院 一种Al3+多信号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821B1 (ko) * 2012-05-08 2015-07-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O-페놀살리실이민(psi)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 검출제,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 J. Chem., Vol. 38, pp. 2587-2594 (2014.03.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25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684B2 (en) Method for making Schiff base
Patil et al. Exploiting the higher alkynophilicity of Au-species: development of a highly selective fluorescent probe for gold ions
Park et al. A new coumarin-based chromogenic chemosensor for the detection of dual analytes Al 3+ and F−
Park et al. Solvent-dependent chromogenic sensing for Cu2+ and fluorogenic sensing for Zn2+ and Al3+: a multifunctional chemosensor with dual-mode
US9371448B2 (en) Imidazo[1,5-a]pyridinium ion fluoropho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Li et al. A novel optical probe for Hg2+ in aqueous media based on mono-thiosemicarbazone Schiff base
CN105349135B (zh) 一种检测铅离子的荧光探针及制备方法
CN110964515B (zh) 一种双席夫碱铝离子荧光探针、其合成方法及其应用
Sangeetha et al. Structurally modified 1, 10-phenanthroline based fluorophores for specific sensing of Ni 2+ and Cu 2+ ions
Bhatta et al. Ferrocene appended fluorescein-based ratiomeric fluorescence and electrochemical chemosensor for Fe3+ and Hg2+ ions in aqueous media: Application in real samples analysis
Yan et al. A new dual-function fluorescent probe of Fe3+ for bioimaging and probe-Fe3+ complex for selective detection of CN−
Chemate et al.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chemosensors for Cu 2+ and Al 3+ based on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PET) mechanism
CN108250198A (zh) 一种久洛尼定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52643B1 (ko) 줄로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645799B1 (ko) 신규한 주롤리딘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375564B1 (ko) 아미노산에서 유래되는 수은 이온 선택적, 비례적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KR101179513B1 (ko)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7027A (ko) O-페놀살리실이민(psi)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이온 검출제,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Harathi et al. Terpyridine-Zn (II) based water-soluble fluorescent probes for selective detection of pyrophosphate ions in aqueous medium and its bioimaging application in living cells
Ye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a new terbium complex-based luminescent probe for time-resolved luminescence sensing of zinc ions
KR101548806B1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이용한 크롬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519442B1 (ko) 신규한 2,3-qa, 2,3-qp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아연이온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Khatua et al. Direct dizinc displacement approach for efficient detection of Cu2+ in aqueous media: acetate versus phenolate bridging platforms
KR101599188B1 (ko) 신규한 쿠마린-나프톨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구리 이온 또는 시안화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KR101638682B1 (ko) 퀴놀린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아연이온, 카드뮴이온 및 코발트 이온 검출제, 검출 방법 및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