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434B1 -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 Google Patents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434B1
KR101726434B1 KR1020150028327A KR20150028327A KR101726434B1 KR 101726434 B1 KR101726434 B1 KR 101726434B1 KR 1020150028327 A KR1020150028327 A KR 1020150028327A KR 20150028327 A KR20150028327 A KR 20150028327A KR 101726434 B1 KR101726434 B1 KR 10172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lock
jack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097A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4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06Articulated towers, i.e. substantially floating structures comprising a slender tower-like hull anchored relative to the marine bed by means of a single articulation, e.g. using an articulated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1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by means of articulated towers, i.e. slender substantially vertically arranged structures articulated near the sea b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퍼드캔과 레그웰 사이의 오픈된 구조에 블록 분할 적용으로 탑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와,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탑재되는 보조블록과,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탑재되며 보조블록이 장입될 수 있도록 측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레그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에 있어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스퍼드캔을 탑재한 잭업리그에 다수의 보조블록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보조블록이 탑재된 다음 레그웰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스퍼드캔과 레그웰 사이에 오픈된 공간이 발생되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 상기 공간부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공간부에 보조블록이 장입되게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된 레그웰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LEGWELL OF JACK-UP RIG}
본 발명은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퍼드캔과 레그웰 사이의 오픈된 구조에 블록 분할 적용으로 탑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지상의 자원이 고갈되고 높아지는 에너지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적극적 방법으로 해양의 각종 천연자원을 개발하고 있다.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자원으로는, 지상에서 생산되는 원유 및 원유 시추에 따른 부산물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에너지가 있다.
또한 태양 에너지에 의해 지구에 전달되는 태양광과 태양열, 이에 의해 지구에서 발생되는 풍력과 파력, 및 행성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되는 조력 등의 재생 에너지가 있다.
해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시설물을 해양에 설치하는 작업이 따른다. 풍력의 경우에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갖는 타워형 풍력 발전기를 세우게 된다.
해양은 지상의 지면과 달리 안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구조물 자체를 세우는 작업이 상당히 험난하므로, 작업자에 대해 지면과 같은 안정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저에 지지되는 레그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특수선박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선박은 이동 시와 같은 평상 시에 레그가 지면으로부터 유격되어 선체에 인입되어 있으며, 작업을 위해 선박의 위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저로 하강하여 해저에 지지된다. 이때 레그의 하단에는 다양한 해저지형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스퍼드캔(Spudcan)이 설치된다.
스퍼드캔은 사람의 발바닥과 같이 해저 지면에 맞닿아 레그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체이다. 선박의 안정적인 지탱을 위해 선박에는 세 개 이상의 레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가 설치된 특수선박은 제작이 복잡하다. 즉, 스퍼드캔의 선체 상면에 대한 투영면적이 레그의 단면적보다 넓으므로, 레그의 승강을 위한 승강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선체블록을 모두 조립한 상태에서, 스퍼드캔을 삽입하고 레그를 삽입할 수 있는 인서트 조립공법을 사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기존에는 스퍼드캔을 먼저 정해진 위치에 맞게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스퍼드캔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승강 통로가 배치된 레그통로블록을 조립한 후, 레이통로블록에 레그웰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잭업유닛을 설치하였으며, 레그통로블록을 통해 스퍼드캔에 레그웰블록을 조립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스퍼드캔, 레그통로블록, 잭업유닛, 그리고 레그웰블록 순서로 조립하는 공법은, 스퍼드캔 탑재 후 레그통로블록을 탑재 시 협소구역 발생으로 용접 및 도장작업이 어려웠으며, 협소구역 발생에 따른 안전문제가 있었으며, 단독 블록 탑재로 도크 건조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1046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퍼드캔(Spudcan)과 레그웰(Legwell) 구조 사이의 오픈된 공간으로 블록 분할 적용하여 블록 탑재 후 용접 및 도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에 있어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탑재되는 보조블록;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탑재되며 보조블록이 장입될 수 있도록 측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레그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웰은, 상기 스퍼드캔의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내측에 스퍼드캔이 탑재될 수 있도록 탑재부가 형성되며, 각 블록본체의 연결 부분의 하부에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 후 보조블록이 장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블록은, 상기 각각의 블록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블록은 각각의 블록본체가 연결된 공간부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에 있어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스퍼드캔을 탑재한 잭업리그에 다수의 보조블록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보조블록이 탑재된 다음 레그웰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스퍼드캔과 레그웰 사이에 오픈된 공간이 발생되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 상기 공간부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공간부에 보조블록이 장입되게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된 레그웰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업리그에 보조블록을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 외부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보조블록을 탑재한 후 오픈된 공간으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그웰을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스퍼드캔에 보조블록이 탑재된 상태에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스퍼드캔의 외곽 둘레에 다수의 블록으로 나누어진 블록본체를 서로 연결하여 탑재할 때 공간부에 의해 공간부 내로 보조블록이 장입되면서 레그웰의 탑재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및 방법에 따르면,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를 레그웰에 탑재 시 레그웰을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하면서 공간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잭업리그를 레그웰에 탑재 시 스퍼드캔과 레그웰 구조 사이의 오픈된 공간으로 블록본체를 분할 적용하여 레그웰 탑재 후 용접 및 도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퍼드캔과의 협소구역 최소화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법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 도크 및 육상 건조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레그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레그웰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탑재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레그웰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레그웰블록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의 탑재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로서, 잭업리그(100)와, 레그웰(200)과, 보조블록(3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잭업리그(100)는 선체(도시하지 않음)에 인입되는 레그(110)와 상기 레그(110)의 하단에 탑재되어 해저지형으로 지지되는 스퍼드캔(1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레그(110) 하부에 스퍼드캔(120)이 탑재되어 상기 레그(110)가 선체에 인입되고 상기 스퍼드캔(120)이 해저지형으로 설치되면서 잭업리그(100)가 선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체를 이동시에는 해저지형에 지지된 스퍼드캔(120)을 해저로부터 이격시켜 선체에 탑재시키게 된다.
