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209B1 - 일회용 요실금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요실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209B1
KR101732209B1 KR1020127016934A KR20127016934A KR101732209B1 KR 101732209 B1 KR101732209 B1 KR 101732209B1 KR 1020127016934 A KR1020127016934 A KR 1020127016934A KR 20127016934 A KR20127016934 A KR 20127016934A KR 101732209 B1 KR101732209 B1 KR 10173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disposed
folding
region
sal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506A (ko
Inventor
메리안 준커
사라 안네 렘케
파트리시아 안 삼올린스키
사라 안네 올손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11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31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 A61F2/005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with pressure applied to urethra by an element placed in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09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in or outside the body open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09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in or outside the body open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body
    • A61F2/0013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in or outside the body open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body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61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wel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38Assembling or joining by stri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와 커버 시트를 포함하고, 커버 시트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를 둘러싸서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한다.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절첩 영역과,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과,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과,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4 부분을 구비하여 W-형 실금 장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요실금 장치{DISPOSABLE URINE INCONTINENCE DEVICE}
일부 여성, 특히, 한 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한 여성 및/또는 노년 여성은 긴장 요실금 또는 조합 긴장 및 절박 요실금에 기인하여 무의식적 요실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재채기 또는 기침은 환자의 방광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복압을 증가시켜서 소변의 무의식적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요실의 빈도 및 심각성은 요도-질 근막 영역 부근의 근육 및 조직이 약해짐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방광에 인접한 요도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 요도괄약근은 둥글거나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 방광으로부터 요도로의 소변의 통로의 밀봉시 양호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통로가 더 타원 또는 난형 외관을 갖는 단면 구조로 왜곡되는 경우, 괄약근은 적절한 폐쇄가 불가능하며, 무의식적 요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노년 여성에게만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의 여성 인구가 노화해감에 따라, 일반적으로 "긴장 요실금"과 연계된 무의식적 요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수술적 절차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이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품들이 있다. 본질적으로, 이들 제품들 모두는 처방에 의거하여서만 구매할 수 있으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정확한 기능 수행을 위해 의사 또는 간호인에 의한 물리적 삽입 및/또는 조정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대부분의 가용한 요실금 장치는 한번 사용후 폐기하는 제품이 아니라, 철저한 세척 및 재사용을 필요로 한다.
현용의 요실금 장치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는 실금 여성은 흡수성 패드 또는 라이너를 매일 착용함으로써 의복 상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은 이를 원치 않는다. 추가적으로, 월경 때문에 탐폰(tampon)을 착용하고자 하는 여성은 그녀의 소변 누설을 관리하기 위해 비-패드형 제품을 원하며, 이런 해결책에 매우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 해결책을 초월하여 모든 연령 전반에 걸친 여성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가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이 장치는 비교적 저렴하고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용의 장치보다 덜 복잡하고, 따라서, 더욱 사용자 친화적이며, 의료 인력의 개입 없이 소비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요실금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여성이 그녀의 신체에 대해 쉽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고, 착용이 더욱 편안하며, 긴 시간 기간에 걸쳐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생리학적 및 현실적 보증을 제공하는 요실금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필요성에 응답하여,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 및 커버 시트를 포함하고, 커버 시트는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를 둘러싼다.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첩 영역,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부분 및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4 부분을 갖는다. 세장형 부재는 절첩 상태에서 제1 부분이 실질적으로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이 실질적으로 제3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이 실질적으로 제4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제3 부분과 제4 부분의 사이에서 그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Spinning Retention Capacity Test)에 의거하여 측정될 때 비흡수성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탄성율 테스트(Resiliency Test)에 의거하여 측정될 때 60% 내지 90%의 탄성 압축 및 60% 내지 100%의 탄성 팽창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적어도 20g/m2의 기본 중량과, 689 dynes/cm2의 압력 하에서 웨브 그램 당 80과 약 120 cm3 사이의 보이드 체적과, 약 8,000 내지 약 15,000 darcy의 투과성과, 적어도 95%의 공극률과, 10 내지 25 cm2/cm3의 보이드 체적 당 표면적과, 적어도 약 60%의 습윤 및 건조 상태 양자 모두에서의 압축 탄성을 갖는 고도의 부직 웨브(lofty nonwoven web)를 형성하도록 서로 열 접합된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서지 재료(surge material)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열가소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올론(orlon),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비닐 알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추가적 비흡수성 층을 더 포함하고, 이 추가적 비흡수성 층은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의 평면형 표면에 인접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세장형 부재는 종축을 따라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단부 밀봉부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탄성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커버 시트 상에 배치된 부조부(embossment) 형태의 절첩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커버 시트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커버 시트는 소수성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세장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제1 개구와, 세장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실질적으로 W-형 프로파일-절첩 세장형 부재 내에서 정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1 개구는 제1 단부로부터 2 mm 내지 20 mm 떨어져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제2 단부로부터 2 내지 20 mm 떨어져 배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인출 부재(withdrawal member)를 포함하고, 인출 부재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 양자 모두 내에 존재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인출 부재는 스트링의 형태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Transverse Device Compression Test)에 의해 측정될 때 100 gf 내지 900 gf의 횡방향 장치 압축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면살사(pledget)를 형성하도록 압축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면살사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습윤 및 건조 팽창 특성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적용기를 포함하고, 면살사는 면살사의 삽입 단부가 적용기의 삽입 단부에 인접하도록 적용기 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적용기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테이퍼형 배럴과,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손가락 윤곽부(finger contour)를 갖는 파지부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헤드 플랜지와 후방 플랜지와 샤프트 부분과 실질적 레이스-트랙(race-track)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 플런저를 포함하고, 파지부의 삽입 단부는 베럴의 후미 단부에 연결되고, 헤드 플랜지 및 샤프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파지부 내에 배치된다.
일부 양태에서, 비흡수성 일회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a) 비흡수성 탄성 재료의 웨브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탄성 부재를 형성하도록 목표 단면 형상으로 비흡수성 탄성 재료의 웨브를 성형하는 단계와,
c)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비흡수성 커버 시트로 탄성 부재를 덮는 단계와,
d)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자체적으로 절첩하고,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두 번째로 절첩하고,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세 번째로 절첩하여,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1 부분과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2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4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3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4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3 부분과 제4 부분의 사이에서 그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는, 절첩 단계와,
e) 인출 부재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a) 제1 부분에 제1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제2 부분에 제2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제1 개구와 제2 개구 양자 모두를 통해 인출 부재를 끼움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스트링 형태의 인출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가지는 면살사로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a) 면살사의 삽입 단부가 적용기의 삽입 단부에 인접하도록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적용기 내로 면살사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적용기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테이퍼형 배럴과,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손가락 윤곽부를 갖는 파지부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헤드 플랜지와 후방 플랜지와 샤프트 부분과 실질적 레이스-트랙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 플런저를 포함하고, 파지부의 삽입 단부는 베럴의 후미 단부에 연결되고, 헤드 플랜지 및 샤프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파지부 내에 배치되는, 면살사 삽입 단계와,
b) 인출 부재의 일부가 플런저의 후방 플랜지를 초과하여 연장하도록 베럴, 파지부 및 플런저를 통해 인출 부재를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여성 요실금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와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를 수납하여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첩 영역과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과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을 구비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제1 절첩 영역, 제2 절첩 영역 및 제3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절첩하여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1 부분과,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2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4 부분을 형성하여 절첩 상태로 세장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3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4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3 부분과 제4 부분의 사이에서 그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는, 절첩 상태로 세장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c)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구비하는 압축된 면살사 내로 압축하는 단계와,
d) 삽입 단부가 먼저 진입되는 상태로 여성의 질 내로 압축된 면살사를 삽입하는 단계와,
e) 요도 괄약근으로부터 질구까지에 걸친 위치에서 질 내에 압축된 면살사를 배치하는 단계와,
f) 압축된 면살사가 질 내부에서 팽창하여 삽입된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요도-질 근막 영역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g) 요도가 자체적으로 압축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세장형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인출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적용기 내로 압축된 면살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파지부에서 적용기를 파지하는 단계와, 질구를 통해 질 내로 적용기의 삽입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적용기로부터 압축된 면살사를 배출하여 삽입된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도록 플런저를 추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적용기가 질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인출 부재를 당김으로써 삽입된 요실금 장치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 방법은 인출 부재를 당김으로써 질로부터 요실금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수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이 드러날 것이다. 설명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한다. 이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체 범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범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간결성 및 간명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값들의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을 고려하며, 관련 특정 범위 이내의 실제 수치 값인 종점을 갖는 임의의 하위 범위를 기재하는 청구항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정된 예시적 예에 의거하여, 1 내지 5의 범위를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것은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 3 내지 5, 3 내지 4 및 4 내지 5의 범위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청구항을 지원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면살사 내로 압축된 이후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요도 괄약근에 인접한 질 내에 위치되고, 요도-질 근막 영역 및 요도 부근의 근육 및 조직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팽창되어 있는 팽창가능한 W-형 요실금 장치를 도시하는 인간 상체의 정중시상 섹션이다.
도 4는 질구 부근에 위치되어 요도-질 근막 영역 및 요도 부근의 근육 및 조직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팽창되어 있는 팽창가능한 W-형 요실금 장치를 도시하는 인간 상체의 정중시상 섹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관형 탄성 부재 및 커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성형 부조부를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성형 부조부를 갖는 관형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관형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그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절첩된 이후의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관형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팬 절첩 구성으로 다수의 종축을 따라 절첩된 이후의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그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절첩된 이후의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그 새로운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두 번째 절첩된 이후의 도 11a의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c는 관형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말려진 이후의 도 11b의 개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방향 봉합부 및 밀봉된 단부 부분을 갖는 세장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1 절첩 영역에서 절첩된 이후의 세장형 부재이다.
도 13b는 인출 부재가 부착된 이후의 도 13a의 절첩된 세장형 부재이다.
