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251B1 -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251B1
KR101732251B1 KR1020150058208A KR20150058208A KR101732251B1 KR 101732251 B1 KR101732251 B1 KR 101732251B1 KR 1020150058208 A KR1020150058208 A KR 1020150058208A KR 20150058208 A KR20150058208 A KR 20150058208A KR 101732251 B1 KR101732251 B1 KR 10173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driving
us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742A (ko
Inventor
박종규
나영민
이현석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H01M2/10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노화로 허리가 구부려져 신체의 무게중심이 신체 전방으로 이동되어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신체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게 하여 보행에 도움을 주는 노년층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서 가슴부위의 높이로 되며 보행시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이 유지되게 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 하단에 위치하며 저속구동력이 지주부에 제공되는 구동부, 상기 지주부 상측에 위치하며 신체의 균형 유지시 흉부를 받쳐주는 상체지지부와, 상기 지주부 중간에 설치되어 보행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파지력에 의해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에는 시용자의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부러진 신체를 받쳐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몸 전체로 분산되게 하는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로 이루어 지며, 이는 구부러진 상체를 보행보조기에서 받쳐 주는 상태로 보행할 수 있어 신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팔 또는 어깨에 집중되지 않고 신체 전체로 힘이 분산되므로 신체에 무리함이 없고, 지주부의 길이와 상체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이용자의 선택 폭이 넓고,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며,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바퀴가 저속으로 회전되고 손잡이를 놓으면 전원공급이 정지되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walking assistant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alk}
본 발명은 신체의 노화로 허리가 구부러짐으로 인해 보행이 원할 하지 않은 노년층의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허리가 구부려져 신체의 무게중심이 신체 전방으로 이동되어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팡이와 같은 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보조기에 가해지는 힘이 신체 전체로 고르게 분사되게 하여 보행에 도움을 주는 노년층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선진화 및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 수명이 증가되면서 고령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함께 노인 인구의 급증함에 따라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과 상품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현실적으로 증가되는 상태이다.
이처럼 노인을 위한 배려 제품 중에 한 가지가 보행 보조기인데, 신체가 노화되면 신체의 노화로 허리가 구부러지는 경향이 많은데. 허리가 구부러지면 신체의 무게중심이 상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신체 균형을 유지하며 보행하기 위해 지팡이 또는 보행기를 자연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노인들이 사용하는 지팡이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지팡이 상단을 한 손으로 쥐고, 걸음하기 전에 지팡이를 통해 힘을 주고 발걸음을 옮기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지팡이를 잡은 손에는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한쪽 어깨와 팔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행기는 양손으로 잡고 걸음하기 전에 보행기를 먼저 이동시키고 뒤따라가는데, 이 역시 두 손으로 보행기를 지지하므로 어깨와 팔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노인들의 어깨 또는 팔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기 또는 보행기에 신체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보행 시에 신체의 힘이 집중적으로 요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조장치가 대한민국 특허등록10-1148503호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이하 선등록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은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에 위치하며,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바퀴(121,131); 상기 구동바퀴에 걸리는 모멘트를 측정하는 센서부(124,134);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모멘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바퀴에 외력이 가해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123,133)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24,134)는 상기 구동바퀴(121,131)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160)에서 상기 회전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바퀴(121,131)에 걸리는 모멘트를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124,134)에서 측정된 회전속도에 의해 산출된 모멘트와 외력이 없을 때 상기 모터(123,133)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한 이론적인 모멘트의 차이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산출하여 상기 모터(123,13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이다.
상기 선등록 된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보행 의지력을 파악할 시 바퀴의 회전속도와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바퀴(또는 모터)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산출하여 보행 의지력의 유무를 파악해 내는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드시 특정 부분을 잡거나 기대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보행 의지력을 파악할 수 있 다.