상기 레그웰(200)은 레그(110) 하부에 스퍼드캔(120)이 탑재된 잭업리그(100)를 외부에서 탑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블록으로 나누어진 블록본체(210)로 분할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레그웰(200)이 다수의 블록본체(210)로 분할되어 나누어져 상기 잭업리그(100)의 스퍼드캔(120)의 외곽을 감싸면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레그웰(200)의 내측부에는 스퍼드캔(120)이 탑재될 수 있도록 탑재부(22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웰(200)의 하부에는 공간부(23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공간부(230)는 스퍼드캔(120)을 탑재시키기 위해 각각의 블록본체(210)를 서로 연결시킨 후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블록본체(210)의 연결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레그웰(200)이 다수의 블록본체(210)로 분할되어 스퍼드캔(120)을 감싸면서 각각의 블록본체(210)가 연결되며 상기 레그웰(200)의 탑재부(220)에 스퍼드캔(120)이 탑재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웰(200)의 탑재부(220)에 스퍼드캔(120)이 탑재된 다음 상기 레그웰(2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30)에 의해 스퍼드캔(120)과 레그웰(200) 구조 사이에 오픈된 공간이 발생되어 상기 공간부(230)에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블록(300)은 레그웰(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230)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블록(300)은 블록본체(210)가 서로 연결되어 발생된 공간부(230)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스퍼드캔(120)을 탑재하기 위해 다수의 보조블록(300)을 스퍼드캔(120)에 탑재한 다음 상기 보조블록(300)이 공간부(230)에 장입되도록 하여 다수로 분할된 블록본체(210)를 서로 연결하여 레그웰(200)을 탑재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에 있어서, 레그(110) 하부에 스퍼드캔(120)을 탑재하는 단계(S100)와, 상기 스퍼드캔(120)을 탑재한 잭업리그(100)에 다수로 분할된 보조블록(300)을 탑재하는 단계(S200)와, 상기 보조블록(300)이 탑재된 다음 레그웰(200)에 형성된 공간부(230)의 오픈된 공간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공간부(230)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다수의 블록본체(210)로 분할된 레그웰(200)을 탑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퍼드캔(120)에 보조블록(300)을 탑재하는 단계(S200)는, 상기 잭업리그(100)에 레그웰(200)을 탑재하기 위해 레그(110) 하부로 스퍼드캔(120)이 탑재된 잭업리그(100)에 다수의 보조블록(300)을 사방에서 탑재한 후 오픈된 공간으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블록본체(210)로 분할된 레그웰(200)을 탑재하는 단계(S400)는, 상기 스퍼드캔(120)의 외곽에 다수의 보조블록(300)이 탑재되고 용접 및 도장 작업이 완료되면 스퍼드캔(120)의 외곽 둘레에 다수의 블록을 분할되어 나누어진 블록본체(210)를 서로 연결하여 레그웰(200)의 탑재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본체(210)를 서로 연결할 때 상기 스퍼드캔(120)에 탑재된 보조블록(300)이 공간부(230)에 장입되도록 하여 레그웰(200)을 탑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레그웰(200)과 보조블록(300)이 정확하게 맞물려 스퍼드캔(120)을 탑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레그(110) 하부에 스퍼드캔(120)이 탑재된 잭업리그(100)를 다수의 보조블록(300)으로 탑재하여 오픈된 공간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완료 후 탑재된 보조블록(300)이 공간부(230) 내로 장입되도록 하여 레그웰(200)을 스퍼드캔(120)에 탑재하여 완료할 수 있도록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를 가지는 해양구조물에 적용되어지게 된다.