도 13c는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도록 제2 절첩 영역 및 제3 절첩 영역에서 절첩된 이후의 도 13b의 세장형 부재이다.
도 13d는 면살사 내로 압축된 이후의 도 13c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이다.
도 14a는 사전조립된 상태의 예시적 적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조립된 상태의 도 14a의 적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4c는 종축을 중심으로 90°회전된 도 14b의 적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세장형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A-A에서 취한 도 15a의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임의적으로 절첩된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세장형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두께 테스트(Thickness Test)에 사용된 두께 시험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회용 요실금 장치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 테스트(Compression Test)를 위해 사용되는 압축 시험기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의 참조 부호의 반복된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면은 대표적인 것이며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그 특정 비율은 과장되어 있고 나머지는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시험 방법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테스트는 23±2℃의 온도 및 50±5%의 상대 습도에서 수행된다.
두께 시험
샘플 시편의 두께 값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 시험기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두께 시험기(2310)는 클램프 샤프트(2330)를 갖는 견고한 베이스(2320)를 포함하며, 견고한 베이스(2320)의 상단 평면형 표면(2322)은 평탄하고 매끄럽다. 적절한 견고한 베이스는 Starret Granite Base, 모델 653G(미국 메사츄세츠주 아톨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The L.S. Starret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또는 균등물이다. 클램프 아암(2340)은 클램프 아암(2340)의 일 단부(2342)에서 클램프 샤프트(2330)에 고정되고, 디지털 지시기(2350)는 대향 단부(2344)에서 클램프 아암(2340)에 고정된다. 적절한 지시기는 Mitutoyo ID-H Series 543 Digimatic Indicator(미국 일리노이주 아우로라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Mitutoyo America Corp.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또는 균등물이다. 수직 가동성 플런저(2360)가 지시기(235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50 mm의 길이와 44 mm의 폭을 갖는 블록(2370)이 견고한 베이스(2320)의 평면형 상단 표면(2322) 상에 배치된다. 블록(2370)은 아크릴로 구성되고, 적어도 평면형 저부 표면(2372) 상에서 평탄하고 매끄럽다. 블록(2370)의 두께 및 중량은 두께 시험기(2310)가 166gf의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두께 시험기(2310)는 플런저(2360)의 저부 표면(2362)이 블록(2370)의 평면형 상단 표면(2374)의 종방향(1) 및 횡방향(2) 중심과 직접 접촉되도록, 그리고, 플런저 길이가 z-방향(3)으로 대략 100%에 있게 되도록 클램프 샤프트(2330)를 따라 서서히 하강된다. 그후, 디지털 지시기(2350)는 "제로" 버튼(2357)을 누름으로써 테어링(즉, 영점조절)되고, 이는 이하에서 "테어링 단계(taring step)"라 지칭된다. 디지털 지시기(2350)의 디지털 디스플레이(2355)는 "0.00 mm" 또는 균등물을 표시하여야 한다.
그후, 블록(2370) 및 플런저(2360)는 일 단위로서 수직방향(z-방향(3))으로 상승되며, 샘플 시편은 테어링 단계 동안 블록(2370)이 위치되는 것과 동일한 위치에서 견고한 베이스(2320)의 상단 표면(2322) 상에 배치되며, 그래서, 샘플 시편은 블록(2370)의 평면형 저부 표면(2372) 하에서 실질적으로 종방향(1) 및 횡방향(2)으로 중심설정된다. 블록(2370) 및 플런저(2360)는 그후 일 단위로서 서서히 하강되며, 그래서, 플런저(2360)의 저부 표면(2362)은 블록(2370)의 평면형 상단 표면(2374) 상에서 실질적으로 종방향(1) 및 횡방향(2)으로 중심설정된다. 블록(2370)의 평면형 저부 표면(2362)은 측정 동안 견고한 베이스(2320)의 평면형 상단 표면(2322)에 평행하게 유지되어야한다. 3초후, 디지털 디스플레이(2355)로부터의 측정치는 샘플 시편의 두께를 제공하도록 최소 0.01 mm까지 기록된다.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는 재료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인 "비흡수성"이 되는 것으로 고려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재료가 보유하는 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재료의 샘플 시편은 0.1g 가까이 계중되고, 중량이 건조 중량(Dry Weight)으로서 기록된다. 그후, 샘플은 10분 동안 23±2℃의 온도를 갖는 수돗물(tap water) 내에 완전히 침지된다. 샘플이 떠오르는 경우, 샘플은 시험자의 손가락 또는 균등물에 의해 서서히 눌러져서 수면 아래에 보유되어야 한다(이후 "포화 단계"라 지칭됨). 10분 포화 단계 이후, 포화된 샘플은 물로부터 서서히 제거되고, 34.2 cm의 직경 및 63.5 cm의 높이, 11.3 kg의 중량 및 4.5 kg의 습윤 부하 용량을 갖는 모델 번호 Model 776SEK-TS SPIN-X 스핀드라이어(미국 텍사스주 휴스톤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Spin-X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내에 배치된다. 스핀드라이어는 3,300 R.P.M.으로 회전하며, 1,340G' 힘을 생성한다. 스핀드라이어가 회전되고 최대 속도에 도달하도록 허용된다. 최대 속도가 도달되고 나서, 샘플이 2분 동안 회전하게 되고, 이 시점에서 스핀드라이어가 회전 중단된다. 스핀드라이어가 정지되고 나면, 샘플은 스핀드라이어로부터 서서히 제거되고, 0.1 g 가까이 계량되며, 보유 중량(Retention Weight)으로서 기록된다. 그후, 스피닝 보유력은 이하의 공식을 사용하여 그램 재료 당 그램 물의 단위로 계산된다.
보유 중량 - 건조 중량 = 스피닝 보유력
세장형 부재 압축 테스트
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MTS Synerge Model 200 인장 시험기(또는 균등물)는 MTS TESTWORKS 소프트웨어(미국 미네소타주 에든 프레어리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MT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를 실행하는 컴퓨터 기반 제어 및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구비한다. 소프트웨어-편향-보상된 로드 셀이 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강철 원형 압축 플래튼은 인장 기계의 베이스(하부 플래튼)와 로드 셀(상부 플래튼)에 부착되어 있다(미국 메사츄세츠주 노어우드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Instron Worldwide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또는 그 균등물). 상부 플래튼은 19 mm의 직경을 가지며, 하부 플래튼은 88.9 mm의 직경을 갖는다. 양 플래튼은 평탄하고, 매끄러운 마감부를 가지며, 인장 기계 상에 장착될 때 두 개의 플래튼이 임의의 다른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부 플래튼과 하부 플래튼의 접촉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 사이에 0.005 인치(0.0127 cm) 이하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양 플래튼 접촉 표면을 정렬하도록 설비가 제공된다. 로드 셀은 제조자의 명령(필요한 웜업(warm up) 주기를 포함)에 따라 적절히 캘리브레이팅되고, 플래튼이 부착된 상태에서 영점조절된다.
플래튼이 적절히 설치 및 정렬된 이후, 플래튼은 신중하게 합쳐지고 20 kPa의 압력이 부여된다. 이 지점에서, 인장 기계의 신장 채널이 영점조절된다. 그후, 인장 기계가 소프트웨어 제어 하에서 정확하게 2 cm 물러나고, 신장 채널이 다시 영점조절된다. 이는 인장 프레임 신장 채널이 영으로 판독될 때 플래튼 간격이 2 cm으로 남아 있게 한다. 모든 후속 분리 조치는 실제 플래튼 간격과 신장 채널 판독치 사이의 이 2 cm 오프셋을 위해 교정되는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 계산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오프셋의 사용은 본 기술 분야에게 알려진 안전 조치이며, 이는 기게 조작자가 우발적으로 인장 기계를 "홈" 위치로 보내는 경우 플래튼 충돌을 방지한다).
하부 플래튼 상으로 상부 플래튼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단일 세장형 부재를 신중하게 중심설정함으로써 압축 테스트가 개시된다. 그후, 인장 기계 크로스헤드는 수동으로 세장형 부재 약간 위의 위치로 이동되고, 테스트는 TESTWORKS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된다. 이 테스트 루틴은 분당 1 cm의 속도로 20 kPa의 압력으로 세장형 부재를 압축한다. 20 kPa 압력이 달성되자마자, 인장 프레임은 방향을 반전하며, 압축을 해제한다. 또한, 역방향 속도는 분당 1 cm이다. 이는 테스트를 완성시킨다. 결과의 후속 계산을 가능하게 하도록 테스트의 압축 및 반동 부분 양자 모두에 대해 데이터가 기록된다. TESTWORKS 소프트웨어는 관련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에너지 로딩(Energy Loading)(g-cm), 에너지 업로딩(Energy Uploading)(g-cm) 및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을 제공한다.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방향(2)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요실금 장치의 압축 특성을 측정한다. 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MTS Synerge Model 200 인장 시험기(또는 균등물)는 MTS TESTWORKS 소프트웨어(미국 미네소타주 에든 프레어리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MT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를 실행하는 컴퓨터 기반 제어 및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구비한다. 소프트웨어-편향-보상된 로드 셀이 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강철 원형 압축 플래튼은 인장 기계의 베이스(하부 플래튼)와 로드 셀(상부 플래튼)에 부착되어 있다(미국 메사츄세츠주 노어우드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Instron Worldwide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또는 그 균등물). 상부 플래튼은 57.2 mm의 직경을 가지며, 하부 플래튼은 88.9 mm의 직경을 갖는다. 양 플래튼은 평탄하고, 매끄러운 마감부를 가지며, 인장 기계 상에 장착될 때 두 개의 플래튼이 임의의 다른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부 플래튼과 하부 플래튼의 접촉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 사이에 0.005 인치(0.0127 cm) 이하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양 플래튼 접촉 표면을 정렬하도록 설비가 제공된다. 로드 셀은 제조자의 명령(필요한 웜업 주기를 포함)에 따라 적절히 캘리브레이팅되고, 플래튼이 부착된 상태에서 영점조절된다.
