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463B1 -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463B1
KR101728463B1 KR1020150022710A KR20150022710A KR101728463B1 KR 101728463 B1 KR101728463 B1 KR 101728463B1 KR 1020150022710 A KR1020150022710 A KR 1020150022710A KR 20150022710 A KR20150022710 A KR 20150022710A KR 101728463 B1 KR101728463 B1 KR 101728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methacrylate
bisphenol
fluoride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132A (ko
Inventor
배지명
김아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4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61K6/083
    • A61K6/0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기반의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치과용 조성물 및 항균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성 불소 함유 치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바니쉬 조성물, 항균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성 불소 바니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지속 방출성 치과용 조성물은 불소 이온을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치아 조직에 높은 항우식성을 부여하므로, 치과용 접착재, 치과용 충전재, 치과용 지지대 구축용 레진, 소와 열구 봉쇄재, 치과용 코팅재, 치과용 시멘트, 지각과민처치제, 치과용 불소바니쉬 등으로 사용되기에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Dual-cured bis-GMA based fluoride composition for dental with long-term sustained fluoride release and antibacterial activity}
본 발명은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기반의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치과용 조성물 및 항균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성 불소 함유 치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바니쉬 조성물, 항균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성 불소 바니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지속 방출성 치과용 조성물은 불소 이온을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치아 조직에 높은 항우식성을 부여하므로, 치과용 접착재, 치과용 충전재, 치과용 지지대 구축용 레진, 소와 열구 봉쇄재, 치과용 코팅재, 치과용 시멘트, 지각과민처치제, 치과용 불소바니쉬 등으로 사용되기에 바람직하다.
구강 내 치아는 지속적인 탈회와 재광화에 노출되어 있다. 치아의 표면에 탄수화물이 남아 있게 되면 치면세균막의 박테리아가 활동하여 산을 생성하여 pH가 떨어져 탈회가 일어난다. 칼슘과 인산염 이온이 침착되어 pH가 오르면 역으로 재광화가 일어난다(Margeas, 2006).
불소를 방출하는 제재의 법랑질의 재광화에 대한 유용성은 여러 연구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Burke 등, 2006; Rodrigues 등, 2008). 치아의 법랑질은 주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인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고농도의 불소가 도포되면 치아 표면에 불화칼슘이 형성되지만 불화칼슘은 타액이나 알칼리 용액에 쉽게 없어지며(Seppa, 2004), 항우식 작용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연구결과도 있다(Delbem 등, 2009). 하지만 저농도의 불소가 도포되면 법랑질의 결정 구조내에 불화인회석이 형성된다. 불화인회석은 수산화인회석보다 탈회에 대한 저항성이 높으며 재광화를 촉진시켜 치아 우식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Seppa, 2004).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방법은 구강 위생 관리, 치면열구전색재, 식이조절, 불소 적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불소는 전신적으로나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전신적으로 불소화된 상수도를 복용하거나, 불소 정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다. 국소적으로는 불소 바니쉬, 불소겔, 불화나트륨 수용액, 불소폼과 불소치약 등이 있다. 불소 바니쉬는 점성이 있어 치아에 잘 부착되며 타액과 접촉하게 되면 경화된다(Delbem 등, 2009). 그 결과 법랑질 표면, 치면세균막, 타액으로 불소가 방출되며, 다른 불소 제재에 비해 장기간 불소를 방출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Modeer 등, 1984; Petersson, 1993; Delbem 등, 2009).
불소 바니쉬와 다른 국소 불소도포 제재를 비교한 몇몇의 연구가 있다. Tewari 등(1990)은 Duraphat, 2% 불화나트륨 수용액과 1.23% APF 겔을 비교해본 결과 불소를 적용하고 2년 6개월 이후의 치아우식이 2% 불화나트륨 수용액은 28%, APF는 37% 감소한 것에 비해 불소 바니쉬는 74%로서 치아우식이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유럽에서 수행된 임상연구에서는 불소 바니쉬가 영구치 우식을 18%∼77% 감소시켰음이 증명되었다(de Bruyn과 Arends, 1987).
