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28B1 -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 - Google Patents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28B1
KR101726828B1 KR1020157006796A KR20157006796A KR101726828B1 KR 101726828 B1 KR101726828 B1 KR 101726828B1 KR 1020157006796 A KR1020157006796 A KR 1020157006796A KR 20157006796 A KR20157006796 A KR 20157006796A KR 101726828 B1 KR101726828 B1 KR 10172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el
plastic
screw
plastic dowel
f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485A (ko
Inventor
미카엘 하를라스
니콜라이 크리그
마틴 냐친스키
아드리안 베드나르지크
디에트마르 벡커
Original Assignee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4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04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out clamp members
    • E01B9/14Plugs, sleeves, thread linings, or other inserts for holes in sleepers
    • E01B9/18Plugs, sleeves, thread linings, or other inserts for holes in sleepers for concrete slee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2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in one piece with protrusions or ridges on th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16B37/122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 F16B37/125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the external surface of the insert being thre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Insulators (AREA)
  • Railway Track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Adorn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을 단단한 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플러그(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는 침목 볼트(2)를 도입하기 위한 플러그 개구부(3), 플러그 내부 공간(8), 플라스틱 플러그(1)의 종방향(LR)으로 플러그 개구부(3)에 연결되는 생크부(4) 및 플라스틱 플러그(1)의 종방향(LR)으로 생크부(4)에 연결되고 외측에 반경방향(R)으로 돌출되고 원주 둘레로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1)를 구비하는 유지부(5)를 포함한다. 표면 근처의 단단한 기부에서의 크랙은 플러그 개구부(3) 쪽에 플라스틱 플러그(1)의 종축선(L)에 대해 90°± 3°의 각도(β1)로 배치된 돌기(11)의 상부 플랭크(12)에 의해 방지된다.

Description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PLASTIC PLUG FOR SECURING A RAIL}
본 발명은 단단한 기부 상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 다월(dowel)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플라스틱 다월은 레일 스크류를 플라스틱 다월 내에 삽입하기 위해 플라스틱 다월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다월 개구부와, 플라스틱 다월에 의해 둘러싸인 다월 내부 공간과,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다월 개구부에 연결되는 생크부와,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생크부에 연결되는 유지부를 포함한다.
유지부는 일반적으로 그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와 계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한다. 동시에, 유지부는 일반적으로 그 내측에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며, 레일 스크류가 그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이 내부 나사산에 나사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월과 레일 스크류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레일 수송에 부과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현대의 레일 차량용 궤도는 일반적으로 궤도의 레일들이 콘크리트로 캐스트(cast)된 침목 또는 슬라브 상에 놓이는 이른바 "무도상 궤도(ballastless track)"로 깔린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도상 궤도에서도, 현재는 대부분, 콘크리트로 캐스트된 침목 캐스트가 자갈 도상 위에 놓인다.
레일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정점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침목 또는 슬라브에 의해 형성되는 단단한 기부에 지지되어 레일의 기부에 작용하고 이에 따라 레일을 측방향으로 안내는 안내판, 안내판 상에 지지되고 레일 기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암과 함께 작용하여 레일의 탄성 하방 지지를 위해 요구되는 단단한 기부를 향해 가해지는 하방 지지력(holding-down force)을 레일 기부에 인가하는 스프링 요소, 단단한 기부에 끼워지는 다월 및 다월에 나사 체결되어 스프링 요소를 단단한 기부에 대해 지탱시키며 일반적으로 스크류 또는 나사 볼트로서 구성된 레일 스크류를 포함한다.
단단한 기부를 형성하는 침목 또는 슬라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기타 유동성 소재로 캐스트된다. 이 경우 각각의 고정점들에 필요한 다월들은 일반적으로, 고정될 레일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단단한 기부의 자유 상측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다월 개구부와 정렬되도록, 단단한 기부의 소재 내에 직접 캐스트된다.
각각의 단단한 기부에 착좌된 다월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다월은 레일 스크류의 단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다월은 이미 장착된 레일에 스프링 요소를 클램핑하는 데에 요구되는 인장력들을 지탱하고, 이 인장력들을 레일 차량이 각각의 레일 고정점 위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동적 응력들과 함께 단단한 기부로 안내한다.
다른 한편으로, 다월은 전기 절연체로서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도전성 스틸로 이루어지는 레일 스크류 클램핑 요소가 이 다월을 통해서 각각의 단단한 기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동시에, 다월은 각기 다른 나사산 형태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마모된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고 있는 종류의 다월은 또한 단단한 기부를 형성하는 부품을 제조하는 중에 간단하게 올바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다월들이 예를 들어 유럽특허 EP 0 785 308 B1 또는 독일특허공개공보 DE 10 2011 103 127 A1에 공지되어 있다. 플라스틱으로 다월을 제조하면 플라스틱 다월의 형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약간의 제약만 있고 또한 절연체 효과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 경험에 의하면, 다월 주변에서 현재 발생하는 고응력 하에서 각각의 단단한 기부에, 특히 기판의 지지면에 가까운 표면층에 크랙(crack)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크랙들에 의해서 각각의 단단한 기부를 형성하는 부품이 파괴되는 정도에 이를 수도 있다.
설치 상태에서 매끄러운 원주면을 구비한 다월 주변에 단지 최소한의 부하만이 발생한다는 점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고 있는 종류의 플라스틱 다월의, 설치 상태에서 단단한 기부의 지지면에 접하는, 생크부는 일반적으로 매끄럽고 균일한, 원통형 또는 다월 팁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원주면을 구비한다.
