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598B1 -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598B1
KR101729598B1 KR1020160000670A KR20160000670A KR101729598B1 KR 101729598 B1 KR101729598 B1 KR 101729598B1 KR 1020160000670 A KR1020160000670 A KR 1020160000670A KR 20160000670 A KR20160000670 A KR 20160000670A KR 101729598 B1 KR101729598 B1 KR 10172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tube
bead
overmold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규
김대규
Original Assignee
대웅아이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아이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아이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드라이브튜브와, 드라이브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드라이브튜브를 고정하는 오버몰드와,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STRUCTURE FOR FIXING DRIVE TUBE OF SUN ROOF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브튜브와 양단에 홈부를 갖는 오버몰드를 별도로 성형하고, 드라이브튜브를 가압하여 일단부에 걸림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몰드의 걸림홈부를 삽입하여 걸어주고, 드라이브튜브를 다시 가압하여 타단부에 고정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몰드의 고정홈부에 고정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는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선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루프는 차량의 내부 환기와, 탑승자에게 개방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강렬한 햇볕에 견딜 수 있도록 열처리를 거쳐 제작되며 자외선과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사고 시, 유리 파편에 탑승객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다.
선루프에는 글래스패널을 개폐하기 위한 케이블이 구비되며, 케이블은 드라이브튜브의 구멍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드라이브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드라이브튜브 한쪽끝단부에는 오버몰드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있으며, 드라이브튜브에는 오버몰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비드(bead)가 구비된다.
그런데, 기존의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함에 따라 인서트사출성형기로 인한 사출설비의 크기가 커지면서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제품 크기와 형상으로 볼 때 다수의 캐비티를 확보하여 생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0301호(발명의 명칭: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정치, 2001.06.07: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브튜브와 양단에 홈부를 갖는 오버몰드를 별도로 성형하고, 드라이브튜브를 가압하여 일단부에 걸림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몰드의 걸림홈부를 삽입하여 걸어주고, 드라이브튜브를 다시 가압하여 타단부에 고정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몰드의 고정홈부에 고정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드라이브튜브; 상기 드라이브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튜브를 고정하는 오버몰드;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와 상기 오버몰드의 일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와 상기 오버몰드의 타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비드; 및 상기 걸림비드에 걸리도록 상기 오버몰드의 일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비드; 및 상기 고정비드에 걸리도록 상기 오버몰드의 타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비드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조립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비드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조립한 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비드와 상기 걸림비드를 형성할 때,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튜브를 가압할 때 상기 삽입공의 내경에 대응하는 펀치를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가 상기 삽입공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은, 관체를 성형하여 면취부를 갖는 드라이브튜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삽입공을 갖고, 상기 삽입공의 양단 내측 둘레에 걸림홈부와 고정홈부를 갖도록 오버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 둘레 외측으로 걸림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버몰드의 삽입공을 상기 드라이브튜브에 삽입하여 상기 걸림비드에 상기 걸림홈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 둘레 외측으로 고정비드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압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 형성시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에 금형을 설치하여 가압하므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 형성시 상기 삽입공에 펀치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은,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브튜브와 양단에 홈부를 갖는 오버몰드를 별도로 성형하고, 드라이브튜브를 가압하여 일단부에 걸림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볼드의 걸림홈부를 삽입하여 걸어주고, 드라이브튜브를 다시 가압하여 타단부에 고정비드를 형성하여 오버몰드의 고정홈부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 성형시 기존 범용 사출설비를 활용하여 제조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를 각각 개별 성형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압축하여 걸림비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에 오버몰드를 삽입하여 걸림비를 걸림홈부에 안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재차 압축하여 고정비드를 고정홈부에 밀착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를 각각 개별 성형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압축하여 걸림비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에 오버몰드를 삽입하여 걸림비를 걸림홈부에 안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재차 압축하여 고정비드를 고정홈부에 밀착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는, 드라이브튜브(100), 오버몰드(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드라이브튜브(100, drive tube)는 길이방향으로 케이블(50)이 이동하는 구멍(12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드라이브튜브(100)는 원형의 스틸관으로 이루어지고, 스틸관의 외주면에 동도금 또는 불소수지코팅이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드라이브튜브(100)는 길이가 수미터의 길이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짧은 길이로 도시하도록 한다. 또한, 드라이브튜브(100)를 2개 형성하여 오버몰드(200)에 조립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드라이브튜브(100)가 1개 구비되어 오버몰드(200)의 1개의 삽입공(2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블(50)은 글래스패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케이블(5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빈번한 당김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코일이 감겨져 형성된다.
