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525B1 -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25B1
KR101731525B1 KR1020150096823A KR20150096823A KR101731525B1 KR 101731525 B1 KR101731525 B1 KR 101731525B1 KR 1020150096823 A KR1020150096823 A KR 1020150096823A KR 20150096823 A KR20150096823 A KR 20150096823A KR 101731525 B1 KR101731525 B1 KR 10173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
shape
mounting hole
transducer housing
ultrasonic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224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Priority to KR102015009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 비용이 절감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베이스 면;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은, 일면에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갖도록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축이 연결된 둘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ULTRASONIC TRANSDUCER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 공정이 단순해지고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운전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이 차량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차량 운전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의 예로는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오토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uto cruise control system),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직선 유지 시스템인 액티브 레인 컨트롤 시스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달릴 수 있는 인텔리전트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추돌 예측 경고 시스템(PFCW),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주차 보조 시스템(parking assistance system) 등이 있다.
여기서, 주차 보조 시스템은 주차 또는 후진 이세 장애물과의 간격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기능하며, 음향신호 또는 광신호로 위험을 경고한다.
도1은 주차 보조 시시템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보조 시스템은 송/수신 로직(1), 진동 발생기(2), 트랜스퍼머(3), 초음파 트랜스듀서(4), 증폭기(5), 필터(6), 평가회로(7) 등을 포함한다.
진동 발생기(2), 트랜스퍼머(3), 초음파 트랜스듀서(4) 등으로 구성되는 초음파센서는 반사파-음향(echo sounding)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 센서는 주로 장애물과의 거리 및 공간을 감시하는데 사용된다. 이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파를 다시 수신하는 송/수신 유닛,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초음파센서는 주기적으로 차례로 활성화되며(activate), 대략 40~58kHz의 초음파신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모든 초음파센서들은 수신모드로 전환되어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음파를 수신한다. 반사파-음향신호의 도달시간으로부터 장애물과의 간격 및 장애물의 장소적 위치를 계산한다. 수신 신호에 근거하여 장애물과 간격에 따라 신호 처리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경고신호를 보내어 위험을 예방한다.
시각적인 표시장치를 갖춘 시스템에서는 추가로 화면에 그림으로 나타내어 어느 위치에 장애물이 있는지 운전자가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차량용 주차 보조 센서 (Ultrasonic or SPAS sensor)의 특성은 트랜스듀서(Transducer or 초음파 Cell)의 형상에 따라 고유한 특성을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트랜스튜서의 하우징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단조(Forging) 후 가공 공정으로 하우징의 형상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는 가공 정도의 편차를 수반하게 된다. 즉, 종래의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은, 봉재를 단조 후 가공하여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또한, 단조 공정 후 요구 특성(진동 주파수, 빔각 등)을 만족하기 위해 선삭 및 연마 등의 가공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가공 공정 이후 제품은 가공 특성 상 산포가 있어 각 제품의 특성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의 확보를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반경방향 폭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존하게 되면,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잡해지고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서로 다른 반경방향 폭의 선정을 위한 시간이 소요된다. 나아가,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서로 다른 반경방향 폭에 따라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전체적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요구 특성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의 트랜스듀서 하우징을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공정 및 제작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 비용이 절감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베이스 면;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베이스 면;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축이 연결된 둘레 형상을 갖되,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복수개의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직선부 중 어느 하나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는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꼴인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은, 일면에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갖도록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축이 연결된 둘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복수개의 직선부와 완곡한 곡면이 번갈아 배치되면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피에조 소자의 형상 및 그 장착홀의 형상에 따라 구현함으로써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전체적인 형상이 단순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가공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생산 공정이 단순해지고,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주차 보조 시시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베이스 면(12), 피에조 장착홀(14), 및 사이드 면(16)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면(12)은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상기 베이스 면(12)에 형성된 홀이다.
상기 사이드 면(16)은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면(12)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딥 드로잉 공법은 평판소재를 펀치가 다이속으로 유입시키면서 펀치 형상에 따른 용기를 성형하는 드로잉 공법의 일종으로서 가공 깊이가 깊을 경우를 딥 드로잉이라 하며, 이러한 딥 드로잉 공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단조 후 가공 공정으로 형상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는 가공 정도의 편차를 수반하게 된다.
