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139B1 - 통합커피머신 - Google Patents

통합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139B1
KR101728139B1 KR1020150121132A KR20150121132A KR101728139B1 KR 101728139 B1 KR101728139 B1 KR 101728139B1 KR 1020150121132 A KR1020150121132 A KR 1020150121132A KR 20150121132 A KR20150121132 A KR 20150121132A KR 101728139 B1 KR101728139 B1 KR 10172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dripper
information
dr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142A (ko
Inventor
김종철
이제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1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소정의 양만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워터드롭퍼; 상기 워터드롭퍼와 결합되고, 상기 워터드롭퍼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상기 물이 낙하되는 것을 제어하는 워터드롭컨트롤러;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트(pot)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워터드롭퍼 측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drip)하는 커피드립퍼; 상기 커피드립퍼를 장착하며,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피드립퍼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커피드립퍼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드립퍼를 통해 드립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리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드롭퍼 및 상기 커피드립퍼는 하나의 커피드립조를 이루며, 상기 커피드립조가 다수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스타일의 드립커피 또는 더치커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며, 한 가지 스타일의 커피를 동시에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통합커피머신{United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통합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음료 제조시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음료를 동시에 또는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통합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취향이 고급화되어 가고 있으며,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드립커피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스턴트 커피 대신 원두커피로부터 커피를 직접 추출하여 제조하는 장치, 즉 소위 커피 메이커로 일컬어지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두커피로부터 커피를 직접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에 관련하여 여러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에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19466호(발명의 명칭 : 핸드드립 커피머신.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 등과 같은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한 번에 한 가지 스타일의 커피(예를 들어 더치커피 또는 드립커피 등)를 제조할 수 밖에 없었으며, 동일한 스타일의 커피를 제조하더라도 한번 많은 양을 제조하기가 곤란하므로 다량의 커피를 제조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행기술1과 같은 커피 메이커는 원두커피분말 위에 물이 낙하되면서 그리는 낙하지점의 이동경로가 원형으로서 단 한 가지 형태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물을 원두커피에 공급하는 드롭(drop)방식에 변화를 줄 수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를 동시에 또는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통합커피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은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소정의 양만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워터드롭퍼(water dropper); 상기 워터드롭퍼와 결합되고, 상기 워터드롭퍼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상기 물이 낙하되는 것을 제어하는 워터드롭컨트롤러;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트(pot)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워터드롭퍼 측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drip)하는 커피드립퍼; 상기 커피드립퍼를 장착하며,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피드립퍼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커피드립퍼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드립퍼를 통해 드립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리시버(coffee-receiver);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드롭퍼 및 상기 커피드립퍼는 하나의 커피드립조(coffee drip crew)를 이루며, 상기 커피드립조가 다수 마련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워터드롭퍼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며, 상기 커피드립퍼측으로 낙하되는 물의 낙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무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무빙장치는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무빙장치 각각은 독립적으로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드롭퍼는,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온수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온수공급관; 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공급받기 위한 냉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냉수공급관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 또는 상기 냉수공급관 측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커피드립퍼측으로 물을 낙하시키는 드롭노즐; 및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롭노즐을 통해 낙하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커피드립퍼 각각은, 멜리타(melita) 드립퍼, 칼리타(kalita) 드립퍼, 하리오(Hario) 드립퍼 및 고노(Kono) 드립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드롭퍼에 장착되며, 상기 커피드립퍼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에 대한 원두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원두정보를 토대로 워터드롭조건정보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상기 물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며,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이 수용된 상기 커피드립퍼의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상기 하중센서를 통하여 파악된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의 