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785B1 -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785B1
KR101728785B1 KR1020150139233A KR20150139233A KR101728785B1 KR 101728785 B1 KR101728785 B1 KR 101728785B1 KR 1020150139233 A KR1020150139233 A KR 1020150139233A KR 20150139233 A KR20150139233 A KR 20150139233A KR 101728785 B1 KR101728785 B1 KR 10172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message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969A (ko
Inventor
김종찬
정우혁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85B1/ko
Priority to PCT/KR2016/011057 priority patent/WO201705799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단말을 가입자로 가입시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단말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b)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METHOD OF MANAGING VEHICLE IN MESSAGE SERVER AND THE METHOD IN VEHICLE TERMINAL}
본 발명은 차량관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신저를 통해 차량과 메신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을 관리할 수 있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진단장치(OBD, On-Board Diagnostics)는 차량의 내부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차량 서비스 센터 등에 비치되어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서비스 센터를 방문할 수 있고, 차량 서비스 센터는 차량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차량진단방식은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서비스 센터의 방문시점을 놓쳐서 사고를 일으키게 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차량 서비스 센터의 방문으로 인해 시간낭비를 초래하게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5514호는 자동차용 앱스토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차량 관련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서 기업이 모바일 앱스토어 상에서 자동차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05514호(2012.1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신저를 통해 차량과 메신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을 관리할 수 있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단말을 메시지 서버의 가입자로 가입시켜 사용자 단말이 차량 단말을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의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은 (a)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단말을 가입자로 가입시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단말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b)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 단말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등록 과정에서 차량 이름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 단말의 등록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숨은 친구로 참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공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차량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서비스 센터 중 하나에게 상기 분석된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차량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차량관리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신된 차량관리 서비스와 함께 상기 해당 차량 서비스 센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한 차량정보 제공 전에 또는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한 차량정보 제공과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차량정보 질의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은 (a)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연결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차량 식별자를 기초로 메시지 서버에 가입자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을 친구 리스트로 등록하는 단계 및 (c)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메시지 서버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단말을 가입자로 가입시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단말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차량친구 관리부,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는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 및 상기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친구 관리부는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 단말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는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숨은 친구로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는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공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차량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단말은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연결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차량 식별자를 기초로 메시지 서버에 가입자로 등록하는 메시지 관리부, 상기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을 친구 리스트로 등록하는 메시지 관리부 및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은 메신저를 통해 차량과 메신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은 차량 단말을 메시지 서버의 가입자로 가입시켜 사용자 단말이 차량 단말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의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차량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메시지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 단말을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차량정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음성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차량관리서버가 차량 서비스 센터에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차량관리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관리 시스템(10)은 차량 단말(100), 메시지 서버(200), 차량관리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OBD(On-Board Diagnostics)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OBD 모듈은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및 조향계통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내부 상태를 진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정보는 타이어 상태, 배터리 상태와 잔량, 연료 소비량 및 주행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에 기 설치된 OBD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OBD 포트에 삽입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메시지 서버(200)에 가입자 등록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고유 엔진번호,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행정적인 차량번호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메시지 서버(200)의 식별자를 기초로 메시지 서버(200)에 차량 가입자로서의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명명된 차량 이름을 메시지 서버(20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과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시지 서버(200)는 메신저에 있는 친구들 간에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메시지 송신을 지원한다. 