즉, 종래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제작 방법은, 봉재를 단조 후 가공하여 제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가공 공정은 요구 특성(진동 주파수, 빔각 등)을 만족하기 위해 선삭 및 연마 가공으로 부품을 제작하고 있다.
이 때, 제품의 성능을 위해 단조 공정 후 가공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가공 공정 이후 제품은 가공 특성 상 산포가 있어 각 제품의 특성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제품 요구 특성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공하기 때문에 제작에 투입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하여 가공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가벼운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하여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재질이란 순수 알루미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을 포함한 합금 재질을 의미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에조 장착홀(14)의 형상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에는 피에조 소자(2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상기 피에조 소자(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소자(20)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피에조 소자(piezo element; 20)는 전압을 가하여 전압에 비례한 변형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압전 결정에 압력이나 비틀림을 주어 전압이 발생되는 소자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에 적용되는 피에조 소자는 초음파 진동 발생과 초음파 수신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에조 소자에 일정한 전압이 전달되면, 상기 피에조 소자가 진동하게 되며, 그 진동은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을 통해 초음파 형태로 발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협폭부(narrow side of beam angle; 17)와 광폭부(wide side of beam angle; 19)를 포함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소자(20)는 이에 대응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피에조 소자(20)는 협폭부(27)와 광폭부(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 및 상기 피에조 소자(20)의 협폭부(17, 27)는 타원의 단축 방향 폭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14) 및 상기 피에조 소자(20)의 광폭부(19, 29)는 타원의 장축 방향 폭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처럼 상기 피에조 소자(20)의 상기 협폭부(27)와 상기 광폭부(29)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에조 소자(20)의 진동이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을 통해 초음파의 형태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등에서, 그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발산되며, 발생된 초음파가 외부 차량이나 행인 등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으로 전달되면,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에서 증폭된 초음파가 상기 피에조 소자(20)에 진동 형태로 전달되고, 전달된 진동이 상기 피에조 소자(20)에서 압전효과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켜 외부 차량 등의 존재를 확인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협폭부(27)와 상기 광폭부(29)의 길이에 따라 발산되는 초음파의 방사각 특성이 결정된다.
즉,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전달되는 진동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며, 그 진동 면의 중량이 가벼울수록 증폭 효과가 크기 때문에 그 질량이 가벼운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은 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하여 가공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의 제작이 가능하여, 진동 또는 초음파 증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에는 피에조 소자(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상기 피에조 소자(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소자(30)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4의 설명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피에조 소자(30)의 기능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단축(d17)과 장축(d19)을 포함하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소자(30)는 이에 대응되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피에조 소자(30)는 단축(d37)과 장축(d39)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 형상은 둘레가 완곡한 곡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축(d17, d37)은 "+" 형상을 형성하는 두 개의 축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이고, 장축(d19, d39)은 "+" 형상을 형성하는 두 개의 축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부분이다. 이처럼 상기 피에조 소자(30)의 상기 단축(d37)과 상기 장축(d39)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단축(d37)과 상기 장축(d39)의 길이에 따라 상기 피에조 소자(30)의 진동이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을 통해 발산되는 초음파의 방사각 특성이 결정된다.
