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666B1 -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666B1
KR101727666B1 KR1020160084346A KR20160084346A KR101727666B1 KR 101727666 B1 KR101727666 B1 KR 101727666B1 KR 1020160084346 A KR1020160084346 A KR 1020160084346A KR 20160084346 A KR20160084346 A KR 20160084346A KR 101727666 B1 KR101727666 B1 KR 10172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hermally conductive
binder
agent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윤숙현
변진순
Original Assignee
한미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666B1/ko
Priority to PCT/KR2017/006435 priority patent/WO2018008872A1/ko
Priority to US15/638,464 priority patent/US10266740B2/en
Priority to CN201710538403.5A priority patent/CN10757390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 C04B35/58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boron 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4/00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 C03C14/0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the non-glass component be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2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 C04B35/58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aluminium nit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은,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 그리고 규산염 유리용액과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현대인의 생활에서 열에너지는 모든 산업 및 생활에 관련되어 있다. 난방기, 밥솥 등의 가전제품에 열에너지가 활용되고 있으며, 적외선 치료기, 적외선 측정기 등 의료 분야에서도 열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열에너지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원의 소모와 개발에 치중되어 왔고, 열에너지가 소모되는 과정을 효율화하는 단계의 연구는 소홀하게 진행되었다.
한편, 휴대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부품도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또한 소형화되고 얇아지고 있으므로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부품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신뢰성 및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의 방출에 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 시에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냉각 팬이나, 열전도도가 높은 Cu, Al 등의 합금 금속을 사용한 방열구조체를 기기의 내부에 탑재하는 방법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디자인에 제약이 있을 수 있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발열, 흡열, 또는 방열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유기 바인더를 포함하여 약 300 ℃ 내지 약 600 ℃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산화될 수 있으므로,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낮을 수 있고, 환경에 유해한 유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개발된 열전 그리스(thermal grease)의 경우, 유기 바인더를 포함함으로써 약 300 ℃ 이상의 상황에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흡열, 발열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조성물이 적용된 소재의 열전도성과 방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은,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 그리고 규산염 유리용액과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증류수 100 중량%에, 질산(HNO3)과 마그네슘(Mg) 성분을 포함하는 기초액 4~9 중량%, 산화나트륨(Na2O) 14~21 중량%, 이산화규소(SiO2) 45~56 중량%, 산화철(Fe2O3) 0.03~0.07 중량%, 분산제 0.3~0.9 중량%, 탄산마그네슘(MgCO3) 1.6~5.2 중량%,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 3~9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실리콘(Si)을 0.1~ 40 중량% 첨가하여 응고 및 발포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된다.
기능제는 산화철(Fe2O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제는 그래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그리고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화보론(B4C), 질화실리콘(Si3N4), 산화지르코늄(ZrO2),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2), 그리고 질화지르코늄(ZrN)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제, 분산제, 침강 방지제, 크랙(crack) 방지제, 그리고 부착증진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ium silicate)를 더 포함하고, 바인더에서, 바인더 전체를 기준으로, 규산염 유리용액이 70~85 중량%이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5~15 중량%이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가 5~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바인더에 기능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는, 증류수에 개미산 또는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를 4.