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35B1 -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35B1
KR101731035B1 KR1020150023878A KR20150023878A KR101731035B1 KR 101731035 B1 KR101731035 B1 KR 101731035B1 KR 1020150023878 A KR1020150023878 A KR 1020150023878A KR 20150023878 A KR20150023878 A KR 20150023878A KR 101731035 B1 KR101731035 B1 KR 10173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terminal
plug
terminals
lin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746A (ko
Inventor
김광화
현부영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5002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절곡 라인부의 타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CONNECTING MEMBER AND ASSEMBLING STRUCTURE WITH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커넥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신호 등이 전달되는 플러그와 회로부를 연결하는 커넥팅 부재와 이를 이용하여 플러그와 회로부가 결합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 헤드폰, 마이크 또는 헤드셋 등 오디오 장치는 통상적으로 케이블과 케이블의 종단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통해 신호를 입력 받거나 출력한다. 최근의 케이블과 플러그는 단순한 음성 신호의 입출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오디오 장치에 장착된 버튼의 작동에 관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기능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5309800호(2013년 7월 12일 등록)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 및 연장 케이블로서,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의 일부가 안테나로 기능하기 위해서 케이블의 일측 종단이 플러그의 후단 단자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케이블이 직접 플러그에 연결되는 것은 제조 공정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일부가 안테나로 기능하면서도 향상된 음성 신호 전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케이블과 플러그 사이에 필터가 부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의 필터가 장착되는 것이 매우 난해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케이블과 플러그의 단자 간 결합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케이블과 플러그 사이에 필터 소자를 연결하여 음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케이블과 플러그의 복수의 단자를 한 번에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팅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팅 부재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절곡 라인부의 타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에는 일측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일측 단자는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라인부의 일단 측에서 절곡된 타단 측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된 타단 측에는 타측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으로 형성된 타단 측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으로 형성된 타단 측에 타측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타단 측에는 타측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측 단자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석(Sn) 또는 주석이 10 내지 50 중량% 포함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은, 복수의 일측 단자, 복수의 타측 단자, 회로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전자 장치의 잭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에는 복수의 전단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에는 복수의 후단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 일측은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팅 부재 및 복수의 선로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회로부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의 일측과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는 솔더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솔더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과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는 솔더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 끝단은 상기 솔더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측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은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와 상기 플러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플러그로 전달되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고주파 차단부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일측 단자, 복수의 타측 단자, 회로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전자 장치의 잭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에는 복수의 전단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에는 복수의 후단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절곡 라인부의 타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라인부의 일측과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라인부의 타측과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절곡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절곡부가 상기 라인부의 일단 측에서 절곡된 정도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인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는 케이블과 플러그의 복수의 단자를 한 번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는 케이블과 플러그의 단자 간 결합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은 케이블과 플러그 사이에 필터 소자를 연결하여 음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플러그, 회로부 및 커넥팅 부재의 마련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커넥팅 부재 연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절곡부 분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커넥팅 부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커넥팅 부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커넥팅 부재(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팅 부재(100)는 복수의 라인부(110) 및 절곡부(150)를 포함한다.
라인부(110)는 일단(111)에서 타단(115)까지 연장된다. 라인부(110)는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인부(110)의 일단(111) 측에는 일측 단자(111)가 형성되고, 타단(115) 측에는 타측 단자(115)가 형성될 수 있다.
몇몇 라인부(110)에 있어서, 라인부(110)의 타단(115) 측은 라인부(110)의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측 단자(115)가 다른 단자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단(115) 측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측 단자(115)는 이에 대응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된 다른 단자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측 단자(115)가 결합될 다른 단자가 원통형의 구조물의 측면 표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인부(110)의 타단(115) 측은 원통형의 측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측 단자(115)는 결합될 다른 단자에 실질적으로 가깝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측 단자(115)는 결합될 다른 단자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라인부(110)에 있어서, 라인부(110)의 타단(115) 측은 다른 라인부(110)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라인부(110)는 일단(111) 측에서 타단(115)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각각 다른 길이만큼 연장되다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절곡되어 타측 단자(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되는 길이의 차이만큼에 따라 복수의 라인부(110)의 타측 단자(115)는 직선 상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라인부(11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라인부(110)는 서로 이격되어, 상호간에 직접적으로는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라인부(110)의 일단(111) 측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타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라인부(110)의 타단(115) 측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50)는 라인부(110)의 일단(111) 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절곡부(15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라인부(110)의 일단(111) 측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부(150)는 절곡 라인부(160) 및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절곡 라인부(160)는 일단이 라인부(110)의 일단(111)에서 절곡되며 연장된다. 