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59B1 -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59B1
KR101730159B1 KR1020150078523A KR20150078523A KR101730159B1 KR 101730159 B1 KR101730159 B1 KR 101730159B1 KR 1020150078523 A KR1020150078523 A KR 1020150078523A KR 20150078523 A KR20150078523 A KR 20150078523A KR 101730159 B1 KR101730159 B1 KR 10173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ructure
motor
output shaft
receiving groo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594A (ko
Inventor
김성묵
홍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피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피 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피 지
Priority to KR102015007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02K15/165Balancing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는, 모터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을 갖추고, 상기 출력축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는 볼 구조물, 상기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모터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분기되며, 상기 개방형 수용홈에 상기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 및 상기 탄성지지대의 끝단에 위치해서 상기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Auto-aligning apparatus of motor shaft}
본 발명은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되는 경우, 모터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심을 실행해서 동력 전달하는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의 가전기기 전반에 이용되는 장치로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전화하는 장치이다.
과거 모터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서 미리 정해진 속도로만 회전하였으나, 최근 가전기기의 에너지 소비 효율이 중요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다시 원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해당 장비에서 요구되는 출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터의 출력축을 미리 정해진 기어비로 구비된 기어박스에 연결해서 상기 장비에서 요구되는 출력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모터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될 수 있다.
즉,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나마 기울어진 상태로 기어박스의 입력단에 연결될 때, 모터의 출력축과 기어박스의 입력단이 정 배치된 것을 감안해서 설계된 기존 구조에서 모터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기어박스의 입력단에 동력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모터의 출력축이 기어박스의 입력단에 위치한 연결 구조물에 맞닿아 마모되거나, 동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장기간 노출될 경우, 모터 및 기어박스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3540(2013.10.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되는 경우, 모터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심을 실행해서 동력 전달하는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는 모터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을 갖추고, 상기 출력축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는 볼 구조물, 상기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모터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분기되며, 상기 개방형 수용홈에 상기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 및 상기 탄성지지대의 끝단에 위치해서 상기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턱을 포함한다.
상기 볼 구조물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개방형 수용홈, 상기 탄성지지대 및 상기 고정턱은 제2 재질을 포함하는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
또한,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모터와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면접촉한다.
또한, 상기 개방형 수용홈은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을 일부 수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는 모터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을 갖추고, 상기 출력축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는 볼 구조물, 상기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의 접촉면을 향해 분기되며, 상기 개방형 수용홈에 상기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 및 상기 모터 측을 향하는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개구 영역을 상기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형상으로 갖추는 고정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 구조물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개방형 수용홈, 상기 탄성지지대 및 상기 고정라인은 제2 재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형 수용홈은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을 일부 수용하거나, 전부 수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되는 경우, 모터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심을 실행해서 동력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 측면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좌 측면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 측면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좌 측면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력전달장치는 모터(100)와 기어박스(300)를 포함한다. 즉,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될 장비에서 요구되는 출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터(100)의 출력축을 미리 정해진 기어비로 구비된 기어박스(300)에 연결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0)는 기어박스(300)에 연결될 때, 기어박스(300)의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모터(100)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100)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되는 경우, 모터(100)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심을 실행해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00)의 축 자동조심 장치가 상기 동력전달장치에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조심 장치는 기어박스(300)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모터(100)의 출력축에 대한 자동 조심을 실시하는 장치이므로,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기어박스(300)의 일면이거나, 기어박스(300)의 일면 중 특정 영역에서 돌출되는 형상 또는 기어박스(200)의 일면에 추가 장착되는 부재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심 장치(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상 측면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좌 측면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를 참고로, 자동조심 장치(400)는 모터(100)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481)을 갖추고, 모터(100)의 출력축이 축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볼 구조물(480), 볼 구조물(4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축 관통홀(481)을 관통한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470)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410), 결합지지 플레이트(410)에서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볼 구조물(480)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420), 개방형 수용홈(420)의 주변으로부터 모터(10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분기되며, 개방형 수용홈(420)에 볼 구조물(480)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430), 및 탄성지지대(430)의 끝단에 위치해서 볼 구조물(480)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턱(440)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조심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지지 플레이트(410)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면접촉하여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돌기(450) 및 제2 결합돌기(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450) 및 제2 결합돌기(460)는 내부 통로에 나사산을 갖추고 있어서 각 볼트와의 결합을 통해 결합지지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간의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결합돌기(450) 및 제2 결합돌기(460)를 통한 결합 방식은 일례에 불과한 것이고, 이외 다른 방식으로 결합지지 플레이트(410)를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 구조물(4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0)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481)을 갖추는 구조이다.