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1차 교반하는 단계, 규산염 유리용액을 첨가하고 실란(SiH4)을 4 내지 10회에 걸쳐 첨가하면서 2 내지 4시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 2차 교반한 혼합물을 상온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증류수 100 중량%에, 질산(HNO3)과 마그네슘(Mg) 성분을 포함하는 기초액 4~9 중량%, 산화나트륨(Na2O) 14~21 중량%, 이산화규소(SiO2) 45~56 중량%, 산화철(Fe2O3) 0.03~0.07 중량%, 분산제 0.3~0.9 중량%, 탄산마그네슘(MgCO3) 1.6~5.2 중량%,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potassium methyl siliconate) 3~9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실리콘(Si)을 0.1~ 40 중량% 첨가하여 응고 및 발포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흡열, 발열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성물이 적용된 소재의 방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알루미늄 박판의 방사율과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박판의 방사율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열원 주변에서의 온도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열원 주변에서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열원 주변에서의 온도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열원 주변에서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6면체의 내부 온도와 열전도성 조성물을 6면체의 상부 기판에 코팅한 6면체의 내부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컵이 가열되었을 때의 내부 물의 온도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컵이 가열되었을 때의 내부 물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히트 파이프에 대한 전력 소모량과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히트 파이프에 대한 전력 소모량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평판 기재와 열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한 평판 기재의 1300 ℃에서의 불연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은,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 그리고 규산염 유리용액과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증류수 100 중량%에, 질산(HNO3)과 마그네슘(Mg) 성분을 포함하는 기초액 4~9 중량%, 산화나트륨(Na2O) 14~21 중량%, 이산화규소(SiO2) 45~56 중량%, 산화철(Fe2O3) 0.03~0.07 중량%, 분산제 0.3~0.9 중량%, 탄산마그네슘(MgCO3) 1.6~5.2 중량%,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potassium methyl siliconate) 3~9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실리콘(Si)을 첨가하여 응고 및 발포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된 물질일 수 있다.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의 제조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증류수 약 100 중량%에, 산화나트륨 약 14 내지 약 21 중량%, 이산화규소 약 45 ~ 약 56 중량%, 산화철 약 0.03 ~ 약 0.07 중량%, 분산제 약 0.3 ~ 약 0.9 중량%를 넣고 가열 교반기에서 약 60 ~ 약 90 ℃의 온도로 20분간 서서히 가열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때, 증류수에 산화나트륨, 이산화규소, 산화철, 분산제가 혼합된 물질에 탄산마그네슘 약 1.6 ~ 약 5.2 중량%와 기초액 약 4 ~ 약 9 중량%를 서서히 떨어뜨려 혼합하되, 혼합되는 물질에서 수증기가 나올 때까지 교반하여 혼합한다.
수증기가 발생 되면, 혼합된 물질에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를 약 3 ~ 9 중량% 넣고 약 1시간 30분 ~ 약 2시간 정도 가열 교반하면 최종적으로 혼합되는 물질이 투명해지며, 이때부터는 가열을 멈추고 혼합된 물질이 식을 때까지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러한 액상의 물질에 실리콘(Si)을 약 0.1 내지 약 40 중량% 첨가한 후, 대략 2 cm 정도의 두께로 건조기에 넣은 다음, 약 20 ℃ 이상의 온도로 약 24시간 동안 발열 반응시켜 덩어리 물질로 응고 및 발포시킨다.
이후, 전술한 단계에서 가열 소성 되어 딱딱하게 굳은 덩어리 물질을 잘게 부순 후, 분쇄기로 또 한번 더 잘게 분쇄하여 평균 입경이 약 20 ㎛ 이하의 가루 형태의 물질로 만들어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제조한다.
이러한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불연성을 가질 수 있고, 우수한 방사율, 흡열 및 발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질화보론은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방열 성능 및 신축성을 갖는 물질이다.
탄화규소는 약 1500 ℃의 고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열성, 내산화성, 내식성을 가질 수 있고, 열 전도율이 우수하며, 기계적인 내구성 또한 우수할 수 있다. 탄화규소는, 예를 들어, 순도가 높은 그린 카바이드(green carbide)일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Al2O3)은 약 1500 ℃의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할 수 있고, 우수한 내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질화알루미늄은 약 1700 ℃의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할 수 있고, 열 전도성이 우수하며, 전기적으로는 절연성을 갖는다.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는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열전도성 조성물의 흡열, 발열 및 효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전도성 조성물이 적용된 소재의 방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능제는 산화철(Fe2O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철은 열전도성 조성물의 방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제는, 추가적으로 그래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그리고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의 탄소 계열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파이트는 열전도성 조성물의 진공 상태에서의 내구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래핀 또는 탄소 나노 튜브는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탄소 섬유는 열전도성 및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능제는, 탄화보론(B4C), 질화실리콘(Si3N4), 산화지르코늄(ZrO2),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2), 그리고 질화지르코늄(ZrN)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화보론 또는 질화실리콘은 방사 성능, 내열성, 열전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산화지르코늄은 약 1800 ℃까지 내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티타늄은 내식성 및 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산화아연은 형광 안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질화지르코늄은 열전도성 조성물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전도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플링제, 분산제, 침강 방지제, 크랙(crack) 방지제, 그리고 부착증진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제는 