양이나 무게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물이 소정의 양만큼 낙하되도록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드롭퍼는, 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온수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온수공급관; 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공급받기 위한 냉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냉수공급관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 또는 상기 냉수공급관 측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커피드립퍼측으로 물을 낙하시키는 드롭노즐; 및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롭노즐을 통해 낙하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드립퍼정보(상기 커피드립퍼의 종류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말한다) 또는 원두정보(상기 커피드립퍼에 수용된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워터드롭조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는,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이동경로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의 이동속도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단위시간 당 낙하되는 물의 양,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1회 낙하시 낙하되는 물의 양,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물이 낙하되는 시간간격(interval)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낙하될 물의 총량 및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낙하될 물이 모두 낙하되는데 소요되는 총 낙하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원두정보는, 원두커피의 종류, 로스팅된 정도에 따른 배전도, 상기 커피드립퍼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양 및 커피원두의 크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무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립퍼정보, 상기 원두정보 및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전달받아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시하는 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외부로부터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측으로 상기 드롭노즐 측과 연결되는 상기 온수공급관의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소정의 온도를 갖도록 가열해주는 히팅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에는 드롭노즐 측으로 공급될 물의 온도를 설정받기 위한 온도설정기 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설정기를 통해 입력된 물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은 다양한 스타일의 드립커피 또는 더치커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가지 스타일의 커피를 동시에 대량생산하는 것 또한 가능하므로,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축시켜주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음용하기 위하여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무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워터드롭컨트롤러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에서 커피드립퍼에 따른 워터드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에서, 워터드롭퍼에서 커피드립퍼로 물을 낙하시키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입력부에 포함되는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부 용어에 대해 먼저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커피드립퍼에 수용되는 원두커피는 그 형태가 분말일 수도 있고 그 외의 형태일 수도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 원두커피 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즉, 설명의 편의상 커피드립퍼에 수용되는 원두커피의 형태나 크기에 구별없이 원두커피분말 또한 단순히 ‘원두커피’라고 통칭 내지 약칭 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피드립퍼를 통해 드립된 커피’를 앞서 언급한 ‘원두커피’용어와 구별될 수 있도록 ‘커피용액’이라고 표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무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워터드롭컨트롤러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에서 커피드립퍼에 따른 워터드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에서, 워터드롭퍼에서 커피드립퍼로 물을 낙하시키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의 입력부에 포함되는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10)은 워터드롭퍼, 워터드롭컨트롤러, 커피드립퍼,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커피리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워터드롭퍼(water-dropper)(10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을 소정의 양만큼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즉, 워터드롭퍼(100)는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커피드립퍼(300)에 수용된 원두커피 측으로 물을 소정의 양만큼 낙하시킨다는 것이다. 여기서, 커피드립퍼(300)로 낙하되는 물의 총량은 후술할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워터드롭퍼(100)는 온수공급관(101), 냉수공급관(103), 드롭노즐(110) 및 유량조절기(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공급관(101)은 커피드립퍼(300) 측으로 온수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온수공급관(101)은 물탱크나 히터가 구비된 외부의 수도관 등과 연결되어 온수를 인입받는 통로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수공급관(101)의 소재는 특정 소재에 국한되지 않으나, 후술할 무빙장치(600)가 구비된 경우 워터드롭퍼(100)는 무빙장치(600)에 의해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온수공급관(101)은 유연성을 갖도록 고분자 소재로 된 관이 이용될 수도 있다.
냉수공급관(103)은 커피드립퍼(300) 측으로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커피드립퍼(300) 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냉수공급관(103)은 물탱크나 냉각장치가 구비된 외부의 수도관 등과 연결되어 냉수 또는 상수를 인입받는 통로역할을 한다. 그리고 냉수공급관(103) 또한 온수공급관(101)과 마찬가지로 특정소재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후술할 무빙장치(600)가 구비되는 경우, 워터드롭퍼(100)가 무빙장치(600)에 의해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냉수공급관(103)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고분자 소재로 된 관이 이용될 수도 있다.
드롭노즐(110)은 온수공급관(101) 및 냉수공급관(103)과 연결되어 있으며, 온수공급관(101) 또는 냉수공급관(103) 측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커피드립퍼(300)측으로 물을 낙하시켜준다.
