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138B1 -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138B1
KR101729138B1 KR1020090104459A KR20090104459A KR101729138B1 KR 101729138 B1 KR101729138 B1 KR 101729138B1 KR 1020090104459 A KR1020090104459 A KR 1020090104459A KR 20090104459 A KR20090104459 A KR 20090104459A KR 101729138 B1 KR101729138 B1 KR 10172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chestnut
snare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717A (ko
Inventor
고현주
김도훈
박원석
최진규
남개원
정춘복
한지연
권대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0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인 밤꽃 추출물은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는 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밤꽃, SNARE 복합체, 모공 축소, 피지 억제

Description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Pore Size and Secreting Sebum Containing flower extract of Castanea crenata}
본 발명은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공은 얼굴 피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나, 특히 코와 볼 부위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모공의 양상은 성별, 유전적, 노화, 여드름, 만성 자외선 노출 등의 내인성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개인차가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변성, 감소함에 따라 피부 탄력이 없어지고 쳐지기 때문이다.
한편, 털에 붙어있는 근육(입모근)의 수축 또는 이완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모공은 신경조절에 의해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다. 교감신경은 근육에서 약간 떨어져 있으면서 모공 축소 작용을, 부교감 신경은 근육 가까이에 있으면서 모공 확대 작용을 한다. 선택적으로 부교감 신경을 억제하면 보상 작용으로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털에 붙어 있는 근육을 수축시켜 모공이 축소 된다.
위와 같이 신경에 의한 자극 전달의 조절에 의해 목적하는 효과를 내는, 예를 들어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하여 근육세포의 경련성 마비를 일으키는 물질로는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가 있다. 그러나, 보툴리눔 독소는 일종의 신경독으로서, 가장 강력한 독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치사량이 약 1 /kg (정맥주사시)이고, 이는 1티스푼으로 12 억명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정도로 위험이 큰 물질이다. 이러한 보툴리눔 독소의 전달 방법은 대부분 주사 기법에 의하며, 부적절한 주사 기법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고/있거나, 보툴리눔 독소를 의도하지 않는 위치 및/또는 원치 않는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눈 주위 영역에서, 눈꺼풀 및 눈썹 처짐(lid and brow ptosis)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통증, 혈종, 반상 출혈 및 타박상(bruising)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효과적이면서도 독성이 없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안전할 뿐 아니라, 부작용이 적은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에 유효한 성분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어 왔다.
본 발명은 과거로부터 요청되어 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우수한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내는 밤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밤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밤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함으로써 우수한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밤꽃 추출물에 의한 막융합 저해 효과를 실험한 결과, 하기 실시예에 입증된 바와 같이 밤꽃 추출물은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막융합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밤꽃 추출물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를 실험한 결과, 보툴리눔 독소와 같은 독성을 내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이와 유사한 정도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여,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와 시냅스 전막(presynaptic membrane) 사이의 막융합을 저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시에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는 시냅스 전막(presynaptic membrane)과 융합되어야 두 경계 간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막융합의 원인을 제공하는 단백질은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라고 불리는 3종의 단백질 복합체로,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 전막 간의 막융합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배출 통로가 열리게 되는데, 표적막(target membrane)에 부착되어 있는 t-SNARE 복합체와 소포(vesicle)에 부착되어 있는 v-SNARE 가 관여한다. T-SNARE는 신탁신(syntaxin) 1a 라고 하는 단백질과 SNAP-25 라고 하는 단백질 2종의 복합체로, 이들 SNARE 단백질은 꽈배기처럼 꼬여있다.
통상 막융합시에는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의 재배열이 일어나게 되는데, 생체막들은 서로 강하게 밀어내고 있으므로 이들 막은 자발적으로 융합되지 않 고 외부에서 강한 힘이 주어져 막들 사이의 반발력을 극복하여야 한다. 이 때, 막들 사이의 반발력을 이겨낼 정도의 강한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SNARE 단백질로, SNARE 복합체의 형성은 막 사이의 반발력을 극복하고 신경전달물질을 배출하는 세포외 배출작용(exocytosis)의 핵심 현상일 수 있다.