약 0.2 내지 약 1 중량%, 분산제는 약 0.2 내지 약 1 중량%, 침강 방지제는 약 0.2 내지 약 1 중량%, 크랙(crack) 방지제는 약 0.2 내지 약 1 중량%, 부착증진제는 약 0.2 내지 약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열전도성 조성물의 바인더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ium silic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는 납, 카드뮴과 같은 유해 중금속은 물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및 독성이 전혀 없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용융점이 약 1800℃ 인 불연소재이며, 피막의 압축강도가 3,000N/㎠ 정도로 매우 단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열전도성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바인더 전체를 기준으로, 규산염 유리용액이 70~85 중량%이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5~15 중량%이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가 5~15 중량%일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기능제와 바인더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은 외부에서 발생한 열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의료용 적외선 조사기, 실내원예용 난방 및 살균기, 식품(유기물) 건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 조성물은 고효율의 흡열 및 발열 성능을 가지므로, 각종 난방기, 전기 히터, 전열기, 내열 기기, 고온 세라믹로, 건조식 용광로, 소각로, 열교환기, 주방기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 조성물은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가지므로, 에어컨 실외기, 통신사 중계기, 반도체 장비, 변압기, 태양 발전 장비,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회로의 칩, 배선, 자동차 엔진, 라디에이터, 전지, 온-냉방기, 라디에이터, CPU,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오디오, 스피커(앰프), 무기, 항공기, 선박, 우주항공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열전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전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바인더에 기능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고,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는, 증류수에 개미산 또는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를 약 4.3 내지 약 4.5로 조절하면서 1차 교반하는 단계, 규산염 유리용액을 첨가하고 실란(SiH4)을 4 내지 10회에 걸쳐 첨가하면서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 2차 교반한 혼합물을 상온에서 약 4시간 내지 약 1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1차 교반 단계가 수행된다. 증류수에 개미산을 첨가하여 pH를 4.3 내지 4.5로 조절하는 단계이고, 이러한 pH 범위 내에서 반응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2차 교반 단계에서는, 실란을 4회 내지 10회에 걸쳐 분할 첨가하게 되는데, 실란을 많이 첨가할수록 연성이 작아지고, 실란을 적게 첨가할수록 플렉서블(flexible)해질 수 있다. 실란을 분할해서 첨가하지 않는 경우, 실란끼리 뭉쳐버릴 수 있다. 규산염 유리용액은 예를 들어,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숙성 단계를 거쳐 반응지연제인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참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약 1000 ℃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흡열, 발열 및 효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성물이 적용된 소재의 방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해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 그리고
    규산염 유리용액과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증류수 100 중량%에, 질산(HNO3)과 마그네슘(Mg) 성분을 포함하는 기초액 4~9 중량%, 산화나트륨(Na2O) 14~21 중량%, 이산화규소(SiO2) 45~56 중량%, 산화철(Fe2O3) 0.03~0.07 중량%, 분산제 0.3~0.9 중량%, 탄산마그네슘(MgCO3) 1.6~5.2 중량%,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potassium methyl siliconate) 3~9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실리콘(Si)을 첨가하여 응고 및 발포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된 열전도성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기능제는 산화철(Fe2O3)을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3. 제2항에서,
    상기 기능제는 그래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그리고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4. 제1항에서,
    탄화보론(B4C), 질화실리콘(Si3N4), 산화지르코늄(ZrO2),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2), 그리고 질화지르코늄(ZrN)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5. 제4항에서,
    커플링제, 분산제, 침강 방지제, 크랙(crack) 방지제, 그리고 부착증진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ium silic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에서, 상기 바인더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규산염 유리용액이 70~85 중량%이고,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5~15 중량%이며, 상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가 5~15 중량%인 열전도성 조성물.
  7.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질화보론(B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질화알루미늄(AlN) 중 하나 이상과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바인더에 상기 기능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는,
    증류수에 개미산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을 첨가하여 pH를 4.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1차 교반하는 단계,
    규산염 유리용액을 첨가하고 실란(SiH4)을 4 내지 10회에 걸쳐 첨가하면서 2 내지 4시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
