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59B1 - 도어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859B1
KR101728859B1 KR1020150157286A KR20150157286A KR101728859B1 KR 101728859 B1 KR101728859 B1 KR 101728859B1 KR 1020150157286 A KR1020150157286 A KR 1020150157286A KR 20150157286 A KR20150157286 A KR 20150157286A KR 101728859 B1 KR101728859 B1 KR 10172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sliding groove
magnet
penet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현
김예일
정예성
위혁찬
김동휘
Original Assignee
정용현
김예일
정예성
위혁찬
김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현, 김예일, 정예성, 위혁찬, 김동휘 filed Critical 정용현
Priority to KR102015015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도어, 슬라이딩홈의 일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 슬라이딩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도어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구비되고,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중 회전축에서 멀리 위치한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절개된 중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가 통과하는 감속부재가 밀착되는 도어프레임을 포함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 없이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작동상 오류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도어의 안전장치 {Safety Device of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바람이나 외부의 압력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맴돌이 형태의 전류인 와전류를 이용한 안전장치로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 없이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에 유리하고, 종래 유체, 유체 보관공간, 작동봉 등이 구비되는데 비해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운 도어 또는 지지력이 약한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고, 도어가 느린 속도로 닫힐 시에는 도어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도어가 원래 속도로 닫힐 수 있으며 출입자가 직접 도어를 닫을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는 출입구에 사각형태의 도어프레임을 고정하여 도어프레임 한쪽에 복수 이상의 경첩으로 도어 한쪽을 연결하고 다른 쪽에 문 손잡이를 장착하여 출입시 문 손잡이를 잡고 열어 경첩을 기준으로 도어가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여닫이 문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상의 여닫이문은 도어프레임과 연결하는 경첩의 회전력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에는 여닫이문이 바람이나 출입자의 의도나 실수로 급속하게 닫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강한 소음을 동반함은 물론 출입하는 출입자의 손이나 발이 문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및 유아나 어린이와 같이 자기방어가 미약한 출입자인 경우 도어 출입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은 물론 중대사고로 이어져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보호자가 항상 주의하며 생활을 하는데도 안전사고에 노출된 상태이며 학교에서는 안전교육을 철저히 하여 주의를 시키지만 항상 안전사고에 노출된 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는 실태이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여닫이문에 장착하여 닫힘을 방지하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여닫이문에 장착 구성하는 것으로서, 여닫이문의 하단에 안전장치를 고정하여 개방문이 안전장치로 인해 도어프레임에 고정되거나 안착 되도록 하여 여닫이문이 열린 상태에서 임의로 닫히지 않도록 하지만 이는 사용시 안전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안전장치의 기능을 발휘하지만 안전기능을 배제하면 안전기능이 해제되어 안전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구조의 안전장치이다.
뿐만 아니라 여닫이문의 손잡이가 장착된 측의 한쪽에 고정하여 닫히기 직전에 안전장치가 도어프레임에 먼저 접촉하여 여닫이문이 닫히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계속되는 접촉으로 인해 내구가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제 2009-0108148호의 "여닫이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안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의 유압과 탄성체에 탄성력에 의해 작동봉이 조작되는 구성이 간결한 안전장치를 여닫이문이 경첩으로 연결장착되는 측의 도어프레임에 고정하여 여닫이문이 닫힐 때 여닫이문이 안전장치의 작동봉에 밀착하여 작동봉을 안전장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때 안전장치의 작동공간 내에 있던 유체가 보조공간으로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작동봉이 움직이면서 여닫이문이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여닫이문과 도어프레임에 출입자의 손이나 발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여닫이문의 안전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에 설치시 부피가 커서 가벼운 도어 또는 지지력이 약한 도어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여닫이문의 안전장치는 안전장치와 도어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하여 충격완충장치가 장착되더라도 내구에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소음이 발생되고,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어가 바람이나 외부의 압력으로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맴돌이 형태의 전류인 와전류를 이용하여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염려가 없어 출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 없이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에 유리한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유체, 작동봉 등이 구비되는데 비해 본 발명은 감속부재와 자석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운 도어 또는 지지력이 약한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가 