플래튼이 적절히 설치 및 정렬된 이후, 플래튼은 신중하게 합쳐지고 20 kPa의 압력이 부여된다. 이 지점에서, 인장 기계의 신장 채널이 영점조절된다. 그후, 인장 기계가 소프트웨어 제어 하에서 정확하게 7.62 cm 물러나고, 신장 채널이 다시 영점조절된다. 이는 인장 프레임 신장 채널이 영으로 판독될 때 플래튼 간격이 7.62 cm으로 남아 있게 한다. 모든 후속 분리 조치는 실제 플래튼 간격과 신장 채널 판독치 사이의 이 7.62 cm 오프셋을 위해 교정되는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 계산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오프셋의 사용은 본 기술 분야에게 알려진 안전 조치이며, 이는 기게 조작자가 우발적으로 인장 기계를 "홈" 위치로 보내는 경우 플래튼 충돌을 방지한다).
하부 플래튼 상으로 실금 장치를 신중하게 중심설정함으로써 압축 테스트가 개시된다. 그후, 인장 기계 크로스헤드는 수동으로 세장형 부재 약간 위의 위치로 이동되고, 테스트는 TESTWORKS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된다. 이 테스트 루틴은 분당 12.7 cm의 속도로 상단 플래튼으로부터 하부 플래튼까지 2.5 cm의 거리까지 세장형 부재를 압축한다. 이 압축은 gf로 표현된다.
탄성 테스트
이 테스트는 샘플 시편의 탄성율을 측정한다. 샘플의 초기 두께(Initial Thickness)를 획득하기 위해 3초 동안 166 gf의 힘 하에서 샘플의 두께가 먼저 측정된다. 그후, 11 kgf의 힘이 30초 동안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샘플에 인가되고, 두께가 압축 두께(Compressed Thickness)로서 측정된다. 그후, 11kgf가 제거되고, 샘플은 5분 동안 팽창된다. 5분 이후, 최종 두께(Final Thickness)를 획득하기 위해 3초 동안 166 gf의 힘 하에서 샘플 두께가 다시 측정된다. 두께의 측정을 위해 적절한 수단은 이 탄성율 테스트의 요건을 적절히 충족하도록 변형된, 상술된 두께 및 세장형 부재 압축 테스트를 포함한다. 그후, 이하의 공식을 사용하여 탄성 압축 및 탄성 팽창이 계산된다.
탄성 압축(%) = [(초기 두께(mm) - 압축 두께(mm)/초기 두께(mm)] × 100%
탄성 팽창(%) = 최종 두께(mm)/초기 두께(mm)
정의
본 내용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및 어근 "포함하다"로부터의 다른 파생어는 임의의 언급된 특징, 요소,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 제약을 두지 않은 용어를 의미하는 것을 의도한다.
용어 "부착" 및 그 파생어는 두 개의 요소를 함께 결합, 접착, 연결, 접합, 재봉하는 것 등을 지칭한다. 두 개의 요소는 이들이 서로 일체가 되거나 서로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각각이 중간 요소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때 같이 서로에 대해 간접적으로 부착될 때 함께 부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결합" 및 그 파생어는 두 요소를 함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또는 재봉하는 것 등을 지칭한다. 두 개의 요소는 이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각각이 중간 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때 같이 서로에 대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일회용"은 본 명세서에서 단일 사용 이후 흡수성 물품으로서 세척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재생 또는 재사용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어 "신축적", "신축화된", "신축성" 및 "탄성중합성"은 변형을 유발하는 힘의 제거 이후 그 원래의 크기 및 형상을 회복하는 경향이 있는 재료 또는 합성물의 특성을 의미한다. 적절하게, 탄성 재료 또는 합성물은 그 이완 길이의 적어도 50 %(내지 150 %)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인가된 힘의 해제시 그 신장의 적어도 40 %를 회복한다.
용어 "섬유"는 직경 또는 폭에 대한 길이의 높은 비율을 가지는 연속 또는 불연속 부재를 지칭한다. 따라서, 섬유는 필라멘트, 실, 스트랜드, 얀 또는 임의의 다른 부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친수성"은 재료와 접촉하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재료를 설명한다. 따라서, 재료의 습윤 정도는 수반되는 액체 및 재료의 표면 장력과 접촉 각도에 관하여 설명될 수 있다. 특정 섬유 재료 또는 섬유 재료의 혼합물의 습윤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보다 작은 접촉각을 갖는 재료는 "습윤성" 또는 친수성이라 지칭되고, 90°보다 큰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습윤성" 또는 "소수성"이라 지칭된다.
용어 "합치다" 및 그 파생어는 두 요소를 함께 연결, 접착, 접합, 부착, 재봉하는 것 등을 지칭한다. 두 요소는 이들이 서로 일체가 되거나, 서로 직접적으로 합쳐지거나 각각이 중간 요소에 직접적으로 합쳐질 때 같이 서로 간접적으로 합쳐질 때 함께 합쳐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액체 불투과성"은 층 또는 다층 적층체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때, 통상적 사용 상태 하에서, 소변, 멘스 또는 장 이동물 같은 액체가 액체 접촉 지점에서 층 또는 적층체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층 또는 적층체를 통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액체 투과성"은 액체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재료를 지칭한다.
용어 "부직" 또는 "부직 웨브"는 사이에 배설되어 있지만 편물 천으로 식별되는 방식은 아닌, 개별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구조를 갖는 재료 및 재료의 웨브를 지칭한다. 용어 "섬유" 및 "필라멘트"는 본 명세서에서 서로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부직 천 또는 웨브는 예로서, 멜트블로잉 프로세스, 스펀본딩 프로세스, 에어 레잉 프로세스 및 본디드-카디드-웨브 프로세스 같은 다수의 프로세스로부터 형성된다. 부직 천의 기본 중량은 평방 야드 당 재료의 온스(osy) 또는 평방 미터 당 그램(gsm)으로 일반적으로 표현되며, 섬유 직경은 일반적으로 미크론 단위로 표현된다.
용어 "요실금 장치"는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해 질 내에 삽입되는 장치를 지칭한다.
용어 "열가소성"은 열에 노출될 때 연화되고, 실온으로 냉각할 때 비연화 상태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재료를 설명한다.
용어 "질 액체"는 물, 땀, 소변, 혈액, 멘스 및 뮤신을 포함하는 질관 내에 존재하는 이들 액체에 주로 속하는 점탄성 액체를 포함하는 수성 액체를 지칭한다.
이들 용어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추가적 언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도 3 및 도 4는 여성의 질강(92)의 단면을 예시한다. 여성의 요도(88)는 질(92)에 인접하게 질(92)의 전방에 위치된다. 여성의 항문(90)은 질(92)의 후방 측부에 위치된다. 요도(88)는 여성의 방광(82) 내에 축적되어 있는 소변을 요도(88)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외부 구멍까지 제거하기 위한 도관이다. 질(92)과 요도(88) 사이에는 요도-질 근막 영역(86)이 있다. 이 영역(86)은 근육 조직 및 신체 조직으로 구성되며, 신체 조직은 극히 유연하다. 질(92)은 그 내부 벽을 덮고 있는 복수의 주름(미도시; rugosity)을 포함한다. 주름은 신체 조직 내의 링클(wrinkle) 및 크리스(crease)로 구성되며, 이는 질(92)의 측벽의 팽창 및 수축을 가능하게 한다. 요도 괄약근(84)은 방광(82)의 저부 표면에 인접하게 요도(88)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괄약근(84)은 소변의 무의식적 실금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출산 이후 및/또는 노화에 따라, 또는 다른 다양한 이유들 때문에, 골반저 근육이 처지기 시작하고, 괄약근의 단면 구조가 원형 프로파일로부터 비원형 프로파일로 변할 수 있다. 이런 변화는 여성이 재채기, 웃음, 기침, 짐들기, 일어서기 등에 의해 유발되는 긴장 유도 요실금을 포함하는 무의식적 실금을 겪게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긴장 유도 실금의 제어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액체 안정성 탄성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 시트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양호한 이해를 위해, 예시적 목적으로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장치(110)는 절첩되고, 압축되고, 여성의 질(92) 내로 삽입되며, 그후, 팽창되어 방광(82)으로부터 요도(88)를 통한 소변의 무의식적 통과를 완화 또는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발적 압축해제 및/또는 절첩해제를 포함하는 장치(110)의 팽창은 요도-질 근막 영역 부근에 위치된 근육 조직 및 신체 조직에 압력을 제공하여 복강내압이 증가된 기간 동안 요도(88)가 자체적으로 압축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질(92) 내부에서의 장치(110)의 팽창은 요도 괄약근(84)이 원형 단면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 원형 단면 구조가 유지될 때, 괄약근(84)은 적절히 폐쇄될 수 있고, 긴장 요실금에 기인한 무의식적 소변 방출의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회용 장치(110)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120)를 포함한다. 후술된 바와 같은 추가적 양태에서, 요실금 장치(110)는 또한, 추가 층과 커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단일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예시적 개시 구조체(100)를 예시한다. 탄성 부재(120)는 질 유체 같은 수성 유체에 노출시 액체-안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액체-안정성"은 건조 상태이든 수성 액체에 노출될 때 같이 습윤 상태이든 등가 치수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 부재 또는 장치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탄성"은 외력(즉, 굴곡, 신장 또는 압축)에 노출된 이후 외력에 노출되기 이전에 보유한 그 원래의 형상 또는 두께의 적어도 60%를 회복 또는 복원하는 재료를 지칭한다. 예로서, 외력은 질(92) 내로의 삽입 이전 또는 질(92) 내로의 삽입 도중 등에는 기계적 수단을 통해 장치(11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질 내로의 삽입 이후에는 재채기, 기침, 웃음, 짐들기 등에 의해 장치(110)에 인가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천연 또는 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천연 재료는 예로서, 천연 고무 및 양모를 포함한다. 적절한 합성 재료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 폴리우레탄, 라텍스, 실리콘 탄성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비닐 알코올(PVA), 레이온, 스펀 셀룰로오스, LYCRA, KEVLAR, 탄소 섬유 등을 포함한다. LYCRA 및 KEVLAR은 미국 델라워어주 윌밍톤에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E.I.DuPont de Nemours &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탄성 부재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한 가지 특정 예시적 재료는 CHISSO ESC 이성분 섬유(미국 뉴욕주 뉴욕에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Chisso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를 포함하며, 이는 폴리에틸렌 외피에 의해 둘러싸여진 폴리프로필렌 코어로 구성된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으로부터 형성된 다른 이성분 섬유가 Exxon과 Dow Chemical 및 다른 사업자 같은 공급자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탄성 부재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다른 특정 예시적 재료는 미국 메사츄세츠주 로렌스에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Division of Sekisui America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폐쇄-셀 발포체인 VOLARA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를 구성하기 위해 적합한 다른 특정 예시적 재료는 서지 재료를 포함한다. 이런 서지 재료는 고도의 부직 웨브를 형성하도록 가열된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한다. 서지 재료는 적어도 85 g/m2의 기본 중량과, 3447 dynes/cm2의 압력(0.05 psi, 345 Pascal) 하에서 웨브 그램 당 20과 50 입방 센티미터 사이의 보이드 체적과, 약 2,500 내지 10,000 Darcy의 투과성과, 적어도 95%의 공극률(웨브 개구율), 25 내지 60 cm2/cm3의 보이드 당 표면적 및 적어도 약 60%의 습윤 및 건조 상태 양자 모두에서의 압축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서지 재료는 미국 위스콘신주 니아에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Kimberly-Clark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Textor Surge 4.25 및 Textor Surge 5.25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부재는 또한 비흡수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비흡수성"은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예를 들어, 0.2g 미만 또는 0.3 g 내지 0.05g 같은 재료 그램 당 물 0.3 그램 미만의 보유력을 갖는 재료를 지칭한다. 일 예에서, 150 gsm의 기본 중량을 갖는 Textor Surge 4.25는 0.16 g/g의 보유력을 나타내었고, 다른 예에서, 150 gsm의 기본 중량을 갖는 Textor Surge 5.25는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0.21 g/g의 보유력을 나타내었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부재는 탄성율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약 60% 내지 약 90%의 탄성 압축 값 및 60%와 100% 사이의 탄성 팽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탄성율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150 gsm의 기본 중량을 가지는 Textor Surge 5.25는 81%의 탄성 압축 및 82%의 탄성 팽창을 나타내었다.