그러나, 레일 고정점에 스프링 요소를 클램핑하는 데 요구되는 힘들을 흡수하기 위해서 단단한 기부의 캐스트 소재(콘크리트)와 다월 사이에 특정한 브레이싱(bracing)이 필요하다. 이는 실제로는 설치 상태에서 다월이 단단한 기부의 주변 소재에 대해 포지티브 연결(positive connection)되는 것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다월의 유지부 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이에 따라 칼라(collar) 형태의 원주형 돌기들이 유지부 상에 다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다월들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돌기가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다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사산 형태는 다월이 마모로 인해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스크류 방식에 의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다월용으로 단단한 기부에 구비된 소켓으로부터 나사 풀림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나사산은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다월에 나사 체결된 레일 스크류를 거쳐서 다월에 가해지는 인장력들이 외부 나사산의 플랭크들을 거쳐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다월들에 의하면, 실제 사용시 발생하는 응력들에 의해 특정의 단단한 기부에 설치된 다월 주변에 크랙들이 발생할 불가피한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독일특허공개공보 DE 10 2011 103 127 A1에서는, 다월의 유지부 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거쳐서 단단한 기부의 인접 소재로 안내되는 응력 피크(stress peak)들이 이 크랙 형성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응력 피크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일특허공개공보 DE 10 2011 103 127 A1에서는 나사산에 더욱 균일한 대면적의 응력 분포를 달성할 수 있는 특정한 형상을 부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배경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단단한 기부 내의 표면 근처에 크랙들이 형성될 위험을 최소화시키는 플라스틱 다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설치 상태에서 크랙 형성의 위험이 역시 최소한으로 감소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도 제공될 것이다.
다월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인 제1항 또는 제3항 중 한 항을 따라 구성된 플라스틱 다월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었다.
플라스틱 다월 및 레일 스크류 결합체와 관련해서는,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5항에 따른 결합체를 구성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발명 사상으로서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두 개의 독립 청구항들인 제1항 및 제3항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처음에 제시된 종래 기술과 일치하게 단단한 기부 상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은, 각각의 경우에서, 레일 스크류를 플라스틱 다월 내에 삽입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다월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다월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은, 각각의 경우에서, 플라스틱 다월에 의해 둘러싸인 다월 내부 공간과, 종방향에서 볼 때 다월의 타측 단부면 상에 구성된 다월 팁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은, 각각의 경우에서,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볼 때 플라스틱 다월의 다월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접하는 생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은, 각각의 경우에서,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생크부와 접하는 유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부의 원주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 돌기가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되는데, 이 돌기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와 계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유지부가 다월 내부 쪽에 배치된 내측에 내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다월의 유지부의 적어도 한 돌기의 나사 개구부 쪽에 배치된 나사 플랭크는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90° ± 3°의 각도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다월의 생크부의 내주면은 평평하게 구성되고, 플라스틱 다월의 유지부 영역에는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내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나사 플랭크는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90°± 3°의 각도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두 실시예 모두, 별도로 실시하는 경우에도, 다월이 각각의 단단한 기부 내에 삽입된 경우에 횡력들 및 응력 피크들이 다월 주변으로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 각각은, 별도로 실시하는 경우에도, 레일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플라스틱 다월에 대해 명시된 목적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에 본 발명의 두 실시예들을 동시에 적용하면 본 발명의 최적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생크부는 그 외측면 및 내측면 모두 평평하게 구성되고, 유지부의 외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돌기가 구비되고, 유지부의 내측에는 내부 나사산이 구비되며, 외측에 존재하는 돌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 및 내측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 둘 다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과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유지부의 그 각각이 접하는 벽면과 90°± 3°의 각도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의 두 실시예 모두, 각각의 유지부에 구비된 돌기 또는 나사산(유지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 또는 외부 나사산 및/또는 내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를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적절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설치 상태에서 횡력들 및 응력 피크들이 플라스틱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를 두고 있다. 각각의 돌기 또는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를 향하는 플랭크들은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더 정확하게 직각으로 정렬될수록, 설치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로부터 멀리 단단한 기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응력에 다월의 주변부들이 더 적게 노출된다.
각각의 나사산 또는 돌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가 다월 종축선에 대해 정확하게 90°로 정렬되면, 반경방향으로는 어떤 힘도 이 플랭크를 거쳐서 단단한 기부의 주변 소재로 안내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설치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에 나사 체결된 레일 스크류에 의해 가해지고 각각의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다월의 주변부로 안내되는 인장력들의 부분은 "0"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다월 플랭크가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90°± 1°의 각도로, 특히 정확하게 90°의 각도로 정렬된다. 이 경우 특히 플라스틱 다월의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특히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돌기와 관련하여,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되는 돌기의 플랭크가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정렬되는 각도의 범위를 언더컷을 방지하기 위한 생산 공차의 범위 내에서 90 내지 91°로 제한하는 것이 생산 기술상의 이유로 편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에서는,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특히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돌기 및 유지부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나사산은, 각각의 경우에, 설치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의 상부 생크부의 특히 평평한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유지부의 영역에서도 반경방향으로 진행하는 응력에 의해 플라스틱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에 단지 최소한의 응력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유지부의 영역에는 단지 크랙들이 형성될 최소한의 위험만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실제 사용시에 다월 주변부에 최소 응력이 가해지는 다월 영역의 길이는 본 발명에 의해서 상당한 양만큼 늘어난다. 동시에 설치 상태의 플라스틱 다월은 이미 유지부에서 소재에 의해 단단한 기부에 포지티브하게 클램핑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된 플라스틱 다월의 각각의 단단한 기부에 대한 고정을 더욱 확고하게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제2 유지부가 제1 유지부에 연결될 수 있고,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유지부의 외측에 돌기로서 구비된 외부 나사산 및 유지부의 각각의 내부 나사산이 제2 유지부에서 계속 이어진다.
