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481B1 -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481B1
KR101731481B1 KR1020150131261A KR20150131261A KR101731481B1 KR 101731481 B1 KR101731481 B1 KR 101731481B1 KR 1020150131261 A KR1020150131261 A KR 1020150131261A KR 20150131261 A KR20150131261 A KR 20150131261A KR 101731481 B1 KR101731481 B1 KR 10173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icket
mobile ticket
timer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504A (ko
Inventor
박규도
Original Assignee
박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도 filed Critical 박규도
Priority to KR102015013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4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에 의해 사용 여부가 확인될 수 있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은,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에 대한 사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상기 타이머를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TICKET}
본 발명은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연, 영화관, 테마파크, 패션쇼, 전시회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티켓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티켓의 위변조나 복사 또는 캡쳐 등에 의한 부정 사용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티켓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럽, 워터파크 및 야외 공연장같이 특정한 좌석이 없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티켓을 발행받아, 이를 복사하거나 캡쳐하여, 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발행된 부정 모바일 티켓을 전달받은 또 다른 사용자는 상기 부정 모바일 티켓을 보여 주고, 클럽, 워터파크 및 야외 공연장 등을 쉽게 입장할 수 있다.
또한, 대형 극장에서도 모바일 티켓을 보여 주고 들어가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사용자는 상기 방법에 의해 발행된 부정 모바일 티켓을 보여주고, 극장에 입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사용자는 좌석을 차지할 수는 없으나 서서 보거나 빈자리가 있는 경우 빈자리에 앉아서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편의점에서도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편의점의 직원은 모바일 티켓을 스캐너로 찍어서 물건의 비용을 결제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학생들은 장난으로 다쓴 모마일 티켓을 복사하여 여러 명의 친구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사 등에 의해 발행된 부정 모바일 티켓을 선물 받은 친구는 상기 부정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여 편의점에서 물건의 구매를 시도한다. 이 경우, 편의점 직원이 스캐너로 부정 모바일 티켓을 확인하면, 부정 모바일 티켓임이 확인된다. 따라서, 부정 모바일 티켓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격을 수 있으며, 부정 모바일 티켓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 및 직원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모바일 티켓이 사용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원이 모바일 티켓을 스캐너로 찍어보아야만 한다. 따라서, 부정 모바일 티켓의 확인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금전적 및 시간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타이머에 의해 사용 여부가 확인될 수 있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은,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에 대한 사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상기 타이머를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재시간은 초단위까지 출력되도록 하여 일견에도 쉽게 현재 시간 을 통해 유효한 모바일 티켓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모바일 티켓의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비용 정산이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에도, 티켓의 유효성을 바코드로 체크할 수는 있으나, 입장객이 많은 곳에선 한 사람 당 1초가 소요된다 하더라도 총입장객수 X 유효성 체크시간 = 총 지연시간이 된다.
기업은 사용자들이 빨리 입장하면서 유효성을 체크하고 그에 따른 통계를 바탕으로 운영전략을 수립하여 짧은 시간안에 수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티켓의 위변조를 방지하면서 유효성을 인식할수 있는 단말기나 컴퓨터가 없는 환경에서도, 사람이 간단하게 유효성을 체크할수 있고, 나아가 GPS, WIFI, 핸드폰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체크인 현황, 출입확인, 체류시간, 사용자의 이동 동선까지 파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모바일 티켓 제공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티켓 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서비스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앱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앱에 의해 발행된 모바일 티켓의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티켓 및 상기 모바일 티켓에 출력되는 타이머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모바일 티켓 제공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티켓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위변조, 복사, 캡쳐 등이 방지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모바일 티켓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티켓 서버(20),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앱을 이용하여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10)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 전송하는 바코드 송수신장치(3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상기 서비스앱을 제작하여 배포한다.