복수의 절곡 라인부(160)는 서로 이격되어,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연결부(170)는 복수의 절곡 라인부(16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라인부(110)가 제1 라인부 및 제2 라인부가 있다고 가정하면, 제1 라인부는 제1 라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절곡 라인부를 통해 연결부에 연결되고, 연결부는 제2 라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 절곡 라인부를 통해 제2 라인부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라인부(110)는 연결부(17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커넥팅 부재(100)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형성된 어느 복수의 단자와 다른 구성에 형성된 대응되는 다른 복수의 단자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커넥팅 부재(100)가 복수의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 절곡부(150)는 라인부(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라인부(110)가 분리되는 것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회로부, 플러그 및 커넥팅 부재의 마련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커넥팅 부재 연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의 절곡부 분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명세서 및 도 2 내지 도 5는 커넥팅 부재(100)가 단자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기판(25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원통형 플러그(30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가 커넥팅 부재(100)에 의해 연결된 결합 구조물을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판(25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원통형 플러그(30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는 커넥팅 부재(100)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형태일 뿐, 커넥팅 부재(100)의 형태, 용도 및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플러그, 회로부 및 커넥팅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100), 커넥팅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S200) 및 커넥팅 부재의 절곡부를 분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커넥팅 부재(100)는 회로부(200)의 단자(210)와 플러그(300)의 단자(321)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부재(100)의 일단(111)은 회로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되고, 커넥팅 부재(100)의 타단(115)은 플러그(300)의 단자(321)와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회로부, 플러그 및 커넥팅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회로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회로부(200)는 회로 기판(250)에 형성된 단자(210, 220), 회로 패턴(230)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소자(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25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회로 기판(250)은 연성의 필름 상에 형성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FPCB)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250)에는 복수의 일측 단자(210)와 복수의 타측 단자(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단자(210)와 타측 단자(220)는 기판(250) 상에서 서로 반대 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일측 단자(210)와 복수의 타측 단자(220)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일측 단자(210)와 복수의 타측 단자(220)는 각각 왼쪽 채널 단자, 오른쪽 채널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일측 단자(210)와 타측 단자(220)는 대응되는 단자끼리 회로부(200)의 회로 패턴(2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소자(240)는 적어도 하나의 일측 단자(210)와 타측 단자(220) 사이에 연결되어 일측 단자(210)와 타측 단자(220)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가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소자(240)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쇄하거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거나, 혼합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소자(240)는 음성 신호가 전송되는 왼쪽 채널 단자 및 오른쪽 채널 단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고주파 차단부일 수 있다. 고주파 차단부로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비드 또는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플러그(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300)는 전단부(310)와 후단부(320)를 포함한다. 플러그(300)의 전단부(310)는 전자 장치에 형성된 잭(소켓)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300)의 후단부(320)는 전단부(3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단부(310)에는 복수의 전단 단자(311)가 형성되고, 후단부(320)에는 복수의 후단 단자(3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단 단자(311)와 복수의 후단 단자(321)는 각각 대응되는 단자끼리 플러그(300) 내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300)는 전단부(310)와 후단부(320) 사이에서 음성 신호 또는 전기 신호 등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300)는 이어폰, 헤드폰, 마이크, 스피커 또는 헤드셋 등 오디오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300)의 전단 단자(311) 및 후단 단자(321)는 각각 왼쪽 채널 단자, 오른쪽 채널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단 단자(311)와 후단 단자(321)는 대응되는 단자끼리 플러그(300)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플러그(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는 원통형의 측면에서 일부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들은 원통형의 측면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200)의 타측 단자(220)에는 케이블(400)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400)은 복수의 선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선로 일단이 복수의 타측 단자(2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400)은 왼쪽 채널 선로, 오른쪽 채널 선로 및 접지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 선로는 음성 전송 선로를 차폐하는 차폐부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접지 선로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는 회로부(200)와 플러그(300)를 통해 전자 장치로 전달되거나 전자 장치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커넥팅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S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팅 부재(100)는 상술한 플러그(300)의 후단부(320)의 복수의 후단 단자(321)와 회로부(200)의 복수의 일측 단자(210)를 각각 연결한다. 커넥팅 부재(100)의 라인부(110)는 연결하려는 일측 단자(210)와 후단 단자(32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연결하려는 단자(210, 321)가 각각 3개이고 커넥팅 부재(100)의 라인부(110)도 3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회로부(200)의 일측 단자(210)는 커넥팅 부재(100)의 후단 단자(321)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부재(100)는 절곡부(150)는 회로부(200)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 부재(100)의 타측 단자(115)는 플러그(300)의 후단 단자(321)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가 연결되는 것은 솔더 (solder) (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 단자(111)와 회로부(200)의 일측 단자(210)가 연결된 것을 보면 커넥팅 부재(100)가 솔더(120)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 단자(111)의 적어도 일부는 솔더(120)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솔더(120)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 단자(210)의 양측은 솔더(120)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반면, 커넥팅 부재(100)의 타측 단자(115)와 플러그(300)의 후단 단자(321)가 연결된 것을 보면 커넥팅 부재(100)의 타측(115) 단의 끝단이 솔더(120)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커넥팅 부재의 절곡부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팅 부재(100)가 플러그(300)와 회로부(200)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라인부(110)의 일단(111)에 절곡부(150)가 연결되어 있다. 절곡부(150)는 외력에 의해 라인부(110)의 일단(111)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50)에 외력을 가해 절곡부(150)가 라인부(110)의 일단(111)에서 절곡된 정도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키면 라인부(110)의 일단(111)과 절곡부(150) 사이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절곡부(150)는 라인부(110)에서 탈락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라인부(11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된다. 라인부(110)에서 절곡부(150)가 분리된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팅 부재(100)는 외력에 의해 쉽게 절곡부(15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전성과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커넥팅 부재(100)는 주석 또는 주석이 20중량% 이상 포함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부재(100)는 주석 이외에도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납 등 전성과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커넥팅 부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할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커넥팅 부재를 이용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결합 구조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 중 일부는 생략하도록 한다.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은 회로부(200), 플러그(300), 커넥팅 부재(100) 및 케이블(400)을 포함한다.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서 커넥팅 부재(100)는 상술한 커넥팅 부재(100)에서 절곡부(150)가 분리되어 복수의 라인부(110)만 남은 형태이다.
