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732A -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732A
KR20190104732A KR1020180025202A KR20180025202A KR20190104732A KR 20190104732 A KR20190104732 A KR 20190104732A KR 1020180025202 A KR1020180025202 A KR 1020180025202A KR 20180025202 A KR20180025202 A KR 20180025202A KR 20190104732 A KR20190104732 A KR 2019010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gatew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732A/ko
Publication of KR2019010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 내에 포함된 복수의 차단기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알림부들, 및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중 제1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차단기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를 통해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전반 패널 내의 차단기 및 선로의 관리를 위한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내에는 전력변환 및 전달, 계측 등을 위한 다수의 전력기기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전력이 전달되는 선로에 배치되는 차단기(circuit breaker)는, 선로에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압, 단락, 지락 등의 요소가 검출되는 경우 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배전반 및 이와 연결된 부하나 각종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는, 차단기 자체의 이상 현상 또는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의 이상 현상 등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관리자는 배전반 패널 내부를 확인하여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를 확인하고, 상기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 해당 선로와 연결된 선로들, 및 상기 연결된 선로들 각각에 배치된 차단기의 확인 및 점검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배전반 내에는 다수의 차단기들이 배치되어 있어, 관리자는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의 확인이나, 연결된 선로들 각각에 배치된 차단기를 식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전반 패널 내에 구비된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 내에 포함된 복수의 차단기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알림부들, 및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중 제1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차단기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를 통해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차단기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단기에 포함된 상기 제1 알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알림부들 각각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멸 주기,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차단기가 배치된 제1 선로와 연관된 제2 선로에 배치된 제2 차단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알림부를 통해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알림부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과, 상기 제2 알림부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선로와 연관된 상기 제2 선로는, 상기 제1 선로의 상위 선로 또는 하위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중 상기 제1 차단기 및 제2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2 차단기 각각으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알림부와, 상기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알림부 각각을 통해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선로가, 상기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선로의 상위 선로 또는 하위 선로인 경우, 상기 제1 차단기와 제2 차단기 각각의 고장 발생 정보의 수신 순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알림부와 상기 제2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특정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통해 고장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배전반 패널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차단기들 중,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의 선로와 연관된 선로의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통해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상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와 연관된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 내의 차단기의 고장이나 통신 셋팅 오류 등의 상태를 알림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된 알림에 기초하여 차단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배전반 패널 내에 배치된 복수의 차단기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차단기들 간의 연결 관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관리 시스템이 배전반에 포함된 차단기들 중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관리 시스템이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와 관련되는 선로들에 배치되는 차단기들 각각의 알림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배전반 패널 내에 배치된 복수의 차단기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차단기들 간의 연결 관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전반 패널(10)의 내부에는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성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배전반 패널(10)의 내부에는 게이트웨이(10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00)는 배전반 패널(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배전반 패널(10) 내의 차단기들(CB1~CB11) 각각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차단기들(CB1~CB11) 각각의 식별 정보(예컨대, ID 등)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게이트웨이(100)는 배전반 패널(10)이 설치된 공간(예컨대, 건물 등)의 관리 