불소 바니쉬의 성분은 레진 베이스, 용매, 불소로 구성되어 있다. 레진 베이스는 송진(colophony),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resin modified glass ionomer), 메틸 살리칼레이트(methyl salicalat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용매는 대부분 에탄올을 사용하지만,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불소는 5% NaF를 주로 사용하는데 디플루오로실란(difluorosilane)을 사용한 제품도 있다. Attin 등(2005)의 연구에서 수용성 레진 제재의 불소 바니쉬(Mirafluorid)와 천연레진 제재 불소 바니쉬(Duraphat)를 비교한 결과 천연레진 제재 불소 바니쉬가 수용성 레진 제재의 불소 바니쉬보다 치아 표면에 높은 불소 침착을 나타내었다. 불소 바니쉬는 APF 겔보다 두 배 가까운 불소 농도를 갖고 있지만 어린이에게 인체위해성이 나타내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Seppa, 2004). Roberts와 Longhurst(1987)의 연구에 의하면 불소 바니쉬를 도포할 때 2세에서 14세의 아동들에게 보통 5.2 mg을 사용하는데 이 정도의 불소의 양으로는 급성독성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한다. 불소 바니쉬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불소를 섭취할 수 있지만 불소의 일부분은 우리 몸에 흡수되지 않고 바로 배출되기도 한다. 불소 바니쉬를 오랜 기간 사용하고 있는 유럽에서도 불소에 의한 급성 중독 증상을 보였다는 보고는 없다(Shen과 Autio-Gold, 2002). WHO에 의하면 체중 1 kg 당 1 mg이상 섭취하게 되면 급성 불소 중독 증상을 보인다고 하는데, 위의 연구처럼 5% 불소 바니쉬 5.2 mg을 구강에 도포하게 되면 0.26 mg의 불소를 섭취하게 되기 때문에 불소 바니쉬는 다른 어느 불소제재 보다 우리 몸에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치아 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유효농도는 연구마다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Featherstone(1999)는 구강 타액의 불소 농도가 0.03 ppm이면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Leverett 등(1993)과 Featherstone(1999)는 구강 타액의 불소 농도가 0.04 ppm 이상을 유지하게 되면 치아 우식증의 위험성을 낮춘다고 보고하고 있다. Gibbs 등(1995)는 0.06 ppm의 불소 농도로 법랑질의 재석회화가 촉진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Page(1991)는 불소가 함유된 치약으로 칫솔질을 하였을 때 타액이 0.014 ppm의 불소 농도를 갖게 되어 약산성 용액에서 72시간동안 탈회가 방지되며 항우식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불소 바니쉬는 초기에 급속히 불소를 방출하고 그 이후 급격히 불소의 방출량이 감소되는데 Shen과 Autio-Gold(2002)의 연구에서도 불소 바니쉬의 불소 이온이 9일 동안 97%가 방출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는 유효농도를 지속할 수 있는 불소 바니쉬의 제작이 필요하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치아우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병원균이다(Bowden과 Li 1997). 이 균은 치아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여, 발효성 탄수화물로부터 pH를 낮추는 산을 생산하기 때문에 미네랄 손실을 유발한다. 치면세균막은 S. mutans가 강하게 접착하게 하여 치아우식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도 여겨진다(Bowden과 Li 1997, Pinar Erdem 등, 2012). 불소 바니쉬를 적용한 후에 S. mutans의 수가 감소되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Jeevarathan 등, 2007). 하지만 Beltran-Aguilar 등(2000)의 연구에서는 Duraphat 불소 바니쉬를 어린이들에게 사용하였을 때 구강의 타액과 치면세균막이 붙어 있는 곳의 S. mutans의 수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불소 바니쉬의 치아우식을 억제하는 효과는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가 일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불소 바니쉬 자체가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불소 바니쉬에 항균물질을 첨가하여 어떤 물질과 어떤 제재의 불소 바니쉬가 만났을 때 가장 큰 항균효과를 보이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불소 바니쉬에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을 제외하고 항균물질을 첨가하여 항균성을 평가한 연구는 없다.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은 항균, 항우식, 재광화 역할을 하며 약간의 독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Pinar Erdem 등, 2012).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은 S. mutans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상적으로 구강세정제나 근관 처치제로도 사용되고 있다(Keltjens 등, 1992). Kitagawa 등(2014)의 연구에 의하면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도데실피리디니움 브로마이드(12-methacryloyloxydodecylpyridinium bromide, MDPB)라는 항균성 프라이머는 이 재료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에만 항균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 재료를 치아에 적용 후 치아를 치면세균막이 둘러싸게 되면 구강 내 세균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최근에는 항균효과를 높이고, 항생물질에 대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천연물질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Cunha, 2001). 그 중에서 프로폴리스는 독성이 적고,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치아 우식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로 바니쉬에 프로폴리스를 첨가한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De Luca 등, 2014). 잔토리졸(Xanthorrhizol)은 구강 내 세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S. mutans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Shim 등, 2000). 또한 동시에 세포독성이 없는 불소 바니쉬 제작이 필요하며, 불소 방출에 따른 치아표면의 경도 및 치아 표면 성분의 변화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5-0012258호 한국공개특허 2011-0093678호 한국공개특허 2007-0115959호 한국등록특허 881,044호