또한, 각각의 바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모멘트를 산출하고 각각의 바퀴를 따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방향 및 보행 의지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보행 보조기의 지지프레임에 별다른 장치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보행 의지력을 파악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된 보행 보조기의 구성에서는 이용자의 보행 의지력을 파악하여 모터가 제어되게 하는 구성이므로 사용에 편리함은 제공되지만, 구부러진 허리로 인하여 변형된 신체 무게 중심은 보조할 수 없으므로 구부러진 노인이 선등록 된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14850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노년층의 보행 시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로 보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받쳐주어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하며,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은 몸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바닥에서 가슴부위의 높이로 되며 보행시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이 유지되게 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 하단에 위치하며 저속구동력이 지주부에 제공되는 구동부; 상기 지주부 상측에 위치하며 신체의 균형 유지시 흉부를 받쳐주는 상체지지부: 상기 지주부 중간에 설치되어 보행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파지력에 의해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에는 시용자의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유지 시 신체의 무게가 몸 전체로 분산되게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제1봉과, 상기 상체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봉으로 삽입되는 제2봉으로 되고 , 제1봉에서 제2봉이 슬라이드 및 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주부의 하단에서 구동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저속구동력이 이동바퀴에 전달되는 스텝핑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가슴부위를 기댈 수 있도록 표면에 오목한 원호면을 구비한 지지체와, 상기 지주부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지지체가 설치되게 연결대의 양측면으로 체결하는 조절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잡는 상태에 따라 스텝핑모터가 온,오프되는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전원충전 여부를 알람으로 지시하는 회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지주부의 제1봉의 입구 주연에 형성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조임링으로 되어 조임링의 조임과 풀음으로 지주부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가 구부러진 이용자가 보행할 때 구부러진 상체를 보행보조기에서 받쳐 주는 상태로 보행할 수 있어 신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팔 또는 어깨에 집중되지 않고 신체 전체로 힘이 분산되므로 신체에 무리함이 없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신체에 따라서 지주부의 길이와 상체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이용자의 선택 폭이 넓고,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그리고, 보행시에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바퀴가 저속으로 회전되고 손잡이를 놓으면 전원공급이 정지되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 보조기의 사시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보조기의 측면 상태도.
도 3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보조기의 정면상태도.
도 4 (a)(b)는 본 발명 중 지주부의 길이조절 상태를 보인 단면 및 분리도.
도 5은 본 발명 중 제어부에 대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중 구동부에 대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는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선등록 된 보행 보조기에 대한 사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T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 보조기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보조기의 측면 상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보행보조기의 정면상태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면에 표현된 내용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기술적 구성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는 바닥에서 가슴부위의 높이로 되며 보행 시 구부러진 신체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지주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주부(100) 하단에는 보행하기에 알맞는 저속구동력이 지주부(100)에 제공되게 하는 구동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주부(100) 상측에는 구부러진 신체의 흉부를 받쳐주어 넘어지지 않게 균형을 유지시키는 상체지지부(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주부(100) 중간으로는 보행걸음 시 지주부(100)를 들어 옮기도록 파지하는 손잡이(450)와, 상기 손잡이(450)를 파지하는 파지력에 의해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제어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100)에는 시용자의 신체에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500)를 더 구비하여서 노년층의 구부러진 신체를 받쳐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신체의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몸 전체로 분산되게 하는 보행 보조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에서 길이가 조절되는 지주부(100)는, 상기 구동부(200)가 설치되는 제1봉(120)과, 상기 상체지지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봉(120)으로 삽입되는 제2봉(150)으로 되고, 제1봉(120)과 제2봉(150)사이에 조절부(500)에 의해 제1봉(120)에서 제2봉(150)이 슬라이드 및 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도 4 (a)(b)는 본 발명 중 지주부의 길이조절 상태를 보인 단면 및 분리도로서, 상기 조절부재(500)는 지주부(100)의 제1봉(120)의 입구 주연에 형성하는 나사산(510)과, 상기 나사산(510)에 체결되는 조임링(530)으로 되어 조임링(530)의 조임과 풀음으로 제1봉(120)의 입구가 조여지거나 확장되므로서 지주부(100)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다.
상기 길이가 조절되는 지주부(100) 상단에는 구비된 상기 상체지지부(300)는, 상기 가슴부위를 기댈 수 있도록 표면에 오목한 원호면(330)을 구비한 지지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부(100)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대(340)와, 상기 연결대(340)에 지지체(310)가 설치되게 연결대(340)의 양측면으로 체결하는 조절나사(360)로 구성된다.
