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697B1 -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697B1
KR101727697B1 KR1020150047179A KR20150047179A KR101727697B1 KR 101727697 B1 KR101727697 B1 KR 101727697B1 KR 1020150047179 A KR1020150047179 A KR 1020150047179A KR 20150047179 A KR20150047179 A KR 20150047179A KR 101727697 B1 KR101727697 B1 KR 10172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escent
resin
phosphorescent material
delete delete
polymer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690A (ko
Inventor
안상우
조은수
Original Assignee
위즈이노텍 주식회사
(주)비드앤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즈이노텍 주식회사, (주)비드앤마이크로 filed Critical 위즈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69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축광 폴리머 비드는 열경화성 수지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내부에 배치된 축광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Paint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경화성 수지 및 이의 내부에 배치된 축광재를 포함하는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최근, 우천 및 야간 시인성 불량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OECD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2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경찰청은 2014년에 차선 반사휘도를 강화시키는 특별 조치를 취하였다. 구체적으로, 백색 표지는 130 mcd/(m2·lux)에서 240 mcd/(m2·lux)로 증가시켰으며, 황색 표지는 90 mcd/(m2·lux)에서 150 mcd/(m2·lux)로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로에 도포된 축광 도료 조성물 중 글래스 비드가 차량 하중으로 인해 박리되거나 깨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차선 유지관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2015년에는 영종대교에서 106종 추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차선 반사휘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차량 하중으로 인한 박리 및 깨짐 현상이 개선된 새로운 축광 도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축광 폴리머 비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포함하는 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및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축광 도료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경화성 수지;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내부에 배치된 축광재를 포함하는 축광 폴리머 비드를 제공한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100~600㎛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PS-co-PMM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실란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유기계 축광재, 무기계 축광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0.1~150㎛의 평균입경을 갖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50~99중량부 및 상기 축광재 1~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및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시공 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시공 면을 치핑한 후 청소하는 단계;
상기 청소후 상기 시공 면의 패인 곳이나 탈락된 곳에 보수재를 충전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또는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 글래스 비드 및 도료의 혼합물을 상기 평탄화된 시공 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시공 면에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또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와 상기 글래스 비드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광 도료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 폴리머 비드는 반사휘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도로 등에 도포될 경우 박리 및 깨짐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축광 폴리머 비드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축광 폴리머 비드의 광학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 폴리머 비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축광재」는 빛을 흡수해 저장하였다가 일정 기간 동안 방출 및 발광하는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축광재 자체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받았을 때 빛을 내는 형광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 폴리머 비드는 열경화성 수지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내부에 배치된 축광재를 포함한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그 내부에 상기 축광재가 고농도로 충진되어 있어서 우수한 광학특성(예를 들어, 반사휘도)을 갖는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도료와 혼합되어 시공 면에 도포될 경우 열을 받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갖는 성질로 인하여 용융되지 않고 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100~600㎛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가 상기 도료와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글래스 비드와도 잘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PS-co-PMM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상기 축광재가 단독으로 도료와 혼합되어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우수한 광학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축광재가 다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상기 도료와 혼합될 경우 상기 도료에 골고루 분산될 뿐만 아니라 본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량의 축광재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관찰 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배향의 변화를 느낄 수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축광재는 실란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란처리된 축광재는 상기 경화성 수지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축광재는 유기계 축광재, 무기계 축광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축광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아미노스틸벤계 염료, 플루오레세인, 티오플라빈, 에오신, 로다민 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축광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또는 Bi로 활성화시킨 CaSrS, ZnCdS, ZnS 또는 CaS; (Sr1-xMx)Al2O4:R (x는 0.1~0.9이고, M은 칼슘, 아연, 바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이며, R은 유로퓸,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 텔루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LAl2O4 (L은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거나 이 하나 이상의 금속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것)을 모결정으로 하는 것,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이 첨가된 것, 또는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과 공부활제로서의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텔루륨 또는 루테튬이 첨가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0.1~150㎛의 평균입경을 갖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광재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축광재 