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13B1 -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13B1
KR101725713B1 KR1020160004942A KR20160004942A KR101725713B1 KR 101725713 B1 KR101725713 B1 KR 101725713B1 KR 1020160004942 A KR1020160004942 A KR 1020160004942A KR 20160004942 A KR20160004942 A KR 20160004942A KR 101725713 B1 KR101725713 B1 KR 10172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hemical liquid
chemical solution
storage container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정진현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이상희
정진현
오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희, 정진현, 오세일 filed Critical 이상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의 오염이나 변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강에 뿌려질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도록 구성되는 저장용기, 누름 조작시 상기 약액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고, 누름 조작의 해제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펌프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유로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펌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NASAL SPRAY DEVICE FOR MEDICINAL FLUID CONTAINING CATECHIN COMPONENT}
본 발명은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의 오염이나 변질을 저감시킬 수 있고,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이 보다 효과적으로 신체에 흡수되도록 분사할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강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천식이나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액이 포함되어 사용된다. 즉,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학성분이 포함된 액체 등이 포함된 비강 스프레이를 사용함으로써, 환자는 호흡기 질환의 자가투여치료 및 예방을 할 수 있다.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주로 녹차의 잎에서 추출한다. 카테킨은 발암억제, 동맥경화, 혈압상승 억제, 혈전예방, 항바이러스, 항비만, 항당뇨, 항균, 해독작용, 소염작용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테킨은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군집의 생산과 개시를 멈추거나 느리게 하며, DNA 손상을 경험적으로 야기하는 것들을 저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카테킨이 항알레르기 물질이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이 알레르기성비염의 증상인 재채기 및 콧물의 발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에 비강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비염치료에 사용되는 약재들은 주로 여러 가지 인공 약재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약재들은 장기간 사용시 약물성비염으로 오히려 비염 증상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천연성분인 카테킨이 포함된 약액을 사용하여 비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카테킨이 포함된 약액을 비강 스프레이에 보관하는 경우, 카테킨이 오염되거나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카테킨이 포함된 약액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으로는, 카테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의 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여러가지 용도로써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비강의 점막을 통해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대한 고려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염 치료제 또는 완화제로써, 인공 약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비염 증상이 오히려 악화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천연성분인 카테킨을 포함하는 약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성분인 카테킨을 포함하는 약액을 포함하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시, 천연성분인 카테킨이 오염되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성분인 카테킨을 포함하는 약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인체에 흡수될 수 있도록, 분무되는 약액을 미세한 입자로 무화할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는, 비강에 뿌려질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도록 구성되는 저장용기, 누름 조작시 상기 약액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고, 누름 조작의 해제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펌프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유로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펌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용기는, 상향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를 감싸며 형성되는 외부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열 공간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댐핑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 및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 및 약액 유로는, 상기 펌프부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는,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고, 약액이 저장되는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 상기 챔버부에 연결된 약액흡입유로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약액 유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약액흡입유로를 통해 상기 중공공간으로 흡입된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유로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고, 상기 바디부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약액 유로는 상기 배출밸브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를 덮도록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가스가 투과되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의 내측면에서 유로의 중앙부로 돌출되어, 보다 좁은 내경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약액이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는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와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는 돌출부 및 와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보다 좁은 내경을 형성하도록 약액이 흐르는 유로의 내측면에서 상기 유로의 중앙부로 돌출되고, 상기 와류부는, 상기 약액이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는, 저장 용기가 저장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따라 약액에 포함된 카테킨 성분이 변질되거나 효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필터부에 의해 오염물질이 필터링 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유입됨에 따른 약액의 변질,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액은 돌출부, 와류부 및 노즐부를 거치며 무화되며, 이러한 무화과정을 통해 입자가 작아진 상태로 분무되는 약액은 비강 내의 점막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신체내로 흡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내로 흡수되는 비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덮개부재를 장착했을 때와, 분리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쓰이는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주로 녹차의 잎에서 추출한다. 