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687B1 -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687B1
KR101725687B1 KR1020150172365A KR20150172365A KR101725687B1 KR 101725687 B1 KR101725687 B1 KR 101725687B1 KR 1020150172365 A KR1020150172365 A KR 1020150172365A KR 20150172365 A KR20150172365 A KR 20150172365A KR 101725687 B1 KR101725687 B1 KR 10172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escm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섭
강성곤
최문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안전 기기, 상기 안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니터, 상기 안전 기기에 관하여 구성된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ESCM(ESF-CCS Soft Control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타 안전 기기의 제2 채널상의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됨으로써 구현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Independence Enforced One-Way Communication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감시 제어망에서 감시제어의 원칙은 안전 등급이 높은 시스템에서 안전 등급이 낮은 시스템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감시 신호의 측면에서는 센서와 같은 단순한 설비는 안전 등급이 높은 등급을 갖도록 설계되고, 모니터와 같은 복잡한 설비는 안전 등급이 낮은 등급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감시 신호는 센서로부터 모니터로 단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어 신호의 측면에서는 복잡한 모니터에서 단순한 펌프나 밸브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어야 하지만, 모니터의 안전 등급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감시제어의 원칙과 충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모니터의 안전 등급을 센서나 밸브와 같이 높이거나, 센서나 밸브의 안전 등급을 모니터만큼 낮추는 방법이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비안전설비는 동일한 등급의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설비인 펌프, 밸브는 원칙적으로는 안전 등급이고, 반면에 모니터는 운영체계(OS) 내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비안전 등급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안전 등급인 모니터에서도 안전 등급인 밸브로 전송 가능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중요한 현안이다. 이러한 현안이 미국 원전이나 유럽 원전의 건설에서 신호독립성의 문제로 대두되어 막대한 건설비용을 발생시키거나 건설 인허가를 철회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낮은 등급의 설비에서 높은 등급의 설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낮은 등급의 여러 신호를 통계처리하여 신호등급을 높일 수도 있고, 낮은 등급과 높은 등급 사이에 중간 단계의 설비를 마련하여 신호의 품질 수준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안전기기들의 채널 간에 독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안전 기기, 상기 안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니터, 상기 안전 기기에 관하여 구성된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ESCM(ESF-CCS Soft Control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타 안전 기기의 제2 채널상의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상기 ESCM으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안전 기기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안전기기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보수시험반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ESCM은 상기 보수시험반으로부터 상기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어 신호만을 송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ESCM 및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격리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어 모니터에서 안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ESCM(ESF-CCS Soft Control Module)에서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안전 기기에 관하여 구성된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안전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타 안전 기기의 제2 채널상의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구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상기 ESCM으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안전 기기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어 신호만을 송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안전 기기에서 자신의 상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를 보수시험반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수시험반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 신호를 ESCM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SCM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방향 통신 게이트웨이가 적용되어 범용채널 모니터와 안전채널 기기간의 격리요건이 강화된다. 또한, 안전채널간에 일방 통행의 통신 게이트웨이가 설치되어 채널간 독립성이 강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제어망의 통신부하가 완화되어 각각의 채널에서의 안전기기 사이의 격리가 강화된다. 또한, 안전기기들의 채널 사이에 채널 격리를 위한 격리 스위치가 구비되어 채널간 독립성이 강화된다.
도 1은 안전기기 및 비안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기 및 비안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 스위치가 구비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논리회로가 구비된 제어감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안전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안전기기는 안전등급의 제어기기를 나타내며, 비안전기기는 비안전등급의 제어기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감시신호(상태신호) 및 제어신호는 원칙적으로는 안전등급이 높은 기기에서 안전등급이 낮은 기기로 전송될 수 있으나, 역방향으로는 전송이 불가능하다. 다만, 안전등급이 높은 기기와 안전등급이 낮은 기기의 사이에 중간 등급의 기기가 추가되어 감시신호(상태신호) 또는 제어신호가 역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안전기기로부터 중간 등급의 기기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중간 등급의 기기로부터 비안전기기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등급의 기기들에서는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모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비안전기기들 사이에서 제어신호 및 감시신호가 송수신되는 망을 비안전제어정보망으로 정의한다. 안전기기들 사이에서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망은 안전제어망으로 정의되고, 안전기기들 사이에서 감시신호가 송수신되는 망은 안전정보망으로 정의된다.