탄성 부재(120)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건조 및 습윤 팽창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서, 탄성 부재(120)는 적어도 약 70% 같이 건조 상태, 습윤 상태 또는 반건조 습윤 상태에서의 그 원래 구조의 적어도 약 60%로, 또는, 100% 같이 적어도 약 80% 또는 그 이상으로 복원(220)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야 한다. 요실금 장치(110)의 건조 팽창은 탄성 부재(120)가 질 내에서 팽창할 수 있게 되기 이전에 장치가 질 액체 같은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유익하며, 또한, 장치(110)가 수성 액체에 의한 습윤시 그 원래 구조의 적어도 60%로 복원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도 5에서, 탄성 부재(120)는 횡방향(2) 단면에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120)는 정사각형, 원형, 난형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횡방향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부재(120)는 균일한 두께 및 폭을 가지지만, 탄성 부재(120)의 치수는 반드시 균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20)는 종방향(1)으로 길이(L1), 횡방향(2)으로 폭(W1) 및 z 방향(3)으로 높이(H1)를 갖는다. 단지 예로서, 일부 양태에서, 길이(L1)는 약 152 mm 내지 약 229 mm 또는 약 178 mm 내지 약 203 mm 같이 약 127 mm 내지 약 254 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폭(W1)은 약 102 mm 내지 약 178 mm 또는 약 127 mm 내지 약 152 mm 같이 약 76 mm 내지 약 203 mm의 범위일 수 있고, 높이(H1)(두께 테스트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는 약 3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8 mm 같이 약 1 mm 내지 약 20 mm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부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구조(122)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도 10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것 같이 이런 관형 구조(121)를 형성하도록 절첩, 말림, 반경방향 압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 구조체(121)의 형태일 때, 탄성 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L1), 폭(W2) 및 높이(H2)를 형성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일부 양태에서, 관형 구조체(121)의 형태의 탄성 부재(120)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 같이 약 10 mm 내지 약 40 mm의 폭(W2)을 가질 수 있고, 약 10 mm 내지 약 30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 같이 약 10 mm 내지 약 40 mm의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절첩부가 더 많아지면, 일반적으로 더 넓은 탄성 부재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는 또한 탄성 부재(12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 커버 시트(130)를 포함한다. 커버 시트(130)는 액체 투과성이거나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예로서, 커버 시트가 액체 투과성일 때, 이는 커버 시트(130) 내에 배치된 임의의 재료가 체액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탄성 부재(120)가 습기-안정성이기 때문에, 커버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시트(130)는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여성의 질의 내외로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화학적으로 처리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적절한 커버 시트 재료는 스펀본드 및 본디드-카디드 웨브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커버 시트(130)의 표면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홈, 딤플, 도트 등으로 엠보싱될 수 있고, 이들은 질 내에 삽입될 때 접촉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미네랄 오일 같은 커버 시트(130)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가 사용되어 장치(110)와 구순(labial) 조직 사이의 장기간에 걸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8은 커버 시트(130)에 인접하게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는 개시 구조체(100)를 예시한다. 비록, 커버 시트(130)가 탄성 부재(120)와 실질적으로 동일 공간에 연장할 수 있지만, 커버 시트(130)는 대안적으로 탄성 부재(120)의 폭(W1)과는 다를 수 있는 폭(W3) 및/또는 탄성 부재(120)의 길이(L1)와는 다를 수 있는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커버 시트의 두께(H3)는 약 0.2 mm 내지 약 1 mm 또는 약 0.3 mm 내지 약 0.7 mm 같이 약 0.1 mm 내지 약 5 mm의 범위일 수 있다.
커버 시트(130)가 탄성 부재(120)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양태에서, 폭(W2)을 위한 더 큰 치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시트(130)가 자체적으로 절첩되고 자체적으로 결합되어 종방향 결합부(132)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적절한 결합 재료는 열, 압력, 초음파, 접착제 등에 의한 것 같이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것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커버 시트(130)는 단순히 자체적으로 절첩될 수 있다.
커버 시트(130)가 탄성 부재(120)보다 더 큰 길이(L3)를 갖는 양태에서, 길이(L3)를 위한 더 큰 치수는 커버 시트(130)가 단부에서, 탄성 재료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영역에서 밀봉될 수 있게 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는 단부 밀봉부(134)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110)는 또한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7은 요실금 장치(110)의 개시 구조체(100)와, 선택적 제1 추가 층(122) 및 선택적 제2 추가 층(124)을 예시한다. 추가 층(122, 124)은 각각 탄성 부재(120)에 인접하게 그 위에 및/또는 z 방향(3)으로 탄성 부재에 인접하게 그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비록, 두 개의 선택적 층이 예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추가 층이 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다. 각 추가 층은 존재시 액체-안정성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120)에 부착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추가 층을 위한 적절한 재료는 탄성 부재를 위해 적합한 재료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는 피부를 위한 pH 버퍼링, 여성을 위한 질 건강-관리, 악취 제어, 피부 건강을 위한 코팅 재료 또는 심지어 약물을 포함하는 유익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층(122, 124)은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탄성 부재와 또는 서로 간에 실질적으로 동일 공간에 존재하도록 크기설정 및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어구 "실질적으로 동일 공간에 존재"는 개별 층이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길이 및 폭 치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부 미소한 치수 변동이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층의 폭은 절첩시(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1c) 층의 에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flush) 미소하게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탄성 부재(120)가 횡방향(2)으로 성형 부조부(127)를 포함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예시한다. 성형 부조부(127)는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성형하기 위한 절첩 영역(112, 114 및 116)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성형 부조부(127)는 탄성 부재(120)의 측방향 에지(128) 내에 위치된다. 성형 부조부(127)는 에지(128)로부터 10 mm 미만 또는 에지(128)로부터 5 mm 미만 또는 측방향 에지(128)로부터 2 mm 미만 또는 측방향 에지(128)로부터 0 mm 또는 에지(128)로부터 2 mm 내지 10 mm 미만 같이, 탄성 부재의 폭(W1, W2) 미만인 횡방향 치수(125)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개시 구조체(100)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로의 성형 이전에 소프트윈드(softwind)의 형태의 세장형 부재로 형성된다. 이는 개시 구조체(100)를 절첩, 말기(rolling)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10a는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하도록 그 중심 종축을 따라 절첩되어 있는 개시 구조체(100)를 예시한다. 다른 예에서, 도 10b는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종축들을 따라 절첩되어 있는 개시 구조체(100)를 예시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1a 내지 도 11c는 말려진 세장형 부재(140)를 예시한다. 도 11a는 새로운 중심 종축(X1-X1)을 갖는 제1 절첩된 부재(118)를 얻기 위해 중심 종축(X-X)을 따라 첫 번째로 절첩되어 있는 커버 시트(130), 탄성 부재(120) 및 추가 층(122)을 포함하는 개시 구조체(100)를 예시한다. 도 11b는 새로운 중심 종축(X2-X2)을 갖는 제2 절첩된 부재(119)를 얻기 위해 도 11a의 제1 절첩된 부재(118)가 중심 종축(X1-X1)을 따라 두 번째로 접혀진다는 것을 예시한다. 도 13은 커버 시트(130)의 자유 단부에서 도 11b의 제2 절첩된 부재(119)가 자체적으로 말려지고 절합 또는 부착되거나 필요시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져서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한다는 것을 예시한다.