이 경우, 나사부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외측에 구비된 돌기들의 또는 외부 나사산의 나사 플랭크 및 내부 나사산의 나사 플랭크는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에 대해 93°를 초과하는 각도로 배치되거나 혹은 외측으로 둥글게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으로 둥글게 형성(rounded out)"이란 나사부에 구비된 돌기들의 또는 나사부에 형성된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가 반경방향으로 볼 때 연속적으로 만곡된 프로파일로 각각의 돌기 또는 나사산의 다월 팁 쪽에 배치된 플랭크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 기술상의 이유로 혹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에 대한 노치 효과(notch effect)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돌기의 또는 내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플랭크와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과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플라스틱 다월의 상기 플랭크와 관련된 외주면 또는 내주면 사이의 전이부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지부에 구비된 적어도 한 돌기(외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 플랭크는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다월의 원주벽에 이어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유지부의 내부 나사산의 다월 개구부 쪽 플랭크와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정렬된 유지부의 내주면 사이의 전이부는 둥글게 형성되거나 혹은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월 팁 쪽에 배치된 외부 돌기의 플랭크의 형상은 단지 최소한의 힘들만이 다월에서부터 이 플랭크를 거쳐서 단단한 기부의 주변부 소재까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플랭크는 다월 팁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정렬될 수 있거나 혹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다월 팁 쪽에 배치된 유지부의 내부 나사산의 플랭크는 레일 스크류의 나사 생크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각기 다른 나사산 형상들과 최대로 호환가능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돌기(외부 나사산)의 다월 팁 쪽에 배치된 플랭크 또는 제1 유지부의 내부 나사산의 플랭크가 각각의 경우에 볼록하게 만곡되면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설치 상태에서 제2 유지부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의 주변부로 전달되는 응력들은 균질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방향 구역에서 볼 때, 다월 개구부 쪽에 배치된 제2 유지부의 돌기의 플랭크 또는 내부 나사산의 플랭크와 다월 팁 쪽에 배치된 관련된 돌기 또는 내부 나사산의 플랭크 사이의 전이부는 볼록하게 만곡되는 연속 곡선으로서 둥글게 형성된다. 특히 제2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돌기가 둥근 형상을 가짐에 따라, 캐스트된 다월의 총 내인열성(tear-out resistance) 중 가장 큰 비율이 단단한 기부의 더욱 깊은 영역에 놓이기 때문에 설치 상태에서 다월의 높은 인발력(pull-out force)들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1 플라스틱 다월의 영역에서 설치 상태의 단단한 기부의 주변부 소재로 전달되는 응력은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유지부 영역의 플라스틱 다월 외측에 계단부와 접하며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가 형성되고, 이 웨브는 그 기부 영역의 폭이 플라스틱 다월의 원주의 적어도 15분의 1, 특히 적어도 12분의 1이고, 이 웨브는 제1 유지부의 돌기(외부 나사산)를 가로지르며 그 최상면은 반경방향으로 계단부의 포락면의 가상의 연장부까지 최대로 연장한다. 웨브의 폭은, 각각의 경우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기부 영역에서 플라스틱 다월의 원주의 최대 4분의 1로 제한된다.
최상면을 가지고서 플라스틱 웨브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해당 웨브는 단단한 기부와 플라스틱 다월의 제1 유지부 간의 포지티브 브레이싱에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생크부의 매끄러운 원주면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하여, 각각의 경우에,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분포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웨브들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제1 유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돌기의 형상 및 양측면이 매끄럽고 설치 상태에서 침목의 종축선에 직각으로 정렬되는 선택적으로 구비된 웨브들의 외측면들을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한 결과로서 생크부와 접하는 제1 유지부의 영역의 주변부 콘크리트에는 단지 작은 횡력들만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월에서는, 횡력들이 다월 둘레에 회전 대칭으로 분포된 단단한 기부로 전달되지 않는 대신, 예를 들어 보강재가 단단한 기부에 삽입되는 결과로서, 단단한 기부의 소재가 이 응력들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일 방향으로 명확하게 안내된다.
제1 나사부의 영역에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장홈 형상의 오목부들이 다월 내부 쪽에 배치된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장홈들은 내부 나사산을 거쳐서 전달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응력들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설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의 주변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웨브들이 플라스틱 다월의 외측에 형성되면, 다월의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장홈이 플라스틱 다월 외측에 구비되고 그 각각에 대해 배치된 웨브의 영역에 형성된다.
레일 스크류 및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플라스틱 다월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결합체에 있어서, 레일 스크류는 스크류 헤드와 레일 스크류의 종방향으로 스크류 헤드에 이어지는 나사형 생크를 구비하며, 나사형 생크에는 순환형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 나사산의 스크류 헤드 쪽에 배치된 나사 플랭크는 레일 스크류의 종축선에 대해 90°± 3°의 각도로 정렬된 것이 특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결합체에 사용되는 레일 스크류는 단지 최소한의 힘들만을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리 안내되는 반경방향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나사산의 스크류 헤드 쪽에 배치된 나사 플랭크는 레일 스크류의 종축선에 대해 가능한 한 정확하게 직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 스크류의 스크류 헤드 쪽 나사 플랭크가 제조 공차의 한계 내에서 레일 스크류의 종축선에 대해 90°± 최대 1°의 각도로 정렬된다.