장치(관리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00)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110)와 연결될 수 있다. HMI(110)는 배전반 패널(10)의 외부 일면 또는 배전반 패널(1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HMI(110)는 게이트웨이(100)로부터 배전반 패널(10) 내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픽이나 텍스트 형태로 상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I(11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배전반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이나 요청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이나 요청을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HMI(1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HMI(11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배전반 패널(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차단기들(CB1~CB1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정 개수의 차단기들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배전반 패널(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단기들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차단기들(CB1~CB11) 각각은 선로에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압, 단락, 지락 등의 요소가 검출되는 경우 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배전반 및 이와 연결된 부하나 각종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차단기들(CB1~CB11)은 선로들 각각에 하나씩 대응하여 배치됨으로써, 대응하는 선로의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들(CB1~CB11) 각각은 ACB(air circuit breaker),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B(molded circuit break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기들(CB1~CB11)은 선로의 분기 또는 배전반 패널(10)의 내부 부피 등의 요인에 따라, 배전반 패널(10) 내부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단기들(CB1~CB11) 각각은 알림부(N1~N11)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N1~N11) 각각은 대응하는 차단기 또는 게이트웨이(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알림부(N1~N11)는 대응하는 차단기의 상태와 관련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림은 차단기의 고장 발생이나, 차단기와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셋팅 오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N1~N11)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 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알림부(N1~N11)는 차단기들(CB1~CB11)에 구비되지 않고, 배전반 패널(10) 내의 상기 차단기들(CB1~CB11)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알림부(N1~N11)는 게이트웨이(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00) 및 알림부(N1~N11; 또는 차단기(CB1~CB11))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의 전력 공급원(20; 예컨대 전력 계통, ESS, PCS 등)과 연결되는 선로는, 배전반이 설치되는 건물 또는 장소의 부하 종류, 구역 등에 따라 복수의 하위 선로들로 분기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공급원(20)과 연결된 메인 선로는 배전반 패널(10) 내부에서 제1 선로와 제2 선로로 분기되고, 제1 선로에는 제1 차단기(CB1)가 배치되며 제2 선로에는 제2 차단기(CB2)가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선로는 제3 선로와 제4 선로로 분기되고, 제2 선로는 제5 선로와 제6 선로로 분기되며, 제4 선로는 제7 선로 내지 제9 선로로 분기되고, 제6 선로는 제10 선로와 제11 선로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3 선로 내지 제11 선로에는 제3 차단기(CB3) 내지 제11 차단기(CB11)가 서로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선로, 제5 선로, 및 제7 선로 내지 제11 선로는, 배전반이 설치된 건물 또는 장소의 각 부하와 연결되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선로는 상기 건물 또는 장소의 제1 구역에 존재하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제5 선로는 상기 건물 또는 장소의 제2 구역에 존재하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7 선로 내지 제11 선로 각각은, 상기 건물 또는 장소의 대응하는 구역들 각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패널(10) 내부에 배치되는 차단기들(CB1~CB11)은, 선로들의 연결 관계에 따라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차단기(CB1)가 동작하여 제1 선로를 차단시키는 경우, 제1 선로의 하위 선로들(제3 선로, 제4 선로, 제7 선로, 제8 선로, 및 제9 선로) 각각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들(CB1~CB11) 중 특정 차단기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와 연관된 다른 선로들에 배치된 차단기들에도 이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연관된 다른 선로들은, 상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의 상위 선로 및 하위 선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특정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 및 해당 차단기와 연관된 다른 차단기들에 대해서도 확인 및 점검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고장 알림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리자는 배전반 패널(10) 내부에 배치된 차단기들(CB1~CB11) 중 어떤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패널(10) 내에 차단기들(CB1~CB11)이 배치된 경우, 관리자는 차단기들(CB1~CB11) 간의 연결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와 연관된 다른 차단기들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1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차단기들 중 제1 차단기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게이트웨이(100)는 복수의 차단기들(CB1~CB11)과 통신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배전반의 구동 중 제1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게이트웨이(100)는 제1 차단기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기는 복수의 차단기들 중 임의의 차단기를 의미하는 것일 뿐,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제1 차단기(CB1)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시스템은, 고장이 발생한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10).