일부 양태에서, 세장형 부재(140)의 커버 시트(130)의 종방향 단부 부분(135)은 도 12에 도시된 것 같이 단부 밀봉부(134)를 형성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도 12는 커버 시트(130)에 의해 둘러싸여진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는 세장형 부재(140)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시트(130)는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탄성 부재(220) 길이(L1)보다 큰 길이(L3)를 갖는다. 종방향 단부 부분(135)은 그후 열, 압력, 초음파, 바느질, 접착제 등 같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단부 밀봉부(134)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L3가 L1보다 큰 실시예에서, 단부 밀봉부(134)는 탄성 부재(120) 재료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없을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세장형 부재(120)는 압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세장형 부재는 20 gf 내지 80 gf의 에너지 로딩, 20 gf 내지 50 gf의 에너지 업로딩, 및 40% 내지 50%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부재(140)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형성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요실금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것 같은 "W-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면, "W-형" 요실금 장치(110)를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부재(140)는 세장형 부재(140)의 대략 종방향(1) 중심에 위치된 절첩 영역(112)에서 종방향(1)으로 자체적으로 최초 절첩 또는 굴곡되며, 그래서,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1 단부(162A, 164A)가 횡방향으로 정렬되고 제1 단부 부분(162) 및 제2 단부 부분(164)이 종방향(1)으로 서로 인접하게 정렬되어 점선(17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세장형 부분(191, 192)을 형성한다. "서로 인접하게" 정렬된다는 것은 제1 단부 부분(162) 및 제2 단부 부분(164)이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또는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되거나, 횡방향(2)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거나, 소정 유형의 배열로 배치되어 제1 단부 부분(162)과 제2 단부 부분(164)이 횡방향(2)으로 서로 근접하게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절첩 영역(112)이 세장형 부재(140)의 종방향(2) 중심에 위치된다거나 제1 단부(164A) 및 제2 단부(162B)가 횡방향으로 정렬된다는 것은 임계적인 것이 아니다. 예로서, 일부 양태에서, 절첩 영역(112)은 세장형 부재(140)의 종방향(1) 중심으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1 단부(162A) 및 제2 단부(164A)가 엇갈려질 수 있다(즉, 횡방향(2)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장치(110)가 커버 시트(130)를 포함하는 양태에서, 커버 시트(130)의 종방향 결합부(132)(또는 절첩된 에지)는 세장형 부재(140)가 절첩 영역(112)에서 절첩되었을 때 내부(즉, 피부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세장형 부분(191, 192)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부분(191) 및 세장형 부분(192)을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하는 제1 개구(구멍)(54A) 및 제2 개구(54B)를 각각 형성하도록 구멍형성될 수 있다. 구멍(54A, 54B)은 종축(1)에 수직으로 또는 그에 대해 각지게 횡방향(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54A, 54B)은 각 단부(162A, 164A)로부터 약 4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10 mm 처럼 약 2 mm 내지 약 20 mm 이격되는 것 같이, 제1 단부(162A) 및 제2 단부(164A)로부터 짧은 거리 이격되어 있다. 단부(162A, 164A)가 엇갈려지는 양태에서, 단부(162A)로부터 구멍(54A)의 거리는 단부(164A)로부터 구멍(54B)의 거리와는 다를 수 있다. 구멍(54A, 54B)은 여성 질로부터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의 제거를 돕고 단부 부분(162, 164)의 정렬을 보증하는 것을 돕도록 인출 부재(56)가 그를 통해 루프형성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구멍(54A, 54B)은 실질적으로 횡방향(2)으로 정렬된다. 구멍(54A, 54B)은 바늘, 송곳 또는 다른 적절한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천공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출 부재(56)는 구멍들(54A, 54B) 양자 모두를 통해 꿰어지고 그후 자체적으로 루프형성되어 세장형 부재(140)에 견고하게 인출 부재(56)를 결속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인출 부재(56)의 자유 단부(56A, 56B)는 그후 매듭(58)으로 묶여져서 인출 부재(56)가 장치(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또한, 매듭(58)은 인출 부재(56)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여성이 그녀의 질로부터 일회용 요실금 장치(10)를 제거할 준비가 되었을 때 이 여성이 인출 부재(56)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지점 또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출 부재(56)는 또한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단부 부분(162A, 164A)을 보유하고 장치(110)가 여성이 질 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팽창하는(즉, 절첩 해제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일부 양태에서, 구멍(54A, 54B)은 대안적으로 절첩 이전에 세장형 부재(140)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출 부재(56)는 세장형 부재(140)가 절첩되기 이전에 또는 이후에 부착될 수 있다.
인출 부재(56)는 무명,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 같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유형의 스트링, 실 또는 리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출 부재(56)가 약 75 mm 내지 150 mm 또는 약 100 mm 내지 약 130 mm 같이 약 50 mm 내지 약 200 mm의 W-형 요실금 장치(110)의 인출 단부(52)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인출 부재(56)는 그 각각의 면살사에 고정되기 이전에 왁스 같은 흡수 방지제(anti-wicking agent)로 처리되거나 및/또는 착색될 수 있다. 흡수 방지제는 인출 부재(56)를 따라 질 유체가 흡수되어 여성의 속옷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바람직하게는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세장형 부재(140)는 제1 단부(162A)와 절첩 영역(112) 사이에서 두 번째로 절첩되어 절첩 영역(114)을 형성하며, 세장형 부재(130)는 제2 단부(164A)와 절첩 영역(112) 사이에서 세 번째로 절첩되어 절첩 영역(11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는 세 개의 절첩 영역(112, 114, 116)을 구비하며, 이들은 세장형 부재(140)의 제1 단부(162A)와 제2 단부(162B) 사이에 위치되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의 대체로 W-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제1 부분(193)(단부(162A) 및 라인(171)에 의해 형성됨), 제2 부분(194)(단부(164A) 및 라인(172)에 의해 형성됨), 제3 부분(195)(라인(171)과 라인(170)에 의해 형성됨) 및 제4 부분(196)(라인(172)과 라인(170)에 의해 형성됨)을 제공한다. 예시된 실시예의 대체로 W-형 프로파일에서, 제1 및 제2 단부(162A, 164A)는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횡방향(2)으로 정렬되고, 제1 부분(193)과 제2 부분(194)은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193)과 제3 부분(195)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194)과 제4 부분(196)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정렬되며,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은 제3 부분(195)과 제4 부분(196)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양태에서,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그 길이는 필요시 서로 다를 수 있고, 제3 부분(195)과 제4 부분(196)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그 길이는 필요에 따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195) 및 제4 부분(196)의 길이(L5) 미만인 길이(L4)를 가진다. 단지 예로서, 제3 부분(195)과 제4 부분(196)이 50 mm의 길이(L5)를 갖는 경우,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은 30 mm의 길이, 예로서, 20 mm 등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첩 영역(112)은 세장형 부재(140)의 제1 및 제2 단부(162A, 164A) 사이의 균등 또는 비균등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 영역(112)이 도 13c의 예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162A, 164A) 사이에서 등거리에 위치될 때, 절첩 영역(112)은 장치(110)의 중심 종축(Z-Z)(또한, 세장형 부재(140)의 "종방향(1) 중심"이라고도 지칭됨)을 따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예에서, 중앙 종축(Z-Z)은 장치(110)의 대체로 W-형 프로파일을 좌측 및 우측 미러 이미지로 수직방향으로 분할한다.
일부 양태, 특히, 커버 시트(130)를 포함하는 양태들에서, 절첩 안내부(550)를 제공하기 위해 각 목표 절첩 영역의 지점에서 세장형 부재(140)의 커버 시트(130)에 부조부가 적용될 수 있다. 절첩 안내부(550)는 사전결정된 지점에서 세장형 부재(140)가 절첩되는 것을 조장한다. 통상적으로, 부조된 절첩 안내부(550)는 이에 따라 커버 시트(130)의 잔여부보다 더 높은 밀도 및 강성도를 가지며, 따라서, 절첩 영역은 절첩 안내부(550) 바로 위에서가 아니라 절첩 안내부(55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양태에서, 절첩 안내부(550)는 (비록 이들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면살사의 피부 대면 측부 상에 위치되고, 따라서, 절첩 안내부(550)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대해 친화적일 수 있다. 절첩 안내부(550)의 부조부는 예로서, 경사진 평행선 또는 다이아몬드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부조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부조 패턴은 또한 시각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의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2)으로의 장치(110)의 압축력(즉, 압축시 장치가 절첩해제되려 할 때 나타나는 힘)인 횡방향 장치 압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장치(110)는 200 gf 내지 400 gf 같이 100 gf 내지 900 gf의 횡방향 장치 압축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CDR-421034 천공 필름 커버 시트 내에 배치된 150 gsm의 기본 중량과, 13 mm의 폭 및 17 mm의 길이를 가지는 Texor Surge 5.25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175 mm의 길이와 20 mm의 직경을 갖는 관형 세장형 부재(120)로 구성되는 W-형상을 갖는 장치(110)는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353 gf의 횡방향 장치 압축을 나타내었다. 다른 예에서, EX-1824027 커버 시트 내에 배치된 150 gsm의 기본 중량과, 13 mm의 폭 및 17 mm의 길이를 가지는 Texor Surge 5.25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175 mm의 길이와 20 mm의 직경을 갖는 관형 세장형 부재(120)로 구성되는 W-형상을 갖는 장치(110)는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224 gf의 횡방향 장치 압축을 나타내었다.