특유의 반짝거림이 잘 유지되면서도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상기 도료와 혼합하여 시공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50~99중량부 및 상기 축광재 1~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중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및 상기 축광재의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이내이면, 축광 발현 및 축광 효율이 우수한 축광 폴리머 비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중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투명하기 때문에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내부에 배치된 축광재는 외부에서 잘 관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은 반응기에 반응성 모노머, 축광재, 용매 및 선택적으로 가교제, 중합개시제 및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를 투입하여 현탁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는, 예를 들어, 회분식 반응기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 상기 축광재, 상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상기 가교제, 상기 중합개시제 및 상기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중 상기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은 49.9~98.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축광재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실란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N-(2-(비닐벤질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염산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상기 도료와 혼합할 경우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가 상기 도료에 함유된 용매에 용해되거나,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단독으로 또는 상기 도료와 함께 시공 면(예를 들어, 도로 면)에 융착할 경우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 상기 축광재, 상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상기 가교제, 상기 중합개시제 및 상기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중 상기 축광재의 함량은 1~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반응성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등의 폴리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등의 알킬 디비닐벤젠; 비스(비닐페닐), 비스(비닐페닐)메탄, 비스(비닐페닐)에탄, 비스(비닐페닐)프로판, 비스(4-비닐페닐)술폰 등의 2 이상의 벤젠 고리가 직접 또는 알킬렌기 또는 스티릴렌기 등의 연결기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방향족 디비닐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머; 올리고머의 양 말단이 스티릴 구조 또는 (메트)아크릴 구조와 같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매크로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 상기 축광재, 상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상기 가교제, 상기 중합개시제 및 상기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중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0.1~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현탁중합은 50~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탁중합은 교반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포함하는 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및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1~5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에 대한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축광 발현 및 축광 효율이 우수한 축광 도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세탈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수지, 나일론 수지, 스티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또는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은 빛을 받아 축광하였다가 일정 기간 동안 빛을 다시 반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어디에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또는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은 도로용 도료, 자동차 내외장재, 가전 및 생활용품의 플라스틱 성형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및/또는 상기 축광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축광 도료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축광 도료 시공방법은, 상기 시공 면이 도로일 경우,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의 자체 발광 효과로 인하여 건기시의 야간뿐만 아니라 우천시의 주간 및 야간에도 도로의 시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축광 도료 시공방법은 시공 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시공 면이 일반 주행도로일 경우, 상기 축광 도료 시공방법은 시공 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시공 면을 치핑한 후 청소하는 단계, 상기 청소후 상기 시공 면의 패인 곳이나 탈락된 곳에 보수재를 충전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글래스 비드 및 도료의 혼합물을 상기 평탄화된 시공 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시공 면에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와 상기 글래스 비드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는 융착식 도료 또는 상온경화식 도료일 수 있다.
상기 융착식 도료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에 안료 및/또는 글래스 비드를 혼합한 것으로서,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시공시 1차적으로 용해조에서 용해시킨 후 2차적으로 시공기(예를 들어, 소형 원동기)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도료를 의미한다.
상기 보수재는 시판되는 무수축 모르타르,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모르타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는 쌍용양회공업주식회사의 바스콘 베이직(BASCON BASIC), 바스콘 플러스(BASCON PLUS) 또는 씨카코리아(주)의 씨카 그라우트 300RH(Sika Grout 300RH)일 수 있다. 상기 상온경화형 모르타르는 아튼건업의 아스코트(AS COAT)일 수 있다.
상기 상온경화식 도료는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 왁스(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경화촉진제(예를 들어, 디메틸-베타-프로피오테틴), 충전제(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등), 유리분말, 침강방지제(예를 들어, 세피올라리트 등) 및 경화제(예를 들어, 디옥틸프탈레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로의 표면에 도포된 후 상온(0~50℃)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도료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시공 면이 다공성 매질로 이루어진 인도 또는 도로(차도 또는 자전거 도로)일 경우, 상기 축광 도료 시공방법은 시공 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시공 면을 치핑한 후 청소하는 단계, 상기 청소후 상기 시공 면의 패인 곳이나 탈락된 곳에 보수재를 충전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 및 상기 상온경화식 도료의 혼합물을 상기 평탄화된 시공 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시공 면에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축광 폴리머 비드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재킷형 반응기에 스티렌 200g, 디비닐벤젠 20.0g, 평균입경이 40㎛인 축광재 20g,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4g, 폴리비닐알코올 4g 및 증류수 400g을 투입한 후 75℃에서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 진행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반응을 종료시켰다. 결과로서 내부에 축광재가 포함된 축광 폴리머 비드를 얻었다.