유량조절기(120)는 온수공급관(101) 및 냉수공급관(103)과 드롭노즐(110) 사이에서 워터드롭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드롭노즐(110)을 통해 낙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워터드롭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유량조절기(120)는 냉수만 드롭노즐(110)로 통과시키거나 온수만 드롭노즐(110)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량조절기(120)에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워터드롭컨트롤러(200)는 워터드롭퍼(100)에 의해 물이 커피드립퍼(300)로 낙하되는 것을 제어한다. 이러한 워터드롭컨트롤러(200)는 입력부(220), 데이터베이스부(230) 및 중앙처리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20)와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중앙처리부(21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부(220)는 외부로부터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드립퍼정보는 커피드립퍼(300)의 종류나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정보로서 커피드립퍼(300)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원두정보’는 커피드립퍼(300)에 수용된 원두커피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즉, 원두커피의 종류, 로스팅된 정도에 따른 배전도, 원두커피의 외형적 크기 또는 원두커피의 양 등과 같은 원두커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부(230)에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워터드롭조건정보가 저장된다.
워터드롭조건정보에는 워터드롭퍼(100)의 위치이동 경로정보, 워터드롭퍼(100)의 이동속도정보, 워터드롭퍼(100)에서 단위시간 당 낙하되는 물의 양, 워터드롭퍼(100)에서 물이 1회 낙하시 낙하되는 물의 양(낙하하는 물 한방울의 양 이라고도 할 수 있다), 워터드롭퍼(100)에서 물이 낙하되는 시간간격(interval)정보(물이 낙하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물이 한방울, 한방울씩 낙하될 때 한 방울의 물이 낙하된 직후부터 다음물방울이 낙하시작할 때까지 정지되는 시간(term) 등을 말한다.), 워터드롭퍼(100)에서 낙하될 물의 총량 및 상기 워터드롭퍼(100)에서 낙하될 물이 모두 낙하되는데 소요되는 총 낙하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워터드롭퍼(100)의 위치이동 경로정보란, 워터드롭퍼(100)로부터 물이 낙하되어 커피드립퍼(300)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상측표면에서 낙하되는 지점의 이동경로를 말한다. 물이 워터드롭퍼(100)로부터 낙하되는 동안에 워터드롭퍼(100)가 무빙장치(600)에 의해서 위치이동됨에 따라 원두커피의 상측표면에 물이 낙하되는 지점 또한 이동이 되므로 이동경로를 그리게 된다. 이러한 위치이동은 제조하고자 하는 드립커피의 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워터드롭퍼(100)의 이동속도정보는 무빙장치(600)에 의해서 워터드롭퍼(100)의 위치가 이동되는 속도를 말한다. 워터드롭퍼(100)가 빠르게 위치이동을 하면서 물을 낙하시킬 때 제조되는 커피용액의 맛과 워터드롭퍼(100)가 느리게 위치이동을 하면서 물을 낙하시킬 때 제조되는 커피용액의 맛이 서로 다르게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워터드롭퍼(100)의 이동속도정보를 설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중앙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부(23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된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워터드롭퍼(100)를 제어한다. 따라서, 중앙처리부(210)는 워터드롭퍼(100)의 유량조절기(12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처리부(210)는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무빙장치(6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중앙처리부(210)는 무빙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워터드롭컨트롤러(200)에 무선통신부(24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40)는 중앙처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서 중앙처리부(210)로 전달한다. 중앙처리부(210)는 무선통신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에 대응되며,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워터드롭퍼(100)를 제어하게 된다.
무선통신부(240)는 외부의 스마트폰(미도시)이나 기타 전자통신기기(미도시) 측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중앙처리부(210)로 전달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부(240)와 통신을 하는 외부의 스마트폰(미도시)과 같은 전자통신기기(미도시)에는 중앙처리부(210) 측으로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앱(application)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드립퍼(300)(coffee dripper)는 워터드롭퍼(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트(pot) 형상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드립퍼(300)는 워터드롭퍼(100) 측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drip)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피드립퍼(300)에 수용되는 원두커피는 그 형태가 분말일 수도 있고 그 외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커피드립퍼(300) 각각은 서로 다른 형태의 커피드립퍼(300)일 수도 있다. 다수개의 커피드립퍼(300) 각각은 멜리타(melita) 드립퍼, 칼리타(kalita) 드립퍼, 하리오(Hario) 드립퍼 및 고노(Kono) 드립퍼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종류의 커피드립퍼(300)가 통일적으로 선택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피드립퍼(300)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커피드립퍼(30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커피드립퍼(300)가 크면 보다 많은 원두커피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워터드롭퍼(100)를 통해 낙하되는 물의 총량은 많아지게 된다.