드라이브튜브(100)의 단부에는 케이블(50)의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는 면취부(110)가 구비된다.
면취부(110)는 일단부 내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위로서, 케이블(50)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차 벌려지게 형성된다.
오버몰드(200)는 드라이브튜브(100)에 삽입되는 삽입공(210)이 형성되고, 드라이브튜브(10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오버몰드(20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서, 일반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오버몰드(200)는 선루프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어 드라이브튜브(100)를 삽입공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이로써, 드라이튜브(100)의 구멍(120)을 통해 이동하는 케이블(50)은 차량 지붕에서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는 일반 성형기로 각각 성형 제작된 후 조립되어 고정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를 인서트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함에 따라 인서트 사출성형기의 설치공간이 커지고,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는 일반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별개로 성형한 후 조립하여 고정하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되며, 일반 사출성형기 사용으로 인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고정부(300)는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를 상호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30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을 통해 케이블(50)이 이동할 때, 오버몰드(200)에서 드라이브튜브(1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30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일단부와 오버몰드(200)의 일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310)와, 드라이브튜브(100)의 타단부와 오버몰드(200)의 타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2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31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일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비드(312)와, 걸림비드(312)에 걸리도록 오버몰드(200)의 일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324)를 포함한다.
걸림비드(312)는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를 조립하기 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비드(312)를 형성할 때, 드라이브튜브(100)의 양단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드라이브튜브(100)를 중심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형성하도록 한다.
걸림비드(312)는 드라이브튜브(100)를 금형으로 압축하여 오므릴 때, 최대한 압축하여 오므려지는 부위의 틈새를 없애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케이블(50)이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걸림에 의한 마찰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금형을 이용하여 드라이브튜브(100)를 가압할 때 구멍(120)의 내경에 대응하는 펀치(미도시)를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걸림비드(312)가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펀치는 걸림비드(312)가 드라이브튜브(100)의 둘레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도와준다.
제2고정부(32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타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비드(322)와, 고정비드(322)에 걸리도록 오버몰드(100)의 타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324)를 포함한다.
고정비드(322)는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를 조립한 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비드(322)를 형성할 때, 드라이브튜브(100)의 양단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드라이브튜브(100)를 중심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형성하도록 한다.
고정비드(322)는 드라이브튜브(100)를 금형(미도시)으로 압축하여 오므릴 때, 최대한 압축하여 오므려지는 부위의 틈새를 없애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케이블(50)이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걸림에 의한 마찰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금형을 이용하여 드라이브튜브(100)를 가압할 때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의 내경에 대응하는 펀치(미도시)를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고정비드(322)가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펀치는 고정비드(322)가 드라이브튜브(100)의 둘레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도와준다.
한편,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 내에서 케이블(50)이 이동하여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일측에서 드라이브튜브(100)의 걸림비드(312)가 오버몰드(200)의 걸림홈부(314)에 걸려 있고, 타측에서 드라이브튜브(100)의 고정비드(322)가 오버몰드(200)의 고정홈부(324)에 걸려 있으므로 드라이브튜브(100)가 오버몰드(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을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은, 드라이튜브 성형단계(S10), 오버몰드 성형단계(S20), 걸림비드 형성단계(S30),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 조립단계(S40) 및 고정비드 형성 및 고정단계(S50, S60)를 포함한다.
드라이튜브 성형단계(S10)는 관체를 성형하여 면취부(110)를 갖는 드라이브튜브(1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오버몰드 성형단계(S2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외경에 대응하는 삽입공(210)을 갖고, 삽입공(210)의 양단 내측 둘레에 걸림홈부(314)와 고정홈부(324)를 갖도록 오버몰드(2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걸림홈부(314)와 고정홈부(324)은 사각형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걸림홈부(314)와 고정홈부(324)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더,
걸림비드 형성단계(S3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양단부를 금형으로 가압하여 드라이브튜브(100)의 일단부 둘레 외측으로 걸림비드(31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드라이브튜브와 오버몰드 조립단계(S40)는 오버몰드(200)의 삽입공(210)을 드라이브튜브(100)에 삽입하여 걸림비드(312)에 걸림홈부(314)를 안착하여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 조립하는 단계이다.