상기 서비스앱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되며,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앱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부터 상기 모바일 티켓을 구매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 및 상기 바코드 송수신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서비스앱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3),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와 상기 서비스앱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4), 상기 모바일 단말기(10) 또는 상기 바코드 송수신장치(30)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와 상기 서비스앱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25) 및 상기 각 구성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특히, 상기 서비스앱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앱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마트폰과 같이 상기 서비스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코드 송수신장치(30)는, 각종 상품 또는 각종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코드 송수신 장치(3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바코드 리더 및 통신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서비스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앱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앱에 의해 발행된 모바일 티켓의 예시도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티켓 및 상기 모바일 티켓에 출력되는 타이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상기 서비스앱이 실행된 후 상기 서비스앱으로부터 티켓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S302), 상기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S304) 및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306)를 포함한다.
< 1. 서비스앱 인스톨 단계 >
상기 서비스앱을 요청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상기 서비스앱이 전송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스마튼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은, 스마트폰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단말기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각종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상기 서비스앱을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상기한 바와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앱스토어는 상기 서비스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으로서, 앱스토어는 상기 서비스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App)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앱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의 준말로 이용되는 용어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앱)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상기 앱스토어는,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비스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서비스앱은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도 4는 상기 스마트폰(10)에 상기 서비스앱(11)이 인스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 2. 모바일 티켓 발행 단계(S302) >
본 발명은 모바일 티켓의 오용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모바일 티켓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클럽, 워터파크 또는 극장 등의 입장과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패스+ 모바일 티켓(이하, 간단히 'Free pass+'라 함), 프리패스 모바일 티켓(이하, 간단히 'free pass'라 함) 또는 타임패스 모바일 티켓(이하, 간단히 'time pass'라 함) 등을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ree pass+는 사용자가 공연장 등을 입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입장과 함께 음료수와 같은 것을 같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티켓이다. 상기 Free pass+의 사용 시간 제한은 없다.
상기 free pass는 사용자가 단순히 공연장 등에 입장만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티켓이다. 상기 free pass의 사용 시간 제한은 없다.
상기 time pass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 내에 공연장 등을 입장하거나 정해진 시간 동안 입장할 있는 모바일 티켓이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상기 서비스앱(11)을 실행한 경우에 출력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모바일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
< 3. 타이머 동작 단계(S304, S306) >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사용자 또는 직원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현재시간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티켓이 위변조 또는 캡쳐된 부정 모바일 티켓인지, 아니면, 유효한 티켓인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매장의 직원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현재 시간과 맞춰 봄으로써, 스캐너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직접 찍어보지 않고서도, 상기 모바일 티켓의 유효성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티켓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티켓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ree pass+ 또는 상기 free pass인 경우, 직원이 상기 바코드 송수신장치(30)로 상기 모바일 티켓에 출력되는 바코드를 찍으면, 상기 바코드는 없어지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코드가 출력되던 위치에 타이머가 출력되어 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모바일 티켓을 확인하는 직원은, 사용된 모바일 티켓인지의 여부를, 상기 바코드가 없어진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클럽이나 워터파크에서 음료수를 산다거나 할 때 밖에 잠시나가는 경우, 직원은, 상기 타이머가 현재시간과 일치되게 동작하는 것을 보고, 유효한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이머는, 예를 들어, 클럽이나 워터파크 등의 폐장 시간에 맞춰 종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free pass+ 또는 free pass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현재 시간을 초단위까지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코드 송수신장치(30)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정보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바코드가 없어지면서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서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여 구동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처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free pass+ 또는 free pass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부터 상기 모바일 티켓을 수신한다. 이때 모바일 티켓은 바코드와 바코드의 윗부분에 현재시간을 초단위까지 표시하는 타이머가 동작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로부터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상기 모바일 티켓에서 바코드가 사라지면서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 시간을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처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인 경우, 상기 time pass는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는 사라지면서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time pass가 사용될 수 있는 시간이 지난 경우, 바코드가 없고, 바코드 위치에 단순히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클럽의 직원은, 상기 time pass가 유효한 모바일 티켓이 아님을 알고, 상기 time pass를 소지한 사용자를 입장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time pass의 사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 사용권)이 설정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럽, 워터파크, 놀이동산에 오후 3에 입장한다면 타이머가 돌아가는 모바일 티켓이 발행되고, 입장시에 직원이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상기 스캐너 송수신장치로 찍으면, 상기 바코드가 없어지면서 타이머가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서 동작한다. 이후, 상기 시간이 지나면 상기 타이머가 정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6시에 나오지 않고, 7시에 나오면, 클럽의 직원은, 오바된 시간에 대한 추가 비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다.