게이트웨이(100)는 복수의 차단기들(CB1~CB1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알림부들(N1~N11) 중, 상기 고장이 발생한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를 제어하여, 고장 발생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웨이(100)는 고장 발생 정보에 포함된 고장의 종류에 따라 제1 알림부가 서로 다른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1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알림부가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게이트웨이(100)는 고장의 종류에 따라 광원의 점멸 방식, 색상, 밝기 등을 달리하도록 제1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제1 알림부의 알림 출력에 기초하여 고장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10) 내부의 선로들 간의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제1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선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의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S120).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제1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선로(상위 선로 및/또는 하위 선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를 제어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로부터 출력되는 알림은,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로부터 출력되는 알림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의 점멸 주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의 점멸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또는, 제1 알림부의 색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알림부의 밝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의 밝기보다 밝을 수 있다. 상기 예들과 같이, 게이트웨이(100)는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와, 상기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서로 구분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배전반 패널(10)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에 기초하여 제1 차단기의 고장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로부터 출력되는 알림에 기초하여 제1 차단기의 선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선로의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00)는 HMI(11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제1 차단기 및 연관된 차단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관리자는 HMI(110)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이 발생한 제1 차단기 및 연관된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관리 시스템이 배전반에 포함된 차단기들 중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관리 시스템이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와 연관된 선로들에 배치되는 차단기들 각각의 알림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들에서는 알림부들 각각은 대응하는 차단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부들은 차단기들과 별개의 구성으로서, 차단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차단기들(CB1~CB11) 중 제8 차단기(CB8)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제8 차단기(CB8)는 게이트웨이(100)로 고장 발생 정보(FS)를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수신된 고장 발생 정보(FS)에 기초하여 제8 차단기(CB8)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고장의 종류에 대응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8 알림부(N8)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1)를 전송할 수 있다.
제8 알림부(N8)는 수신된 제어 신호(CTRL1)에 기초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8 차단기(CB8)는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CTRL1)에 기초하여 제8 알림부(N8)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0)는 수신된 고장 발생 정보(FS)에 기초하여, 제8 차단기(CB8)가 배치된 선로와 연관된 선로들 및 상기 선로들 각각에 배치된 차단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100)는 선로들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와, 선로들 각각에 배치된 차단기의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100)는 제8 차단기(CB8)가 배치된 제8 선로와 연관된 선로들인 제1 선로와 제4 선로를 추출하고, 제1 선로에 배치된 제1 차단기(CB1), 및 제4 선로에 배치된 제4 차단기(CB4)를 추출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추출된 제1 차단기(CB1) 및 제4 차단기(CB4)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N1)와 제4 알림부(N4)를 통해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들(CTRL2, CTRL3)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알림부(N1)는 수신된 제어 신호(CTRL2)에 기초하여 알림을 출력하고, 제4 알림부(N4)는 수신된 제어 신호(CTRL3)에 기초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알림부(N1)와 제4 알림부(N4)는 동일한 형태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제1 알림부(N1) 및 제4 알림부(N4)에 의해 출력되는 알림은, 제1 차단기(CB1) 및 제4 차단기(CB4)가 제8 차단기(CB8)의 선로와 연관된 선로에 배치된 차단기임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림에 기초하여, 관리자는 제8 차단기(CB8)의 고장 확인 및 수리 시, 상위 선로에 배치된 제1 차단기(CB1) 및/또는 제4 차단기(CB4)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는 제1 차단기(CB1) 및/또는 제4 차단기(CB4)를 구동시켜 선로를 차단함으로써, 제8 차단기(CB8)가 배치된 선로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킨 후 제8 차단기(CB8)의 고장 확인 및 수리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특정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통해 고장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배전반 패널(1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차단기들 중,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의 선로와 연관된 선로의 차단기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통해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상기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와 연관된 차단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전반 패널(10) 내부의 차단기들 중 복수의 차단기들에서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100)는 복수의 차단기들로부터 각각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이 배치된 선로들의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알림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이 배치된 선로들이 연관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도 5의 제6 차단기(CB6)와 제8 차단기(CB8)로부터 