또한, 볼 구조물(480)은 외형이 볼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개방형 수용홈(420)에 안착된 후 모터(100)의 출력축과 제1 축 관통홀(481)을 통해 결합하게 되면, 모터(100) 구동으로 인한 떨림 등의 원인으로 미소한 움직임을 유발하는 모터(100)의 출력축과 함께 움직여서 자동으로 모터(100)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것에 대한 조심을 실행한다.
이러한 볼 구조물(480)의 움직임을 통해, 모터(100)의 출력축이 기어박스(300)의 입력단에 위치한 연결 구조물에 맞닿아 마모되거나, 동력 손실이 유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볼 구조물(480)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결합지지 플레이트(410), 개방형 수용홈(420), 탄성지지대(430) 및 고정턱(440)은 제2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지지 플레이트(410), 개방형 수용홈(420), 탄성지지대(430) 및 고정턱(440)은 플라스틱 물질로 구비되고, 볼 구조물(480)은 플라스틱 물질이 아닌 다른 물질로 구비되거나, 결합지지 플레이트(410), 개방형 수용홈(420), 탄성지지대(430) 및 고정턱(440)과 같이 동일 물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100)의 출력축과 직접 맞닿는 부위를 미리 정해진 강성 이상으로 구비되는 물질의 볼 구조물(480)로 갖추고, 자동조심 장치(400)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을 플라스틱으로 갖추어서 제조 비용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자동조심을 효율성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기존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자동조심 장치(400)의 이점이 더 있다고 할 수 있다.
개방형 수용홈(420)은 결합지지 플레이트(410)로부터 돌출된 형상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가 가능하고, 볼 구조물(480)의 형상을 전부 수용하는 것이 아닌 일부만을 수용하는 것으로 갖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의 탄성지지대(430) 및 고정턱(440)을 통해 볼 구조물(480)을 개방형 수용홈(420)에 안착시키고, 이후 개방형 수용홈(420) 내에 볼 구조물(48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수용홈(420)의 주변으로부터 모터(10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분기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430)와 개방형 수용홈(420)으로 갖춰지지는 전체 구조를 통해 볼 구조물(480)의 안착 및 지지가 가능한 것인 바, 개방형 수용홈(420)은 볼 구조물(480)의 형상을 일부 수용하는 깊이로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심 장치(6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상 측면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좌 측면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로, 자동조심 장치(600)는 모터(100)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681)을 갖추고, 모터(100)의 출력축이 축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볼 구조물,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축 관통홀(681)을 관통한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670)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610), 결합지지 플레이트(610)에서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620), 개방형 수용홈(620)의 주변으로부터 결합지지 플레이트(610)의 접촉면을 향해 분기되며, 개방형 수용홈(620)에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630), 및 모터(100) 측을 향하는 개방형 수용홈(620)의 개구 영역을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형상으로 갖추는 고정라인(660)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조심 장치(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지지 플레이트(610)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면접촉하여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돌기(640) 및 제2 결합돌기(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640) 및 제2 결합돌기(650)는 내부 통로에 나사산을 갖추고 있어서 각 볼트와의 결합을 통해 결합지지 플레이트(61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간의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결합돌기(640) 및 제2 결합돌기(650)를 통한 결합 방식은 일례에 불과한 것이고, 이외 다른 방식으로 결합지지 플레이트(610)를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 구조물은 외형이 볼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개방형 수용홈(620)에 안착된 후 모터(100)의 출력축과 제1 축 관통홀(681)을 통해 결합하게 되면, 모터(100) 구동으로 인한 떨림 등의 원인으로 미소한 움직임을 유발하는 모터(100)의 출력축과 함께 움직여서 자동으로 모터(100)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것에 대한 조심을 실행한다.
이러한 볼 구조물의 움직임을 통해, 모터(100)의 출력축이 기어박스(300)의 입력단에 위치한 연결 구조물에 맞닿아 마모되거나, 동력 손실이 유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볼 구조물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결합지지 플레이트(610), 개방형 수용홈(620), 탄성지지대(630) 및 고정턱(440)은 제2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지지 플레이트(610), 개방형 수용홈(620), 탄성지지대(630) 및 고정턱(440)은 플라스틱 물질로 구비되고, 볼 구조물은 플라스틱이 아닌 다른 물질로 구비되거나, 결합지지 플레이트(610), 개방형 수용홈(620), 탄성지지대(630) 및 고정턱(440)와 동일한 물질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100)의 출력축과 직접 맞닿는 부위를 미리 정해진 강성 이상으로 구비되는 물질의 볼 구조물로 갖추고, 자동조심 장치(600)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을 플라스틱으로 갖추어서 제조 비용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자동조심을 효율성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기존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자동조심 장치(600)의 이점이 더 있다고 할 수 있다.