작은 크기를 갖는 커피드립퍼(300)의 경우 적은 양의 원두커피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워터드롭퍼(100)를 통해 낙하되는 물의 총량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커피리시버(400)(coffee receiver)는 커피드립퍼(3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피드립퍼(300)를 통해 드립된 커피용액을 수용한다.
커피리시버(4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피드립퍼(300)마다 각각의 커피리시버(4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커피드립퍼(300)로부터 드립되는 커피용액을 하나의 커피리시버(400) 내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 크기가 큰 커피리시버(400)가 하나 마련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한 종류의 커피스타일로서 대량의 커피용액을 제조하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제1프레임(510)은 워터드롭퍼(1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워터드롭퍼(100)가 커피드립퍼(300)에 수용된 원두커피 측으로 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워터드롭퍼(100)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즉, 커피드립퍼(300)의 상측에 워터드롭퍼(100)가 위치하도록 제1프레임(510)에 워터드롭퍼(10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는 것이다.
제2프레임(520)은 커피드립퍼(300)를 장착하며, 커피드립퍼(300)가 워터드롭퍼(1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커피드립퍼(300)를 지지한다. 그리고 커피드립퍼(300)의 하측에 커피리시버(400)가 위치하도록 커피리시버(40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제2프레임(520)에 커피드립퍼(300)와 커피리시버(400)가 장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1프레임(510)에는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워터드롭퍼(1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워터드롭퍼(10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커피드립퍼(300)가 제2프레임(5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워터드롭퍼(100)와 하나의 커피드립퍼(300)가 하나의 커피드립조(coffee drip crew)를 이룬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5개의 워터드롭퍼(100)와 5개의 커피드립퍼(300)가 도시되었는데, 하나의 워터드롭퍼(100)와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커피드립퍼(300)가 하나의 커피드립조를 구성하므로 총 5개의 커피드립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커피머신(10)에는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커피드립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피드립조가 독립적으로 원두커피로부터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용액을 제조해 낼 수 있다.
이러한 통합커피머신(10)에는 무빙장치(6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무빙장치(600)는 제1프레임(510) 및 워터드롭퍼(100) 사이의 결합을 매개한다. 따라서. 워터드롭퍼(100)는 무빙장치(600)를 통해 제1프레임(510)에 간접적으로 결합되며, 무빙장치(600)와 함께 제1프레임(510)의 지지를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무빙장치(600)는 커피드립퍼(300) 측으로 낙하되는 물의 낙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워터드롭퍼(100)의 위치를 이동시켜준다. 이러한 무빙장치(600)를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무빙장치(600)는 기본적으로 워터드롭퍼(100)의 위치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무빙장치(600)는 워터드롭퍼(100)의 높낮이 또는 XY평면상에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워터드롭퍼(100)의 높이변화 없이 X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이동을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도면에서는 무빙장치(600)에 의한 높낮이조절부분은 생략하고, 단순히 XY 평면상에서 워터드롭퍼(100)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빙장치(600)를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무빙장치(600)가 워터드롭퍼(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빙장치(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워터드롭퍼(10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개의 무빙장치(600)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워터드롭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워터드롭퍼(10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도 1 및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무빙장치(600)는 워터드롭퍼(100)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무빙장치(600)로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610,660)와 스크류봉(620, 670)의 회전구동에 의한 X방향 및 Y 방향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무빙장치(600)가 있을 수 있으며, 스크류봉이 아닌 팬밸트를 이용하여 워터드롭퍼(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무빙장치(600)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떠한 기계적 구조를 갖더라도 워터드롭퍼(100)를 X 방향 및 Y방향으로 위치이동을 시켜줄 수 있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무빙장치(60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되는 무빙장치(600)에는 제1모터(610), 제2모터(620), 제1모터마운트(615), 제2모터마운트(665), 제1스크류봉(620), 제2스크류봉(670), 제1무빙가이드봉(630), 제2무빙가이드봉(680)이 포함되어 있다.