만약, 특정 시간대(예를 들어, 오후 1시에서 오후 3시)에만 사용가능한 모바일 티켓이 발행된 경우, 그 시간이 되기 전에는 타이머가 미동작 할 수 있다. 1시 전에는 유효한 모바일 티켓이 아니기 때문이다.
1시가 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에서 타이머가 동작하며, 이후, 3시가 되면 상기 타이머가 멈춘다.
사용시간에 따라 이용 요금이 정산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이 초과한 부분에 대한 비용 청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장 등에도서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모바일 티켓의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비용 정산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time pass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는 상기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모바일 티켓 및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정보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를 출력하여 구동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time pass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상기 모바일 티켓을 수신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타이머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free pass+ 또는 상기 free pass와 같은 타입의 모바일 티켓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free pass+ 또는 상기 free pass와 같은 타입의 모바일 티켓은 상기 바코드 송수신 장치(30)에 의해 상기 바코드가 읽혀지면,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우선,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10)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표시된 모바일 티켓을 제공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에, 타이머를 출력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바코드와 함께 제공된 타이머 대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자리에 새로운 타이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와 함께 제공된 타이머 및 상기 바코드가 있던 자리에 새롭게 표시된 타이머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 종료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사용 종료 시간이 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바코드가 표시된 모바일 티켓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현재 시각을 초단위까지 표시하는 타이머가 출력되는 모바일 티켓이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를 출력하는 이유는, 위변조 및 캡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바코드 위에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가 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각 매장의 직원은,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찍어 보지 않아도, 현재 시간과 맞춰봄으로써, 상기 모바일 티켓이 이미 사용되었거나 위변조된 티켓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면, 상기 바코드는 없어지고, 상기 바코드 자리에 타이머가 출력되기 때문에, 모바일 티켓의 사용자 및 각 매장의 직원은, 이미 사용된 티켓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상기 time pass와 같은 타입의 모바일 티켓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time pass와 같은 타입의 모바일 티켓은, 기 설정된 사용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우선,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20)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10)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가령, 바람직하게는 바코드의 바로 윗 부분)에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표시된 모바일 티켓을 제공한다.
다음,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사용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을 수신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를 사라지게 하게 그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 타이머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티켓 사용처의 폐장시간등과 같은 사용 종료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사용 종료 시간이 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다.
상기 모바일 티켓 중, 특히, 상기 Time pass는 정해진 시간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free pass는 언제든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 티켓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종류와 상관없이, 상기 바코드 발행시 상기 타이머를 통해 현재 시간이 구동된다. 현재시간은 초단위까지 표시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위변조 및 캡쳐 등을 방지하고 사용 여부를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티켓에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종류와 상관없이,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면, 상기 바코드가 사라지면서 바코드 위치에 타이머가 동작하여 현재 시간이 표시된다.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 현재 시간이 표시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상기 time pass의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티켓을 직접 사용하지 않았어도, 사용 시간이 지나면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 현재 시간이 표시된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바코드 송수신 장치(30)에 의해 읽혀져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될 때, 상기 바코드에 현재 시간이 표시되는 free pass의 특징과는 다르다. 즉,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인 경우, 상기 모바일 티켓에 설정된 사용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바코드 상단에 구동되는 타이머가 상기 바코드의 위치에서 자동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사용 시작 후 종료전의 시간에 상기 time pass 모바일 티켓을 매장 직원에게 제시하여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바코드 송수신 장치(20)에 의해 읽혀지면, 상기 바코드가 사라지고 그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 타이머가 출력되어 상기 타이머를 통해 현재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를 대신하여 상기 바코드가 있던 자리에 출력된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티켓이, 워터파크용 time pass 또는 free pass인 경우, 사용자의 사용 여부에 따라(time pass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 시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티켓에 표시된 바코드에 타이머가 동작한다. 상기 타이머가 동작된 이후, 워터파크의 개장 시간이 끝나면 상기 타이머의 동작이 종료된다.
극장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티켓은, 상기 time pass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회차의 영화 상영이 종료되는 시간에 타이머 동작이 멈출 수 있다.