도 1은 안전기기 및 비안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원의 제어 모니터(110)는 비안전등급 설비에 속하기 때문에, 운전원(RO)은 제어 모니터(110)를 통하여 비안전기기(120)를 직접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니터(110)와 비안전기기(120)는 동일한 수준의 안전등급을 갖기 때문에, 제어 모니터(110)로부터 비안전기기(120)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고, 비안전기기(120)로부터 제어 모니터(110)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안전기기(130)에 대해서는 제어 모니터(120)를 통하여 직접 감시 및 제어가 불가능하다. 안전기기(130)는 안전 등급의 보수시험반(MTP, Maintenance and Test Panel)(140)을 통하여 운전원의 제어 모니터(120)로 감시신호를 전송한다. 제어신호에 대해서는, 낮은 등급의 제어 모니터(110)로부터 중간 등급의 ESF-CCS 소프트제어모듈(ESCM, ESF-CCS Soft Control Module)(150)로 제어신호가 전송되고, CCGA(A Channel Control Gateway)(160)를 거쳐, 안전기기(130)로 제어신호가 수신된다. 한편, 안전기기(130)는 CCGA(160)로 안전기기(130)의 상태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고, CCGA(160)는 ESCM(150)으로 안전기기(130)의 상태정보 신호를 전송한다. 안전기기(130)는 채널 A에 속한 안전기기이며, 채널 B, 채널 C, 채널 D에 속한 안전기기들은 각각, CCGB(170), CCGC(180), CCGD(19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감시제어망 구조에서는,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들인 CCGA(160), CCGB(170), CCGC(180), CCGD(190)는 상단에 동일한 통신망을 공유한다. 따라서, ESCM(150)이 채널별로 구분되지 않은 범용채널로 설계되어 채널간 독립성이 약화되고, 안전기기(130)의 감시신호가 다른 채널의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170, 180, 190)로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각 채널은 독립적으로 충분한 기능을 수행하고, 고장을 대비하여 다중으로 설계되나, 독립된 채널이 다른 채널의 영향을 받아 오동작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안전채널간에 신호 격리가 요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기 및 비안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원의 제어 모니터(210)는 비안전등급 설비에 속하기 때문에, 운전원(RO)은 제어 모니터(210)를 통하여 비안전기기(220)를 직접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니터(210)와 비안전기기(220)는 동일한 수준의 안전등급을 갖기 때문에,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비안전기기(220)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고, 비안전기기(220)로부터 제어 모니터(210)로 감시신호 및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안전기기(230)에 대해서는 제어 모니터(220)를 통하여 직접 감시 및 제어가 불가능하다. 안전기기(230)는 안전 등급의 보수시험반(MTP, Maintenance and Test Panel)(240)과 중간 등급의 ESCM(250)을 통하여 운전원의 제어 모니터(220)로 감시신호를 전송한다.