실제 사용을 위한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실시예는 레일 스크류의 코어 직경이, 적어도 스크류 나사산이 구비된 영역에서, 스크류 팁 방향으로 감소하고, 스크류 나사산의 직경은 나사 생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 즉 나사 생크의 원통형으로 구성된 포락면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레일 스크류의 코어는 스크류 팁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진다.
레일 스크류의 나사 코어의 스크류 팁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에 의해, 레일 스크류가 플라스틱 다월에 나사 체결될 때 스크류의 코어와 플라스틱 다월 사이의 나사 피치들의 영역에 레일 스크류의 나사 체결 및 풀림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먼지가 수집될 수 있는 빈 공간이 남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에서는, 스크류에서의 축선방향 인장 하중 하에서 스크류 코어로부터 나사산 플랭크들까지 이어지는 전이부가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결과, 오직 스크류 축선으로만 작용하는 인장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다월 벽의 방향으로 스크류에 직각이고 다월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로 향하는 횡력과 접선력이 크게 감소되는 방식으로, 스크류의 나사산과 다월의 내부 나사산이 서로에 대해 최적화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의 내부 나사산 형성에 의해서는, 한편으로는 나사산 플랭크들을 거쳐서 작은 횡력들만 수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월 벽과 스크류 코어 간에 어떠한 접촉도 없어 결과적으로 스크류의 힘(가압력)이 다월 벽으로 전달되는 것 역시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크류 직경의 그 코어 직경에 대한 비가 스크류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더 커지기 때문에, 다월 내부의 영역에서 스크류와 다월 사이의 빈 부피가 통상의 스크류/다월 결합체와 비교하여 최고 50% 이상 더 크게 얻어지고, 그 결과 레일 고정 시스템의 장착/분해 도중에 다월로 들어가는 불순물들(예컨대, 모래)이 새롭게 나사 체결하는 중에 손상을 덜 일으킨다.
또한, 스크류 코어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인해 다월 내부는 다월 팁 방향으로 상응하게 테이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월의 외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면 단단한 기부의 소재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다월 간의 접촉/겹침 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그 결과, 이는 내인발력의 증가에 기여한다.
또한 원주면이 매끄럽게 구성된 생크부도, 바람직하게는 생크부의 원주면의 포락면이 레일 스크류의 나사부의 원통형 포락면과 일치하는 이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전달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레일 스크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의 플라스틱 다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라스틱 다월의 제1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플라스틱 다월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플라스틱 다월을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을 중심을 90° 회전시켜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의 레일 스크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레일 스크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를 레일 스크류가 플라스틱 다월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을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K)는 플라스틱 다월(1)과 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레일 스크류(2)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다월(1)은 칼라(collar) 식으로 구성된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다월 개구부(3),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다월 개구부(3)와 접하는 생크부(4),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으로 생크부에 이어지는 제1 유지부(5), 플라스틱 다월(1) 종방향(LR)으로 제1 유지부와 접하는 제2 유지부(6), 다월 팁(7) 및 생크부(4)와 유지부들(5, 6)에 의해 한정되는 다월 내부(8)를 구비한다.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과 동심으로 정렬된 관통 개구부(9)가 다월 팁(7)에 형성되고, 플라스틱 다월(1)에 들어간 수분이이 관통 개구부를 거쳐 흘러나올 수 있다.
생크부(4)의 외주면(10)은 외주면(10)이 생크부(4)의 원통형 포락면(envelope)(U)과 일치하도록 원통형이고 매끄럽게 이루어진다.
외부 나사산 형태의 돌기(11)가 제1 유지부(5)에 형성되고, 이 돌기는 생크부(4)와 제1 유지부(5)의 경계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월 팁(7) 방향으로 제1 유지부(5)의 둘레를 따라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서 이어진다. 여기서 돌기(11)는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상부 플랭크(12)를 구비하고, 이 상부 플랭크는 종축선(L)에 대해 90°의 각도(β1)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상부 플랭크(12)는 종축선(L)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플라스틱 다월(1)의 이웃한 외주벽면과 동일한 직각(β1)을 이룬다. 생산 기술상의 이유로 그리고 노치 효과를 피하기 위해, 상부 플랭크(12)와 이에 상응하는 벽면(13) 사이의 전이부(14)는 목구멍(throat)처럼 만곡되어 있다.
원주벽면과 반대편에 있는 자유 모서리에서, 돌기(11)의 상부 플랭크(12)는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과 축선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돌기의 최상면(15)에 접한다. 여기서 최상면(15)은 또한 생크부(4)의 원통형 포락면(U) 상에도 놓인다.
다월 팁(7) 쪽에 배치된 돌기(11)의 하부 플랭크(16)는 최상면(15)에 접한다. 돌기(11)의 하부 플랭크(16)는 볼록하게 외측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여기서 둥근 목구멍처럼 플라스틱 다월(1)의 원주벽면(13)으로 이어진다.
유지부(5)의 영역에서, 외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된 돌기는 생크부(4)가 제1 유지부(5)의 길이(H1) 만큼 연장한 연장부로서 서로 반대쪽에서 연장하는 두 개의 웨브(17, 18)에 의해 차단된다. 웨브들(17, 18)은 기부 영역에서 생크부의 원주 길이의 대략 14%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웨브들(17, 18)은 그 단면이 외측을 향해 반원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최상부 영역(19)에서는 포락면(U)의 곡률 반경에 따라 평평해진다. 최상부 영역(19)은 또한 생크부(4)의 포락면(U) 상에 놓이고 이에 따라 웨브들(17, 18)의 최상부 영역(19)은 생크부(4)의 원주면(10)으로 매끄럽게 이어진다.