각각 고장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알림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차단기들 각각의 고장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반면,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이 배치된 선로들이 서로 연관된 경우(예를 들어, 도 5의 제4 차단기(CB4)와 제8 차단기(CB8)로부터 각각 고장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게이트웨이(100)는 고장 발생 정보의 수신 순서를 나타낼 수 있도록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는 알림부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알림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차단기들의 고장 발생 히스토리를 파악하여 보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0)는 수신된 고장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 또는 관리 장치로 고장이 발생한 차단기 또는 상기 차단기가 배치된 선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 또는 관리 장치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로와 연결된 부하들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내 차단기의 설치 시, 차단기와 게이트웨이(100) 간의 통신 셋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차단기들(CB1~CB11) 각각은 게이트웨이(100)와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게이트웨이(1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셋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6 차단기(CB6)와 게이트웨이(100) 간의 통신 셋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6 차단기(CB6)는 게이트웨이(100)로 에러 신호(CFS)를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수신된 에러 신호(CFS)에 기초하여, 제6 차단기(CB6)에 대응하는 제6 알림부(N6)를 통해 통신 셋팅 오류를 나타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CTRL4)를 전송할 수 있다. 제6 알림부(N6)는 상기 제어 신호(CTRL4)에 응답하여 통신 셋팅 오류를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6 알림부(N6)를 통해 출력된 알림을 확인함으로써, 제6 차단기(CB6)와 게이트웨이(100) 간의 통신 셋팅 오류를 확인 및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패널 내의 차단기의 고장이나 통신 셋팅 오류 등의 상태를 알림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된 알림에 기초하여 차단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반 패널 내에 포함된 복수의 차단기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알림부들; 및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중 제1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차단기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알림부를 통해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기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단기에 포함된 상기 제1 알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알림부를 제어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림부들 각각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멸 주기,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차단기가 배치된 제1 선로의 상위 선로 또는 하위 선로에 해당하는 제2 선로에 배치된 제2 차단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알림부를 통해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부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과, 상기 제2 알림부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은 서로 다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들 중 상기 제1 차단기 및 제2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2 차단기 각각으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알림부와, 상기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알림부 각각을 통해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1 선로가, 상기 제2 차단기에 대응하는 제2 선로의 상위 선로 또는 하위 선로인 경우,
    상기 제1 차단기와 제2 차단기 각각의 고장 발생 정보의 수신 순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알림부와 상기 제2 알림부를 제어하는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KR1020180025202A 2018-03-02 2018-03-02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KR20190104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02A KR20190104732A (ko) 2018-03-02 2018-03-02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02A KR20190104732A (ko) 2018-03-02 2018-03-02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32A true KR20190104732A (ko) 2019-09-11

Family

ID=6794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202A KR20190104732A (ko) 2018-03-02 2018-03-02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888B1 (ko) * 2022-04-11 2023-05-02 서하윤 스마트 배전반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888B1 (ko) * 2022-04-11 2023-05-02 서하윤 스마트 배전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8111B1 (en) Fault protection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CN101746662B (zh) 自动扶梯
US20160203930A1 (en) Power feed line switching circuit, branching device, submarine cable system, and power feed line switching method
KR20230082007A (ko) 분전반 모니터링 장치
CN203535152U (zh) 一种失灵保护外部启动接点隐性缺陷检测装置
KR20190104732A (ko)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WO2016108627A1 (ko)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EP2840052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lifts of various types
CN102738900A (zh) 智能变电站goose链路监视方法
CN106533640A (zh) 用于船到岸、岸到船和/或船到船通信的安全链接
CN105974852A (zh) 一种水利闸门远程控制的方法及装置
KR20190106508A (ko) 배전반 제어 시스템
CN205328434U (zh) 一种扶梯集成控制系统
CN112010141B (zh) 安全开关与检测系统
CN103138168A (zh) 飞行器断路器板的电缆布线
CN202334558U (zh) 总线冗余电路
CN104104144B (zh) 一种智能变电站备自投调试系统、方法及智能变电站
CN109818335A (zh) 一种基于故障树分析的保护系统异常事件诊断系统及方法
KR200426883Y1 (ko) 고속철도 비상단로기 리모터터미널유니트
CN106533543B (zh) 一种低速率光信号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20110047798A (ko) 스마트 배전 시스템 및 분산 전원의 단독 운전 방지 방법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1725687B1 (ko) 원자력 발전소에서 독립성이 강화된 단방향 통신 시스템
KR100786238B1 (ko) 고속철도 비상단로기 리모터터미널유니트
KR100864290B1 (ko)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임대회선 고장 검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