카테킨은 병리학, 건강증진 차원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뛰어난 효과가 그동안 입증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카테킨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이 카테킨 성분에 의해 대변으로 배설되어 혈청지질을 좋은 상태로 만들수 있다. 그리고, 카테킨은 간장의 지질 축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킨은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카테킨은 뇌 속에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 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도 한다. 이 외에도 카테킨은 비만예방(다이어트),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덮개부재를 장착했을 때와, 분리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1000)(이하, 비강 스프레이 장치(1000))의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덮개부재(500)를 저장 용기(100)로부터 분리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1000)는 저장 용기(100), 펌프부(200), 필터부(300) 및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00)는 내부에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을 저장하는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 용기(100)는 저장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도록 구성된다. 저장 용기(100) 내부에는 별도의 방부제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무방부제의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이하,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약액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비강에 분무하는 약제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 용기(100)의 재질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저장 용기(100)는 무독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 용기(100)는 내부 용기(110) 및 외부 용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상향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용기(110)는 단열성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외부 용기(1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저장 용기(100)의 내충격성,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용기(110)의 내측에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용기(130)는 내부 용기(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용기(130)는 내부 용기(110)를 감싸며 형성된다. 외부 용기(130)는 내충격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용기(130)의 내측은 내부 용기(110)의 내측으로 굴곡져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펌프부(200)의 약액흡입튜브(231)가 끼워지고, 저장 용기(100) 내부에 펌프부(200)를 보호할 수 있는 펌프가이드부(125)를 형성한다. 펌프가이드부(125)는 약액흡입튜브(2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약액흡입튜브(231)의 직경과 대응되는 넓이로 중앙측에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펌프가이드부(125)는 저장 용기(100)에 삽입되는 펌프부(200)의 하부 구성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외부 용기(130)로부터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30) 사이에는 단열 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 공간(120)에는 공기가 들어있어서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단열 공간(120)에는 댐핑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댐핑 부재는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핑부재는 스티로폼, 석재, 플라스틱, 글래스 울 등의 재료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댐핑부재는 저장 용기(100)의 단열성능을 높이므로,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저장 용기(100) 내부에 포함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이 변질되는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30)의 상단부는 후술할 펌프부(200)의 하단부에 결합하기 위해 입구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펌프부(200)는 누름 조작시 약액이 저장 용기(100)로부터 배출되고, 누름 조작의 해제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펌프부(200)는 공기 유로(202), 약액 유로(204), 바디부(210), 챔버부(220), 흡입밸브(230) 및 배출밸브(240)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202)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이다. 흡입밸브(230)를 통해 약액이 저장 용기(100)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약액의 부피에 해당하는 공기가 외부로부터 공기 유로(202)를 통해 유입된다.
약액 유로(204)는 저장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약액이 펌프부(200)을 작동시킴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이다.
공기 유로(202) 및 약액 유로(204)는 펌프부(200)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펌프부(200) 내부에서 공기 유로(202) 및 약액 유로(204)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 서로 다른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챔버부(220)에서 형성하는 중공공간(221)에서 배출부(400)까지 공기 유로(202) 및 약액 유로(204)는 서로 이격된 유로를 형성하여, 약액이 배출되는 유로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가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바디부(210)는 펌프부(200)의 외부 몸체를 이룬다. 바디부(210) 내부에는 공기 유로(202) 및 약액 유로(2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펌프 본체와 디스펜서(260)도 바디부(210)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바디부(210)는 펌프부(200)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한다. 한편, 바디부(210)는 상부쪽에 배치된 제1 바디부(210a)와 하부쪽에 배치된 제2 바디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a)에는 가압부(211)가 형성되며, 가압부(211)가 가압됨에 따라, 제1 바디부(210a)는 제2 바디부(210b)의 하부로 인입될 수 있다.
챔버부(220)는 바디부(210) 내부에 구비되고, 약액이 저장되는 중공공간(221)을 형성할 수 있다. 챔버부(220)는 내부에 중공공간(221)을 갖는 대략의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공간(221)은 저장 용기(100)에 담겨있는 약액이 약액흡입튜브(231)를 통해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다.