느린 속도로 닫힐 시에는 도어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도어가 원래 속도로 닫히게 되며 출입자가 직접 도어를 닫을 때 이질감 없이 편리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도어, 슬라이딩홈의 일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 슬라이딩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도어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구비되고,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중 회전축에서 멀리 위치한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절개된 중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가 통과하는 감속부재가 밀착되는 도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바람이나 외부의 압력으로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맴돌이 형태의 전류인 와전류를 이용하여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염려가 없어 출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 없이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유체, 작동봉 등이 구비되는데 비해 본 발명은 감속부재와 자석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운 도어 또는 지지력이 약한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느린 속도로 닫힐 시에는 도어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도어가 원래 속도로 닫힐 수 있어서 출입자가 직접 도어를 닫을 때 이질감 없이 편리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속도에 따른 도어의 평면도 및 도어의 안전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작동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속도에 따른 도어의 평면도 및 도어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안전장치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된 도어(110), 슬라이딩홈(111)의 일측에 탄성부재(214)를 매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150), 슬라이딩홈(1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도어(110)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가 구비되고,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중 회전축(115)에서 멀리 위치한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절개된 중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150)가 통과하는 감속부재(170)가 밀착되는 도어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닫이문에서의 도어(110)는 도어프레임(130)에 경첩(101) 등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출입자가 손잡이(113)를 잡고 도어(110)를 열거나 닫을 때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때, 도어(110)가 바람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경우나 출입자의 의도 또는 실수로 인해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소음과 도어(110)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고, 출입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도어(110)에는 급속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의 도어(110)가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150)가 반자성체로 형성되는 감속부재(170)를 통과하면서 도어(110)의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아래에 상세히 후술한다.
먼저, 도어(110)는 상단 또는 하단에 슬라이딩홈(111)이 도어(11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에는 탄성부재(214)를 매개로 슬라이딩부재(15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부재(150)는 도어(1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슬라이딩홈(111)에서 슬라이딩되며, 이하에서는 슬라이딩홈(111)의 회전축(115)과 가까운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부재(150)가 결합되어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셜명하겠으며, 슬라이딩부재(150)는 회전축(115)과 먼곳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탄성부재(214)가 회전축(115) 방향에 결합되는 경우 도어(110)가 빠른 속도로 닫힐수록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되면서 탄성부재(214)를 인장시키고, 탄성부재(214)가 회전축(115) 반대방향에 결합되는 경우 도어(110)가 빠른 속도로 닫힐수록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되면서 탄성부재(214)를 압축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부재(150)는 도어(110)가 빠른 속도로 닫힐수록 회전축(115)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115)의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며,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214)는 인장되며 복원력을 갖는다.
도어프레임(130)에는 슬라이딩홈(1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가 형성되며,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는 도어(110)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중 회전축(115)에서 멀리 위치한 어느 하나에는 내주면에 일측이 절개된 중공 형상의 감속부재(170)가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관통부(131,132) 중 제2관통부(132)가 회전축(115)에서 멀리 위치하는 예로 설명하겠으며, 제2관통부(132)에 감속부재(170)가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제2관통부(132)에 감속부재(170)가 밀착 결합되되 제2관통부(132)의 개구된 부위와 감속부재(170)의 절개된 일측이 대응되어 결합되며,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3)에 연결부(155)로 연결된 자석부(151)가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의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110)의 닫히는 회전속도가 느리면 슬라이딩부재(150)의 원심력이 작아 슬라이딩부재(150)는 제1관통부(131)로 통과하며 도어(110)는 원래의 회전속도 대로 닫히고, 도어(110)의 닫히는 회전속도가 빠르면 슬라이딩부재(150)의 원심력이 커 슬라이딩부재(150)는 제2관통부(132)에 결합되는 감속부재(170)로 통과하며 도어(110)는 원래의 회전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닫힌다.