클럽, 전시회, 패션쇼 등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티켓에서 동작되는 타이머는, 클럽, 전시회, 패션소 등의 폐장시간에 상기 타이머의 동작이 멈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에 대한 사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는 사라지고,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서는,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으며, 상기 타이머와 다른 위치에 상기 바코드가 표시된다.
상기 모바일 티켓은 상기 time pass 또는 상기 free pass이고, 공연장, 영화관, 테마파크, 패션쇼, 전시회 또는 클럽 같은 사용처가 정해져 있다.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인 경우, 사용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는 사라지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상기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한다. 즉,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이면 사용자가 사용시간을 놓쳐서 사용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상기 바코드가 없어지면서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에 상기 타이머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 위치에서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상기 타이머는 사용처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에 종료한다.
이 경우, 극장이냐 클럽이냐, 전시회냐에 따라 폐장시간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처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종료시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바일 단말기 20 : 모바일 티켓 서버
30 : 바코드 송수신장치

Claims (4)

  1.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모바일 티켓이 요청된 모바일 단말기로, 바코드 및
    상기 바코드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현재시간을 초단위까지 출력하는 타이머가 동작하는 모바일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에 대한 사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티켓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티켓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바코드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상기 타이머를 이동하여 현재
    시간을 초단위까지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티켓은 time pass 또는 free pass이고, 공연장, 영화관, 테마파
    크, 패션쇼, 전시회 또는 클럽 같은 사용처가 정해져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사용처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에 종료하는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time pass인 경우, 사용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모바일 티켓의 상기 바코드는 사라지고, 상기 바코드가 있던 위치로 상기 타이머가 이동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4. 삭제
KR1020150131261A 2015-09-16 2015-09-16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KR10173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61A KR101731481B1 (ko) 2015-09-16 2015-09-16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61A KR101731481B1 (ko) 2015-09-16 2015-09-16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04A KR20170033504A (ko) 2017-03-27
KR101731481B1 true KR101731481B1 (ko) 2017-05-02

Family

ID=5849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61A KR101731481B1 (ko) 2015-09-16 2015-09-16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874B1 (ko) * 2017-06-19 2018-08-30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과 서버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5A (ja) 2001-10-12 2003-04-25 Denso Corp モバイルチケ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制御方法
JP2003281306A (ja) * 2002-03-25 2003-10-03 Fujitsu Ltd 電子チケット表示方法
JP2011213104A (ja) 2010-03-15 2011-10-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KR101169390B1 (ko) * 2012-01-18 2012-08-07 강명수 실시간 모바일쿠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5A (ja) 2001-10-12 2003-04-25 Denso Corp モバイルチケ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制御方法
JP2003281306A (ja) * 2002-03-25 2003-10-03 Fujitsu Ltd 電子チケット表示方法
JP2011213104A (ja) 2010-03-15 2011-10-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KR101169390B1 (ko) * 2012-01-18 2012-08-07 강명수 실시간 모바일쿠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04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30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payment for parking using autonomous position sensing
US1125064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parking
US8794515B2 (en) Alcohol delivery management system
US20220148427A1 (en) Sale of event-based vehicle parking implemented on transportation management platform
US20120196631A1 (en) Bicycle Rental System
US20110022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serving Available Parking
US7562023B2 (en)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ling purchase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ubsequent act to be performed
US200401161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guest resources
US20130262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based vehicle registration and transactions
KR101875117B1 (ko) 위치 및 후기를 기반으로 매장을 추천하는 예약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73347A1 (en) Vehicular cit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05023467A (zh) 一种停车场车位远程预订系统及方法
US20030069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mage-display time to customers of a public facility
US20160140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ayment for parking
EP2609564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based vehicle parking registration and reservation
CN101156989A (zh) 无线游戏环境
KR101651377B1 (ko)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60203650A1 (en) Valet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N108122430A (zh) 一种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WO2016084041A1 (fr) Systeme de gestion intelligente de parcs de stationnement
KR101731481B1 (ko) 모바일 티켓 제공 방법
KR20170105652A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064548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TW202147220A (zh) 租借及返還電動車的方法
KR101912577B1 (ko) 티켓을 이용한 숙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