중공공간(221)은 공기 유로(202) 및 약액 유로(204) 모두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공간(221)은 저장 용기(100)의 내부와 약액흡입유로(231)로 연결되어 있다. 공기 유로(202)와 중공공간(221) 사이에는 필터부(300)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중공공간(221)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약액은 약액 유로(204)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챔버부(220)는 중공공간(221)을 통해 저장 용기(100)로부터 약액을 공급받고, 필터부(300)에 의해 필터링된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저장 용기(100) 내부로 주입한다. 그리고, 챔버부(220)는 중공공간(221)을 통해 중공공간(221)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공기 유로(202)로는 내보내지 않고, 약액 유로(204)를 통해 외부로 분사하게 된다.
흡입밸브(230)는 챔버부(220)에 연결된 약액흡입유로(231)를 개폐할 수 있다. 흡입밸브(230)는 챔버부(220)의 하부에 연결된 약액흡입유로(2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흡입밸브(230)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밸브(230)는 챔버부(220)의 압력 조건에 따라 일종의 체크밸브 방식으로 작동되며, 저장 용기(100)의 약제가 챔버부(220)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흡입밸브(230)의 하부에는 약액흡입튜브(231)가 연결되며, 약액흡입튜브(231)의 하단은 저장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밸브(240)는 챔버부(220)의 상부에 연결되는 약액 유로(204)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배출밸브(240)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밸브(240)는 가압부(211)와 연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시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약액 유로(204)를 개폐할 수 있다. 즉, 가압부(211)가 누름 조작되면 배출밸브(240)는 중공공간(221)과 약액 유로(204)를 열게되며,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배출밸브(240)는 중공공간(221)과 약액 유로(204)를 차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바디부(21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밸브(240)는 기본적으로 중공공간(221)과 약액 유로(204)를 차단한 상태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이 때, 바디부(210)가 누름 조작되면, 제1 바디부(210a)가 하부로 눌리면서, 제1 바디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밸브(240)가 하부로 이동된다(도 3 참조). 배출밸브(240)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중공공간(221)과 약액 유로(204)가 서로 연통되게 되며, 중공공간(221)에 저장되어 있던 약액이 배출부(400)를 향해 이동된다.
바디부(21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약액흡입유로(231)는 저장 용기(100)에 저장된 약액을 중공공간(221)으로 흡입한다. 그리고, 중공공간(221)에 저장된 약액은 약액 유로(204) 및 배출부(400)를 통해 배출부(400)로 전달된다. 그리고, 배출부(400)에서 약액은 외부를 향해 분사된다.
바디부(21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약액 유로(204)는 배출밸브(240)에 의해 차단된다.
펌프부(2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펌프부(200)는 펌프부(20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약액을 펌핑 및 분사하는 디스펜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펌프부(200)는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필터부(300)는 공기가 저장 용기(100)로 유입되는 유로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300)는 가스가 투과하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펌프부(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저장 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배출부(400)는 약액 유로(204)와 연결되며, 가압부(211)가 가압됨에 따라 배출밸브(240)가 하부로 이동하여 약액 유로(204)와 중공공간(221)이 연통됨에 따라 약액이 흘러나와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400)의 내부에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401)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부(400)는 돌출부(410), 와류부(420) 및 노즐부(43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배출부(400)에서 배출되는 약액은 서로 뭉쳐서 덩어리진 형태가 아니라 흩뿌려지는 연무형태로 외부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비강 내부에 뿌려지는 약액은 비강 내부의 점막에서 쉽게 흡수가 가능하다.한편, 바디부(210)는 가압부(211) 및 탄성부재(212)를 포함한다.