Arends J, Schuthof J. Fluoride content in human enamel after fluoride application and washing: an in vitro study. Caries Res, 1975;9:363-72. Attin T, Grieme R, Paque F, Hannig C, Buchalla W, Attin R. Enamel fluoride uptake of a novel water-based fluoride varnish. Arch Oral Biol, 2005;50:317-22.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 Am Dent Assoc, 2000;131:589-96. Brudevold F, McCann HG, Nilsson R, Richardson B, Cocklica V. The chemistry of caries inhibition problems and challenges in topical treatments. J Dent Res, 1967;46:37-45. Burke FM, Ray NJ, McConnell RJ.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2006;56:33?43. Caslavska V, Moreno EC, Brudevold F. Determination of the calcium fluoride formed from in vitro exposure of human enamel to fluoride solutions. Arch Oral Biol, 1975;20:333-9. Cunha BA. Antibiotic side effects. Med Clin North Am, 2001;85:149-85. de Bruyn H, Arends J. fluoride varnishes?a review. J Biol Buccale, 1987;15:71-82. Delbem AC, Brighenti FL, Oliveira FA, Pessan JP, Buzalaf MA, Sassaki KT. In vitro assessment of an experimental coat applied over fluoride varnishes. J Appl Oral Sci, 2009;17:280-3. Jeevarathan J, Deepti A, Muthu MS, Rathna Prabhu V, Chamundeeswari GS. Effect of fluoride varnish on Streptococcus mutans counts in plaque of caries-free children using Dentocult SM strip mutans test: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 blind study.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2007;25:157-63. Jouyban A. Prediction of drug solubility in water-propylene glycol mixtures using Jouyban-Acree model. Pharmazie, 2007;62:365-7. Liberio SA, Pereira AL, Dutra RP, Reis AS, Araujo MJ, Mattar NS, Silva LA, Ribeiro MN, Nascimento FR, Guerra RN, Monteiro-Neto V.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oral pathogen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and toxicity of geopropolis produced by the stingless bee Melipona fasciculata Smith.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1;11:108. Liberio SA, Pereira AL, Araujo MJ, Dutra RP, Nascimento FR, Monteiro-Neto V, Ribeiro MN, Goncalves AG, Guerra RN. The potential use of propolis as a cariostatic agent and its actions on mutans group streptococci. J Ethnopharmacol, 2009;125:1-9. Margeas RC. Remineralization with a unique delivery system. Inside Dentistry, 2006:2:863. Modeer T, Twetman S, Bergstrand F. Three-year study of the effect of fluoride varnish (Duraphat) on proximal caries progression in teenagers. Scand J Dent Res, 1984;92:400-7. Rodrigues E, Delbem AC, Pedrini D, de Oliveira MS. PHcycling model to verify the efficacy of fluoride-releasing materials in enamel demineralization. Operative Dentistry, 2008;33:658?65. Normark BH, Normark S. Evolution and spread of antibiotic resistance. J Intern Med, 2002;252:91-106. Petersson LG. Fluoride mouthrinses and fluoride varnishes. Caries Res, 1993;27:35-42. Retief DH, Bradley EL, Holbrook M, Switzer P. Enamel fluoride uptake, distribution and retention from topical fluoride agents. Caries Res, 1983;17:44-51. Seppa L. fluoride varnishes in caries prevention. Med Princ Pract, 2004;13:307-11. Shen C, Autio-Gold J. Assessing fluoride concentration uniformity and fluoride release from three varnishes. J Am Dent Assoc, 2002 ;133:176-82. Tewari A, Chawla HS, Utreja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role of NaF, APF & Duraphat topical fluoride applications i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a 2.1/2 years study.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1990;8:28-3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효농도 이상의 불소를 방출하는 치아 도포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2) 불소바니쉬 자체의 항균성을 평가해보고 불소 함유 조성물에 항균물질을 첨가하여 S. mutans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항균성을 보이는 항균성 치아 도포용 불소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고 동시에 생체적합성이 높은 불소 함유 조성물, 불소 바니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a)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initiator)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촉진제(activator) 및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촉진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 및 (b)에서 수득된 개시제 및 촉진제 혼합물 각각과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을 혼합하여 불소를 함유하는 개시제 조성물 및 불소를 함유하는 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의 