제1모터(610)는 제1모터마운트(615)위에 고정된다. 워터드롭퍼(100)가 X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1모터(610)는 제1무빙가이드봉(630)과 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모터(61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제1스크류봉(620)도 함께 회전력을 받아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1무빙가이드봉(630)은 제1스크류봉(620)에 평행하게 제1모터마운트(615)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제1무빙가이드봉(630)은 회전하지 않고 단지 X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가이드한다. 제1무빙가이드봉(630)과 제1스크류봉(620)은 워터드롭퍼(10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스크류봉(620)의 회전에 의해 워터드롭퍼(1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제1스크류봉(620)의 나사산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형태가 워터드롭퍼(100)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1스크류봉(620)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워터드롭퍼(100)가 제1가이드봉을 따라 왔다갔다 위치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모터(610), 제1모터마운트(615), 제1스크류봉(620), 제1무빙가이드봉(630)에 의해 워터드롭퍼(100)는 X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워터드롭퍼(100)의 Y축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은 제2모터마운트(665), 제2모터(620), 제2스크류봉(670), 제2무빙가이드봉(68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제2모터(620)는 제2모터마운트(665)위에 고정된다. 제2모터마운트(665)는 제1프레임(5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무빙장치(600)와 워터드롭퍼(100)가 제1드롭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매개한다.그리고,제2모터(620)는 워터드롭퍼(100)가 Y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2모터(620)는 제2무빙가이드봉(680)과 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2모터(62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제2스크류봉(670)도 함께 회전력을 받아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무빙가이드봉(680)은 제2스크류봉(670)에 평행하게 일단이 제1모터마운트(615)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측은 제1모터마운트(615)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제1모터마운트(615)가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된다.
제2무빙가이드봉(680)은 회전하지 않고 단지 Y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가이드한다. 제2무빙가이드봉(680)과 제2스크류봉(670)은 제1모터마운트(615)와 결합된다. 여기서 제2스크류봉(670)의 회전에 의해 제1모터마운트(615)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제2스크류봉(670)의 나사산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형태가 제1모터마운트(615)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스크류봉(670)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제1모터마운트(615)는 제2가이드봉을 따라 왔다갔다 위치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모터(620), 제2모터마운트(665), 제2스크류봉(670), 제2무빙가이드봉(680)에 의해 워터드롭퍼(100)는 Y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워터드롭퍼(100)가 무빙장치(600)에 의해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위치이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드립퍼(300)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상측표면에 원형패턴이나 다각형패턴과 같이 물을 낙하되는 위치경로를 다양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합커피머신(10)에 감지센서(560) 또는 하중센서(5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560)는 워터드롭퍼(100)에 장착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1프레임(510)에 장착된 실시 형태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560)는 커피드립퍼(300)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커피드립퍼(300)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양, 로스팅된 정도에 따른 배전도, 원두커피의 외형적 크기 또는 원두커피의 종류 등과 같은 원두커피의 상태에 대한 정보인 ‘원두정보’를 얻기 위하여 감지센서(560)는 커피드립퍼(300)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상태를 감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센서(560)의 예로서, 이미지센서(560)를 들을 수 있다. 이미지센서(560)를 통해 원두커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센서(560)를 통해 획득된 원두커피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워터드롭컨트롤러(2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워터드롭컨트롤러(200)는 전달받은 원두커피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원두커피의 종류, 로스팅된 정도에 따른 배전도, 원두커피의 외형적 크기 또는 원두커피의 양 등과 같은 원두커피의 상태에 대한 정보인 원두정보를 얻게 된다.