제2 유지부(6)의 영역에서,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된 제1 유지부의 돌기(11)는 역시 둥근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된 돌기(20)로서 계속 이어진다. 이에 따라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형 돌기(20)의 플랭크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연속 곡선으로 돌기(20)의 최상부 영역까지 이어지고, 최상부 영역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월 팁(7)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형 돌기(20)의 플랭크로 이어진다. 이 경우, 돌기(20)의 최상부는 플라스틱 다월(1)의 원통형 포락면 상에 놓인다.
내부 나사산(21)이 플라스틱 다월(1)의 내주면(23)에 형성되는데, 내부 나사산은 제1 및 제2 유지부들(5, 6)에 걸쳐서 연장하고 제1 및 제2 유지부들(5, 6)에 걸쳐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내부 나사산(21)의 상부 플랭크(22)는 이 경우에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90°의 각도(β2)로 정렬되고, 이에 따라 상부 플랭크(22)는 종축선(L)에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다월(1)의 내주면(23)과 동일한 직각(β2)을 이룬다. 내주면(23)과 내부 나사산(21)의 상부 플랭크(22) 사이의 전이부(24)는 여기서도 역시 만곡되어 있다.
동시에 상부 플랭크(22)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속적으로 만곡된 최상부 영역(25)까지 이어지고, 이 최상부 영역은 다시 다월 팁(7) 쪽에 배치되고 오목하게 만곡된 하부 플랭크(26)에 접한다. 하부 플랭크(26)는 다월(1)의 내주면(23)까지 매끄럽게 이어진다.
제1 유지부(5)의 영역에서, 내부 나사산(21)은 플라스틱 다월(1)의 내측에서 제1 유지부(5)의 높이(H1)에 걸쳐서 웨브들(17, 18)까지 반대쪽으로 연장하는 장홈 형태의 오목부(27)들에 의해 차단된다. 도 4의 선택도에는 웨브(18) 쪽에 배치된 오목부(27)만 도시되어 있다. 웨브들(17, 18)과 마찬가지로, 오목부(27)들 역시, 생크부(4)의 매끈한 내주면(28)을 늘린다는 의미에서, 횡력이 제1 유지부(5)에서 시작해서 설치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1)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solid substrate)까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내부 나사산(21)의 상부 플랭크(22), 최상부 영역(25) 및 하부 플랭크(26)의 형상과 크기는 각기 다른 형상의 나사산들을 구비한 레일 스크류(2)들이 플라스틱 다월(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설명하는 종류의 레일 스크류(2)는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K)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레일 스크류(2)는 스크류 헤드(30), 레일 스크류(2)의 종방향(LR)으로 스크류 헤드(30)에 연결된 생크부(31) 및 종방향(LR)으로 생크부(31)에 연결되고 외부 나사산(33)을 구비한 나사부(32)를 구비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생크부(31)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대로 직경이 스크류 헤드(30)보다 작고, 매끄러운 원주면(34)을 구비한다. 생크부는 레일 스크류(2)의 전체 높이(HS)의 약 24% 정도로 연장한다.
나사부(32)의 영역에서, 레일 스크류(2)의 코어(35)는 레일 스크류(2)의 팁(36)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동시에, 생크부(31)와 접하며 나사부(32) 전체 길이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상부 영역(37)에서, 코어(35)는 처음에 커다란 피치를 가지고 원뿔형으로 테이퍼지고 이후 나사부(32)의 나머지 길이 부분에서는 처음보다는 작은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스크류 팁(36)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진다.
스크류 헤드(30)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산(33)의 상부 플랭크(38)와 스크류 팁(36)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산(33)의 하부 플랭크(39)는 각각 레일 스크류의 종축선(L)에 대해 90°의 각도(β3)로 정렬된다. 동시에, 플랭크들(38, 39)을 연결하는 외부 나사산의 최상부 영역(40)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원 형상을 그린다. 이 경우 최상부 영역(40)의 최상부는 레일 스크류(2)의 생크부(31)의 원통형 포락면(US) 상에 놓인다.
코어(35)가 스크류 팁(36)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결과, 레일 스크류(2)가 플라스틱 다월(1)에 나사 체결될 때, 다월 팁(7) 쪽에 배치된 다월 내부(8)의 하부 영역에 확장된 빈 공간(41)이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다월(1)으로 유입되는 먼지가 레일 스크류(2)가 나사 체결되고 또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구성에 의해, 설치 상태에서, 제1 유지부(5) 영역에서,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횡방향으로는 겨우 최소한의 크기로 정렬된 힘들이 플라스틱 다월에서 멀리 반경방향(R)으로 플라스틱 다월(1)을 수용하는 단단한 기부의 플라스틱 다월(1)을 둘러싸는 소재로 안내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영역에서 크랙이 형성될 위험성도 어떤 횡력도 플라스틱 다월(1)을 둘러싸는 소재로 안내되지 않는 매끄러운 원주면(10) 상의 생크부(4)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소화된다.