한편,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근육의 상층에는 신경근육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가 있으며, 신경 말단(nerve terminal)에는 시냅스 소포가 장전되어 있다. 위와 같은 SNARE 단백질에 의한 막융합 과정을 통하여, 상기 신경 말단에 장전되어 있는 시냅스 소포 내의 신경전달물질이 배출되어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밤꽃 추출물은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여 막융합을 저해할 수 있고, 그 결과 신경 말단의 시냅스 소포 내에 포함된 신경전달물질, 특히 아세틸콜린의 신경근육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로의 방출을 저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경 임펄스(impulse)가 방해되고 근육세포의 경련성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공 주변의 입모근세포에 경련성 마비를 일으켜 모공을 수축시킬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전달물질 배출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인 SNARE 단백질을 절단하는 프로테아제(protease)로, SNARE 단백질을 절단함으로써 신경전달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보톡스가 침투된 근육세포가 마비되도록 하여, SNARE 단백질을 비가역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신경의 전달을 차단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신경전달을 방해하 는 경쟁적 저해제(competitive inhibitor)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밤꽃 추출물은 피부 근육세포로의 아드레날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아드레날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카테콜아민은 스트레스 발생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피부 자극이나 염증, 피부 면역 기능을 손실시켜 여드름, 지루성 습진, 아토피, 건선, 원형 탈모증, 구내염, 만성 두드러기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밤꽃 추출물은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변성,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밤꽃(flower extract of Castanea crenata)은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인 밤나무에서 피는 꽃을 말한다. 암, 수꽃이 잎겨등랑이에서 미상꽃차례로 피는데, 암꽃은 꽃차례의 아래쪽에 3송이씩 무리지어 핀다. 수꽃은 6장의 꽃덮이조각과 10개 정도의 수술로 되어 있고, 암꽃은 6개의 방으로 나누어진 씨방과 6개의 암술대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정액향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향이 뛰어나다. 탄닌 성분이 있어 수렴성 맛이 나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돕고 성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며 근육의 영양공급을 돕고 몸 속에 생성된 암모니아를 무독화시키는데 유효한 아르기닌(arginine)성분이 있어 예부터 민간요법에서는 설사, 이질, 혈병 등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밤꽃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및 무수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통해 가온추출 방식으로 추 출된 카스타네 크레나타(Castanea crenata) 밤꽃의 건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30 중량%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0.001 내지 10 중량% 또는 0.01 내지 2 중량%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등의 경피 투여 제형 등 피부에 바르는 피부 외용 기제로 제형화될 수 있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다른 성분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 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얼굴 피부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 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은 약 투여에서 대체적으로 적용되는 양으로, 이러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실질적 심한 독성, 자극 또는 알러지 반응이 없이 피험체의 활성 부위에서 효능을 발휘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1000mg/kg/일이 될 수 있고 1mg/kg/일 내지 4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밤꽃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밤꽃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식물추출은행(Plant Extract Bank, 대한민국 대전)에서 구입한 천연물 (100g)에 무수 메탄올 1000ml를 가하여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 (모델명:HB 4 basic, 제조사:IKA)를 사용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가온추출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No.2여지로 여과한 후 남은 잔사물 (Residue)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이상 더 추출하고,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모델명:Rotavapor, 제조사:Buchi, 온도: 40℃)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막융합 저해 효과
밤꽃 추출물에 대한 막융합 저해 효과를 시험하였다. SNARE 단백질들을 생산하기 위하여 생물학 기법으로 형질전환된 대장균(E. coli Codon (+) RIL, Novagen)으로부터 각각 SNAP25(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25: NM011428), 신탁신 1a(AF217917) 및 VAMP2(Vesicle-associated membrane protein 2: NM012663)라 불리는 SNARE 단백질들을 정제하였다. 우선, 형광물질이 표지된 미세한 피막입자인 리포좀(liposome)을 만들기 위하여 팔미토일 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POPC)(62mol%),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세린(Dioleoyl phosphatidylserine; DOPS)(35mol%), 1-올레오일-2-[N-(7-니트로-2,1,3-벤족사디아졸-4-일)아미노]카프로일 포스파티딜세린(1-oleoyl-2-[N-(7-nitro-2,1,3-benzoxadiazol-4-yl)amino]caproylphosphatidylserine;NBD-PS](1.5mol%) 및 형광물질인 로다민(Rhodamin-PE, 1.5mol%)을 혼합하여 10 mM 리포좀(v-vesicle)을 만들었고,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리포좀을 만들기 위해 DOPS와 POPC를 몰농도가 35:65가 되도록 혼합하여 50mM 리포좀(t-vesicle)을 만들었다. 정제된 SNAP25와 신탁신 1a로 구성된 복합체를 만들기 위해 몰농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리포좀과 몰비율이 100:1 이 되도록 혼합하였고, VAMP2 는 형광물질이 들어있는 리포좀과 몰비율이 50:1이 되도록 결합시켰다. 그리고 나서 상기 두 종류의 리포좀은 10kDa 투석막을 이용하여 4℃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면서 투석 과정을 거친 후 3:7 (v-vesicle:t-vesicle)의 비율로 섞은 뒤, SNAP-25, 신탁신 1a 및 VAMP-2 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조군인 메탄올과 밤꽃 추출물을 100 ppm 농도로 가하고 형광 강도 측정 기기(모델명: SpectraMax M2, 제조사: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형광 강도는 SNARE 단백질 간의 막 융합 현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형광 강도가 낮다는 것은 막융합이 저해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밤꽃 추출물 처리군(이하, 밤꽃)은 대조군에 비해 형광 강도가 낮아 SNARE 단백질 간의 막 융합 현상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의 형광강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밤꽃 추출물 처리군에서의 상대적인 막융합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밤꽃 추출물 처리군에서 유의한 막 융합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
