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437B1 -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437B1
KR101727437B1 KR1020160144203A KR20160144203A KR101727437B1 KR 101727437 B1 KR101727437 B1 KR 101727437B1 KR 1020160144203 A KR1020160144203 A KR 1020160144203A KR 20160144203 A KR20160144203 A KR 20160144203A KR 101727437 B1 KR101727437 B1 KR 10172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ry
waste plastic
sor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엠테크
Priority to KR102016014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앙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회전작업대와; 상기 작업자가 선별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립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고정되며, 외경면을 따라 기어톱니가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작업대가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톱니에 치합되는 연동기어에 축설된 연동축 하단에 축설되는 연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에 축설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작업대의 내측에 형성된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작업대 위의 폐플라스틱만을 선별하므로, 선별작업 영역이 최소화됨으로써, 육안 식별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가이드부재의 투입공으로 투입시키기만 하면 정해진 버킷으로 선별된 폐플라스틱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Sorting apparatus of plastic for recycling}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작업대의 내측에 형성된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작업대 위의 폐플라스틱만을 선별하므로, 선별작업 영역이 최소화됨으로써, 육안 식별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가이드부재의 투입공으로 투입시키기만 하면 정해진 버킷으로 선별된 폐플라스틱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 중 음료용 캔이나 병 또는 각종 포장재 등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들을 동일한 군(群)으로 분리하여 재처리 작업을 통해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자원절약은 물론 폐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쓰레기를 버릴 때 재활용이 가능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들을 분리하여 버리게되고, 또한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는 별도의 수거작업을 통해 수거한 후 이를 동일한 군, 즉 금속재, 종이재와 유리병 및 플라스틱재 등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원료를 재활용 공장 등으로 보내여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강하고, 가공하기 편리한 재료로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문제가 야기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기술에 따르면 수거된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선별하고 세척, 분쇄, 및 압출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출용 펠릿으로 생산되어 각종 제품의 생산에 재활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종류 및 색깔 등을 기준으로 선별하는 공정,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공정이 가능한 크기로 분쇄 및 파쇄하는 공정, 및 폐플라스틱으로부터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 및 순수한 PP 또는 PE로 구성된 폐플라스틱을 압출하고 최종적으로 펠릿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 공정, 분쇄 공정, 세척 및 건조 공정은 다양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데, 결국 최종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PP 또는 PE로 선별되고 이들이 고온 하에서의 압출 공정을 거쳐 일정한 크기와 길이의 펠릿 제품으로 재활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정들 중에서 폐플라스틱을 선별하는 공정은 특정의 재질, 특히 경질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만을 분리하여 골라내는 과정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재질의 플라스틱만을 선별하게 되는데, 이러한 선별 과정 없이 서로 상이한 성질의 플라스틱을 혼합된 상태로 재활용하는 경우 원하는 성질의 플라스틱을 얻지 못하게 된다.
즉, 플라스틱재의 경우, 형상에는 무관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ABS등 재질별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재질이 다르지만, 유사한 형상으로 성형된 이종(異種)의 플라스틱이 섞인 재활용 플라스틱재로 제품을 성형하게 될 경우 이종의 재질이 혼합된 상태이므로 각각의 재질에 따라 용융점 및 반응점이 서로 달라 최종 제품으로 성형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 증가 및 경우에 따라서는 성형장치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플라스틱의 선별은 센서나 광학 장치 등의 기계적 장치에 의한 자동 선별 또는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하여 선별하는 수선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동 선별을 위해서는 장치의 구입, 제조 비용이 높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이 두 가지의 방식을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종류 및 색깔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선별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선별작업할 수 있게 하는 수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폐플라스틱을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앙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형의 작업공간(102a)이 형성된 회전작업대(102)와; 상기 작업자가 선별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립형성되는 베이스부(104)와;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고정되며, 외경면을 따라 기어톱니(106)가 형성되고, 중앙에 작업공간의 형성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작업대(102)가 결합되는 회전부재(108)와; 상기 회전부재(108)의 기어톱니(106)에 치합되는 연동기어(110)에 축설된 연동축(112) 하단에 축설되는 연동풀리(114)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116)에 축설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는 상기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체(108a)와 상기 회전체(108a)를 받쳐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08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베어링(108c)이 설치된 받침부(108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의 하부와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부재(108)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수평조정볼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정볼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분산시켜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진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앙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형의 작업공간(102a)이 형성된 회전작업대(102)와; 상기 작업자가 선별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립형성되는 베이스부(104)와;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고정되며, 외경면을 따라 기어톱니(106)가 형성되고, 중앙에 작업공간의 형성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작업대(102)가 결합되는 회전부재(108)와; 상기 회전부재(108)의 기어톱니(106)에 치합되는 연동기어(110)에 축설된 연동축(112) 하단에 축설되는 연동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켓에 축설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는 상기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체(108a)와 상기 회전체(108a)를 받쳐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08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베어링(108c)이 설치된 받침부(108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의 하부와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부재(108)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수평조정볼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정볼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분산시켜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진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08)의 