1: 플라스틱 다월
2: 레일 스크류
3: 다월 개구부
4: 플라스틱 다월(1)의 생크부
5: 플라스틱 다월(1)의 제1 유지부
6: 플라스틱 다월(1)의 제2 유지부
7: 플라스틱 다월(1)의 다월 팁
8: 플라스틱 다월(1)의 다월 내부
9: 다월 팁(7)의 관통 개구부
10: 생크부(4)의 외주면
11: 제1 유지부(5)의 외측에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된 돌기
12: 돌기(11)의 상부 플랭크
13: 플라스틱 다월(1)의 원주벽면
14: 상부 플랭크(12)와 원주벽면(13) 사이의 전이부
15: 돌기(11)의 최상면
16: 돌기(11)의 하부 플랭크
17, 18: 웨브들
19: 웨브들 각각의 최상부 영역
20: 둥근 외부 나사산으로서 구성된 제2 유지부(6)의 돌기
21: 플라스틱 다월의 내부 나사산
22: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내부 나사산(21)의 상부 플랭크
23: 플라스틱 다월(1)의 내주면
24: 내주면(23) 사이의 전이부
25: 내부 나사산(21)의 최상부 영역
26: 다월 팁(7)에 배치된 내부 나사산(21)의 하부 플랭크
27: 장홈 형상의 오목부들
28: 생크부(4)의 매끄러운 내주면
30: 레일 스크류(2)의 스크류 헤드
31: 레일 스크류(2)의 생크부
32: 레일 스크류(2)의 나사부
33: 레일 스크류(2)의 외부 나사산
34: 생크부(31)의 원주면
35: 레일 스크류(2)의 코어
36: 레일 스크류의 팁
37: 계단부(31)에 접하는 나사부(31) 영역
38: 스크류 헤드(30)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산(33)의 상부 플랭크
39: 스크류 팁(36) 쪽에 배치된 외부 나사산(33)의 하부 플랭크
40: 플라스틱 다월(1)의 스크류가 나사 체결될 때 비는 공간
H1: 제1 유지부(5)의 높이
HS: 레일 스크류(2)의 높이
K: 스크류-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L: 플라스틱 다월의 종축선
LR: 종방향
R: 반경방향
β1: 종축선(L) 또는 종축선(L)에 동심으로 정렬된 원주벽면(13)과 돌기(11)의 상부 플랭크(12) 사이에 형성된 각
β2: 종축선(L) 또는 종축선(L)에 동심으로 정렬된 플라스틱 다월(1)의 내주면(23) 사이에 형성된 각
β3: 외부 나사산(33)의 상부 및 하부 플랭크들(38, 39)이 각각 레일 스크류(2)의 종축선(LS)에 대해 정렬되는 각도
U: 생크부(4) 및 유지부들(5, 6)의 원통형 포락면
US: 생크부(31)의 포락면

Claims (20)

  1. 단단한 기부 상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 다월으로서,
    레일 스크류(2)를 플라스틱 다월(1) 내에 삽입하기 위해 플라스틱 다월(1)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다월 개구부(3)와,
    플라스틱 다월(1)에 의해 둘러싸인 다월 내부 공간(8)과,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다월 개구부(3)에 연결되는 생크부(4)와,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생크부(4)에 연결되는 유지부(5)를 구비하고,
    유지부는 그 외측에, 원주 둘레로 진행하고 반경방향(R)으로 돌출하며,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다월(1)을 둘러싸는 단단한 기부의 소재와 계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1)를 구비한, 플라스틱 다월에 있어서,
    유지부(5)의 돌기(11)의 상부 플랭크(12)로서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상부 플랭크(12)는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90°± 3°의 각도(β1)로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부(5)의 돌기(11)는 외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3. 단단한 기부 상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 다월으로서,
    레일 스크류(2)를 플라스틱 다월(1) 내에 삽입하기 위해 플라스틱 다월(1)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다월 개구부(3)와,
    플라스틱 다월(1)에 의해 둘러싸인 다월 내부 공간(8)과,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다월 개구부(3)에 연결되는 생크부(4)와,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LR)으로 생크부(4)에 연결되는 유지부(5)를 구비하고,
    유지부는 그 내측에 내부 나사산(21)을 구비한, 플라스틱 다월에 있어서,
    내부 나사산(21)의 플랭크(22)로서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플랭크(22)는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90°± 3°의 각도(β2)로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생크부(4)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10)은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다월의 종방향(LR)으로 제1 유지부(5)와 연결되는 제2 유지부(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지부(6)에도 역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11)가 형성되거나 혹은 각각의 내부 나사산(21)이 이어지고,
    제2 유지부(6)에 있는 돌기(11)의 또는 내부 나사산(21)의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플랭크는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93°를 초과하는 각도로 배치되거나 혹은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지부(5)에 있는 상부 플랭크(12)로서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플랭크(12)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에 대해 90°± 1°의 각도로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돌기(11)의 또는 내부 나사산(21)의 플랭크(12)로서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플랭크(12)로부터 각각에 상응하게 배치된 다월(1)의 원주면(10, 23)으로서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지향된 원주면(10, 23)까지의 전이부는 둥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돌기(11)의 또는 내부 나사산(21)의 하부 플랭크(16, 26)로서 다월 팁(7) 쪽에 배치된 하부 플랭크(16, 26)는 볼록한 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볼 때, 제2 유지부(6)의 돌기(11)의 또는 내부 나사산(21)의 상부 플랭크(12, 22)로서 다월 개구부(3) 쪽에 배치된 상부 플랭크(12, 22)로부터 해당 돌기(11)의 또는 내부 나사산(21)의 플랭크(16, 26)으로서 다월 팁(7) 쪽에 배치된 상기 플랭크(16, 26)까지의 전이부가 연속적으로 만곡된 볼록한 돔 형태로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유지부(5)의 영역 내의 플라스틱 다월(1) 외측에, 생크부(4)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웨브(17, 18)가 형성되고,
    - 상기 웨브의 폭은 그 기부 영역에서 플라스틱 다월의 원주의 적어도 15분의 1이고,
    - 상기 웨브가 제1 유지부(5)의 돌기(11)를 가로지르고, 그리고,
    - 상기 웨브의 최상면(19)은 반경방향(R)으로 볼 때 생크부(4)의 포락면(U)의 가상의 연장부까지 최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1. 제10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다월(1)의 종축선(L)을 중심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분포된 둘 이상의 웨브들(17, 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지부의 영역에, 플라스틱 다월(1)의 종방향(LR)으로 연장하는 장홈 형태의 오목부(27)가 다월 내부 공간(8) 쪽에 배치된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3. 제12항에 있어서,
    오목부(27)는 각각의 경우에 플라스틱 다월(1)의 외측에 구비된 웨브(17, 18)의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4. 제13항에 있어서,
    오목부(27)는 내부 나사산(21)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다월.