평가예
<SEM 사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축광 폴리머 비드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광학사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축광 폴리머 비드의 광학사진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축광 폴리머 비드는 축광재를 제외한 부분이 투명해서 내부에 있는 축광재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고, 촬영을 위해서 현미경으로 입사된 빛에 반응하여 축광재에서 빛이 충분하게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시공 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시공 면을 치핑한 후 청소하는 단계;
    상기 청소 후 상기 시공 면의 패인 곳이나 탈락된 곳에 보수재를 충전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와 축광 폴리머 비드 1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 도료 조성물, 글래스 비드 및 도료의 혼합물을 상기 평탄화된 시공 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시공 면에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와 상기 글래스 비드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반응기에 반응성 모노머, 축광재, 용매, 가교제, 중합개시제 및 바인더를 투입하여 현탁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 비드를 사용하고,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에 포함되는 축광재는 평균입경 0.1~150 ㎛를 갖는 분말 형태를 가지며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실란 처리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축광 폴리머 비드는 상기 현탁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50~99 중량부 및 상기 축광재 1~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00~600 ㎛의 평균입경을 가지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N-(2-(비닐벤질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염산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도료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세탈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수지, 나일론 수지, 스티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도료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도료의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재는 유기계 축광재, 무기계 축광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상기 유기계 축광재는 디아미노스틸벤계 염료, 플루오레세인, 티오플라빈, 에오신, 로다민 B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무기계 축광재는 Cu 또는 Bi로 활성화시킨 CaSrS, ZnCdS, ZnS 또는 CaS; (Sr1-xMx)Al2O4:R (x는 0.1~0.9이고, M은 칼슘, 아연, 바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이며, R은 유로퓸,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 텔루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LAl2O4 (L은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거나 이 하나 이상의 금속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것)을 모결정으로 하는 것,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이 첨가된 것, 또는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과 공부활제로서의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텔루륨 또는 루테튬이 첨가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도료의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47179A 2015-04-03 2015-04-03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KR10172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9A KR101727697B1 (ko) 2015-04-03 2015-04-03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9A KR101727697B1 (ko) 2015-04-03 2015-04-03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90A KR20160118690A (ko) 2016-10-12
KR101727697B1 true KR101727697B1 (ko) 2017-04-17

Family

ID=5717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79A KR101727697B1 (ko) 2015-04-03 2015-04-03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36B1 (ko) *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20037001A (ko) *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147B1 (ko) * 2018-03-06 2019-09-10 이경택 운반체용 축광 플라스틱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13244B1 (ko) * 2020-12-18 2021-10-14 주식회사 아트스페이스이엔지 인광효과가 우수한 축광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938A (ja) * 1998-12-28 2000-07-18 Negami Kogyo Kk 蓄光材含有樹脂ビ―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4581A (ja) 2001-08-27 2003-03-05 Kanemasu:Kk 発光複合糸の製造方法
JP2010095870A (ja) * 2008-10-14 2010-04-3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蛍光標示材、及び蛍光標示材を用いた路面標示構造
KR100973252B1 (ko) 2008-08-21 2010-08-03 (주)코스펙 시인성 확보용 차선도색재와 차선도색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938A (ja) * 1998-12-28 2000-07-18 Negami Kogyo Kk 蓄光材含有樹脂ビ―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4581A (ja) 2001-08-27 2003-03-05 Kanemasu:Kk 発光複合糸の製造方法
KR100973252B1 (ko) 2008-08-21 2010-08-03 (주)코스펙 시인성 확보용 차선도색재와 차선도색공법
JP2010095870A (ja) * 2008-10-14 2010-04-3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蛍光標示材、及び蛍光標示材を用いた路面標示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36B1 (ko) *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20037001A (ko) *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484293B1 (ko) 2020-09-16 2023-01-05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90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697B1 (ko) 축광 폴리머 비드, 축광 도료 조성물 및 축광 도료 시공방법
KR101739365B1 (ko)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미끄럼방지 포장재 형성방법
CN103649194B (zh) 低气味(甲基)丙烯酸类反应性树脂
KR100729156B1 (ko) 강화 배수성 아스팔트
CN103229092A (zh) 包括遮蔽层的电子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1860388B2 (en) Polymer compatible heat fused retroreflective bead
KR101755026B1 (ko) 차선 도색용 상온 경화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62716B1 (ko) 내구성 및 도로 시인성이 향상된 자체발광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WO2020087090A1 (en) Polymer compatible heat fused retroreflective bead
EP3914941B1 (en) Polymer compatible heat fused retroreflective bead
KR20210134522A (ko)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 도색공법
KR102220617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2196705B1 (ko)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20120064367A (ko) 미끄럼방지용 메타크릴레이트계 반응형 수지 조성물
JPH1088031A (ja) 蓄光性道路標示材
CN1571812A (zh) 光导体及其生产方法
KR102264658B1 (ko) 초발수성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장치
KR20190091527A (ko) 내구성이 강한 고체 고분자 표면피복
CN110951295B (zh) 用于多功能标记物的反应树脂密封材料
KR102022398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264893B1 (ko) 축광안료를 함유하는 졸음 방지용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 방법
KR101232032B1 (ko) 도로표지용 우천형 축광 반사 비드의 제조방법
JPH1088531A (ja) 蓄光性道路標示材
KR102237548B1 (ko) 초발수성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장치
CN100351340C (zh) 可成形的水铺展性塑料制品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