한편, 상기 피에조 소자(30)가 완곡한 곡면을 갖는 "+"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초음파 방사각의 넓은 방향과 좁은 방향 사이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에는 피에조 소자(4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상기 피에조 소자(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소자(40)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5의 설명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피에조 소자(40)의 기능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은 협폭부(17)와 광폭부(19)를 포함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예에서 직선부(15)를 더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에조 소자(40)는 협폭부(47)와 광폭부(49)를 포함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예에서 직선부(45)를 더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부(15)는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의 둘레에 직선으로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직선부(15)와 이웃하는 직선부(15)는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의 둘레는 상기 복수개의 직선부(15)와 완곡한 곡면이 번갈아 배치되면서 연결된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장착홀(14)은 타원꼴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에조 소자(40)는 둘레에 직선으로서 복수개의 직선부(45)를 포함하며, 상기 피에조 장착홀(14)에 대응되는 타원꼴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는 8개의 직선부(15, 45)가 각각 형성된 8각형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꼴인 피에조 장착홀(14) 및 피에조 소자(40)가 도시되었으나, 다각형을 형성하는 상기 직선부(15, 45)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협폭부(47)와 상기 광폭부(49)를 포함하는 상기 피에조 소자(40)는 상기 협폭부(47)와 상기 광폭부(49)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에조 소자(40)가 직선부(45)를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초음파 방사각의 넓은 방향과 좁은 방향의 명확한 신호 구분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구되는 초음파 센서 방사각 특성을 피에조 소자(20, 30, 40)의 형상 및 그 장착홀(14)의 형상에 따라 구현함으로써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10)의 전체적인 형상이 단순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가공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생산 공정이 단순해지고,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트랜스듀서 하우징 12: 베이스 면
14: 피에조 장착홀 15: 직선부
16: 사이드 면 17: 협폭부
19: 광폭부
20, 30, 40: 피에조 소자
27, 47: 협폭부 29, 49: 광폭부
45: 직선부
d17, d37: 단축 d19, d39: 장축

Claims (17)

  1.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베이스 면;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
    을 포함하되,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교차하는 두 개의 축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며, 둘레가 완곡한 곡선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7.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베이스 면;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원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
    을 포함하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교차하는 두 개의 축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둘레 형상을 갖되,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복수개의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직선부 중 어느 하나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는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의 둘레는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꼴인 다각형 형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11. 제7항에 있어서,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12. 제7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13. 일면에 피에조 소자가 장착되는 피에조 장착홀이 형성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면을 갖도록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교차하는 두 개의 축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둘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완곡한 곡면으로 연결된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장착홀은 상기 피에조 소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복수개의 직선부와 완곡한 곡면이 번갈아 배치되면서 상기 두 개의 축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제조방법.
KR1020150096823A 2015-07-07 2015-07-07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23A KR101731525B1 (ko) 2015-07-07 2015-07-07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23A KR101731525B1 (ko) 2015-07-07 2015-07-07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24A KR20170006224A (ko) 2017-01-17
KR101731525B1 true KR101731525B1 (ko) 2017-05-02

Family

ID=5799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823A KR101731525B1 (ko) 2015-07-07 2015-07-07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4861B (zh) * 2018-04-16 2024-03-08 香港理工大学 可注射式压电换能器、注射装置、神经刺激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294A (ja) 2000-02-24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振動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294A (ja) 2000-02-24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振動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24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124B2 (en) Ultrasonic transducer
US1006709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ultrasonic sensor and ultrasonic sensor
EP1924122B1 (en) Ultrasonic sensor
CN104541180B (zh) 超声传感器以及用于测量车辆与障碍物之间的距离的装置和方法
US8555724B2 (en) Ultrasonic sensor
US10976435B2 (en) Active parking assist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14066991A1 (en) Ultrasonic sensor micro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4146828A2 (de)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umfelderfassung eines fahrzeugs
KR101731525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59855A1 (en) Shape change detection apparatus
JP4750641B2 (ja) 障害物検出装置
JP2002209294A (ja) 超音波センサ、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車両用バックソナー
US9364862B2 (en) Ultrasonic sensor micro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573402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8169366A (ja) 物体検知装置、物体検知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4023061B2 (ja) 超音波振動子
KR101709332B1 (ko) 초음파 센서 하우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2112379A (ja) 超音波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車両用バックソナー
WO2017141402A1 (ja) 超音波送受信装置、壁部材、および、壁部材への超音波センサの取付方法
JP2019135809A (ja) 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JP6691002B2 (ja) 超音波送受波器
WO2017141757A1 (ja) 物体検知システム
JPH01232900A (ja) 超音波送受波器
JP4415945B2 (ja) ホーン
JPWO2018211589A1 (ja) 超音波センサ装置及び障害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