지속방출이 가능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불소 바니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중합형 불소 함유 조성물, 이중-중합형 불소 바니쉬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조건에 의해 물성 및 부착성이 높아 도포 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불소 방출량을 나타내고, 치아 경도를 증가시키며, 항균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 S. mutans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항균성을 나타내므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한 항균성 치아 도포용 불소 함유 조성물 및 불소 바니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불소 바니쉬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불소 방출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2는 도1의 누적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a)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initiator)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촉진제(activator) 및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촉진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 및 (b)에서 수득된 개시제 및 촉진제 혼합물 각각과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을 혼합하여 불소를 함유하는 개시제 조성물 및 불소를 함유하는 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의 지속방출이 가능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불소 바니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a)의 개시제는 유기 과산화물이고, 유기 과산화물은 벤조일 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m-톨루오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2,5-디메틸-2,5-비스(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및 p-디이소프로필벤젠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b)의 촉진제는 방향족 제 3 급 아민, 지방족 제 3 급 아민 또는, 술핀산 또는 이의 염이고, 여기에서 방향족 제 3 급 아민은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N,N-디메틸-m-톨루이딘, N,N-디에틸-p-톨루이딘, N,N-디메틸-3,5-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3,4-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4-에틸아닐린, N,N-디메틸-4-이소프로필아닐린, N,N-디메틸-4-t-부틸아닐린, N,N-디메틸-3,5-디-t-부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메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N-비스(2-히드록시에틸)-3,4-디메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틸)-4-에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4-이소프로필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4-t-부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이소프로필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부틸아닐린,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n-부톡시에틸 및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지방족 제 3 급 아민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부틸디에탄올아민, N-라우릴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메틸디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N-에틸디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모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술핀산 또는 이의 염은 벤젠술핀산, 벤젠술핀산 나트륨, 벤젠술핀산 칼륨, 벤젠술핀산 칼슘, 벤젠술핀산 리튬, 톨루엔술핀산, 톨루엔술핀산 나트륨, 톨루엔술핀산 칼륨, 톨루엔술핀산 칼슘, 톨루엔술핀산 리튬,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나트륨,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칼륨,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칼슘,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리튬,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 나트륨,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 칼륨,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 칼슘,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 나트륨,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 칼륨 및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a)의 광개시제 또는 단계(b)의 광증감제로는 벤조인과 그 알킬에테르류, 아세토페논류, 안트라퀴논류, 티오크산톤류, 케탈류, 벤조페논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옥심에스테르류, DEAP (2,2-Diethoxyacetophenone), CQ (camphoroquinone), EDMAB (ethyl (4-dimethyl amino) benzoate), DBMP (6-Di-tert-butyl-4-methyl pyridine), DMAEMA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DPIHP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DMPA (N-(2,3-dimercaptopropyl)-phthalamid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캄포퀴논(camphorquinone), DMAEMA(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안트라센, 티오잔톤, 페난트렌퀴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c)의 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수,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 이소아밀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c)의 불소 화합물은 HF, NH4F, NaF, KF, Na2FPO4, K2FPO4, CaF2, TiF4, Ca5(PO4)3F, H2F2Si (Difluorosilane), C16H36FN 및 