도 13d를 참조하면, W-형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는 그후 삽입 단부(51) 및 후미 단부(52)를 갖는 면살사(150) 내로 압축된다. 면살사(150)는 임의의 원하는 전체 압축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는 예로서, 적용기의 형상을 따르는, 원형 또는 난형 단면 구조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비록, 다른 프로파일도 고려될 수 있지만, 대안적 프로파일은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단면 구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면살사(15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종방향(1) 길이(L5), 전체 횡방향(2) 폭(W5) 및 z-축(3)을 따라 연장하는 깊이(D5)를 갖는다. 면살사(150)가 원형 단면일 때, 그 폭(W5)은 그 깊이(D5)와 동일할 수 있고, 면살사(150)가 예를 들어 타원형 단면일 때, 그 폭(W5)은 그 깊이(D5)보다 클 수 있다. 면살사(150)의 길이(L5)는 약 30 mm 내지 약 120 mm, 예를 들어 약 40 mm 내지 약 10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70 mm의 범위일 수 있다. 폭(W5) 및 깊이(D5)는 약 10 mm 내지 약 50 mm, 예를 들어 약 20 mm 내지 약 40 mm 또는 약 25 mm 내지 약 35 mm의 범위일 수 있다.
면살사(150)는 절첩 영역(112)의 정점(apex)과 세장형 부재(140)의 최근접 단부(162A, 164A) 사이의 거리인 치수(R5)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수(R5)는 절첩 영역(112)의 정점과 양 단부(162A, 164A) 사이의 거리에 동일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치수(R5)는 약 10 mm 내지 약 100 mm, 예를 들어 약 20 mm 내지 약 80 mm 또는 약 35 mm 내지 약 50 mm의 범위일 수 있다. 치수(R5)의 길이를 언급하는 다른 방식은 면살사(150)의 길이(L5)의 적어도 약 10 퍼센트,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5 퍼센트에 동일한 거리를 가져야 한다고 일컫는 것이다. 거리(R5)는 바람직하게는 면살사(150)가 덜 조밀하고 더 편안한 삽입 단부를 갖고, 또한 질의 내부벽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후미 단부(52)를 향해 측방향으로 외부로 팽창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면살사(150)의 삽입 단부(51)는 삽입 중에 여성의 질강 내에 진입하는 면살사(150)의 제1 단부가 되도록 설계된다. 사용 중에, 면살사(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여성의 질 내에 완전히 위치됨을 알아야 한다. 삽입 단부(51)는 일반적으로 면살사(150)의 후미 단부(52)보다 더 적은 전체 재료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더 적은 전체 재료의 양이 삽입 단부(51)에 존재할 수 있지만, 삽입 단부(51)의 외경은 압축 상태에 있을 때, 예를 들어 면살사(150)가 적용기 내에 배치될 때 후미 단부(52)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삽입 단부(51) 내의 전체 재료의 양은 후미 단부(52)를 구성하는 전체 재료보다 더 적은 정도로 치밀화(densified)되거나 압축된다. 후미 단부(52)에 존재하는 더 많은 재료의 양을 가짐으로써, 요실금 장치(110)는 후미 단부에서 팽창하여 요도에 인접하여 위치된 근육 및 신체 조직을 지지하고 요도를 통한 소변의 무의식적인 누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요도 압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더 양호하게 적합해진다. 물론, 압축된 면살사(150)가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적용기 내에 배치되면, 압축된 면살사(150)의 삽입 단부(51)의 직경은 후미 단부(5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달리 말하면, 압축된 면살사의 형상은 존재한다면 적용기의 내부 형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장치(110)의 사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도 3은 괄약근(84)에 인접하는 위치에서의 장치(110)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보다 질강 내에서 낮은 위치에서 질구(91)까지의 위치에서의 장치(110)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압축된 면살사(150)는 여성의 질(92)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면살사(150)는 팽창 상태(40')로 도시되어 있다. 팽창된 면살사는 길이(L6) 및 직경 또는 폭(W6)을 갖는다. 제1 및 제2 단부(162, 164)는 바람직하게는 인출 부재(56)의 부착에 의해 서로 인접하고 서로 접촉하여 유지된다. 질강(92) 내에 있는 동안,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120)가 팽창할 수 있어(반경방향 팽창 및 절첩해제 팽창의 모두), 이에 의해 W-형 장치(110)가 외향 및/또는 상향으로 튀어 오르거나 팽창하게 하고 내부 질 공간의 부분을 가로질러 확산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110)는 경부(cervix) 아래에 위치되어야 한다. 탄성 부재(120)의 탄력성, 탄성 및 가요성 특성은 장치(110)가 그 압축되고 변형된 면살사(150) 형상으로부터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것은 요실금 장치(110)가 질벽 내의 공간에 친밀하게 접촉하여 더 이상적으로 합치할 수 있게 하고 질(92)의 전방 및 후방 및 좌우 측벽 및 포선(convolution) 내부에 대해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부가의 양태는 필요하다면 적용기(210)(도 14a 내지 도 14c)가 질 내에 있는 동안 그리고 장치(110)가 적용기(210)로부터 배출된 후에 삽입 단부(270)가 요실금 장치(10)의 후미 단부(52)에 인접하고 그와 접촉할 때 인출 부재(56)를 잡아당김으로써, 질벽에 대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장치(110)의 폭 치수(W6)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적용기(210)의 존재는 조정 중에 장치(110)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요실금 장치(110)의 제1 및 제2 부분(193, 194)을 하방으로 견인하여, 따라서 R5 치수(도 2) 및 W6 치수(도 3 및 도 4)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거를 위해 질벽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폭 치수(W6)(도 3 및 도 4)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적용기(210)(도 14a 내지 도 14c)가 질 내에 남아 있는 동안 그리고 장치(110)가 도 13b에 도시된 형상 프로파일과 유사해질 때까지 장치(110)가 적용기(210)로부터 배출된 후에 삽입 단부(270)가 요실금 장치(10)의 후미 단부(52)에 인접하고 그에 접촉할 때 인출 부재(56)를 잡아당김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 구성은 폭 치수(W6)를 최소화하고, 따라서 질벽 상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제거를 더 편안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압축된 면살사(150)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팽창된 장치(110')에 비교하면, 삽입된 장치(110')의 후미 단부(52')의 폭(W6)은 압축된 면살사(150)의 후미 단부(52)의 폭(W5)보다 크다. 게다가, 삽입된 장치(110')의 팽창된 삽입 단부(51')의 거리(W7)는 압축된 면살사(150)의 삽입 단부(51)의 거리(W5)보다 클 수 있다. 더욱이, 삽입된 장치(110')의 길이(L6)는 압축된 면살사(150)의 길이(L5)와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게다가, 삽입된 장치(110')의 직경(D6)은 압축된 면살사(150)의 직경(D5)과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면살사(150)의 치수(L5, W5, D5)는, 일단 압축된 면살사(150)가 탄성 부재(120)의 팽창에 기인하여 질(92) 내에 삽입되면 각각 증가할 수 있다. 면살사(150)가 탄성 부재(120)의 작용에 의해 그 각각의 팽창된 상태(40')로 팽창됨에 따라, 팽창된 면살사는 신체 조직을 가로지르는, 특히 요도-질 근막 영역(86)에서의 압력 전달을 허용할 수 있다. 이 작용은 복부내 압력이 증가할 대 여성의 요도(88)가 자체로 압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안정한 백드롭(backdrop)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5 인치(38 mm) 길이이고 소변이 이를 통해 흐르는 요도(88)의 부분은 자체로 압축되거나 압착(pinch)되어 이에 의해 소변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원형 단면 구성을 유지하고 적절하게 작동하는 더 높은 경향을 갖게 하도록 괄약근(84) 부근의 영역에 지지부가 제공될 것이다. 이들 작용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긴장 요실금에 기인하는 무의식적인 실금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압축된 면살사(150)는 부직포, 카드보드, 폴리머(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적용기 내에 수납되어 여성의 질(92) 내로의 요실금 장치(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기는 설정 길이, 폭 및/또는 직경에서 압축된 면살사(150)의 형태로 장치(110)를 보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중공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적용기로부터 인간 신체 내로의 면살사(150)의 삽입은 예를 들어 2-부분 적용기 또는 3-부분 적용기에서 플런저(240)를 사용하여, 또는 디지털 삽입에 의해 성취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그녀의 손가락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적용기보다는 장치(110)를 삽입할 수 있다. 적합한 적용기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준커(Zunker) 등의 미국 특허 제6,645,136호에 개시되어 있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적합한 적용기를 도시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적용기(210)는 사전 조립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용기(210)는 배럴부(220)의 삽입 단부(270)에 개별 페탈(224)을 형성하는 슬릿 또는 개구(222)를 갖는 삽입 캐리지 또는 삽입 하우징을 형성하는 배럴부(220)와, 배럴부(220)의 후미 단부(275)에 부착되는 파지부(230)와, 배럴(220)로부터 면살사(150)를 배출하기 위해 파지부(230)의 후미 단부(285)에 있는 개구를 통해 끼워지는 플런저부(240)를 포함한다.