    상기 2차 교반한 혼합물을 상온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포 무기질 열전도성 파우더는 증류수 100 중량%에, 질산(HNO3)과 마그네슘(Mg) 성분을 포함하는 기초액 4~9 중량%, 산화나트륨(Na2O) 14~21 중량%, 이산화규소(SiO2) 45~56 중량%, 산화철(Fe2O3) 0.03~0.07 중량%, 분산제 0.3~0.9 중량%, 탄산마그네슘(MgCO3) 1.6~5.2 중량%,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potassium methyl siliconate) 3~9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실리콘(Si)을 첨가하여 응고 및 발포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하는 열전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60084346A 2016-07-04 2016-07-04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46A KR101727666B1 (ko) 2016-07-04 2016-07-04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06435 WO2018008872A1 (ko) 2016-07-04 2017-06-20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5/638,464 US10266740B2 (en) 2016-07-04 2017-06-30 Thermally-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10538403.5A CN107573903B (zh) 2016-07-04 2017-07-04 热传导性组合物及其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46A KR101727666B1 (ko) 2016-07-04 2016-07-04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666B1 true KR101727666B1 (ko) 2017-04-17

Family

ID=5870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346A KR101727666B1 (ko) 2016-07-04 2016-07-04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66740B2 (ko)
KR (1) KR101727666B1 (ko)
CN (1) CN107573903B (ko)
WO (1) WO20180088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72A1 (ko) * 2016-07-04 2018-01-11 한미르 주식회사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2023B (zh) * 2018-06-15 2019-09-20 河北弘华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窑炉的远红外辐射元件及其制备方法
US11198807B2 (en) 2019-09-23 2021-1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ermal interface materials with radiative coupling heat transfer
CN112028636A (zh) * 2020-08-26 2020-12-04 北京科技大学 一种高导热氮化铝/石墨烯复合陶瓷器件的制备方法
CN113121243B (zh) * 2021-04-12 2022-08-09 杭州安誉科技有限公司 高亮度led光源用基板及其制备方法
CN116333521B (zh) * 2023-05-31 2023-08-11 包头铝业有限公司 一种电解铝阳极钢爪和碳块用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33B1 (ko) 2012-08-20 2013-04-02 주식회사 우진페인트 건축 구조물 또는 건축용 패널에 대한 무기계 세라믹 도장공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360A (en) * 1979-08-28 1981-04-01 Asahi Chemical Ind Lightweight refractory formed body
KR101187989B1 (ko) * 2009-11-02 2012-10-04 주식회사 한국카본 열전도성 향상을 위한 유리섬유 조성물
KR20130048744A (ko) * 2013-04-08 2013-05-10 이재환 액상 경화성 조성물
KR101572980B1 (ko) * 2014-04-09 2015-12-01 한미르 주식회사 친환경 건축소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1044A (ko) * 2014-11-21 2016-05-31 한미르 주식회사 불연단열 샌드위치판넬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한 불연단열 샌드위치판넬
KR101727666B1 (ko) * 2016-07-04 2017-04-17 한미르 주식회사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33B1 (ko) 2012-08-20 2013-04-02 주식회사 우진페인트 건축 구조물 또는 건축용 패널에 대한 무기계 세라믹 도장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72A1 (ko) * 2016-07-04 2018-01-11 한미르 주식회사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02587A1 (en) 2018-01-04
WO2018008872A1 (ko) 2018-01-11
US10266740B2 (en) 2019-04-23
CN107573903A (zh) 2018-01-12
CN107573903B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666B1 (ko) 열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514066B (zh) 一种石墨烯复合红外辐射导热膜及其制作方法
KR101125266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방열시트
JP6349543B2 (ja) 冷却構造体および冷却構造体の製造方法
CN108251076A (zh) 碳纳米管-石墨烯复合散热膜、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314169B1 (ko) 수평열전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1823881A (zh) 含石墨烯纳米片层无机非金属复合吸波材料、制备和应用
JP2012180275A (ja) 熱放射部材用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熱放射部材用セラミックス、該セラミックス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led発光モジュール
CN102123563B (zh) 一种陶瓷pcb电路板的制作方法
CN104696832B (zh) Led路灯
JP2012056818A (ja) 六方晶窒化ホウ素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高熱伝導性、高耐湿性放熱シート
KR101534296B1 (ko) 졸겔법과 그래핀을 이용한 초전도성 방열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으로 제조된 초전도성 그래핀 방열 접착제
CN105836717B (zh) 氮化铝电子陶瓷粉末的制备方法
JP2013147542A (ja) 放熱塗料及びこれを利用した放熱部材、発熱電子部品、発熱機械部品
JPWO2011021366A1 (ja) 球状化窒化ほう素の製造法
CN104276823A (zh) 高绝缘碳化硅/氮化硼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171207A (zh) 一种热沉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233A (zh) 一种用于散热器的碳化硅陶瓷及其制备方法
JP2012054001A (ja) 放熱筐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電池パック、並びに、半導電性放熱用テープ
CN104861862A (zh) 一种用于led灯具的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524728B1 (ko) 고방열 세라믹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TW201402514A (zh) 遠紅外線散熱陶瓷漿料、使用該漿料製備之纖維布、使用該漿料製備之薄膜及其製備方法
KR20220155546A (ko) 방열 성능과 내열성 등을 갖춘 무기질 내화 코팅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69592A (zh) 一种散热涂层组合物
JP2021084814A (ja) 表面処理窒化ホウ素の製造方法、表面処理窒化ホウ素、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