워터드롭컨트롤러(200)는 획득된 원두정보를 토대로 워터드롭조건정보를 선정하고, 선정된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워터드롭퍼(100)에 의해 물이 커피드립퍼(300)가 위치한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제어한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중센서(570)는 제2프레임(520)에 장착된다. 제2프레임(520)에 장착된 하중센서(570)는 커피드립퍼(300)의 하측 또는 주변에 위치하여 원두커피가 수용된 커피드립퍼(300)의 무게를 감지한다. 그리고 워터드롭컨트롤러(200)는 하중센서(570)를 통하여 파악된 원두커피의 양이나 원두커피의 무게에 따라 워터드롭퍼(100)에 의해 물이 소정의 양만큼 낙하되도록 워터드롭퍼(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커피머신(10)에 정보표시부(55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정보표시부(550)는 드립퍼정보, 원두정보 및 워터드롭조건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중앙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달받아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시한다. 정보표시부(550)가 마련되는 위치는 특정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프레임(5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표시부(550)의 예로서 LCD디스플레이장치를 들을 수 있다.
정보표시부(550)인 LCD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시되는 정보를 통해 통합커피머신(10)사용자는 커피드립조건이 적절하게 맞게 설정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통합커피머신(10)의 간단한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통합커피머신(10)에 워터드롭퍼(100), 커피드립퍼(300), 커피리시버(400)가 각각 5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워터드롭퍼(100)에 연관되는 커피드립퍼(300)와 커피리시버(400)가 하나의 커피드립조를 이루며, 총 5개의 커피드립조가 구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5개의 커피드립조 각각이 독립적으로 원두커피를 다양한 스타일로 드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두 개의 커피드립조에서 더치커피를 제조하고 나머지 3 개의 커피드립조에서 드립커피를 제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커피를 커피리시버(400)내에 수용시키고, 원두커피가 수용된 커피리시버(400)를 워터드롭퍼(100) 하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부(220)에 해당되는 리모콘(220)을 이용하는 경우 리모콘(220)을 통해 드립퍼정보 또는 원두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커피드립타입으로 드립을 선택하고, 커피드립퍼(300)의 크기 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커피리시버(400)의 종류 또한 선택하여 입력해 준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리오 타입의 커피드립퍼(300)가 워터드롭퍼(100) 하측에 구비되었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모콘(220)에서 하리오를 선택하여 준다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드리퍼의 종류에 따라서 드롭노즐(110)로부터 낙하되는 물의 낙하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리오 타입의 커피드립퍼(300)의 경우 물을 길게 낙하(111, 도 6(a)참조)시킬 수 있으며, 고노 타입의 커피드립퍼(300)인 경우에는 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한방울, 한방울씩 낙하(112, 도 6(b)참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커피리시버(400)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배전도를 설정하여 줄 수도 있다. 즉, 리모콘(220)에서 약배전 또는 강배전을 선택하여 입력해줌으로써 커피리시버(400)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배전도에 대한 정보를 워터드롭컨트롤러(200)의 중앙처리부(210) 측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워터드롭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커피가 수용된 커피리시버(400) 위에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워터드롭퍼(100)에서 낙하시킨다. 필요에 따라 물을 한방울씩 떨어뜨릴 수(112, 도 6(b)참조)도 있으며, 연속적으로 물을 쭉 내릴 수(111, 도 6(a)참조)도 있다.
또한, 물을 원두커피 위에 낙하시킬 때 원두커피의 상측표면에 어떤 패턴(물이 낙하되는 지점의 이동경로)을 그릴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한 군데만 집중적으로 물을 낙하시킬 것인지와 같이 물의 낙하지점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워터드롭방법에 따라 도 7의 (a) 내지 (d)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점드립, 별드립, 원 드립, 나선형, 분무드립 등을 선택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분무드립을 선택하는 경우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노즐(110)에 분사형노즐을 위치시켜서 분무형태로 물을 낙하시킬 수도 있다. 원드립을 선택하는 경우 워터드롭퍼(100)가 원운동을 하도록 무빙장치(600)가 작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모터(610)와 제2모터(620)의 구동에 의해 워터드롭퍼(100)가 원을 그리며 위치이동을 하게되며 따라서 드롭노즐(110)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커피드립퍼(300)의 원두커피 위에 원형의 이동경로를 그리도록 낙하된다.
이와 같이 입력부(220)에 해당되는 리모콘(220)을 통해 여러 정보를 입력하여주면 워터드롭컨트롤러(200)의 중앙처리부(210)는 이 정보들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정보들에 대응되는 적당한 워터드롭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30)에서 불러들인다. 그리고 불러들인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워터드롭퍼(10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용액이 제조된다.