배럴(220)은 그 내부에 압축된 면살사(150)를 수납하고 소지하도록 적용된 종축(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공 실린더(226)를 포함한다. 그 종축(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배럴(220)은 장축(2) 및 단축(3)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계란형 또는 타원형 단면(필수적인 것은 아님)을 갖는다. 배럴(220)은 요실금 장치 배출 출구 단부(즉, 삽입 단부)(270) 및 후미 단부(275)를 갖는다. 삽입 단부(270)는 적용기(210)가 질(92) 내에 삽입될 때 선행 질 삽입 단부이다. 실린더(226)의 삽입 단부(270)는 바람직하게는 페탈(petal)(224)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데, 이는 질 삽입 프로세스를 부드럽게 한다. 따라서, 페탈(224)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어서, 플런저(240)가 배럴(220) 내에서 면살사(150)의 후미 단부(52)에 대해 가압될 때 면살사(150)가 그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8개의 페탈(224)을 포함하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10개의 페탈과 같은 임의의 수의 페탈이 적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몇몇 양태에서, 삽입 단부(270)는 0개의 페탈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배럴(220)은 삽입 단부(270)가 후미 단부(240) 직경(D9)보다 더 작은 단면 직경(D8)을 갖도록 테이퍼질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테이퍼진 배럴이 배럴부(220)의 종방향 에지(229')를 수직선(229)에 비교함으로써 도 14b 및 도 14c에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질강 내로의 적용기(210)의 더 용이한 삽입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면살사(150)의 후미 단부(52)가 삽입 단부(51)보다 더 많은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압축된 면살사(150)를 배럴부(220)에 끼울 때 몇몇 양태에서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파지부(230)의 삽입 단부(280)는 배럴(220)의 후미 단부(275)에 부착된다.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는 배럴(220)의 후미 단부(275)에 있는 정합 스냅(mating snap)(227)에 연결되는 삽입 단부(280)에 있는 기계적 스냅(237)을 포함하여 배럴(220)과 파지부(230)가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게 된다. 몇몇 부가의 양태에서, 파지부(230)는 배럴(220)의 후미 단부(275) 상에 위치된 상보형 탭(228)과 정합하여 배럴(220)과 파지부(230)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롯(238)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의 후미 단부(285)는 파지부(230)의 삽입 단부(280)에 대해 감소된 또는 테이퍼진 폭 또는 직경을 갖고, 이는 플런저(240)가 신장될 때 헤드 플랜지(242)에서 및/또는 플런저(230)가 수축될 때 후방 플랜지(246)에서 플런저(240)를 위한 가이드 및/또는 삽입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의 후미 단부(285)는 삽입 단부(280)에 비교할 때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 평탄한 표면은 플런저(240)를 유지하고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의 후미 단부(285)의 일반적인 단면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파지부(230)와 플런저(240) 사이의 원활한 축방향 결합을 수용하기 위해 플런저(240)의 샤프트(244)의 단면 구성과 유사하거나 상응한다.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는 플런저(240)를 적소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플런저(240)의 외부에 접촉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적용기(210)의 삽입 또는 회수 중에 이 플런저를 안내하기 위해 파지부(230)의 내부 부분 내에 연장부에 의해 규정된 복수의 결합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파지부(23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더 편안하게 끼워지도록 설계된 손가락 윤곽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윤곽부(232)는 적용기(210)를 휴대하거나 삽입할 때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고, 몇몇 양태에서 적용기(210)의 적절한 배향으로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몇몇 다른 양태에서, 파지층(234)이 손가락 윤곽부(232)에 부착되어, 예를 들어 향상된 마찰 파지 및/또는 더 부드럽고 더 편안한 느낌과 같은 부가의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층(234)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적용기(210)의 플런저부(240)는 헤드 플랜지부(242), 샤프트부(244) 및 후방 플랜지부(246)를 포함한다. 파지부(230)의 후미 단부(285)와 같이, 플런저(240)는 그 종축(1)에 수직인 방향에서 장축(2) 및 단축(3)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경주 트랙(즉, 2개의 편평한 변 및 2개의 굴곡된 변)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플런저(240)의 코너 및/또는 측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파지부(230)의 내부면과 플런저(240)의 마찰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적용기(210)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런저(240)는 바람직하게는 중공이고, 플런저(240)의 내부를 통해 플런저(240)의 후미 단부(295) 외부로 인출 부재(56)를 끼우기 위한 출구(241, 243)를 갖는다. 헤드 플랜지부(242) 및 후방 플랜지부(246)는 샤프트부(24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 플랜지부(242)는 플런저의 삽입 단부(290)에 위치되고, 샤프트부(244)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어, 배럴(220)의 외부로 면살사(150)를 더 용이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 후방 플랜지부(246)는 플런저(240)의 후미 단부(295)에 위치되고, 샤프트부보다 약간 큰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중에 플런저(240)에 더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양태에서, 플런저(240)는 플런저(24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 외부 봉합부(132)를 갖는 세장형 부재(130)를 형성하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원하는 폭 및 두께를 갖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 재료(120')의 웨브가 제공된다.
단계 2) 선택적으로(도시 생략), 하나 이상의 부가의 층이 탄성 부재(120)의 일 표면 상에 정렬될 수도 있다.
단계 3) 탄성 부재 재료(120')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 수축(constricting) 장치(318)를 통해 이를 견인함으로써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랜덤하게 절첩된 관형 탄성 부재(120)를 생성한다. 부재(120)의 횡방향 단면도가 도 15b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4) 탄성 부재(120)는 절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부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의 측방향 에지의 내부에 부조부(113)를 위치시키는 것은 최종 제품의 사용자에 대한 자극(irritation)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 5) 커버 시트 재료(130')가 제공된다.
단계 6) 탄성 부재(120)가 튜브 개구(320)에 진입하고 종방향(1)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튜브(319) 내로 견인된다.
단계 7) 커버 시트 재료(130')가 튜브(319) 주위에 랩핑된다.
단계 8) 재료(130')의 측방향 단부가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부착되어 종방향 봉합부(132)를 갖는 커버 시트(130)를 형성한다.
단계 9) 탄성 부재(120) 및 커버 시트(130)가 개구(321)에서 튜브(319)를 나온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개구(321)는 튜브 개구(3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단계 10) 탄성 부재(120)는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고 밀봉된 커버 시트(130)를 충전하여 연속적인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한다.
단계 11) 연속적인 세장형 부재(140')가 개별 세장형 부재(140)로 분할(즉, 절단)된다. 연속적인 세장형 부재(140')를 절단함으로써 탄성 부재(120) 상의 장력을 해제하는 것은 탄성 부재(120)의 종방향(1) 길이 감소를 야기하여, 종방향 단부(135)에 탄성 부재가 결여된 세장형 부재(140)를 생성한다.
단계 12) 세장형 부재(140)의 종방향 단부(135)는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밀봉되어 단부 밀봉부(134)를 형성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원하는 폭 및 두께를 갖는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 재료(120')의 웨브가 제공된다.
단계 2) 선택적으로(도시 생략), 하나 이상의 부가의 층이 탄성 부재(120)의 일 표면 상에 정렬될 수도 있다.
단계 3) 탄성 부재 재료(120')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 수축(constricting) 장치(318)를 통해 이를 견인함으로써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인 랜덤하게 절첩된 관형 탄성 부재(120")를 생성한다.
단계 4) 연속적인 탄성 부재(120")는 절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부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의 측방향 에지의 내부에 부조부(113)를 위치시키는 것은 최종 제품의 사용자에 대한 자극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 5) 연속적인 탄성 부재(120")는 개별 탄성 부재(120)로 분할(즉, 절단)된다.
단계 6) 커버 시트 재료(130')가 제공된다.
단계 7) 커버 시트 재료(130')는 개별 탄성 부재(120) 주위에 꼭맞게 랩핑된다(wrapped). 사전 결정된 길이의 갭(117)이 연속적인 탄성 부재(120) 사이에 유지된다.
단계 8) 커버 시트 재료(130')의 측방향 단부는 성형 봉합부(132)에 부착되어 관형 커버 시트(130)를 생성한다.
단계 9) 개별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는 커버 시트(130)가 갭(117)의 위치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밀봉되어, 이어서 분할되어 종방향 단부 밀봉부(134)를 갖는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여성 요실금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120)와,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120)를 둘러싸서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부재(140)를 형성하는 커버 시트(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세장형 부재(140)는 제1 단부(162A), 제2 단부(164A), 제1 단부(162A)와 제2 단부(164A)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첩 영역(112), 제1 단부(162A)와 제1 절첩 영역(112)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114), 제2 단부(164A)와 제1 절첩 영역(112)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116)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세장형 부재(140)를 제1 절첩 영역(112), 제2 절첩 영역(114) 및 제3 절첩 영역(116)에서 절첩하여, 제1 단부(162A)와 제2 절첩 영역(114) 사이에 위치된 제1 부분(193), 제2 단부(164A)와 제3 절첩 영역(116) 사이에 위치된 제2 부분(194), 제1 절첩 영역(112)과 제2 절첩 영역(114) 사이에 위치된 제3 부분(195) 및 제1 절첩 영역(112)과 제3 절첩 영역(116) 사이에 위치된 제4 부분(196)을 형성하여 절첩 상태로 세장형 부재(14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부분(193)은 제2 부분(194)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정렬되고, 제1 부분(193)은 제3 부분(195)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정렬되고, 제2 부분(194)은 제4 부분(196)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정렬되고,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은 제3 부분(195)과 제4 부분(196) 사이에 이들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형성하는, 절첩 상태로 세장형 부재(140)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삽입 단부(51) 및 후미 단부(52)를 갖는 압축된 면살사(150) 내로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압축하는 단계와,
d) 삽입 단부(51)가 먼저 진입하는 상태로, 압축된 면살사(150)를 여성의 질(92)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e) 요도 괄약근(84)으로부터 질구(91)에 이르는 위치에서 질강(92) 내에 압축된 면살사(150)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f) 압축된 면살사(150)를 질관(92) 내에서 팽창시켜 삽입된 일회용 요실금 장치(110')를 형성하여 요도-질 근막 영역(86)에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g) 요도(88)가 그 자체로 압축되게 하여 이에 의해 무의식적인 소변 흐름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방법은 인출 부재(56)를 세장형 부재의 제1 부분(193) 및 제2 부분(194)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방법은 압축된 면살사(150)를 적용기(210)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방법은 적용기(210)를 파지부(230)에서 파지하는 단계, 적용기(210)의 삽입 단부(270)를 질구(91)를 통해 질(92) 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플런저(240)를 압박하여 적용기(210)로부터 면살사(150)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방법은 적용기(210)가 질(9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인출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장치(210)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방법은 인출 부재(56)를 잡아당김으로써 질(92)로부터 요실금 장치(110)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상기 예의 상세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단지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가 상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수의 수정이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 및 장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즉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예에 합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수정은 이하의 청구범위 및 모든 그 등가물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모든 장점을 성취하지 않는 다수의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고, 또한 특정 장점의 부재(absence)가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 외에 있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 구성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설명에 포함된 모든 요지는 한정의 개념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일회용 요실금 장치로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 및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를 둘러싸는 커버 시트를 포함하고,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첩 영역,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부분 및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4 부분을 구비하고,