SnF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a)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 비율이 개시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25 중량% : 25 내지 45 중량% : 40 내지 60 중량% : 0.05 내지 2 중량% : 0.1 내지 2 중량%이고, 단계(b)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촉진제 및 광증감제의 혼합 비율이 촉진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 25 내지 45 중량% : 40 내지 60 중량% : 0.05 내지 2 중량% : 0.5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a)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 비율이 개시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 30 내지 40 중량% : 45 내지 55 중량% : 0.1 내지 1 중량% : 0.5 내지 1.5 중량%이고, 단계(b)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촉진제 및 광증감제의 혼합 비율이 촉진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 30 내지 40 중량% : 45 내지 55 중량% : 0.1 내지 1 중량% : 1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c)에서, 개시제 혼합물 또는 촉진제 혼합물,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개시제 조성물 또는 촉진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85 중량% : 10 내지 50 중량% : 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계(c)에서, 개시제 혼합물 또는 촉진제 혼합물,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제 조성물 또는 촉진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75 중량% : 20 내지 40 중량% : 2 내지 8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개시제 조성물 및 촉진제 조성물을 1 : 0.5 내지 2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 : 0.9 내지 1.1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불소 함유 바니쉬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추가로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불소 함유 바니쉬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항균물질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또는 잔토리졸(xanthorrhizol)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클로르헥시딘 또는 잔토리졸은 0.1 내지 1,000 μg/mL의 농도, 0.5 내지 1,000 μg/mL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항균물질로서 잔토리졸을 포함하고, 잔토리졸의 함량은 0.1 내지 1,000 μg/mL의 농도, 0.1 내지 350 μg/mL 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항균성 불소 함유 조성물은 특히 치아우식 유발균으로 알려져 있는 S. mutans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치과용 불소 이온 방출성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중합 금지제, 안료, 착색제, 형광제, 자외선 흡수제, 감미료, 향료, 왁스, pH를 중화시키기 위한 자일리톨, 치아의 재광화를 위한 탄산아파타이트와 칼슘 포스페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실시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배합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제조예,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 재료 및 불소바니쉬 제작 방법 >
실시예 1. 이중-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 제작
이중-중합형 bis-GMA 레진 제재는 개시제가 들어있는 용액A와 촉진제가 들어있는 용액B 두가지로 제작하였다. 용액A는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phenol-A-glycidyl dimethacrylate, 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에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Aldrich, MO, USA)를 넣어 제작하였다.
용액B는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phenol-A-glycidyl dimethacrylate, 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에 3급 아민(tertiary amine. Aldrich, MO, USA)을 넣어 제작하였다.
TEGDMA 함량을 50 wt%로 조절하여 용액A와 용액B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제작된 용액 A에는 광개시제인 캄포퀴논(Camphorquinone, Aldrich, MO, USA) 0.9 wt%를 넣고, B는 광증감제인 2-[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DMAEMA) (Aldrich, MO, USA)를 1.8 wt%를 넣어 베이스로 각각 65 wt% 사용하였고, 용매도 에탄올(absolute≥99.7%, Merck KGaA)을 각각 30 wt%를 첨가하고 NaF를 5 wt%를 첨가하여 열이 가해지는 교반기(RCH-3) 위에서 40 ℃ 물중탕 하에서 오버-헤드 교반기(over-head stirrer, RW20DZM.n)로 30분간 혼합하여 이중 중합형 bis-GMA 제재 용액A와 용액B를 만들어 불소바니쉬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5015774925-pat00001
비교예 1. 자가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 제작
자가중합형 bis-GMA 레진 제재는 개시제가 들어있는 용액A와 촉진제가 들어있는 용액B 두가지로 제작하였다. 용액A는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phenol-A-glycidyl dimethacrylate, bis-GMA) 15 wt%,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34.4 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50 wt%에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Aldrich, MO, USA) 0.6 wt%를 넣어 제작하였다.
용액B는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phenol-A-glycidyl dimethacrylate, bis-GMA) 15 wt%,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34.4 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50 wt%에 3급 아민(tertiary amine, Aldrich, MO, USA) 0.6 wt%을 넣어 제작하였다.