비안전 등급의 제어 모니터(210)는 안전기기(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는 중간 등급의 ESCM(250)으로 전송되고, 안전 등급의 CCGA(A Channel Control Gateway)(260)를 거쳐, 안전기기(230)로 수신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상기 ESCM(250)으로, 상기 ESCM(250)으로부터 상기 CCGA(260)로, 상기 CCGA(260)로부터 안전기기(230)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안전기기(230)는 보수시험반(240)으로 안전기기(230)의 상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고, 보수시험반(240)은 ESCM(250)으로 안전기기(230)의 상태 정보 신호를 전송한다. 도 1의 안전기기(130)는 CCGA(160)가 속한 안전제어망을 통해 ESCM(150)에 상태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도 2에서는 안전기기(230)의 상태정보가 MTP(240)가 속한 안전정보망을 통하여 ESCM(250)에 상태정보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ESCM(250)은 수신된 안전기기(230)의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채널 게이트웨이들(260, 270, 280, 290)은 단방향으로만 신호를 전송한다. 즉, CCGA(260)는 ESCM(25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를 안전기기(230)로 전송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운전원(RO1)의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ESCM(250)으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단방향 통신인 CCGA(260)를 통해 채널 A에 속한 안전기기(230)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채널 B, 채널 C, 채널 D에 속한 안전기기들은 각각, CCGB(270), CCGC(280), CCGD(29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채널 A에 속한 안전기기(230)에 관하여 설정된 상기 제어 신호는 채널 B에 속한 안전기기(도시되지 않음)에 관하여 설정된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안전기기(230)의 감시신호는 MTP(240)를 통하여 ESCM(250)으로 전송되고, CCGA(260)는 단방향으로 제어신호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CCGA(260)에 걸리는 통신부하가 급격히 감소한다. 제어명령은 하루에 100여건 정도의 매우 빈도가 낮은 조작인데 비해, 감시변수는 1초당 30Kbyte 정도의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감시변수를 CCGA(260), CCGB(270), CCGC(280), CCGD(290)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채널 독립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 스위치가 구비된 감시제어망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격리 스위치(356, 257, 358, 359)는 각각 제1 내지 제4 ESCM(351, 352, 353, 354)와 CCGA(361), CCGB(362), CCGC(363), CCGD(364)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격리 스위치들(356, 257, 358, 359)은 ESCM 1(351), ESCM 2(352), ESCM 3(353), ESCM 4(354)으로부터의 각각의 제어신호를 CCGA(361), CCGB(362), CCGC(363), CCGD(364)로 전송하거나 차단한다. 또한, 격리 스위치들(356, 257, 358, 359)은 일정 시간동안만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리 스위치(351)의 버튼이 눌렸을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제1 ESCM(351)의 제어신호를 CCGA(361)에 전송하고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격리 스위치들을 사용하면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안전채널간에 신호 격리가 강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논리회로가 구비된 제어감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감시 시스템은 안전 제어기(430)의 작동을 위한 안전기기 제어 자동논리회로(440)가 구비되어, 운전원의 개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ESCM에서 직접 제어명령을 내리지 않더라도 안전기기 제어 자동논리회로(440)에 의해 자동으로 안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ESCM에서 안전기기(430)로 보내는 제어신호의 품질의 중요성이 완화된다.
또한, 비안전기기(420)는 운전원의 개입 없이 비안전기기 제어감시 자동논리 회로(410)에 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의 각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제어망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 모니터(210)는 안전 기기(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510). 상기 제어 모니터(210)는 비안전 등급일 수 있다.
다음으로, ESCM(250)은 상기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60)로 전송한다(S530).
다음으로,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60)는 상기 안전 기기(230)에 관하여 구성된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안전 기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50).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모니터(210)로부터 상기 ESCM(250)으로, 상기 ESCM(250)으로부터 상기 CCGA(260)로, 상기 CCGA(260)로부터 안전기기(230)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60)는 채널 A에 관한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이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채널 B에 관한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70), 채널 C에 관한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80), 채널 D에 관한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8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들(260, 270, 280, 290)은 각각의 채널 내에 안전기기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들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안전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의 각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제어망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안전 기기(230)는 자신의 상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생성한다(S610).
다음으로, 안전 기기(230)는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를 보수시험반(240)으로 전송한다(S630).
다음으로, 보수시험반(240)은 안전 기기의 상태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ESCM(250)으로 전송한다(S650).