    세장형 부재는 절첩 상태에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이 제3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이 제4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제3 부분과 제4 부분의 사이에서 그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스피닝 보유력 테스트에 의거하여 측정될 때 비흡수성인 일회용 요실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탄성율 테스트에 의거하여 측정될 때 60% 내지 90%의 탄성 압축 및 60% 내지 100%의 탄성 팽창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는 적어도 20g/m2의 기본 중량과, 689 dynes/cm2의 압력 하에서 웨브 그램 당 80 내지 120 cm3의 보이드 체적과, 8,000 내지 15,000 darcy의 투과성과, 적어도 95%의 공극률과, 10 내지 25 cm2/cm3의 보이드 체적 당 표면적과, 적어도 60%의 습윤 및 건조 상태 양자 모두에서의 압축 탄성을 갖는 로프티(lofty) 부직 웨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열 접합된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서지 재료인 일회용 요실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올론(orlon),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적 비흡수성 층을 더 포함하고, 이 추가적 비흡수성 층은 액체-안정성 탄성 부재의 평면형 표면에 인접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종축을 따라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단부 밀봉부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에는 탄성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 상에 배치된 부조부(embossment) 형태의 절첩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소수성인 일회용 요실금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제1 개구와, 세장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W-형 프로파일-절첩 세장형 부재 내에서 정렬되며, 제1 개구는 제1 단부로부터 2 mm 내지 20 mm 떨어져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제2 단부로부터 2 내지 20 mm 떨어져 배치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인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출 부재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 모두 내에 존재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횡방향 장치 압축 테스트에 의해 측정될 때 100 gf 내지 900 gf의 횡방향 장치 압축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면살사(pledget)를 형성하도록 압축되어 있으며, 면살사는 등가의 습윤 및 건조 팽창 특성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적용기를 더 포함하고, 면살사는 면살사의 삽입 단부가 적용기의 삽입 단부에 인접하도록 적용기 내에 배치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용기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테이퍼형 배럴과,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손가락 윤곽부를 갖는 파지부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헤드 플랜지와 후방 플랜지와 샤프트 부분과 레이스-트랙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 플런저를 포함하고, 파지부의 삽입 단부는 베럴의 후미 단부에 연결되고, 헤드 플랜지 및 샤프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파지부 내에 배치되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
  18. 비흡수성 일회용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a) 비흡수성 탄성 재료의 웨브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탄성 부재를 형성하도록 목표 단면 형상으로 비흡수성 탄성 재료의 웨브를 성형하는 단계와,
    c)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비흡수성 커버 시트로 탄성 부재를 덮는 단계와,
    d)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자체적으로 절첩하고, 제1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두 번째로 절첩하고, 제2 단부와 제1 절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절첩 영역에서 세장형 부재를 세 번째로 절첩하여, 제1 단부와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1 부분과, 제2 단부와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2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2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부분과, 제1 절첩 영역과 제3 절첩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4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은 제3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2 부분은 제4 부분에 인접하게 정렬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3 부분과 제4 부분의 사이에서 그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W-형 프로파일을 갖는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형성하는, 절첩 단계와,
    e) 인출 부재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흡수성 일회용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구비하는 면살사 내로 일회용 요실금 장치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흡수성 일회용 장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a) 면살사의 삽입 단부가 적용기의 삽입 단부에 인접하도록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는 적용기 내로 면살사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적용기는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테이퍼형 배럴과,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손가락 윤곽부를 갖는 파지부와, 삽입 단부와 후미 단부와 헤드 플랜지와 후방 플랜지와 샤프트 부분과 레이스-트랙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 플런저를 포함하고, 파지부의 삽입 단부는 베럴의 후미 단부에 연결되고, 헤드 플랜지 및 샤프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파지부 내에 배치되는, 면살사 삽입 단계와,
    b) 인출 부재의 일부가 플런저의 후방 플랜지를 초과하여 연장하도록 베럴, 파지부 및 플런저를 통해 인출 부재를 끼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흡수성 일회용 장치 제조 방법.
KR1020127016934A 2009-12-31 2010-12-06 일회용 요실금 장치 KR101732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51,129 US8652026B2 (en) 2009-12-31 2009-12-31 Disposable urine incontinence device
US12/651,129 2009-12-31
PCT/IB2010/055603 WO2011080628A2 (en) 2009-12-31 2010-12-06 Disposable urine incontinen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506A KR20120115506A (ko) 2012-10-18
KR101732209B1 true KR101732209B1 (ko) 2017-05-24

Family

ID=4418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934A KR101732209B1 (ko) 2009-12-31 2010-12-06 일회용 요실금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652026B2 (ko)
KR (1) KR101732209B1 (ko)
CN (1) CN102695487B (ko)
AU (1) AU2010337982B2 (ko)
BR (1) BR112012015823B1 (ko)
MX (1) MX2012007698A (ko)
RU (1) RU2546509C2 (ko)
WO (1) WO20110806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2026B2 (en) * 2009-12-31 2014-02-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rine incontinence device
EP2552357A4 (en) 2010-04-02 2015-10-07 Gynamics Women S Health Ltd MEDIC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ARNINE INCONTINENCE IN WOMEN
US9022919B2 (en) 2010-12-23 2015-05-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device having a support portion with plurality of struts
US9814630B2 (en) * 2010-12-23 2017-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device having a support portion with plurality of foldable areas
US10159550B2 (en) 2013-12-20 2018-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method of manufacture
US10159551B2 (en) * 2013-12-20 2018-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method of manufacture
MX366300B (es) * 2013-12-20 2019-07-03 Kimberly Clark Co Metodos para fabricar insertos vaginales.
US10219955B2 (en) 2014-06-06 2019-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manufacturing and article arrays from the same
BR112018003317B1 (pt) 2015-08-20 2023-02-28 Watkins-Conti Products, Inc Dispositivo de inserção vaginal
ES1163358Y (es) * 2016-07-13 2016-11-15 Ecareyou Innovation S L Dispositivo aplicador para copa menstrual.
ES2842380T3 (es) 2016-07-25 2021-07-13 Ovala Inc Dispositivo de incontinencia
AU2017302514B2 (en) 2016-07-25 2022-05-19 Ovala, Inc. Incontinence device
CA3050123A1 (en) 2017-01-24 2018-08-02 Liv Labs Inc.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device
CN110505857A (zh) 2017-04-26 2019-11-26 瑞诺福第二附属有限公司 尿失禁装置的导引器
USD833009S1 (en) 2017-07-24 2018-11-06 Rinovum Subsidiary 2, LLC Incontinence device
USD832437S1 (en) 2017-07-24 2018-10-30 Rinovum Subsidiary 2, LLC Incontinence device
KR20200133757A (ko) 2018-03-16 2020-11-30 왓킨스-콘티 프로덕츠 인크. 질내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CN110664510B (zh) * 2019-10-28 2024-05-24 北京鑫紫竹兴业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女性堵漏器
EP4096759A4 (en) 2020-01-30 2024-03-13 Rambam Medtech Ltd URINARY CATHETER PROSthe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0038A (en) 1998-12-21 2000-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pandable dome-shaped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20156343A1 (en) 2001-04-19 2002-10-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allevi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US6679831B1 (en) 2000-09-28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ilient incontinence insert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5346A (en) * 1996-08-12 1998-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having a resilient member
US6645136B1 (en) * 2000-09-28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continence insert applicator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6458072B1 (en) * 2001-04-19 2002-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rinary incontinence device
FR2824257B1 (fr) * 2001-05-07 2004-01-30 Bernard Guerquin Dispositif intra-vaginal de prevention de l'incontinence urinaire feminine a l'effort
FR2856915B1 (fr) * 2003-07-04 2006-02-10 Sylviane Forgeot Dispositif pour incontinence urinaire
US7717892B2 (en) * 2006-07-10 2010-05-18 Mcneil-Ppc, Inc. Method of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9339419B2 (en) * 2008-07-15 2016-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applicator
US20110152813A1 (en) * 2009-12-17 2011-06-23 Daniel Lee Ellingso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Portion
US8652026B2 (en) * 2009-12-31 2014-02-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rine incontinenc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0038A (en) 1998-12-21 2000-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pandable dome-shaped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79831B1 (en) 2000-09-28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ilient incontinence insert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20156343A1 (en) 2001-04-19 2002-10-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allevi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0628A2 (en) 2011-07-07
RU2546509C2 (ru) 2015-04-10
WO2011080628A3 (en) 2011-12-01
RU2012132425A (ru) 2014-02-10
US8652026B2 (en) 2014-02-18
AU2010337982B2 (en) 2015-05-07
CN102695487A (zh) 2012-09-26
CN102695487B (zh) 2015-08-19
US9277982B2 (en) 2016-03-08
US20110160525A1 (en) 2011-06-30
AU2010337982A1 (en) 2012-06-21
MX2012007698A (es) 2012-07-23
KR20120115506A (ko) 2012-10-18
BR112012015823A2 (pt) 2016-06-14
BR112012015823B1 (pt) 2020-02-18
US20140135572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209B1 (ko) 일회용 요실금 장치
KR101750581B1 (ko) 커버 시트를 구비한 일회용 요실금 장치
KR100613332B1 (ko) 팽창가능한 돔 형상의 요실금용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3483B1 (ko) 요실금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20398B1 (ko) 요실금을 경감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RU2223719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произвольного мочеиспускания у женщин
JP6125589B2 (ja) 長手方向の可撓性を備えるペッサリー装置
JP5193301B2 (ja) 人類学的に好ましく膨張可能なタンポンプレジェット
KR100940223B1 (ko) 의료용 및 생리용 흡수체.
JP2014509922A (ja) ペッサリー装置
JP2014516619A (ja) 改良された快適性を有するペッサリー装置
MXPA01006167A (en) A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