이러한 원리는 감속부재(170)가 구리, 알루미늄 등의 반자성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150)의 재질이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감속부재(170) 내측으로 슬라이딩부재(150)가 통과시 맴돌이 형태의 전류인 와전류가 발생되고, 이러한 와전류는 곧 슬라이딩부재(150)의 통과를 방해하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도어(110)의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감속부재(170)로 슬라이딩부재(150)가 통과하게 되면 저항력으로 인해 통과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즉, 도어(110)의 회전속도도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110)의 슬라이딩홈(111)과 슬라이딩부재(150), 도어프레임(130)의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는 회전축(115)과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어(110)의 슬라이딩홈(111)과 슬라이딩부재(150), 도어프레임(130)의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가 회전축(115)으로부터 멀리 위치한다면, 도어(110)가 거의 닫힌 후에 와전류로인한 저항력이 발생되어 도어(110)의 속도가 효과적으로 제어되지 않는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50)는 슬라이딩홈(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153),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는 자석부(151), 슬라이딩부(153)와 자석부(151)를 연결하는 연결부(155)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홈(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가이드레일(111a)이 형성되며 슬라이딩부(153)의 양측면에 가이드레일(111a)과 대응되는 가이드(153a)가 형성되고, 가이드(153a)가 가이드레일(111a)에 삽입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홈(111)에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50)는 도어(1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원심력으로 인해 슬라이딩되는 것이며, 회전속도가 느리면 회전축(115)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관통부(131)를 통과하고 회전속도가 빠르면 회전축(115)과 먼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부(132)와 감속부재(170)를 통과한다.
이때, 슬라이딩홈(111)에서 슬라이딩부재(150)의 위치를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1)에는 위치고정부재(112)가 결합된다.
위치고정부재(112)는 슬라이딩홈(111)을 가로막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11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도어(110)가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경우 슬라이딩부재(150)가 위치고정부재(112)를 밀고 슬라이딩홈(111)의 타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부재(150)는 위치고정부재(112)에 지지되어 제2관통부(132)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1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111)의 양측면에서도 가이드레일(11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어 총 4개의 위치고정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111)의 타측단에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충격방지부재(316)가 구비되어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홈(111)의 타측단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며, 슬라이딩부재(150)과 슬라이딩홈(111)의 충돌로 인한 슬라이딩부재(150)와 도어(110)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자석부(151)가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및 감속부재(170)에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및 감속부재(170)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으로 회전된 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는 도어(110)와 함께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부재(150)의 회전운동 경로를 따라 회전된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부재(150)가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를 충돌 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슬라이딩부재(150)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도어(110)와 함께 운동하기 때문에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의 내측면에 부딪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슬라이딩부재(150)의 자석부(151)도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에 삽입되어 통과되기 용이하도록, 슬라이딩부(153)와 연결부(155)로부터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딩부재(150)가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된다고 하면,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의 내측 직경은 일측단이 타측단보다 크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15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프레임(130)에는 관통부(131,132)가 형성된 부위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케이스(539)가 구비되고, 돌출케이스(539)에는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가 형성되며 제2관통부(132)에 감속부재(170)가 밀착되어 결합되어 슬라이딩부재(150)가 통과하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돌출케이스(539)의 돌출량에 따라 관통부(131,132)와 감속부재(170)는 늘어나게 되고, 슬라이딩부재(150)가 통과하는 거리도 늘어나게 됨으로 인해 도어(110)가 빠른 회전속도로 닫히는 경우 슬라이딩부재(150)의 통과를 방해하는 저항력이 발생되는 경로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110)의 슬라이딩홈(111)과 슬라이딩부재(150), 도어프레임(130)의 관통부(131,132)에 따라 도어(110)의 닫히는 회전속도에 따른 작동구조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는 도어(110)가 닫힐 때 도어(110)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로, 슬라이딩부재(150)에 원심력이 작아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홈(111)의 타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어서 제1관통부(131)를 통과하면서 도어(110)가 닫히는 경우이다.
특히, 도어(110)의 닫히는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는, 출입자가 직접 도어(110)를 열거나 닫는 경우일 수 있어서 슬라이딩부재(150)의 통과를 방해하는 저항력이 발생되면 출입자는 더 큰힘으로 도어(110)를 닫아야 해서 불편함을 느끼므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부재(150)가 빈 구멍인 제1관통부(131)를 통과함에 따라 도어(110)의 닫히는 회전속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출입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된다.