커넥팅 부재(100)는 플러그(300)와 회로부(2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부재(100)는 상술한 플러그(300)의 후단부(320)의 복수의 후단 단자(321)와 회로부(200)의 복수의 일측 단자(210)를 각각 연결한다. 단자가 연결되는 것은 솔더(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111) 단을 보면,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 끝단은 솔더(1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는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있던 절곡부(150)가 솔더링 이후에 분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넥팅 부재(100)의 일단(111) 측은 회로부(200)의 일측 단자(210)에 연결하는 솔더(12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커넥팅 부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넥팅 부재(100)의 일측(111) 단의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팅 부재(100)는 절곡부(150)를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도 절곡 라인부(160)의 적어도 일부(113)가 라인부(110)의 일단(111)에 연결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는 커넥팅 부재의 절곡부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서, 절곡 라인부(160)의 적어도 일부(113)가 라인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절곡부(150)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라인부(110)에 연결되어 남아 있는 절곡 라인부(160)의 적어도 일부(113)는 솔더(1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커넥팅 부재 110: 라인부
111: 일단 측, 일측 단자 115: 타단 측, 타측 단자
120: 솔더 150: 절곡부
160: 절곡 라인부 170: 연결부
200: 회로부 210: 일측 단자
220: 타측 단자 230: 회로 패턴
240: 전기 소자 250: 기판
300: 플러그 310: 전단부
311: 전단 단자 320: 후단부
321: 후단 단자 400: 케이블

Claims (18)

  1. 복수의 일측 단자, 복수의 타측 단자, 회로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전자 장치의 잭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에는 복수의 전단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에는 복수의 후단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
    일측은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팅 부재; 및
    복수의 선로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회로부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의 일측과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는 솔더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솔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과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는 솔더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 끝단은 상기 솔더의 내부에 위치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측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부재의 타측은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와 상기 플러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플러그로 전달되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고주파 차단부인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9. 복수의 일측 단자, 복수의 타측 단자, 회로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부,
    전자 장치의 잭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에는 복수의 전단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에는 복수의 후단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절곡 라인부의 타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라인부의 일측과 상기 회로부의 일측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라인부의 타측과 상기 플러그의 후단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절곡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절곡부가 상기 라인부의 일단 측에서 절곡된 정도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복수의 라인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인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023878A 2015-02-17 2015-02-17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KR10173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78A KR101731035B1 (ko) 2015-02-17 2015-02-17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78A KR101731035B1 (ko) 2015-02-17 2015-02-17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46A KR20160101746A (ko) 2016-08-26
KR101731035B1 true KR101731035B1 (ko) 2017-04-28

Family

ID=5688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878A KR101731035B1 (ko) 2015-02-17 2015-02-17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9381A (zh) * 2018-12-29 2019-05-28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扬声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612A (ja) 2008-09-01 2010-03-18 Sony Corp 受信装置及び中継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612A (ja) 2008-09-01 2010-03-18 Sony Corp 受信装置及び中継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46A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9822A1 (en) Earphone antenna connecting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US816029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a slotted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ion to a flexible wire, and an assembly of the same
EP2112839B1 (en) Headset having ferrite beads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CN108293169B (zh) 具有柔性载体天线的助听器及相关方法
EP2860991A1 (en) Hearing assistance coplanar waveguide
CN110829127B (zh) 同轴连接器
JP2010258544A (ja) アンテナ装置
KR101731035B1 (ko)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US20140349522A1 (en) Four-pole plug for connection to pcb
JP6788011B2 (ja) 補聴器
EP2786592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mounting on a substrate
CN109155887B (zh) 耳机以及耳机的麦克风和音频处理器之间的电路
JP6580991B2 (ja) 接続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9559409B2 (en) Antenna with shie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40185858A1 (en) Loudspeaker
US20080310665A1 (en) Headphone and headset
KR101683250B1 (ko) 이어폰 케이블에 장착되는 이어마이크부의 납땜 최소화 pcb기판 구조 및 부싱구조
KR20040033317A (ko) 헤드폰
JP688360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131365B2 (ja) 受信装置及びアンテナ兼用ケーブル
JP2008135808A (ja) アンテナと、このアンテナ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およびこの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US20140291002A1 (en)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JP5582820B2 (ja) 回路部品内蔵コネクタ
JP2009267765A (ja) 車載統合アンテナの製造方法
CN118283514A (zh) 具有电连接器的耳戴式听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