하부와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부재(108)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수평조정볼트(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4)의 하부 외측에서 회전작업대(102)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베이스부(104)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22)와; 상기 지지대(122)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부의 투입공(124a)으로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하부의 배출공(124c)으로 배출될 때, 베이스부(104)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버켓(bucket)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10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작업대(102)의 외측 상부로 연장형성된 다수 개의 받침부재(127)와; 상기 받침부재(127)의 타단에 기립된 상태로 회전작업대(102)의 둘레를 따라 환혀으로 설치되어 회전작업대(102)를 보호하도록 된 보호커버(128)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작업대의 내측에 형성된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작업대 위의 폐플라스틱만을 선별하므로, 선별작업 영역이 최소화됨으로써, 육안식별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선별된 폐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가이드부재의 투입공으로 투입시키기만 하면 정해진 버킷으로 선별된 폐플라스틱이 투입됨으로써, 빠르고 신속하게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의 구조와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의 보호커버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는 작업공간(102a)을 중심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이 적재된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게 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간(102a) 내에서 작업자가 플라스틱을 육안으로 식별 및 선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간(102a) 내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높이에 회전작업대(10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베이스부(10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부에는 외경면에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부재(108)를 설치고정하고, 이 회전부재(108)의 상부에는 상기한 회전작업대(102)가 설치고정되어 회전부재(108)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작업대(102)도 동반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08)는 통상적으로 외경면에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체(108a)와 이 회전체(108a)를 받쳐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체(108a) 하부에 베어링(108c)이 설치되게 하는 받침부(108b)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108)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는 회전작업대(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은 작업자가 들어가서 재활용 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작업공간(102a)이 마련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작업대(102)의 상부에 적재되는 재활용 플라스틱에 의해 회전작업대(102)가 변형되는 것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과 회전작업대(102)의 자중에 의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회전부재(108)에 편중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편중된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작업대(102)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프레임으로 보강프레임(109)을 조립구성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회전부재(108)가 안정되게 회전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단과 회전부재(108)의 하부(즉, 받침부(108b)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정볼트(120)가 다수 개 결합시켜 각각의 수평조정볼트(120)의 수평조절너트(122)를 더 체결하거나 풀어서 전체적으로 회전부재(108) 및 회전작업대(102)의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안정된 회전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정볼트(120)의 상단에는 방진부재(130)를 결합고정하여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분산시켜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4)에 회전부재(10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부재(108)의 상부에는 회전작업대(102)가 결합고정되면, 회전부재(108)의 회전체(108a) 외경면에 형성된 기어톱니(106)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기어(110)를 치합시키고, 이 연동기어(110)에 의하여 기어톱니(106) 및 회전부재(108)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4)의 측면 하부에 결합된 받침판(111)의 상부에 연동브라켓(113)을 형성하고, 이 연동브라켓(113)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직기립설치되는 연동축(112) 상단에 상기 연동기어(110)이 축설되며, 이 연동축(112)의 하단에는 연동풀리(114)가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브라켓(113)과 인접한 받침판(111)의 상부에는 구동브라켓(115)이 설치되고, 구동브라켓(115)의 상단에는 구동모터(118)의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이 구동브라켓(115)의 하부를 향하도록 결합고정되며, 구동축의 하단에는 구동풀리(11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116)와 연동풀리(114)를 벨트(도시하지 않음)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118)의 동력은 구동축, 구동풀리(116), 연동풀리(114), 연동축(112), 연동기어(110)를 통하여 기어톱니(106)에 전달됨으로써, 구동모터(118)에 의해 회전부재(108)가 회전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8)로부터 연동기어(110)까지 전달되는 동력의 전달수단은 체인과 스크로켓, 기어와 기어의 치합에 의해서 얼마든지 구현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118)의 구동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어(119)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동력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적당한 속도로 회전부재(108)가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또는 정확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을 식별 및 선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8)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124)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공간(102a) 내에서 선별한 재활용 플라스틱이 같은 종류끼리 모일 수 있게 하는 버킷(126)으로 바로 안내되게 함으로써, 빠르게 선별작업을 하는 과정에서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분류작업이 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이드부재(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4)의 측면에 결합된 지지대(122)의 끝단에 결합고정되며, 상부에는 투입공(124a)이 형성되고, 소망하는 위치까지 투입공(124a)으로부터 가이드공(124b)이 연장형성된 후 끝단에 배출공(124c)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 배출공(124c)의 하부에 버킷(126)을 놓으면, 투입공(124a)으로 투입된 재활용 플라스틱이 버킷(126)에 적재 또는 수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작업대(102)의 외측으로는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보호커버(128)가 베이스부(104)에 결합고정된 받침부재(127)에 의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더불어 근처를 통행하는 다른 작업자가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로 부터 안전하게 작업 및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2 : 회전작업대 102a : 작업공간
104 : 베이스부 108 : 회전부재
106 : 기어톱니
108a : 회전체 108b : 받침부
109 : 보강프레임 110 : 연동기어
111 : 받침판 112 : 연동축
113 : 연동브라켓 114 : 연동풀리
115 : 구동브라켓 116 : 구동풀리
118 : 구동모터 119 : 감속기어
120 : 수평조정볼트 122 : 지지대
124 : 가이드부재 124a : 투입공
124b : 가이드공 124c : 배출공
126 : 버킷 127 : 받침부재
128 : 보호커버 130 : 방진부재