메시지 서버(200)는 메시지 쓰레드가 생성되기 전에 차량 단말(100)로부터 가입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을 가입자로 가입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단말(100)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하, 메시지 서버(2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관리서버(300)는 메시지 서버(200)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400)에 의한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메시지 서버(20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메시지 서버(200)와 독립적인 운영주체를 통해 운영되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관리서버(300)는 메시지 서버(200)가 차량 단말(100)의 가입 요청을 수신하면 차량 단말(100)에 의하여 제공된 차량 식별자를 기초로 메시지 서버(200)에서의 고유 식별자(이하, 메신저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차량 단말(100)에 있는 친구 리스트를 통해 차량 단말(100)에 관한 친구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차량 단말(100)의 메신저 식별자를 친구 리스트에 있는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와 연관시켜 친구 관계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관리서버(300)는 차량 식별자로서 행정적인 차량번호 [12가1234]를 수신하여 메신저 식별자로서 [VEHI_##_12GA1234]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메신저를 설치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고, 메신저 상에 차량정보 질의문을 작성하여 차량에 차량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를 메신저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메신저(즉, 메시지 서버(200))를 통해 차량 단말(100)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는 카카오톡, 라인, 스냅챗, 스카이프, 위챗, 왓츠앱 및 텔레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메시지 서버(200)에 차량 식별자를 송신하여 차량 단말(100)을 친구등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메시지 서버(200)와 연동하여 차량 식별자를 메신저 식별자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차량 단말(100)로부터 메시지(예를 들어,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 또는 차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친구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단말(100)은 친구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을 찾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차량 단말(100)의 친구등록을 통해 친구등록 알림을 메시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알림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은 차량 단말(100)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메신저를 통해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에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관리할 수 있고,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차량 단말(100)로부터 차량정보와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차량 단말(100)에게 특정 명령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메시지 관리부(110), 메시지 해석부(120), 차량정보 수집부(130), 센서 인터페이스부(140),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관리부(110)는 차량 단말(100)이 차량과 최초로 연결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메시지 서버(200)에 가입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관리부(110)는 차량 식별자를 메시지 서버(200)에 송신하여 서비스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메시지 관리부(110)는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메시지 서버(200)에 제공하여 메신저 친구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관리부(110)는 기 가입된 메신저 식별자로 친구 리스트 {ID1_XXX, ID2_YYY, ID3_ZZZ}를 획득하여 메시지 서버(200)에 친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관리부(110)는 메신저를 통해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에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관리하여 차량 단말(100)이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단말(100)에 송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해석부(120)는 메시지 관리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에 있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해석부(120)는 자연어 텍스트 형태로 메시지를 차량 단말(100)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해석부(120)는 [타이어 상태가 어때]라는 자연어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 단말(1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GET TIRE_STATE]로 변환할 수 있다.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특정 기준에 따라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기준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 일정 주기 또는 차량의 이상상황 발생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이 발생하면 메시지 해석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의하여 송신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명령어를 획득하고 이러한 명령어를 기초로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일정 주기마다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주기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차량의 주행 시에는 1시간 마다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정차 시에는 3시간 마다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차량의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수집부(130)는 우천시 와이퍼 고장, 차량의 급발진 또는 엔진 고장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부(140)는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온도 센서, 산소 센서, 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타이어공기압 센서, 연료탱크 압력센서 및 배기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온도, 산소, 속도, 타이어공기압, 연료탱크 압력)를 가져오거나 또는 이러한 센서들에 제어 데이터(타이어압력 제어, 연료탱크압력 제어 또는 배기가스량 제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는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메시지 서버(200)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는 LTE (Long Term Evolution) 모뎀 또는 WiFi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시지 관리부(110), 메시지 해석부(120), 차량정보 수집부(130), 센서 인터페이스부(140) 및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 메시지 관리부(110), 메시지 해석부(120), 차량정보 수집부(130) 및 센서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역으로, 제어부(160)는 메시지가 송신되면 센서 인터페이스부(140), 메시지 관리부(110) 및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친구 관리부(210),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친구 관리부(210)는 차량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하여 유지되는 친구를 관리할 수 있다. 