가압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가압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기 용이하도록 펌프부(200)의 표면에서 저장 용기(100)의 바닥과 평행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시 배출밸브(240)는 하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약액 유로(204)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챔버부(220)의 내부에 충진된 약액은 약액 유로(20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약액 유로(204)는 배출밸브(2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가압부(211)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약액 유로(204)가 배출밸브(2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약액 유로(204)를 통해 외부 공기 또는 오염물질들이 중공공간(22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12)는 가압부(211)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바디부(2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복원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211)는 탄성부재(212)에 의해 탄성적으로 누름 조작될 수 있다. 펌프부(200)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1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1000)는 펌프부(200)를 덮도록 저장 용기(100)에 결합되는 덮개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500)는 저장 용기(100)의 상부에 펌프부(20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저장 용기(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재(500)는 펌프부(200)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재(50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재(50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펌프부(200)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215)이 저장 용기(100)의 상단부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140)에 걸려 맞춰짐으로써, 펌프부(200)는 저장 용기(100)에 밀봉되어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가압부(211)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챔버부(2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약액흡입튜브(231)와 약액 유로(204)를 통해, 저장 용기(100)로부터 챔버부(220)의 중공공간(221)으로 유입된 약액이 약액 유로(204) 및 배출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펌프부(2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 유로(202)가 형성되며,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약액이 배출되는 경우 일정량의 공기가 공기 유로(202)를 통해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부(211)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챔버부(2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약액흡입튜브(231)와 약액 유로(204)를 통해, 저장 용기(100)로부터 챔버부(220)의 중공공간(221)으로 유입된 약액이 약액 유로(204) 및 배출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펌프부(2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 유로(202)가 형성되며, 가압부(21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약액이 배출되는 경우 일정량의 공기가 공기 유로(202)를 통해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부(200) 내부의 공기 유로(202)는 약액 유로(204)와 서로 독립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202)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펌프부(200)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유로(202)는 가압부(211)의 상단 측면에서 시작되어 가압부(211)의 중앙부 영역을 관통하도록 대략의 L자 형태를 이룰수도 있다.
필터부(300)는 공기 유로(202) 상에 배치된다. 필터부(300)는 공기 유로(20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유로(202)의 하단에 대략 Y자 형상의 필터부(300)가 제공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 유로(202) 상의 다른 곳에 다른 형상의 구조를 갖는 필터부(300)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필터부(300)의 구조 및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공기가 펌프부(200)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 유로(202)의 초입부분에 필터부(3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에 의해 약액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이 때, 공기 유로(20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은 필터부(30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고, 저장 용기(100)에는 무균 상태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킨 성분이 함유된 약액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방부제나 보존제를 사용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필터부(300)에는 공기를 필터링 가능한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300)는 가스가 투과될 수 있는 가스 투과성질을 갖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의 필터부(300)는 그물눈 구조를 가지므로,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액체는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중공공간(221)에 저장되어 있는 약액이 공기 유로(202)쪽으로 통과하지 않으며, 반면에 공기 유로(202)로 유입되는 공기는 중공공간(221)쪽으로 통과될 수 있다. 필터부(30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박테리아 및 세균들은 필터부(30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으므로, 저장 용기(100) 내부에는 각종 오염원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실리콘 재질의 필터부(300)와 함께 공기에 포함된 세균 및 각종 오염물질을 살균, 정화, 흡착 및 중화 가능한 보조필터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필터에는 광촉매, 활성탄, 세라믹, 나노시버, 헤파필터(HEPA fil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보조필터의 재질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출부(400)는 돌출부(410), 와류부(420) 및 노즐부(430)를 포함한다. 배출부(400)의 내부 유로(401)를 통과하는 약액은 돌출부(410), 와류부(420) 및 노즐부(430)를 통과하며 더 미세한 입자로 무화(atomization)된다.
돌출부(410)는 유로(401)의 내경이 더 좁아지도록 유로(40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410)는 유로(401)의 내측면에서 유로(401)의 길이 방향으로 마름모 또는 그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유로(401)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다. 이를 통해 돌출부(410)의 내경은 약액이 흘러들어온 부분의 유로(401)의 내경보다 좁아지게 된다.
약액은 돌출부(410)를 통과하면서 급격한 속도와 압력 변화를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돌출부(410)의 내경은 돌출부(410)보다 앞서서 약액이 흐르는 유로(401)의 내경보다 좁기 때문에 베르누이 효과(Bernoulli effect)에 의해 압력이 높아지고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약액은 1차적으로 무화된다.
와류부(420)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401)에 배치된다. 약액이 돌출부(410)를 지난 후에 와류부(4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와류부(420)는 돌출부(4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와류부(420)가 돌출부(410)보다 앞서서 배치될 수도 있다.