한편, 커피용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드롭노즐(110)에서 낙하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커피용액의 스타일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드롭노즐(110)을 통해 드롭될 물의 온도를 설정하기위한 수단이 마련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측으로 드롭노즐(110) 측과 연결되는 온수공급관(101)의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가열해주는 히팅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에 해당되는 리모콘(220)에는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드롭노즐(110) 측으로 공급될 물의 온도를 설정받기 위한 온도설정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도설정기가 마련된 입력부(220)를 통해 물의 온도값을 설정(입력)해 주면 물의 온도값이 중앙처리부(210)로 전달된다. 물의 온도값을 전달받은 중앙처리부(210)는 입력받은 물의 온도값에 따라 온수공급관(101)의 타측에 마련된 히팅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온수공급관(101)을 통해 드롭노즐(110)측으로 송수되는 물의 온도가 온도설정기를 통해 입력받은 온도값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드롭노즐(110)측으로 송수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커피머신은 다양한 스타일의 드립커피 또는 더치커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가지 스타일의 커피를 동시에 대량생산하는 것 또한 가능하므로, 다양한 스타일의 커피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축시켜주는 장점이 있으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음용하기 위하여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하는 스타일의 드립커피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드립커피를 제조함에 있어서 재현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점 또한 있다.
그리고, 워터드롭컨트롤러(200)와 무빙장치(600)에 의해서 물을 다양한 패턴으로 원두커피에 드롭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할 수 있는 드립커피의 스타일이 다양해지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통합커피머신
100 : 워터드롭퍼
101 : 온수공급관 103 : 냉수공급관
110 : 드롭노즐 120 : 유량조절기
200 : 워터드롭컨트롤러
210 : 중앙처리부 220 : 입력부(리모콘)
230 : 데이터베이스부 240 : 무선통신부
300 : 커피드립퍼 400 : 커피리시버
510 : 제1프레임 520 :제2프레임
550 :정보표시부 560 : 이미지센서
570 : 하중센서
600 : 무빙장치
610 : 제1모터 615 : 제1모터마운트
620 : 제1스크류봉 630 : 제1무빙가이드봉
660 : 제2모터 665 : 제2모터마운트
670 : 제2스크류봉 680 : 제2무빙가이드봉

Claims (16)

  1.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소정의 양만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워터드롭퍼(water dropper);
    상기 워터드롭퍼와 결합되고, 상기 워터드롭퍼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상기 물이 낙하되는 것을 제어하는 워터드롭컨트롤러;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트(pot)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워터드롭퍼 측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drip)하는 커피드립퍼;
    상기 커피드립퍼를 장착하며,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워터드롭퍼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피드립퍼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커피드립퍼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드립퍼를 통해 드립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리시버(coffee-receiver);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상기 커피드립퍼가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드롭퍼 및 상기 커피드립퍼는 하나의 커피드립조(coffee drip crew)를 이루며, 상기 커피드립조가 다수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워터드롭퍼에 장착되며, 상기 커피드립퍼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워터드롭퍼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며, 상기 커피드립퍼측으로 낙하되는 물의 낙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무빙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빙장치는 다수개의 상기 워터드롭퍼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무빙장치 각각은 독립적으로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워터드롭퍼는,
    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온수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온수공급관;
    상기 커피드립퍼 측으로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공급받기 위한 냉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냉수공급관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 또는 상기 냉수공급관 측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커피드립퍼측으로 물을 낙하시키는 드롭노즐; 및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롭노즐을 통해 낙하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상기 커피드립퍼의 종류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커피드립퍼에 수용된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에 관한 정보인 원두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워터드롭조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커피드립퍼 각각은,
    멜리타(melita) 드립퍼, 칼리타(kalita) 드립퍼, 하리오(Hario) 드립퍼 및 고노(Kono) 드립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에 대한 원두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원두정보를 토대로 워터드롭조건정보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상기 물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며, 원두커피 또는 원두커피분말이 수용된 상기 커피드립퍼의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상기 하중센서를 통하여 파악된 상기 원두커피 또는 상기 원두커피분말의 양이나 무게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에 의해 물이 소정의 양만큼 낙하되도록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는,