차량친구 관리부(210)는 차량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0)을 친구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친구 관리부(210)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단말(100)을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차량 단말(100)을 친구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는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고 양자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하여 메시지 쓰레드의 삭제 요청이 수신되기 전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에 의하여 요청되면 과거에 저장하였던 메시지를 역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는 차량의 정보를 총괄적으로 열람할 수 있는 차량정보 요청링크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메신저가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요청링크는 [URL://ID1_XXX, URL://ID2_YYY]에 해당할 수 있고,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는 차량정보 요청링크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차량관리서버(300)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400) 간에 송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차량 단말(100)이 가입 완료되면 차량 단말(100)과 연동되는 차량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차량 단말(100)이 탈퇴 완료되면 차량 단말(100)과 연동되는 차량 에이전트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에이전트는 메시지 서버(200)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메시지 서버(200)가 차량 단말(100)의 가입 요청을 수신하면 차량 단말(100)에 의하여 제공된 차량 식별자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메신저 식별자를 수신하고, 이러한 메신저 식별자로 메시지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메시지 서비스를 가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차량 단말(100)이 가입되면 차량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친구 리스트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친구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단말(100)을 친구 등록할 때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친구등록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리스트가 {USER_A, USER_B}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USER_C)가 친구등록을 수행한다면, 차량친구 관리부(210)가 사용자 단말(USER_C)이 차량 단말을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기 전에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차량관리서버(300)를 통해 친구등록인증을 수행하여 차량친구 관리부(210)가 차량 단말을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거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에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 상에 포함되는 메시지를 들여다보고, 해당 메시지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는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에 요청하여 차량 단말(100)과 연관된 차량 에이전트를 메시지 쓰레드에 숨은 친구로 참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숨은 친구는 메시지 쓰레드에 참여한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에게 보이지 않지만 메시지 쓰레드에 있는 메시지를 알 수 있는 당사자를 의미한다.
제어부(240)는 차량친구 관리부(210),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 및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 및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역으로, 제어부(240)는 메시지가 송신되면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 및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차량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관리서버(300)는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는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에 있는 차량 에이전트와 통신하는 차량 대응 에이전트를 생성하여 차량 에이전트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차량 에이전트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는 차량 에이전트의 요청을 수신하고, 만일 해당 요청이 신규의 차량 에이전트에 의하여 발생된 요청에 해당하면 차량 대응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는 해당 요청이 탈퇴 요청에 해당하면 차량 대응 에이전트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대응 에이전트는 차량관리서버(300)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는 차량 대응 에이전트의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가입 요청이 수신되면 차량 식별자를 메신저 식별자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의 이상유무를 결정할 수 있고, 차량의 상태에 따른 차량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차량의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는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에 의하여 분석된 분석내용을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기 위해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는 차량정보로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및 이들의 결합을 통해 포맷팅된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는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타이어 상태를 요청한 경우 차량 이미지에 타이어 압력 값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는 차량 대응 에이전트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정보 요청이 차량정보 요청을 차량정보 질의문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 타이어 상태를 알려줘], [차량 타이어 압력은 어때?], [차량 타이어 괜찮아?] 또는 [타이어 펑크 났니?]와 같은 다양한 차량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차량정보 요청을 차량 단말(10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는 차량정보 질의문(예를 들어, 차량 타이어 상태 요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는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에 의하여 분석된 메시지를 차량 단말(100)에게 송신하기 위해 차량정보 질의문을 포맷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는 차량정보 질의문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SML(Sensor Model Language) 등과 같은 형식언어로 변환하여 차량 대응 에이전트를 통해 차량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 및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 차량 메시지 분석부(320) 및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역으로, 제어부(360)는 메시지가 송신되면 차량 메시지 처리부(330) 및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340) 및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역으로, 제어부(360)는 메시지가 송신되면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350) 및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310)를 통해 형성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의 OBD 포트에 연결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메시지 서버(200)에 가입자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단계 S510).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고유 엔진번호,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행정적인 차량번호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메시지 서버(200)의 식별자를 기초로 메시지 서버(200)에 차량 가입자로서의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메시지 서버(20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400)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단계 S520).
차량 단말(100)은 특정 기준에 따라 차량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정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기준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 일정 주기 또는 차량 이상상황 발생과 같은 차량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른 차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과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530).