반대로, 도 5의 (b)는 도어(110)가 닫힐 때 도어(11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로, 슬라이딩부재(15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서 슬라이딩부재(150)가 위치고정부재(112)를 밀고 슬라이딩홈(111)의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위치고정부재(112)와 슬라이딩홈(111)의 타측단에 지지되어 제2관통부(132)를 통과하면서 도어(110)가 닫히는 경우이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50)의 자석부(151)는 반자성체로 형성되는 감속부재(170)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와전류가 발생되며, 와전류는 슬라이딩부재(150)의 통과를 방해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150)의 제2관통부(132)를 통과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도어(110)가 느린 속도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10)의 닫히는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슬라이딩부재(150)를 방해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도어(110)의 속도를 느리게하여 소음을 방지하며, 도어(110)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고, 출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저항력이 불필요한 출입자가 직접 도어(110)를 열거나 닫는 경우에는 도어(110)의 속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출입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서, 슬라이딩부재(150)가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가 아닌 도어프레임(130)에 부딪히더라도 도어(110)가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150,650,750)와 도어프레임(130)의 다른 실시예들을 아래에 후술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슬라이딩부재(650)의 자석부(151)와 연결부(155)는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부(155)와 슬라이딩부(153)는 판스프링(657)을 매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함께 왕복 슬라이딩 운동한다.
이러한 판스프링(657)은 접힌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연결부(155)와 슬라이딩부(153)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110)가 닫히면서 자석부(151)가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사이의 도어프레임(130)에 충돌시, 판스프링(657)이 펴지면서 변형되는 동시에 슬라이딩부(153)로부터 연결부(155)와 자석부(151)가 뒤로 젖혀지게 되어 도어(110)가 닫힐 수 있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6의 (a)는 도어(110)가 닫히기 전의 상태로, 슬라이딩부재(650)인 슬라이딩부(153), 연결부(155), 자석부(151)는 함께 왕복 슬라이딩 운동한다.
그리고, 도 6의 (b)는 도어(110)가 닫힌 상태로, 슬라이딩부재(650)가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프레임(130)에 부딪치는데, 이때 자석부(151)가 도어프레임(130)에 부딪치면서 연결부(155)와 슬라이딩부(153) 사이는 들뜨게되고, 판스프링(657)을 변형시키면서 슬라이딩부(153)로부터 연결부(155)와 자석부(151)가 뒤로 젖혀진 상태로 도어(110)가 닫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부(153)는 다시 탄성부재(214)의 복원력으로 슬라이딩홈(111)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판스프링(657)이 원래 상태로 접히면서 연결부(155)와 자석부(151)가 슬라이딩부(153)와 함께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프레임(130)의 자석부(151)가 충돌되는 측면에는 제2충격방지부재(637)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2충격방지부재(637)는 자석부(151)가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사이에 충돌될 때 충격을 흡수해주어 소음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부재(65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어서, 슬라이딩부재(750)가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가 아닌 도어프레임(130)에 부딪치더라도 도어(110)가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30)에는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사이의 자석부(751)가 충돌되는 면에서 돌출되는 언덕부(734)가 형성되며, 언덕부(734)는 경사지는 양측면이 각각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110)가 회전하여 닫힐때 슬라이딩부재(750)가 제1관통부(131)와 제2관통부(132) 사이에 형성된 언덕부(734)에 부딪치면 슬라이딩부재(750)는 언덕부(734)의 경사지는 양측면을 따라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를 통과하도록 유도되며, 슬라이딩부재(750)가 제1관통부(131)로 유도되어 통과되면 도어(110)는 원래 회전속도로 닫히게 되고, 슬라이딩부재(750)가 제2관통부(132)로 유도되어 통과되면 도어(11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면서 닫히게 된다.