TEGDMA 함량을 50 wt%로 조절하여 용액A와 용액B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제작된 용액 A와 B는 베이스로 각각 65 wt% 사용하였고, 용매도 에탄올(absolute≥99.7%, Merck KGaA)을 각각 30 wt%를 첨가하고 NaF를 5 wt%를 첨가하여 열이 가해지는 교반기(RCH-3) 위에서 40 ℃ 물중탕 하에서 오버-헤드 교반기(over-head stirrer, RW20DZM.n)로 30분간 혼합하여 자가 중합형 bis-GMA 제재 용액A와 용액B를 만들어 불소바니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광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 제작
광중합형 bis-GMA 레진베이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phenol-A-glycidyl dimethacrylate, bis-GMA) (NK Oligo, EMA-102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Wakayama, Japan), 13.65 wt%,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Aldrich, MO, USA) 33.05 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Aldrich, MO, USA) 50.00 wt%, 2-[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DMAEMA) (Aldrich, MO, USA) 1.80 wt%, 캄포퀴논(Camphorquinone, Aldrich, MO, USA) 0.90 wt%을 사용하였다.
상기 bis-GMA 레진에 용매로 에틸 아세테이트 30 wt%, NaF 5 wt%가 되도록 첨가하여 자력식 가열 교반기(RCH-3, Tokyo Rikakikai Co., LTD., Tokyo, Japan) 위에서 40 ℃ 물중탕 하에서 240 rpm의 오버-헤드 교반기(over-head stirrer, RW20DZM.n, IKA Korea. Ltd, Seoul, Korea)로 30분간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예 1. 불소방출량 측정
제작한 불소바니쉬를 셀룰로이드 스트립에 적용하여 불소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온에서 10분 동안 경화시킨 다음 플라스틱병에 10 mL의 증류수를 채운 후 불소바니쉬를 도포한 셀룰로이드 스트립를 넣은 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불소방출량은 1, 3 시간, 1, 3, 5, 10, 20, 30일에 측정하였다.
< 실험결과 >
불소를 도포한지 1시간 후에는 자가-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가 이중-중합형과 광-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불소 방출량을 보였으나(P<0.05), 3시간, 1일, 3일후에는 이중-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가 자가-중합형과 광-중합형 bis-GMA 불소바니쉬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불소 방출량을 보였다 (P<0.05).

Claims (11)

  1. (a)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initiator)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촉진제(activator) 및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촉진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 및 (b)에서 수득된 개시제 혼합물 및 촉진제 혼합물 각각에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을 혼합하여 불소를 함유하는 개시제 조성물 및 촉진제 조성물 각각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의 지속방출이 가능한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개시제는 유기 과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b)의 촉진제는 방향족 제 3 급 아민, 지방족 제 3 급 아민 또는, 술핀산 또는 이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광개시제 또는 단계(b)의 광증감제는 벤조인과 그 알킬에테르류, 아세토페논류, 안트라퀴논류, 티오크산톤류, 케탈류, 벤조페논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옥심에스테르류, DEAP (2,2-Diethoxyacetophenone), CQ (camphoroquinone), EDMAB (ethyl (4-dimethyl amino) benzoate), DBMP (6-Di-tert-butyl-4-methyl pyridine), DMAEMA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DPIHP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DMPA (N-(2,3-dimercaptopropyl)-phthalamidic aci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c)의 용매는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수, DMSO, 이소아밀프로피오네이트 및 HF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c)의 불소 화합물은 HF, NH4F, NaF, KF, Na2FPO4, K2FPO4, CaF2, TiF4, Ca5(PO4)3F, H2F2Si (Difluorosilane), C16H36FN 및 SnF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개시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 비율이 개시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25 중량% : 25 내지 45 중량% : 40 내지 60 중량% : 0.05 내지 2 중량% : 0.1 내지 2 중량%이고,
    단계(b)에서,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 촉진제 및 광증감제의 혼합 비율이 촉진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 25 내지 45 중량% : 40 내지 60 중량% : 0.05 내지 2 중량% : 0.5 내지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c)에서, 개시제 혼합물 또는 촉진제 혼합물,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의 혼합 비율이 개시제 조성물 또는 촉진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85 중량% : 10 내지 50 중량% :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개시제 조성물 및 촉진제 조성물을 1 : 0.5 내지 2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중-중합형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제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22710A 2015-02-13 2015-02-13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KR10172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710A KR101728463B1 (ko) 2015-02-13 2015-02-13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710A KR101728463B1 (ko) 2015-02-13 2015-02-13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32A KR20160100132A (ko) 2016-08-23