도 6은 도 1에 있는 메시지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가입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단말(100)을 가입자로 가입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단말(100)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단계 S610). 여기에서, 메신저는 카카오톡, 라인, 스냅챗, 스카이프, 위챗, 왓츠앱 및 텔레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친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차량 단말(100)의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은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 단말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는 메신저의 알림 또는 문자 메시지(SMS)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 서버(200)는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220)를 통해 메신저 사용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620).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과 연동되는 차량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고,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230)를 통해 차량 에이전트를 메시지 쓰레드에 숨은 친구로 참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에이전트는 메시지 서버(200)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서버(200)는 형성된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차량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정보 요청 질의문을 수신하여 차량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630).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차량정보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고, 차량관리서버(300)는 제공된 차량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는 타이어 압력, 배터리 잔량, 연료 소비량 또는 주행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서비스 센터에 분석내용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 서비스 센터로부터 차량관리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관리서버(300)는 차량관리 서비스 및 해당 차량 서비스 센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관리 서비스는 분석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점검 또는 정비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이 차량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또는 차량 단말(100)에 의한 차량정보 제공과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차량정보 질의문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서버(200)는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정보 질의문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 단말을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있는 차량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차량정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음성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에 있는 차량관리서버가 차량 서비스 센터에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차량관리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차량의 OBD 포트에 연결되면 차량 식별자를 획득하여 메시지 서버(200)에 가입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메시지 서버(200)에 제공하여 메신저 친구등록을 수행할 수 있고,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의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메시지 서버(200)에 가입된 차량 단말(100)을 메신저의 친구 리스트로 등록할 수 있다.
도 8a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메신저를 통해 차량정보 질의문을 요청할 수 있고,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른 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이 타이어 상태에 대한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메시지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타이어 상태에 대한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은 메시지 서버(200)를 통해 타이어 상태의 이상 유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b에서,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이 없을 경우 임의로 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 단말(400)은 배터리의 잔량, 타이어 압력에 대한 이상 유무, 주행 거리에 대한 연료 소비 유무 또는 주행 횟수에 따른 연료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특정 기준에 따라 스스로 차량정보의 제공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기준은 차량 이벤트(또는 이상 상황)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에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 비상상황에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이 근처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주행 중에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메신저를 통해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비상상황 정보는 차량의 주행상태 여부 또는 차량의 고장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신저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문자 인터페이스에서 음성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음성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차량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비상상황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0에서, 차량 서비스 센터는 차량관리서버(300)로부터 분석된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관리 서비스를 차량관리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관리 서비스는 분석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점검 또는 정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서비스 센터는 차량관리서버(300)를 통해 차량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차량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이 차량 엔진의 불량여부를 알리는 경우, 차량 서비스 센터에 상주하는 정비사는 원격으로 차량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차량 단말(100)은 메시지 서버(200)를 통해 차량관리 서비스(예를 들어, 차량 점검결과 등)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제공받은 차량관리 서비스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차량관리 시스템 100: 차량 단말
110: 메시지 관리부 120: 메시지 해석부
130: 차량정보 수집부 140: 센서 인터페이스부
150: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 160: 제어부
200: 메시지 서버 210: 차량친구 관리부
220: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 230: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
240: 제어부 300: 차량관리서버
310: 차량 에이전트 대응부 320: 차량 메시지 분석부
330: 차량 메시지 처리부 340: 사용자 메시지 분석부
350: 사용자 메시지 처리부 360: 제어부
400: 사용자 단말

Claims (14)