상기 원호면(320)이 구비되는 지지체(310)는 복수개가 요구되며, 복수개의 지지체(310)는 그 저면에 설치하는 고정대(313)에 의해 갈비뼈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체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체(310)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체지지부(310)는 사용자의 상체가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조절나사(360)를 풀어 연결대(340)에서 상체지지부(360)의 각도를 조절한 뒤 조절나사(360)를 조이는 상태로 사용자에게 알맞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 중 제어부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 (400)는, 상기 지주부 (100)의 제2봉(150) 하단부 좌우면으로 지지봉(153)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153)에 설치되는 손잡이(450)에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450)에 스위치버튼(460)이 장착되고, 손잡이(450)내부에 설치된 배터리 전원용 단자(470)와 탄성력으로 접속 및 분리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450)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230)의 전원이 구동부(200)측으로 인가되는 상태가 되고 손잡이(450)를 놓으면 구도부(400)측으로 배터리(230)의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배터리(230)의 전원상태에 대해 충전여부를 알리는 알람 또는 점멸등으로 인식되게 하는 지시기(470)를 구동부(200)의 하우징(220)에 설치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 중 구동부에 대한 상태도로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주부(100)의 제1봉(120) 하단에 하우징(2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20)내에 이동바퀴(210)의 축(213)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는데, 상기 축(213)에는 구동력을 받기 위한 베벨기어(215)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20)에는 저속구동력이 출력되게 셋팅된 스텝핑모터(250)가 설치되어 스텝핑모터(250)의 축수부(251)를 통해 축수부(251)의 평기어(253)가 상기 베벨기어(215)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는 예시도로, 노년층의 신체는 상체가 구부러진 상태가 되므로 지팡이를 사용하여 구부러진 상체로 인해 신체의 무게중심이 이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는 구부러진 상체에 대한 몸의 균형을 지탱하려고 할 때,구부러진 신체를 받쳐들기 위해 자연적으로 가해지는 힘이 몸 전체로 분산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체를 지주부(100)의 상체지지부(300)에 기댈 수 있고, 상체를 기댄 상태에서 제어부(400)의 손잡이(450)를 파지한 상태로 지주부(100)를 이동시키므로 양손으로 잡은 자세에 의해 상체를 지탱하기 위해 형성되는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몸 전체로 분산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저속으로 구동력이 이동바퀴(210)를 구동시키므로 지주부(100)를 옮기가 편리하고, 사용자의 상체가 구부러진 정도와 신장의 크기에 따라 지주부(100)의 길이조절과, 상체지지부(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제공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지주부 120 : 제1봉 150 : 제2봉
200 : 구동부 210 : 구동바퀴 230 : 배터리
250 : 스텝핑모터 300 : 상체지지부 310 : 지지체
330 : 원호면 340 : 연결대 360 : 조절나사
400 : 제어부 450 : 손잡이 460 : 스위치버튼
470 : 지시기 500 : 조절부재 510 : 나사산
530 : 조임링

Claims (6)

  1. 바닥에서 가슴부위의 높이로 되며, 보행시 구부러진 신체의 균형이 유지되게 하는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 하단에 위치하며, 구동력이 상기 지주부(100)에 제공되는 구동부(200);
    상기 지주부(100) 상측에 위치하며, 신체의 균형 유지시 흉부를 받쳐주는 상체지지부(300):
    상기 지주부(100) 중간에 설치되어 보행 시 파지하는 손잡이(450)와, 상기 손잡이(45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200)가 동작되도록 하여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100)는,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는 제1봉(120)과, 상기 상체지지부(300)를 지지하고 상기 제1봉(120)에 삽입되면서 연결되는 제2봉(150)과, 상기 제1봉(120)에서 상기 제2봉(150)이 슬라이드 또는 고정되어 상기 지주부(10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상체지지부(300)는,
    가슴부위를 기댈 수 있도록 표면에 오목한 원호면(330)을 구비한 지지체(310)와, 상기 지주부(100)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대(340)와, 상기 연결대(340)에 상기 지지체(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340)의 양측면으로 체결되는 조절나사(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31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지지체(310)는 그 저면에 설치하는 고정대(313)에 의해 갈비뼈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어 상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며,
    상기 지주부(100)에는,
    시용자의 신체에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500)가 포함되고,
    상기 조절부재(500)는,