KR101728463B1 true KR101728463B1 (ko) 2017-04-19

Family

ID=5687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710A KR101728463B1 (ko) 2015-02-13 2015-02-13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303A1 (ko) * 2021-11-08 2023-05-11 정인선 자일리톨 및 프로폴리스를 활용한 치과용 및 토탈 의료용 3d 프린팅 레진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865B1 (ko) 2017-10-23 2020-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고분자 코팅 조성물 및 항균성 고분자 필름
KR102146960B1 (ko) * 2019-01-25 2020-08-24 (주) 덴바이오 Difp를 포함하는 불소 방출형 치과수복용 복합레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치과수복용 복합레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776A1 (en) * 2008-05-19 2011-03-17 Myung-Hwan Oh Dental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nanotube
WO2014037337A1 (de) 2012-09-07 2014-03-13 Ivoclar Vivadent Ag Fluoridhaltiger lack zum auftrag auf die zahnoberfläche
WO2014097053A1 (en) * 2012-12-18 2014-06-26 Koninklijke Philips N.V. Enhanced tooth whitening method combining sustained release varnish with light 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5959A1 (en) 2005-10-13 2007-05-24 Parker Jason M Method and system for quiet time
CN102105936B (zh) 2008-08-05 2015-02-04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载系统
US20150012258A1 (en) 2013-07-08 2015-01-08 Holden R. Caine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characterizing of photovoltaic power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776A1 (en) * 2008-05-19 2011-03-17 Myung-Hwan Oh Dental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nanotube
WO2014037337A1 (de) 2012-09-07 2014-03-13 Ivoclar Vivadent Ag Fluoridhaltiger lack zum auftrag auf die zahnoberfläche
WO2014097053A1 (en) * 2012-12-18 2014-06-26 Koninklijke Philips N.V. Enhanced tooth whitening method combining sustained release varnish with light activ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303A1 (ko) * 2021-11-08 2023-05-11 정인선 자일리톨 및 프로폴리스를 활용한 치과용 및 토탈 의료용 3d 프린팅 레진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32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0746A (en) Dental varnish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arantakis et al. Fluoride release from three glass ionomers, a compomer, and a composite resin in water, artificial saliva, and lactic acid
US5849266A (en) Dental composition for hypersensitive teeth
ES2385236B2 (es) Composición y método para reducir la desmineralización de los dientes.
JP5860137B2 (ja) 1液型の歯科用接着剤
CN112512485B (zh) 含硫氰酸盐的口腔护理水性组合物、方法和试剂盒
AR034025A1 (es) Composiciones y kits para el cuidado de la dentadura postiza
KR101728463B1 (ko)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이중-중합형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EP2249764B1 (en) Tooth sealant
Yap et al. Effects of professionally applied topical fluorides on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based restoratives
Mitwalli et al. Novel rechargeable calcium fluoride dental nanocomposites
EP0381445B1 (en) Dental composition for hypersensitive teeth
Sultan et al. Silver diamine fluoride as a proactive anti-caries tool: A review
US11590061B2 (en) Fluorine coating agent having enhanced dental tubule permeability and coating endur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ayaraj et al. Cention N: A review
Matos et al. 48-month clinical evaluation of a copper-containing universal adhesive in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 double-blind randomised clinical trial
CA3004909A1 (en) Orthodontic c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728461B1 (ko)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과용 bis-GMA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Triana et al. Effect of APF gel on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s: an SEM study
KR101728459B1 (ko) 장기 방출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치아 도포용 로진 제재 불소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813849B2 (en) Rechargeable calcium phosphate-containing dental materials
US1104000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Bernal et al. Paediatric dentistry: glass ionomer or giomer?
Valsan et al. Interaction of Endodontic Irrigants: A Review
BR102013006807B1 (pt) Dentifrício ultrafuncional e uso de associação de agente fluoretado e inibidor de prot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