  15. 레일 스크류(2)와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라 형성된 플라스틱 다월(1)의 결합체로서,
    레일 스크류(2)가 스크류 헤드(30) 및 레일 스크류(2)의 종방향(LR)으로 스크류 헤드(30) 다음에 이어지는 나사형 생크를 구비하며,
    순환형 스크류 나사산(33)이 상기 나사형 생크에 형성된,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에 있어서,
    스크류 나사산(33)의 상부 플랭크(38)로서 스크류 헤드(30) 쪽에 배치된 상기 플랭크(38)가 레일 스크류(2)의 종축선(LS)에 대해 90°± 3°의 각도(β3)로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부 플랭크(38)가 레일 스크류(2)의 종축선(LS)에 대해 90°± 1°의 각도(β3)로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17. 제15항에 있어서,
    레일 스크류(2)의 코어(35)가, 적어도 스크류 나사산(33)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스크류 팁(36)을 향해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스크류 나사산(33)이 나사형 생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형 생크의 원통형 포락면(US)까지 반경방향(R)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19. 제15항에 있어서,
    레일 스크류(2)가, 스크류 헤드(30)와 나사부 사이에, 원주면이 매끄러운 생크부(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생크부(31)의 원주면의 포락면(US)은 나사부(32)의 원통형 포락면(US)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크류 및 플라스틱 다월 결합체.
KR1020157006796A 2012-08-22 2013-08-16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 KR101726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7732.0A DE102012107732A1 (de) 2012-08-22 2012-08-22 Kunststoffdübel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und Kombination aus einem solchen Kunststoffdübel und einer Schwellenschraube
DE102012107732.0 2012-08-22
PCT/EP2013/067171 WO2014029704A1 (de) 2012-08-22 2013-08-16 Kunststoffdübel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485A KR20150045485A (ko) 2015-04-28
KR101726828B1 true KR101726828B1 (ko) 2017-04-14

Family

ID=4898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796A KR101726828B1 (ko) 2012-08-22 2013-08-16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945078B2 (ko)
EP (1) EP2888407B1 (ko)
KR (1) KR101726828B1 (ko)
CN (1) CN104704172B (ko)
AP (1) AP2015008274A0 (ko)
AR (1) AR092181A1 (ko)
BR (1) BR112015003535A2 (ko)
CA (1) CA2882374C (ko)
DE (2) DE102012107732A1 (ko)
DK (1) DK2888407T3 (ko)
EA (1) EA030584B1 (ko)
ES (1) ES2572684T3 (ko)
HU (1) HUE028886T2 (ko)
IN (1) IN2015DN01426A (ko)
MX (1) MX358398B (ko)
PL (1) PL2888407T3 (ko)
TW (1) TWI617718B (ko)
WO (1) WO2014029704A1 (ko)
ZA (1) ZA201501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2357A1 (de) * 2016-07-06 2018-01-11 Spax International Gmbh & Co. Kg "Dübelschraube"
US10669735B2 (en) * 2017-08-28 2020-06-02 Matthew Johnson Marker stabilizer
CN107830036A (zh) * 2017-11-30 2018-03-23 四川圣亚凯紧固器材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件固定用的自膨胀射钉
WO2019136313A1 (en) * 2018-01-04 2019-07-11 KidKraft, Inc. Play structure and play structure assembly methods
DE102018100554A1 (de) 2018-01-11 2019-07-11 Schwihag Ag Schienenbefestigungssystem
GB202005894D0 (en) * 2020-04-22 2020-06-03 Wastling Michael Fast-acting toggling armature uses centring spring
CN113818711A (zh) * 2021-08-31 2021-12-21 江苏文泰节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外墙板加固铆钉及外墙板的加固方法
CN114790668B (zh) * 2022-04-25 2024-02-27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带侧挡的低高度减振扣件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6442A (ko) *
US1168770A (en) * 1912-01-16 1916-01-18 Raoul Diaz Wagner Expansion-socket.
US1227627A (en) * 1914-06-19 1917-05-29 Clements Company Wall-socket.
US2560951A (en) * 1948-10-18 1951-07-17 Clover Ind Inc Embedded screw-threaded socket
US3143917A (en) * 1960-10-03 1964-08-11 Guy O Conner Expansible stud member for an untereaded hole
FR1300817A (fr) * 1961-06-22 1962-08-10 Cheville de scellement
DE2254602C2 (de) * 1972-11-08 1974-12-05 Tox-Duebel-Werk Richard W. Heckhausen Kg, 7762 Ludwigshafen Spreizdübel
US3834438A (en) * 1973-01-17 1974-09-10 Yardley Prod Ultrasonic inserts
US3921496A (en) * 1974-11-04 1975-11-25 J Frank Helderman Fastener assembly
DE2520019C2 (de) * 1975-05-06 1983-03-24 Bernal AG, Reinach Spreizdübel aus Kunststoff
US4488843A (en) * 1982-07-16 1984-12-18 Illinois Tool Works Inc. Reusable one piece drive fastener
DE4000782A1 (de) * 1990-01-12 1991-08-08 Boellhoff & Co Gewindeeinsatz
FR2677677B1 (fr) * 1991-06-17 1996-07-05 Urba Insert pour ancrage de fixation de traverses de chemin de fer.