또한, 자석부(751)는 타원구형상으로 형성되되 봉형상의 연결부(155)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부(155)는 슬라이딩부(153)로부터 연결부(155)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석부(751)가 언덕부(734)에 부딪치면 자석부(751)와 연결부(155)가 슬라이딩부(153)로부터 회전하면서 언덕부(734)의 경사지는 양측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즉, 타원구형상의 자석부(751) 중 가장자리가 언덕부(734)에 부딪치면 자석부(751)와 연결부(155)가 슬라이딩부(153)로부터 회전하여 언덕부(734)의 경사지는 양측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타원구형상의 자석부(751)의 가장자리에는 고무 재질의 탄성밴드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자석부(751)의 가장자리가 언덕부(734)에 부딪치면 언덕부(734)와 탄성밴드의 마찰로 인해 자석부(751)와 연결부(155)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어 제1관통부(131) 또는 제2관통부(132)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가 바람이나 외부의 압력으로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맴돌이 형태의 전류인 와전류를 이용하여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염려가 없어 출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 없이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유체, 작동봉 등이 구비되는데 비해 본 발명은 감속부재와 자석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운 도어 또는 지지력이 약한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느린 속도로 닫힐 시에는 도어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도어가 원래 속도로 닫힐 수 있어서 출입자가 직접 도어를 닫을 때 이질감 없이 편리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도어 111: 슬라이딩홈
111a: 가이드레일 112: 위치고정부재
113: 손잡이 115: 회전축
130: 도어프레임 131: 제1관통부
132: 제2관통부 150: 슬라이딩부재
151: 자석부 153: 슬라이딩부
153a: 가이드 155: 연결부
170: 감속부재 214: 탄성부재
316: 제1충격방지부재 539: 돌출케이스
637: 제2충격방지부재 650: 슬라이딩부재
657: 판스프링 734: 언덕부
750: 슬라이딩부재 751: 자석부

Claims (10)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도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도어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중 상기 회전축에서 멀리 위치한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절개된 중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통과하는 감속부재가 밀착되는 도어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는 자석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자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감속부재를 통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측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을 가로막는 판형상의 위치고정부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가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및 감속부재에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및 감속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으로 회전된 아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제1충격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힌 형상의 판스프링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자석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충돌시 판스프링이 변형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회전하여 뒤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사이의 상기 자석부가 충돌되는 면에 제2충격방지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사이의 상기 자석부가 충돌되는 면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되 경사지는 양측면이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언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가 상기 언덕부와 충돌시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타원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자석부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연결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안전장치.
KR1020150157286A 2015-11-10 2015-11-10 도어의 안전장치 KR10172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86A KR101728859B1 (ko) 2015-11-10 2015-11-10 도어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86A KR101728859B1 (ko) 2015-11-10 2015-11-10 도어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859B1 true KR101728859B1 (ko) 2017-04-20

Family

ID=5870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86A KR101728859B1 (ko) 2015-11-10 2015-11-10 도어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6A (ja) 2000-12-18 2002-07-05 Mitsuo Akashi ドアの指詰め防止装置
KR200357296Y1 (ko) 2004-04-21 2004-07-27 조은섭 감속장치가 구비된 여닫이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6A (ja) 2000-12-18 2002-07-05 Mitsuo Akashi ドアの指詰め防止装置
KR200357296Y1 (ko) 2004-04-21 2004-07-27 조은섭 감속장치가 구비된 여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2904B2 (ja) スライド扉の制動復帰装置
EP2468999A1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CN104631971A (zh) 用于车辆的车门保持装置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728859B1 (ko) 도어의 안전장치
JP59781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0242406A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KR102287492B1 (ko) 문의 안전장치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JP6727030B2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KR101169402B1 (ko) 문틈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082375B1 (ko) 문닫힘 방지기구
JP6622107B2 (ja) 戸当たり装置及び戸当たり装置を備えた引戸装置
KR20140033795A (ko) 자동문 안전장치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JP2009215799A (ja) 引戸の引込み装置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2014011522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수단을 갖는 안전 도어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KR101079707B1 (ko) 베어링 유동장치를 갖는 원형 창호용 호차
KR101174279B1 (ko) 문닫힘 방지장치
JP2013170375A (ja) 指挟み防止装置
KR101124464B1 (ko) 도어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