    상기 제1봉(120)의 입구 외주연에 형성하는 나사산(510)과, 상기 나사산(510)에 체결되는 조임링(530)으로 되어, 상기 조임링(530)의 조임과 풀음으로 상기 지주부(100)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보행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주부(100)의 하단에서 구동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210)와,
    상기 이동바퀴(21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30)와,
    상기 배터리(23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그 구동력이 이동바퀴(210)에 전달되도록 하는 스텝핑모터(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보행보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손잡이(4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손잡이(450)를 잡은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텝핑모터(250)가 온, 오프되는 스위치버튼(460)과,
    상기 배터리(230)의 전원충전 여부를 알람 또는 점멸등으로 인식되게 하는 지시기(4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보행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500)는,
    상기 지주부(100)의 제1봉(120)의 입구 외주연에 형성하는 나사산(510)과, 상기 나사산(510)에 체결되는 조임링(530)으로 되어 조임링(530)의 조임과 풀음으로 지주부(100)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보행보조기.
KR1020150058208A 2015-04-24 2015-04-24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KR10173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08A KR101732251B1 (ko) 2015-04-24 2015-04-24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08A KR101732251B1 (ko) 2015-04-24 2015-04-24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42A KR20160126742A (ko) 2016-11-02
KR101732251B1 true KR101732251B1 (ko) 2017-05-02

Family

ID=5751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208A KR101732251B1 (ko) 2015-04-24 2015-04-24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764A (ko) 2018-12-03 2020-06-11 김명호 전동 보행 보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152A (ja) * 2001-03-13 2002-09-17 Hitachi Kiden Kogyo Ltd 歩行器
JP2011206266A (ja) * 2010-03-30 2011-10-20 Toyota Motor Corp 保持具および移乗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03B1 (ko) 2009-12-08 2012-05-2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152A (ja) * 2001-03-13 2002-09-17 Hitachi Kiden Kogyo Ltd 歩行器
JP2011206266A (ja) * 2010-03-30 2011-10-20 Toyota Motor Corp 保持具および移乗補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764A (ko) 2018-12-03 2020-06-11 김명호 전동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42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0471A1 (en) Locomotion assis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tilt sensor
JP6240228B2 (ja) ロボット型ステッキ装置
US8048008B2 (en) Motion assist device
WO2017076065A1 (zh) 一种可穿戴机器及其控制方法
US9839570B2 (en) Motorized walking and balancing apparatus
TW201639534A (zh) 外骨骼踝關節機器裝置
CN209734250U (zh) 起身辅助装置
US11432978B1 (en) Method of positioning a user relative to a lift assist device retained on a mobility apparatus to maximize efficiency thereof
ES2907244T3 (es) Sistema avanzado de control de la marcha y procedimientos que permiten el movimiento continuo de la marcha de un dispositivo de exoesqueleto motorizado
KR101577030B1 (ko) 손가락 재활 로봇 기구
US11197792B1 (en) Lift assist device for a mobility apparatus
KR20170037118A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CN112370305A (zh) 一种下肢康复训练外骨骼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1732251B1 (ko) 노년층의 보행 보조기
KR20150079523A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KR101306146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TWM509032U (zh) 移位復健裝置
WO2023173752A1 (zh) 一种康复用外骨骼
KR101500946B1 (ko) 허리작업 부하경감을 위한 파워스틱 및 그 제어방법
CN210750133U (zh) 一种骨科康复拐
Imamura et al. Kinematic analysis of effect on walking motion by assistive powered wear with wire-driven assist
US9517396B2 (en) Curling broom incorporating a motor
KR101416956B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TWM485715U (zh) 行動輔助裝置
KR102574948B1 (ko) 사용자의 보행 속도에 맞춰 자동주행이 가능한 전동보행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