    상기 워터드롭퍼의 위치이동경로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의 이동속도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단위시간 당 낙하되는 물의 양,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1회 낙하시 낙하되는 물의 양,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물이 낙하되는 시간간격(interval)정보,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낙하될 물의 총량 및 상기 워터드롭퍼에서 낙하될 물이 모두 낙하되는데 소요되는 총 낙하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정보는,
    원두커피의 종류, 로스팅된 정도에 따른 배전도, 상기 커피드립퍼 내에 수용된 원두커피의 양 및 커피원두의 크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3.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무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립퍼정보, 상기 원두정보 및 상기 워터드롭조건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전달받아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시하는 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드롭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드립퍼정보 또는 상기 원두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워터드롭조건정보에 따라 상기 워터드롭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16.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으로 상기 드롭노즐 측과 연결되는 상기 온수공급관의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소정의 온도를 갖도록 가열해주는 히팅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에는 드롭노즐 측으로 공급될 물의 온도를 설정받기 위한 온도설정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설정기를 통해 입력된 물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히팅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피머신.
KR1020150121132A 2015-08-27 2015-08-27 통합커피머신 KR10172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32A KR101728139B1 (ko) 2015-08-27 2015-08-27 통합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32A KR101728139B1 (ko) 2015-08-27 2015-08-27 통합커피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42A KR20170025142A (ko) 2017-03-08
KR101728139B1 true KR101728139B1 (ko) 2017-05-02

Family

ID=5840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32A KR101728139B1 (ko) 2015-08-27 2015-08-27 통합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5697A (zh) * 2019-03-28 2019-07-05 浠诲己 一种自助饮料机
KR20200054662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자동 커피 머신
KR20200116876A (ko) 2018-11-12 2020-10-13 (주)드립플랜 자동 커피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80B1 (ko) * 2017-11-07 2019-05-07 주식회사 노블트리 드립식 커피 머신
KR101927743B1 (ko) * 2018-07-06 2018-12-11 (주)드립플랜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KR102049111B1 (ko) * 2018-11-12 2019-11-26 (주)드립플랜 스크루와 모터 사이의 축 지지구조
KR102219902B1 (ko) * 2020-09-09 2021-02-24 강남구 자동 드립커피머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37B1 (ko) * 2011-09-14 2012-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머신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37B1 (ko) * 2011-09-14 2012-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머신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662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자동 커피 머신
KR20200116876A (ko) 2018-11-12 2020-10-13 (주)드립플랜 자동 커피 머신
CN109965697A (zh) * 2019-03-28 2019-07-05 浠诲己 一种自助饮料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4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139B1 (ko) 통합커피머신
US9867495B2 (en) Auto coffee drip apparatus
JP7012666B2 (ja) カプセルホルダからのカプセルの取り除き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US9737168B2 (en) Hand drip coffee maker
US7487711B2 (en) Steam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for preparing hot and/or frothed drinks
ES2320475T3 (es) Distribuidor de bebidas regulable en altura.
KR101719356B1 (ko) 드립 커피 머신
KR101652754B1 (ko) 커피 드립 머신
US9949591B2 (en) Pour over coffee maker system
CN105120720A (zh) 意式浓缩咖啡牛奶发泡器
US2015016426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coffee
US20170251860A1 (en)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KR20160087175A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101705873B1 (ko) 통합커피머신
KR101695133B1 (ko) 핸드드립커피 추출장치
US20180168388A1 (en) Cold brew coffee maker with water drip supply unit and coffee extraction guide member
JP2007151672A (ja) 飲料抽出装置
CN115666336A (zh) 一种用于制备咖啡的机器
US20230284820A1 (en) Single-serving coffee pod and single-serving beverage brewer system
KR101696437B1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2492807B1 (ko) 드립 커피머신
CN113647819A (zh) 一种饮品制作设备
KR102090824B1 (ko)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