PC12 세포(Korean Cell Line Bank, 대한민국 서울)는 콜라겐 코팅한 플레이트(60mm dish)에 10% 송아지 혈청과 5% 태아 소 혈청, 항생물질이 들어간 Ham's F12K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은 배지를 흡입한 후 PBS 2ml 를 넣고 피펫팅하여 세포를 디시(dish) 벽으로부터 분리하여 1,000x g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은 후, 새로운 배지를 넣어 피펫팅하여 세포 펠렛을 분산하여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에 넣고 37℃, 5%의 CO2 가스가 공급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3H]-노르아드레날린은 아머샴(Amersham)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C12 세포의 플레이트에서 배지를 흡입한 후 PBS를 넣고 세포를 플레이트 벽으로부터 떼어낸 후 세포수를 헤마사이토미터로 측정하여 2x105cell/ml의 농도로 새로운 배지에 분산하여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노르아드레날린 검정 완충액([3H]-NA, 1.5μCi/ml)를 첨가한 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90분간 도입하였다. 반응 후 완충액을 제거한 후 PBS 로 3회 세정한 후 새로운 배지에 밤꽃 추출물(100 ppm), L-타입 칼슘 채널 억제제인 베라파밀(verapamil 10 μM), 그리고 보툴리눔 독소(2 nM)를 넣고 30분간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고농도의 K+ 완충액을 넣은 후 12분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3H]-노르아드레날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위 방법으로 밤꽃 추출물 처리군이 PC12 세포 내에서 노르아드레날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밤꽃 추출물 처리군은 노르아드레날린 방출 억제 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PC12 cell에서 신경전달물질로써 노르아드레날린과 아세틸콜린 분비에 대한 물질의 억제 경향성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밤꽃 추출물에 의한 노르아드레날린 방출 저해 효과는 보톡스와 비슷한 아세틸콜린 신경전달물질의 방 출을 저해할 수도 있다.
[시험예 3] 모공크기 및 피지 분석
얼굴에 피지분비가 많고 얼굴 모공이 크다고 느끼는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하기 표 6의 제형예 2에 따른 처방으로(밤꽃 추출물 0.5% 사용) 피지가 많고 모공이 큰 부위, 주로 뺨과 코 주위 피부에 매일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바르도록 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시험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육안 평가와 기기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육안 평가는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피부 모공 크기는 모공크기 측정 기기(Skin touch, 자사 개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지는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피지량을 측정하였고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2
[표 3]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3
[표 4]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4
상기 표 2, 3 및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공 크기 축소 및 피지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5
[제형예 2] 영양화장수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6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7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8
[제형예 5] 팩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112009066980080-pat00009
[제형예 6] 연고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112009066980080-pat00010
[제형예 7] 주사제
밤꽃 추출물............................. 0.001 -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적량
pH 조절제....................................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꽃 추출물의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8)

  1. 밤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여,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와 시냅스 전막(presynaptic membrane) 사이의 막융합을 저해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경 말단의 시냅스 소포 내에 포함된 아세틸콜린의 배출을 억제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테콜아민(Catecholamine)계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저해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밤꽃 추출물은 카스타네 크레나타(Castanea crenata) 밤꽃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04459A 2009-10-30 2009-10-30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72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459A KR101729138B1 (ko) 2009-10-30 2009-10-30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459A KR101729138B1 (ko) 2009-10-30 2009-10-30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717A KR20110047717A (ko) 2011-05-09
KR101729138B1 true KR101729138B1 (ko) 2017-04-26

Family

ID=4423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459A KR101729138B1 (ko) 2009-10-30 2009-10-30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233A (ko) 2020-08-11 2022-02-18 한국식품연구원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근육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용수 외 2명. 밤꽃 추출물의 항균성.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제6권. 제1호. pp.104~109.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717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8029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из нефотосинтезирующей нитчатой бактерии и содержащая его композиция
US6146636A (en) Substance P antagonists comprising rosaceae plant extracts
EP1549331B1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JP2008536797A (ja) 表情皺を緩和するのに好適な皮膚投与のための美容組成物
CN112367967B (zh) 肌肉松弛用组合物
CA2761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US6586020B1 (en) Bradykinin antagonists comprising rosaceae plant extracts
KR101273066B1 (ko)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EP416615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entapeptide as active ingredient
HU218944B (hu) Stroncium (II) valamely szervetlen sója topikális alkalmazása neurogén eredetű bőrpirosodás kezelésére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729138B1 (ko) 밤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16033899A1 (zh) 一种调节头皮油脂平衡的去屑组合物
JP2002293740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
US20080171076A1 (en)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peptides
KR101222673B1 (ko) 한련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또는 두피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0012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79978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CN117482133A (zh) 粗茎秦艽提取物的新化妆品或皮肤病学用途
CN110721126A (zh) 包含植物提取物的皮肤保湿及皮肤镇定用组合物
JP2002293738A (ja) 光老化皮膚改善用化粧料
KR20150050984A (ko) 알칼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