Claims (5)

  1. 폐플라스틱을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앙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형의 작업공간(102a)이 형성된 회전작업대(102)와;
    상기 작업자가 선별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립형성되는 베이스부(104)와;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고정되며, 외경면을 따라 기어톱니(106)가 형성되고, 중앙에 작업공간의 형성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작업대(102)가 결합되는 회전부재(108)와;
    상기 회전부재(108)의 기어톱니(106)에 치합되는 연동기어(110)에 축설된 연동축(112) 하단에 축설되는 연동풀리(114)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116)에 축설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는 상기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체(108a)와 상기 회전체(108a)를 받쳐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08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베어링(108c)이 설치된 받침부(108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의 하부와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부재(108)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수평조정볼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정볼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분산시켜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진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선별장치.
  2. 폐플라스틱을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중앙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형의 작업공간(102a)이 형성된 회전작업대(102)와;
    상기 작업자가 선별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다수 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립형성되는 베이스부(104)와;
    상기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고정되며, 외경면을 따라 기어톱니(106)가 형성되고, 중앙에 작업공간의 형성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작업대(102)가 결합되는 회전부재(108)와;
    상기 회전부재(108)의 기어톱니(106)에 치합되는 연동기어(110)에 축설된 연동축(112) 하단에 축설되는 연동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켓에 축설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는 상기 기어톱니(106)가 형성된 회전체(108a)와 상기 회전체(108a)를 받쳐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08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베어링(108c)이 설치된 받침부(108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08)의 하부와 베이스부(104)의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부재(108)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수평조정볼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정볼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작업대(102)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분산시켜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진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선별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4)의 하부 외측에서 회전작업대(102)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베이스부(104)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22)와;
    상기 지지대(122)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부의 투입공(124a)으로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하부의 배출공(124c)으로 배출될 때, 베이스부(104)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버켓(bucket)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선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작업대(102)의 외측 상부로 연장형성된 다수 개의 받침부재(127)와;
    상기 받침부재(127)의 타단에 기립된 상태로 회전작업대(102)의 둘레를 따라 환혀으로 설치되어 회전작업대(102)를 보호하도록 된 보호커버(1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선별장치.

KR1020160144203A 2016-11-01 2016-11-01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KR10172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03A KR101727437B1 (ko) 2016-11-01 2016-11-01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03A KR101727437B1 (ko) 2016-11-01 2016-11-01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437B1 true KR101727437B1 (ko) 2017-04-17

Family

ID=5870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203A KR101727437B1 (ko) 2016-11-01 2016-11-01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588A (zh) * 2020-05-11 2020-07-17 中国计量大学 一种可自动调整的自适应螺栓振动盘
CN114668205A (zh) * 2022-04-14 2022-06-28 宜禾股份有限公司 一种工作服自动化流水线式环形工作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19B1 (ko) * 2007-12-07 2009-09-04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101568175B1 (ko) * 2014-11-13 2015-11-12 (주)에스엠테크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의 수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19B1 (ko) * 2007-12-07 2009-09-04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101568175B1 (ko) * 2014-11-13 2015-11-12 (주)에스엠테크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의 수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588A (zh) * 2020-05-11 2020-07-17 中国计量大学 一种可自动调整的自适应螺栓振动盘
CN114668205A (zh) * 2022-04-14 2022-06-28 宜禾股份有限公司 一种工作服自动化流水线式环形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437B1 (ko)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EP0692356A2 (en) Method for prepar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 - synthetic plastic material composite
CN104690063B (zh) 生活垃圾破碎分选方法
KR20140080933A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Mikulionok Pretreatment of recycled polymer raw material
KR101568175B1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의 수선별장치
CN108357026A (zh) 一种废旧塑料粉碎收集装置
KR101742551B1 (ko) 고무 사상기
CN112476863A (zh) 一种塑料瓶环保再利用处理方法
KR20040051174A (ko) 목재칩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칩제조방법
CN106964450A (zh) 鼠笼式食用菌种植包料袋破碎分离装置
KR102294891B1 (ko)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KR101737855B1 (ko) 세탁기 내통의 베어링 하우징 분리 장치
CN212068901U (zh) 一种注塑用荧光增白剂的筛选装置
CN102873782B (zh) 一种造粒装置
KR102113331B1 (ko) Srf 제조용 생활폐기물 정량 투입장치
KR200478486Y1 (ko) 농축폐액 과립 자동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농축폐액 과립 고화 시스템
KR20130048818A (ko) 재생 플라스틱 분류 고정클램프
CN113634580A (zh) 一种建筑垃圾的环保处理方法
KR200263178Y1 (ko) 재활용품 분리기
CN213762310U (zh) 一种组合式多功能分选房
CN115805188B (zh) 一种便于分选的工业自动化螺栓筛选装置
KR102019744B1 (ko) 친환경 폐비닐 자동 해체기
KR101710163B1 (ko) 폐금속 파쇄기
CN218700613U (zh) 一种塑料瓶加工用余料切割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