US5641256A (en) * 1994-06-09 1997-06-24 Npc, Inc. Anchoring device for a threaded member
PT785308E (pt) 1996-01-17 2003-08-29 Vossloh Werke Gmbh Cavilha roscada de material plastico
US5738728A (en) 1996-07-26 1998-04-14 Bio Dot, Inc. Precision metered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IT247118Y1 (it) * 1999-11-05 2002-05-02 Mauri Flli Srl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traversi e simili a coppie di rittiquali gambe di sedie, tavoli e simili
CN2421312Y (zh) * 1999-11-29 2001-02-28 铁道部鞍山工务器材厂 一种混凝土轨枕的预埋塑料套管及螺纹道钉
US7101134B2 (en) 2001-06-19 2006-09-05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having multiple lobed thread
ES1049585Y (es) * 2001-07-10 2002-04-16 Aparellaje Electrico Sl Taco para empotrar
CN2571823Y (zh) * 2002-09-14 2003-09-10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混凝土岔枕用塑料套管及其组件固定装置
CN2661748Y (zh) * 2003-01-23 2004-12-08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混凝土轨枕用塑料套管
DE102004004766A1 (de) 2004-01-29 2005-08-18 Schimpff, Frithjof, Dipl.-In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Gleisbauteils
DE102004044869B4 (de) * 2004-09-14 2013-05-08 Voestalpine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Führen einer Schiene auf einer Betonschwell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CN2784446Y (zh) * 2005-02-25 2006-05-31 沈长耀 铁路道岔垫板与混凝土岔枕联结的紧固机构
CN2871614Y (zh) * 2006-03-09 2007-02-21 北京祥和锦辰科技发展有限公司 预埋式螺纹紧固件定位套管
CN2934326Y (zh) * 2006-04-21 2007-08-15 上海颉灏机械有限公司 一种混凝土岔枕用预埋套管
CA2645985C (en) * 2007-12-14 2011-08-16 Press-Seal Gasket Corporation Grout and lifting tube
EP2196580B1 (de) 2008-12-10 2014-03-05 Vossloh-Werke GmbH Schraubdübel mit konischer Form für Schienenbefestigungen
CN102362436B (zh) 2009-03-24 2014-08-20 Nxp股份有限公司 节电方法及rfid标签
ES2571941T3 (es) 2009-12-09 2016-05-27 Vossloh Werke Gmbh Taco roscado para fijaciones de carril
GB2476460B (en) * 2009-12-22 2016-01-13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apparatus
TWM385613U (en) 2010-01-12 2010-08-01 Hwally Products Co Ltd screw
SI2576907T1 (sl) * 2010-05-26 2015-05-29 Schwihag Ag VloĹľek vijaka iz umetne snovi za pritrditev tirnice na prag
EP2431520B1 (de) * 2010-09-21 2015-06-17 Vossloh-Werke GmbH Schraubdübel für Schienenbefestigung
TWM404900U (en) 2010-12-03 2011-06-01 xian-zheng Huang Improved structure for wall n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82374A1 (en) 2014-02-27
TWI617718B (zh) 2018-03-11
US9945078B2 (en) 2018-04-17
EA030584B1 (ru) 2018-08-31
AP2015008274A0 (en) 2015-02-28
US20150211190A1 (en) 2015-07-30
CN104704172A (zh) 2015-06-10
IN2015DN01426A (ko) 2015-07-03
CA2882374C (en) 2016-11-01
DK2888407T3 (en) 2016-06-27
MX2015002131A (es) 2015-07-06
AR092181A1 (es) 2015-03-25
MX358398B (es) 2018-08-17
EP2888407B1 (de) 2016-03-16
EA201500157A1 (ru) 2015-08-31
CN104704172B (zh) 2017-03-08
DE102012107732A1 (de) 2014-05-15
DE202013103907U1 (de) 2013-10-16
WO2014029704A1 (de) 2014-02-27
EP2888407A1 (de) 2015-07-01
TW201416516A (zh) 2014-05-01
HUE028886T2 (en) 2017-01-30
PL2888407T3 (pl) 2016-09-30
ZA201501164B (en) 2016-01-27
ES2572684T3 (es) 2016-06-01
KR20150045485A (ko) 2015-04-28
BR112015003535A2 (pt)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828B1 (ko) 레일 고정용 플라스틱 플러그
US8814058B2 (en) Plastic screw anchor for securing a rail to a railroad tie
CN101216062B (zh) 具有塑料支撑件和塑料螺纹件的接合组件
RU2458200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MX2011005998A (es) Anclaje roscado con cabeza conica para acoplamiento a ferrocarril.
RU2564667C2 (ru)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US20130228634A1 (en) Screw dowel for fastening rails
EP1688540B1 (de)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sowie Führungsplatte
JP2010229784A (ja) レール締結装置
KR200441296Y1 (ko) 항만 크레인 레일용 앵커 볼트 장치 및 항만 크레인 레일시스템
RU200859U1 (ru) Закладная деталь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109072568B (zh) 用于支撑轨道车辆钢轨的垫板和带有该垫板的固定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