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622B1 -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622B1
KR101730622B1 KR1020160099653A KR20160099653A KR101730622B1 KR 101730622 B1 KR101730622 B1 KR 101730622B1 KR 1020160099653 A KR1020160099653 A KR 1020160099653A KR 20160099653 A KR20160099653 A KR 20160099653A KR 101730622 B1 KR101730622 B1 KR 10173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geomagnetic sensor
moving part
use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102016009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에 결합되어 제2 이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이동부, 제2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상기와 연결되는 크레인을 구비하는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2 이동부에 고정 배치되어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제2 이동부의 방위를 센싱하는 제1 지자기 센서;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방위각을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제1 통신모듈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1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호이스트의 이동을 작동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지자기 센서와,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2 지자기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평명 형상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터치패널에 표시된 방향표시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물건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동, 서, 남, 북과 같은 방향 표시를 확인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이송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빠른 작업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hoist movemen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이스트를 통해 물건을 이동시킬 때에 안전하게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는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 및 이동 등에 사용된다. 호이스트는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및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 로프 끝에 후크를 장치하여 화물(재료, 제품 등)을 들어올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창고 또는 공장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호이스트를 작동할 때에는 유선 리모콘 또는 무선 리모콘을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리모콘에는 동, 서, 남, 북 등과 같은 방향 표시가 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공장의 천정 또는 호이스트에 표시된 방향과 리모콘에 표시되어 있는 방향 표시를 비교하면서 호이스트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호이스트를 처음 접하거나 호이스트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공장의 동, 서 남, 북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모콘에 표시된 방향 표시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호이스트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잘못된 방향의 이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으며, 작업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7630호, 2014년 3월 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위치와 호이스트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하여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에 결합되어 제2 이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이동부, 제2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상기와 연결되는 크레인을 구비하는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는 제2 이동부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제2 이동부의 방위를 센싱하는 제1 지자기 센서;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방위각을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제1 통신모듈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1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호이스트의 이동을 작동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지자기 센서와,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2 지자기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트롤러는 유선리모콘 또는 무선리모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리모콘 또는 상기 무선리모콘은 조이스틱, 버튼식 및 터치패널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평명 형상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터치패널에 표시된 방향표시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물건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동, 서, 남, 북과 같은 방향 표시를 확인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이송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빠른 작업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12), 제1 이동부(12)에 결합되어 제1 이동부(12)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이동부(13), 제2 이동부(13)에 결합되는 권상기에 연결되는 크레인을 구비하는 호이스트(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전술한 일반적인 호이스트의 구조(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는 호이스트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지자기 센서, 제2 통신모듈과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제2 지자기 센서, 제2 통신모듈,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자기 센서(110)는 제2 이동부(3)에 고정 배치되어 제1 이동부(2)와 제2 이동부(3)의 위치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제2 이동부(3)의 방위를 센싱한다. 이때, 제1 지자기 센서(110)는 바람직하게는 제1 지자기 센서(110)의 x축이 동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10)가 x축이 동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제1 지자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x, y 값을 기반으로 y축이 지구의 자북과 어긋난 각도를 센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은 제1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하여 후술하는 콘트롤러(200)에 전송하게 된다.
콘트롤러(200)는 제2 지자기 센서(210), 제2 통신모듈(220), 제어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자기 센서(210)는 제1 사용자의 방위를 센싱한다. 제2 통신모듈(220)은 호이스트(1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1 통신모듈(120)과 통신하여 제1 지자기 센서(2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230)는 제1 지자기 센서(11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2 이동부(13)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2 지자기 센서(12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2 이동부(13)에서 상대적인 떨어진 위치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평면 형상(H)과 제2 지자기 센서(21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와 위치이동 버튼을 표시한다. 여기서, 호이스트의 이동표시는 동, 서, 남, 북과 크레인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승강버튼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었지만, 그 배치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터치해서 원하는 목적지로 대상물체를 이동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이스트가 설치되는 통상적인 작업환경은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상태이므로, 정전압 방식이 적용될 경우에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적외선 센서 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센싱이 가능하고,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서도 적용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제2 지자기 센서(120)를 통해서 현재 호이스트(10)의 작업범위 내에서 자신이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평명 형상(H)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터치패널에 표시된 방향표시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물건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동, 서, 남, 북과 같은 방향 표시를 확인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이송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빠른 작업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트롤러(200)는 유선리모콘 또는 무선리모콘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유선리모콘 또는 무선리모콘은 조이스틱, 버튼식 또는 터치패널 중 하나의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의 구동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M)가 A 위치에 있을 때에 콘트롤러(200)에 사용자(M)의 위치(a)와 호이스트의 전체적인 형상인 도시된다. 이는 제1 지자기 센서(110)와 콘트롤러(200)의 제2 지자기센서가 통신하면서 제1 지자기 센서(110)를 중심으로 제2 자자기센 선서(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지자기 센서(110)와 제2 지자기 센서의 위치를 콘트롤러(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M)는 호이스트 주변에 있는 방향표시를 확인 하지 않고 콘트롤러(200)를 통해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방향을 방향키를 이용해서 원하는 방향으로 호이스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호이스트의 제1 이동부(12) 및 제2 이동부(13)의 위치는 일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그 위치는 표시하였으나, 제1 이동부(12) 및 제2 이동부(13)의 이동 범위 내에서 변동되도록 표시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M)가 A 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고, 북쪽을 바라보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 제1 지자기 센서(110)를 중심으로 B 위치로 이동한 제2 지자기 센서의 위치를 콘트롤러(200) 표시하게 된다. 이때, 콘트롤러(200)에 표시된 호이스트의 형상은 사용자(M)의 시야와 동일하도록 90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M)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호이스트를 중심으로 자신의 위치(b)를 확인하여 물건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C 위치에서 서쪽(W) 방향을 향하여 위치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할 경우에, 호이스트의 전체적인 다시 사용자의 시야와 동일하도록 90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물건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면서, 공장내에 배치된 호이스트 개략적인 배치형상(H)과 동일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공장내에 배치된 방향표시를 확인하지 않고 호이스트를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물건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호이스트 11 : 가이드 레일
12 : 제1 이동부 12 : 제2 이동부
110 : 제1 지자기 센서 120 : 제1 통신모듈
200 : 콘트롤러 210 : 제1 지자기 센서
220 : 제2 통신모듈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제어부