즉, 레그(110) 하부에 탑재된 스퍼드캔(120) 외곽에 보조블록(300)을 탑재하고 보조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한 후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블록본체(210)를 스퍼드캔(120)에 탑재하여 레그웰(200)의 탑재를 완료할 수 있는 모든 해양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3의(a)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110) 하단부에 스퍼드캔(120)을 탑재하여 잭업리그(100)를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의(b),(c)에서와 같이 상기 스퍼드캔(120)의 탑재가 완료되면 상기 스퍼드캔(120)의 외곽에 사방으로 다수의 보조블록(300)을 탑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퍼드캔(120)의 외곽에 일정 간격으로 보조블록(300)을 탑재하게 됨으로써 보조블록(300) 사이에 오픈된 공간이 발생되어 스퍼드캔(120)의 협소구역이 최소화됨에 따라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d)에서와 같이 상기 스퍼드캔(120)의 외곽에 보조블록(300)을 탑재한 상태에서 작업을 완료한 다음 상기 스퍼드캔(120)의 외곽 둘레에 다수의 블록으로 나누어진 블록본체(210)를 서로 연결하여 레그웰(200)이 탑재되면서 스퍼드캔(120)을 보조블록(300)과 레그웰(200)로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스퍼드캔(120)과 레그웰(200)의 여유 공간에서 진수 전 탑재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잭업리그
110 : 레그
120 : 스퍼드캔
200 : 레그웰
210 : 블록본체
220 : 탑재부
230 : 공간부
300 : 보조블록

Claims (9)

  1.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에 있어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에 탑재되는 보조블록; 및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탑재되며 보조블록이 장입될 수 있도록 측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레그웰;
    을 포함하며,
    상기 레그웰은,
    상기 스퍼드캔의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내측에 스퍼드캔이 탑재될 수 있도록 탑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스퍼드캔에 보조블록이 탑재되고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 후 보조블록이 장입될 수 있도록 블록본체의 연결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은 각각의 블록본체의 공간부에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은 블록본체가 연결된 공간부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
  7.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에 있어서,
    레그 하부에 스퍼드캔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스퍼드캔을 탑재한 잭업리그에 다수의 보조블록을 탑재하는 단계;
    상기 보조블록이 탑재된 다음 레그웰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스퍼드캔과 레그웰 사이에 오픈된 공간이 발생되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 및
    상기 공간부에 의해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공간부에 보조블록이 장입되게 다수의 블록본체로 분할된 레그웰을 탑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리그에 보조블록을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스퍼드캔이 탑재된 잭업리그 외부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보조블록을 탑재한 후 오픈된 공간으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웰을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스퍼드캔에 보조블록이 탑재된 상태에서 용접 및 도장 작업을 완료한 다음 스퍼드캔의 외곽 둘레에 다수의 블록으로 나누어진 블록본체를 서로 연결하여 탑재할 때 공간부에 의해 공간부 내로 보조블록이 장입되면서 레그웰의 탑재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방법.
KR1020150028327A 2015-02-27 2015-02-27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KR10172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27A KR101726434B1 (ko) 2015-02-27 2015-02-27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27A KR101726434B1 (ko) 2015-02-27 2015-02-27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97A KR20160105097A (ko) 2016-09-06
KR101726434B1 true KR101726434B1 (ko) 2017-04-12

Family

ID=5694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27A KR101726434B1 (ko) 2015-02-27 2015-02-27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3737A1 (en) * 2013-07-19 2015-01-22 A.P. Møller - Mærsk A/S Jack-up ri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on location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6244B2 (en) 2008-05-02 2011-05-03 Vishay Dale Electronics, Inc. Highly coupled indu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3737A1 (en) * 2013-07-19 2015-01-22 A.P. Møller - Mærsk A/S Jack-up ri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on location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97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93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629481B1 (ko) 해양구조물의 레벨링장치
JP6853889B2 (ja) 浮体式風力タービンの係留ブイ
US10029760B2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KR101665329B1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101726434B1 (ko) 잭업리그 레그웰 탑재구조,방법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10146574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20140050186A (ko)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KR10134622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629477B1 (ko)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70044977A (ko) 해양 구조물
KR101947670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47764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KR101863794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627667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101712143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제조용 보조장치
CN205578900U (zh) 电缆托架支吊架的生根装置
Jin et al. Installation of pre-assemsbled offshore wind turbines using a catamaran vessel and an active gripper motion control method
KR20160023213A (ko) 잭업리그 건조 탑재공법
KR101762743B1 (ko) 레그 관리 장비 및 그 운영 방법
KR101358236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CN203336145U (zh) 一种石油管道防水管件
KR10243869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20230095521A (ko) 풍력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