와류부(420)는 날개형상인 블레이드(421)와 블레이드(421)의 내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바(42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421)는 유로(401)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뿐만 아니라, 중심바(422)로부터 유로(401)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로(401)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된다.
블레이드(421)는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며, 블레이드(421)는 블레이드(421)를 통과하는 약액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421)는 유로(4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유로(401)의 원주방향을 따라 휘어지며 연장된다. 즉, 블레이드(421)는 유로(40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연장된다.
다시 말해 약액이 유로(401)를 따라 흐르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421)는 배출부(400)의 단부로 진행하면서 유로(401)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로(401)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유로(40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며 형성된다. 이를 통해, 블레이드(421)를 통과하는 약액이 블레이드(421) 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와류부(420)를 통과하는 약액은 와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410)를 통과하며 빨라진 유속으로 인해 입자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무화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약액은 와류부(420)를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하며 2차로 무화된다.
노즐부(430)는 배출부(400)의 단부에 형성된다. 노즐부(430)는 약액을 최종적으로 배출부(4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노즐부(430)는 배출부(400)의 단부쪽보다 배출부(400)의 내측쪽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즉, 약액의 흐름을 기준으로 노즐부(430)가 시작되는 부분의 직경은 노즐부(430)의 끝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노즐부(430)는 배출부(400)의 단부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 노즐부(430)의 시작부분의 직경은 매우 좁고, 노즐부(430)의 연장방향을 따라 노즐부(430)의 직경이 점차 넓어지므로 노즐부(430)를 통과하는 약액은 상술한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방출된다. 직경이 작은 노즐부(430)의 내측을 통과하여 직경이 넓은 노즐부(430)의 단부쪽으로 진행하며 약액은 3차로 무화된다.
이와 같이 약액은 돌출부(410), 와류부(420) 및 노즐부(430)를 지나며 3단계의 무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액은 입자의 크기가 약 3 내지 10 μ? 내외의 미세한 미스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는 약 3번의 무화 과정을 거쳐 미세한 입자의 크기로 약액을 분무하게 된다. 따라서, 비강 내의 점막으로 분무되는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무화된 약액은 보다 빠르게 신체내로 흡수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액의 입자 크기가 작은 상태에서 비강내로 분무되므로 신체내로 흡수되는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킨에 의한 약효가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킨을 신체에 투여시 혈청지질을 좋은 상태로 만들고, 간장의 지질 축적도 방지하며,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의 성장을 억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치매를 방지하고, 다이어트, 피부 노화 억제 등의 효과가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카테킨을 비강의 점막을 통해 투여할 경우, 여러가지 병리학적으로 질병이 완화되는 효과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피부 노화 방지 등의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가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킴으로써, 이러한 효과들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저장 용기
110 : 내부 용기
120 : 단열 공간
130 : 외부 용기
200 : 펌프부
210 : 바디부
220 : 챔버부
230 : 흡입밸브
240 : 배출밸브
260 : 디스펜서
300 : 필터부
400 : 배출부
410 : 돌출부
420 : 와류부
430 : 노즐부
1000 :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비강 스프레이 장치

Claims (12)

  1. 비강에 뿌려질 수 있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된 약액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도록 구성되는 저장용기;
    누름 조작시 상기 약액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고, 누름 조작의 해제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펌프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유로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펌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의 내경이 짧아져 상기 유로를 흐르는 약액의 속도가 빨라지도록, 상기 유로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를 통과한 약액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류부; 및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부의 외측을 향하는 직경이 상기 유로를 향하는 방향의 직경보다 길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의 상기 노즐부와 접하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노즐부의 상기 유로를 향하는 방향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상기 유로의 단부는 곡선을 이루며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향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를 감싸며 형성되는 외부 용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댐핑부재가 삽입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 및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 및 약액 유로는, 상기 펌프부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고, 약액이 저장되는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
    상기 챔버부에 연결된 약액흡입유로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약액 유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약액흡입유로를 통해 상기 중공공간으로 흡입된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유로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고,