Claims (4)

  1.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상기에 연결되는 크레인을 구비하는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부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부의 방위를 센싱하는 제1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방위각을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통신모듈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을 작동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지자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이스트의 평면형상에 대한 영상 호이스트와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하여 상기 호이스트에 대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시키며,
    상기 영상 호이스트는,
    "H" 자 형상으로 형성된 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와 동일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전하여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외선 센서방식의 터치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동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99653A 2016-08-04 2016-08-04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KR10173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53A KR101730622B1 (ko) 2016-08-04 2016-08-04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53A KR101730622B1 (ko) 2016-08-04 2016-08-04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22B1 true KR101730622B1 (ko) 2017-04-26

Family

ID=5870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653A KR101730622B1 (ko) 2016-08-04 2016-08-04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62A (ko) * 2018-05-30 2019-12-10 이영석 호이스트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930B1 (ko) * 2015-11-04 2016-03-11 (주)원테크 호이스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930B1 (ko) * 2015-11-04 2016-03-11 (주)원테크 호이스트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62A (ko) * 2018-05-30 2019-12-10 이영석 호이스트 제어장치
KR102105570B1 (ko) * 2018-05-30 2020-04-28 (유)엔티엘 호이스트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9035B2 (en) Controlling of lifting device
US9403664B2 (en) Operating device and moving apparatus including operating device
CN105143088A (zh) 远程控制的起重机
JPWO2008099611A1 (ja) 移動制御方法、移動操作装置及び移動体の移動を操作する方法
US20180297813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KR101812017B1 (ko) 철탑 및 송변전시설물 점검용 로봇 시스템
JP2007039232A (ja) 三次元移動装置
US20200393827A1 (en) Remote control terminal,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remote control terminal
JP7416063B2 (ja) 遠隔操作端末および遠隔操作端末を備える移動式クレーン
JP2011150470A (ja) 無人移動体の制御方法及び遠隔操縦装置
KR101730622B1 (ko) 호이스트 이동 제어장치
ES2831366T3 (es) Interruptor de control, sistema de control y método para operar una grúa
JP2005089051A (ja) 搬送機械の遠隔操作装置
JP2009023753A (ja) 三次元空間搬送装置及び三次元空間搬送方法
JP6972727B2 (ja) 空調機システム
JP2007015842A (ja) 大型構造物の運搬制御システム
KR20150110884A (ko) 크레인
EP4219384A1 (en) Information-sharing system
KR102105570B1 (ko) 호이스트 제어장치
WO2020256106A1 (ja) 可動範囲表示システムおよび可動範囲表示システムを備えるクレーン
JP7114949B2 (ja) 作業車両
KR102093973B1 (ko) 호이스트 리모컨
US11958724B2 (en) Work vehicle
EP3763660B1 (en) Remote operation terminal and work vehicle comprising remote operation terminal
US20170136952A1 (en) Electronic compass device for vehicle, portable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device, control progra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