다음으로, ESCM(250)은 상기 안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67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전기기(230)의 감시신호는 MTP(240) 만을 통하여 ESCM(250)으로 전송되고,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60)는 안전기기(230)의 제어신호만을 단방향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260)에 걸리는 통신부하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방향 통신 게이트웨이가 적용되어 범용채널 모니터와 안전채널 기기간의 격리요건이 강화된다. 또한, 안전채널간에 일방 통행의 통신 게이트웨이가 설치되어 채널간 독립성이 강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제어망의 통신부하가 완화되어 각각의 채널에서의 안전기기 사이의 격리가 강화된다. 또한, 안전기기들의 채널 사이에 채널 격리를 위한 격리 스위치가 구비되어 채널간 독립성이 강화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채널상에서 안전 등급을 갖는 안전 기기;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안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기기로부터 감시 신호를 수신하는 비안전등급의 제어 모니터;
    상기 안전 기기에 관하여 구성된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 기기로 전송하는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중간 등급의 ESCM(ESF-CCS Soft Control Module);및
    상기 안전기기로부터 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보수시험반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타 안전 기기의 제2 채널상의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상기 ESCM으로,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그리고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안전 기기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고,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안전 기기로부터 상기 보수시험반으로, 상기 보수시험반으로부터 상기 ESCM으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고, 상기 ESCM은 수신된 상기 안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어 신호만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ESCM 및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격리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9. 원자력 발전소 내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비안전등급의 제어 모니터에서 제1 채널상의 안전 등급을 갖는 안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채널상의 중간 등급을 갖는 ESCM(ESF-CCS Soft Control Module)에서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안전 기기에 관하여 구성된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안전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타 안전 기기의 제2 채널상의 제어 신호와 상호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모니터로부터 상기 ESCM으로, 상기 ESCM으로부터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 그리고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안전 기기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안전 기기에서 자신의 상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를 보수시험반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수시험반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 신호를 ESCM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SCM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어 신호만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삭제
KR1020150172365A 2015-12-04 2015-12-04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KR10172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65A KR101725687B1 (ko) 2015-12-04 2015-12-04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65A KR101725687B1 (ko) 2015-12-04 2015-12-04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687B1 true KR101725687B1 (ko) 2017-04-26

Family

ID=5870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65A KR101725687B1 (ko) 2015-12-04 2015-12-04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17B1 (ko) * 2018-08-27 2020-03-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계측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25B1 (ko) 2012-04-30 2012-12-11 인코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신호 전자제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25B1 (ko) 2012-04-30 2012-12-11 인코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신호 전자제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17B1 (ko) * 2018-08-27 2020-03-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계측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521B2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ver a one-way link
JP2014146087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TW201741788A (zh) 工業過程控制系統
KR20230082007A (ko) 분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1725687B1 (ko)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KR102085617B1 (ko) 원자력발전소 계측 제어 시스템
KR20170138172A (ko) 학습기능을 이용한 전기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18496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분산전원 단독운전 방지장치 및 그를이용한 방법
CN205594183U (zh) 安全光栅
JP2013047946A (ja) 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危険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危険状態処理サーバー
CN109215279B (zh) 一种基于电缆隧道的火灾报警系统及方法
EP3132318B1 (en) Mobile human machine interface for control devices
KR20190046014A (ko) 진동센서를 구비한 가스안전 차단 및 관리 시스템
JP5890752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30036560A (ko)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원격 제어 및 상태감시 장치
US8346077B1 (en) Multi-domain systems and methods for fail secure information transfer
KR20190104732A (ko)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JP2014137800A (ja) 機械操作盤
KR20150027591A (ko) 원방 감시 시스템용 비상 정지 장치
JP5481238B2 (ja) ビル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ビル監視制御方法
JP2007049811A (ja) 電鉄変電所用配電盤
JP2936693B2 (ja) 光情報伝送配電系統自動化システムの保護回路
JP6262001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179528B1 (ko) 통신선로 전환이 가능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중앙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