    상기 바디부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약액 유로는 상기 배출밸브에 의해 차단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를 덮도록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가스가 투과되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04942A 2015-11-16 2016-01-14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KR101725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0655 2015-11-16
KR1020150160655 2015-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713B1 true KR101725713B1 (ko) 2017-04-11

Family

ID=5858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42A KR101725713B1 (ko) 2015-11-16 2016-01-14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1161A (zh) * 2020-04-16 2021-10-22 三捷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具有抗微生物感染功能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4209494A (zh) * 2021-12-02 2022-03-22 许敬强 一种眼科使用的红眼病治疗用雾化治疗器
KR20240008187A (ko) 2022-07-11 2024-01-18 이영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억제를 위한 2액형 비강 또는 구강 스프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249U (ja) * 1991-05-27 1992-12-02 日栄電機産業株式会社 吸入式温熱治療器における噴射ノズル
KR100651083B1 (ko) *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JP2009504216A (ja) * 2005-08-08 2009-02-05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定量噴霧式吸入器の断熱缶
KR20120052956A (ko) * 2009-08-03 2012-05-24 인게뉘어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액체 매체의 배출 장치
KR20140128032A (ko) * 2013-04-26 2014-11-05 리드메디 (주) 무방부제 약제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갖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
KR20140146680A (ko) * 2013-06-14 2014-12-29 양경옥 약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249U (ja) * 1991-05-27 1992-12-02 日栄電機産業株式会社 吸入式温熱治療器における噴射ノズル
JP2009504216A (ja) * 2005-08-08 2009-02-05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定量噴霧式吸入器の断熱缶
KR100651083B1 (ko) *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KR20120052956A (ko) * 2009-08-03 2012-05-24 인게뉘어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액체 매체의 배출 장치
KR20140128032A (ko) * 2013-04-26 2014-11-05 리드메디 (주) 무방부제 약제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갖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
KR20140146680A (ko) * 2013-06-14 2014-12-29 양경옥 약제 디스펜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1161A (zh) * 2020-04-16 2021-10-22 三捷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具有抗微生物感染功能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4209494A (zh) * 2021-12-02 2022-03-22 许敬强 一种眼科使用的红眼病治疗用雾化治疗器
CN114209494B (zh) * 2021-12-02 2023-11-10 江西省儿童医院 一种眼科使用的红眼病治疗用雾化治疗器
KR20240008187A (ko) 2022-07-11 2024-01-18 이영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억제를 위한 2액형 비강 또는 구강 스프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3021B1 (en) Fluid reservoir for an aerosol generator and aerosol generator comprising the fluid reservoir
KR101725713B1 (ko) 카테킨 성분을 함유한 약액용 비강 스프레이 장치
CN101439002B (zh) 用于气雾剂生成装置的一次性安瓿
ES2648196T3 (es) Dispositivo aerosol circunferencial
EP2925394B1 (en) Combination of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fluid reservoir
JP6391701B2 (ja) カンナビノイド組成物および使用
US20190099566A1 (en) Inhalatio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nd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US20150335528A1 (en) Washing Water Spraying Vessel for Nasal Cavity Cleaner
RU2720169C2 (ru) Инга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галяционных жидкостей
WO2017139595A1 (en)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KR20150002670A (ko) 제거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액체 분배 장치
CA2883583C (en) Opening element for opening an ampoule in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the opening element
EP2732881B1 (en) Micro nebulizer for nasal cleaning or treatment
JP2009521256A (ja) 新規デバイス
KR20130118760A (ko)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CN105747854A (zh) 从胶囊制备饮料的方法、胶囊及饮料制备系统
US10052464B2 (en) Low flow rate nasal treatment delivery device for mixed carbon dioxide and saline
CA2962550A1 (en) Nebuliser device
KR102195941B1 (ko) 클린에어 공급장치
EA028926B1 (ru) Медицинский мундштук для порошкового медикамента
KR101474858B1 (ko) 무방부제 약제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갖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
JP5994187B2 (ja) 医薬粉体ノズル付容器およびその応用
KR101788057B1 (ko) 일회용 분말 흡입기 제조방법
KR101951998B1 (ko)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CA3013821C (en) Nasal treatment delivery device with carbon dioxide and saline, and methods, including low flow 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