고정비드 형성 및 고정단계(S50, S60)는 드라이브튜브(100)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드라이브튜브(100)의 타단부 둘레 외측으로 고정비드(322)를 형성하여 고정홈부(324)에 압입하므로 드라이브튜브(100)와 오버몰드(200)를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이다.
걸림비드(312)와 고정비드(322) 형성시 드라이브튜브(100)의 양단부에 금형을 각각 설치하여 가압하므로 형성한다.
걸림비드(312)와 고정비드(322) 형성시 드라이브튜브(100)의 구멍(120)에 펀치를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걸림비드(312)와 고정비드(322)가 구멍(120)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케이블 100 : 드라이브튜브
110 : 면취부 200 : 오버몰드
210 : 삽입공 300 : 고정부
310 : 제1고정부 312 : 걸림비드
314 : 걸림홈부 320 : 제2고정부
322 : 고정비드 324 : 고정홈부
S10 ~S60 :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의 단계들이다.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드라이브튜브; 상기 드라이브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튜브를 고정하는 오버몰드;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와 상기 오버몰드의 일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와 상기 오버몰드의 타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비드; 및 상기 걸림비드에 걸리도록 상기 오버몰드의 일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비드; 및 상기 고정비드에 걸리도록 상기 오버몰드의 타단부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비드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조립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비드는 상기 드라이브튜브와 상기 오버몰드를 조립한 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를 형성할 때,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튜브를 가압할 때 상기 삽입공의 내경에 대응하는 펀치를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가 상기 삽입공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8. 관체를 성형하여 면취부를 갖는 드라이브튜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삽입공을 갖고, 상기 삽입공의 양단내측 둘레에 걸림홈부와 고정홈부를 갖도록 오버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일단부 둘레 외측으로 걸림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버몰드의 삽입공을 상기 드라이브튜브에 삽입하여 상기 걸림비드에 상기 걸림홈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타단부 둘레 외측으로 고정비드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압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 형성시 상기 드라이브튜브의 양단부에 금형을 설치하여 가압하므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비드와 상기 고정비드 형성시 상기 삽입공에 펀치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방법.
KR1020160000670A 2016-01-04 2016-01-04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KR10172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70A KR101729598B1 (ko) 2016-01-04 2016-01-04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70A KR101729598B1 (ko) 2016-01-04 2016-01-04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598B1 true KR101729598B1 (ko) 2017-05-11

Family

ID=587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670A KR101729598B1 (ko) 2016-01-04 2016-01-04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5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212A (ja) * 2004-11-10 2006-06-01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の挿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212A (ja) * 2004-11-10 2006-06-01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の挿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031B2 (en)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screw and a captively arranged bush
EP222051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gnetfeldsensors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r sensor
WO2019052703A1 (de) Kabelabdichtung sowie anordnung mit einem gehäuse
CN106471198B (zh) 用于车门限位臂组件的限位臂定位器的改进结构
EP2233386A1 (en) Hybrid metal-plastic component applicable to an automotive vehic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WO2017150296A1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729598B1 (ko) 선루프의 드라이브튜브 고정구조 및 그 방법
JP6788618B2 (ja) 熱硬化性の複合材料でできた管のような中空プロフィール部材および対応する方法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US5772159A (en) Conduit end fitting
KR102278345B1 (ko) 차량용 유압튜브 커넥터
KR101896708B1 (ko) 벨트 몰딩 체결 구조
DE102010031304A1 (de) Kabelknickschutzeinh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20110226081A1 (en) Control cable
EP1612917B1 (de) Gehäuseteil mit einem axialen Spielausgleichselemen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eines solchen
US2014036807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Housing Assembly, Housing Assembly And Ram Device
JP5934592B2 (ja) 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9697B1 (ko) 자동차용 도어필라
JP200703055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および同成形方法
JPH0610929A (ja) 差込形コネクタ
DE3706918A1 (de) Halteelement fuer ein fahrzeug-ausruestungsteil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EP3795324B1 (en) Method and device to produce a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and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CN107218247B (zh) 轴承紧配结构
US11952050B2 (en) Apparatus and kit for ford vehicle steering rack and pinion
JP2019074191A (ja) 減速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