  1. (a)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단말이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획득된 차량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단말을 가입자로 가입시키고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단말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b)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고, 차량 에이전트를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참여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에게 보이지 않지만 상기 메시지 쓰레드 상에 포함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숨은 친구로 참여하는 단계;
    (c) 상기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공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차량 서비스 센터에 의한 차량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등록 과정에서 차량 이름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 단말의 등록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서비스 센터 중 하나에게 상기 분석된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차량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차량관리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신된 차량관리 서비스와 함께 상기 해당 차량 서비스 센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한 차량정보 제공 전에 또는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한 차량정보 제공과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차량정보 질의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9. 삭제
  10.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단말이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획득된 차량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단말을 가입자로 가입시키고 친구등록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단말을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차량친구 관리부;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고, 차량 에이전트를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참여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차량 단말에게 보이지 않지만 상기 메시지 쓰레드 상에 포함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숨은 친구로 참여하는 메시지 쓰레드 관리부;
    상기 메시지 쓰레드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차량정보 메시지 생성을 위한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차량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에이전트 관리부는 상기 차량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공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차량 서비스 센터에 의한 차량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39233A 2015-10-02 2015-10-02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KR10172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33A KR101728785B1 (ko) 2015-10-02 2015-10-02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PCT/KR2016/011057 WO2017057991A1 (ko) 2015-10-02 2016-10-04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33A KR101728785B1 (ko) 2015-10-02 2015-10-02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69A KR20170039969A (ko) 2017-04-12
KR101728785B1 true KR101728785B1 (ko) 2017-04-20

Family

ID=5842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233A KR101728785B1 (ko) 2015-10-02 2015-10-02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8785B1 (ko)
WO (1) WO2017057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49B1 (ko) * 2017-10-19 2019-04-26 (주)엠그라스프 채팅 방식에 기반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디지털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32359B1 (ko) * 2018-04-10 2019-10-15 주식회사 한컴위드 차량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5996B1 (ko) * 2019-06-04 2021-04-02 김주형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584745B1 (ko) * 2021-03-11 2023-10-05 (주)자스텍엠 채팅 표시부를 구비한 정보 교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0627A1 (ja) * 2011-05-20 2012-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情報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41A (ko) * 2007-06-15 2009-01-12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069170B1 (ko) * 2010-03-23 2011-09-30 (주)이월리서치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1205514B1 (ko) 2010-09-29 2012-11-27 (주)이투오피에스 자동차용 앱스토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9982A (ko) * 2013-02-04 2014-08-14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및 커뮤니케이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11547B1 (ko) * 2013-12-13 2016-04-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0627A1 (ja) * 2011-05-20 2012-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情報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69A (ko) 2017-04-12
WO2017057991A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85B1 (ko)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CN105100284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车辆管理系统
CN106325231B (zh) 一种对生产线上车辆进行远程故障检测的方法及系统
CN107889078B (zh) 用于车辆的通信的方法
Campolo et al. SMaRTCaR: An integrated smartphone-based platform to support traffic management applications
CN110162008B (zh) 一种新能源车辆can总线解析方法
KR101504182B1 (ko) 소셜 미디어 연동을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11547B1 (ko)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3152378B (zh) 一种网络数据的传输方法、系统和客户端
CN103312818A (zh) 一种车辆诊断方法及服务器
KR20120020164A (ko) 차량 작동자에 의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에 대한 정책 기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06364424A (zh) 一种车辆异常信息传输系统、方法及智能车载盒
CN101306686A (zh) 汽车远程诊断控制系统
CN103227837A (zh) 车联网智能运营系统、方法及管理平台
EP31793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real-time vehicle traveling data
CN114968643A (zh) 链路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车辆
CN103546512A (zh) 车辆无线诊断方法及系统
CN105050153B (zh) 一种协助请求发送方法、接收方法、服务器及车载终端
CN105180367A (zh) 空调机组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05635241A (zh) 管理车辆异常状态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1909255A (zh) 一种机器到机器终端状态自动提示的方法和系统
CN110365761A (zh) 一种车载obd的数据上传系统及其方法
CN10533391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油量监控方法及装置
CN109343488A (zh) 基于微信和fdt技术的现场总线监控预警系统和方法
CN203287967U (zh) 一种校车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