개방형 수용홈(620)은 결합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돌출된 형상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가 가능하고, 볼 구조물의 형상을 전부 수용하거나, 일부만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모터(100) 측을 향하는 개방형 수용홈(620)의 개구 영역을 통해 볼 구조물이 축 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개방형 수용홈(620)에 볼 구조물을 안착시키거나 개방형 수용홈(620)에 안착 중인 볼 구조물을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조심 장치(600)의 배면(즉, 결합지지 플레이트(610)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는 면 방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조심 장치(600)의 배면(즉, 결합지지 플레이트(610)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는 면 방향)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 및 고정되면, 개방형 수용홈(620)에서 볼 구조물이 이탈할 수 있는 방향이 전면적으로 차단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고정턱(440)을 두어 볼 구조물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 언급된 바와 같이, 개방형 수용홈(620)은 볼 구조물의 형상을 전부 수용하거나, 일부만을 수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미소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동력 전달되는 경우, 모터의 출력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심을 실행해서 동력 전달하는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모터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기어박스 400, 600: 자동조심 장치
410, 610: 결합지지 플레이트 420, 620: 개방형 수용홈
430, 630: 탄성지지대 440: 고정턱
450, 640: 제1 결합돌기 460, 650: 제2 결합돌기
470, 670: 제2 축 관통홀 480: 볼 구조물
481: 제1 축 관통홀 660: 고정라인

Claims (7)

  1. 모터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을 갖추고, 상기 출력축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는 볼 구조물;
    상기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모터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분기되며, 상기 개방형 수용홈에 상기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 및
    상기 탄성지지대의 끝단에 위치해서 상기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턱을 포함하며,
    상기 볼 구조물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개방형 수용홈, 상기 탄성지지대 및 상기 고정턱은 제2 재질을 포함하는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모터와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면접촉하는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수용홈은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을 일부 수용하는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
  5. 모터의 출력축이 관통되는 제1 축 관통홀을 갖추고, 상기 출력축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는 볼 구조물;
    상기 볼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이 추가 관통되는 제2 축 관통홀을 갖춘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영역에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개방형 수용홈;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의 접촉면을 향해 분기되며, 상기 개방형 수용홈에 상기 볼 구조물이 수용되게 하는 다수의 탄성지지대; 및
    상기 모터 측을 향하는 상기 개방형 수용홈의 개구 영역을 상기 볼 구조물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형상으로 갖추는 고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볼 구조물은 제1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 플레이트, 상기 개방형 수용홈, 상기 탄성지지대 및 상기 고정라인은 제2 재질을 포함하는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수용홈은 상기 볼 구조물의 형상을 일부 수용하거나, 전부 수용하는 모터의 축 자동 조심 장치.
KR1020150078523A 2015-06-03 2015-06-03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KR10173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23A KR101730159B1 (ko) 2015-06-03 2015-06-03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23A KR101730159B1 (ko) 2015-06-03 2015-06-03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94A KR20160142594A (ko) 2016-12-13
KR101730159B1 true KR101730159B1 (ko) 2017-04-25

Family

ID=5757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523A KR101730159B1 (ko) 2015-06-03 2015-06-03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52A (ko) 2019-07-23 2021-02-02 하주리 전기를 끌어 쓰고 보조배터리기능을 활용한 무선멀티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704A (ja) 2000-07-07 2002-01-25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モータのエンド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540A (ko) 2014-04-25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비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의 동작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704A (ja) 2000-07-07 2002-01-25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モータのエンド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94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46101B (zh) 转动扇叶驱动装置
CN102248213A (zh) 制造第一构件和第二构件连接的连接机构和方法
KR101730159B1 (ko) 모터의 축 자동조심 장치
WO2023237007A1 (zh) 连接装置
KR20170040323A (ko) 유지 프레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962206B (zh) 连接机构
US20160131199A1 (en) Joint structure, clutch, and motor
CN114823476B (zh) 一种晶圆旋转机构、晶圆旋转夹持机构及晶圆清洗干燥系统
CN210178846U (zh) 一种线性滑轨架构智能定位装置
KR101920812B1 (ko)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감속 커플링 유닛
KR101723866B1 (ko) 자동차 변속상태 수동조작 장치
CN107225179B (zh) 模具快速固定装置
US10145049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1744508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KR101211953B1 (ko) 모터 하우징의 고정자 고정용 클램프
CN203156716U (zh) 电动工具的机头与机身间快速拆装结构
JP3185911U (ja) 手術室の電気器具および電気設備のための吊り下げアーム
CN105322705B (zh) 无壳伺服电机用罩壳及缝纫机
JP6875564B2 (ja) 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の取付構造及び送風装置
CN211606295U (zh) 一种适用于多方向的电机快换模块
CN208595176U (zh) 一种可拆卸的扣合式机械臂制动器
CN103894374B (zh) 铁屑自排装置
CN210196126U (zh) 具有弹性卡扣的风叶安装结构、风机及空调
CN209032189U (zh) 水杯组件和洗碗机
CN105595865A (zh) 一种食物搅拌机及其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