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631B1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Google Patents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631B1 KR101725631B1 KR1020150066239A KR20150066239A KR101725631B1 KR 101725631 B1 KR101725631 B1 KR 101725631B1 KR 1020150066239 A KR1020150066239 A KR 1020150066239A KR 20150066239 A KR20150066239 A KR 20150066239A KR 101725631 B1 KR101725631 B1 KR 101725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upper arm
- arm
- unit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팔의 상완과 하완에 각각 탈부착되는 상완 탈부착부와 하완 탈부착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본체; 및 상기 탈부착 본체에 결합되며, 임팩트 시 상기 팔이 곧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치킨 윙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보정기구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멀리 떨어진 홀 컵에 넣는 경기로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한편, 도 1처럼 골프 스윙을 할 때는 할 때는 손과 클럽, 몸이 하나로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임팩트 이후 몸과 팔이 따로 움직일 때가 있다. 특히 왼쪽 팔이 겨드랑이에서 떨어지는 상황이 많이 나온다. 이를 치킨 윙 동작이라 한다.
이와 같은 치킨 윙 동작은 팔이 닭 날개처럼 구부러지는 현상을 가리키는데, 몸과 팔이 함께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팔로 스윙을 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치킨 윙 동작이 나오면 클럽 헤드가 열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힘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이러한 치킨 윙 동작을 없애기 위해서는 스윙에서 팔의 올바른 움직임을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예컨대, 셋업한 후 양 팔을 벌리고 테이크어웨이를 시작한다. 이때 오른손은 제자리에 놓고 왼팔과 상체를 이용해 회전을 해서 왼손을 오른손이 있는 부분까지 보낸다. 이 경우, 오른손은 정면을 보고 있어야 한다. 똑같은 셋업에서 양 팔을 벌린 후에 이번에는 폴로스루를 한다. 왼손은 그대로 두고, 오른팔과 상체를 이용해 회전을 해서 왼손이 있는 곳까지 보낸다. 이 때 왼손의 손바닥도 정면을 보고 있어야 한다.
실제, 스윙 시 임팩트(샷) 이후에 왼손이 자연스럽게 돌아가면서 왼쪽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임팩트 이후에 왼쪽 손바닥이 지면을 보게 되면 왼쪽 팔이 겨드랑이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어 치킨 윙 동작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에, 골퍼들의 경우, 왼손으로만 웨지를 잡고 오른손은 왼손의 팔꿈치 윗부분에 살짝 얹혀둔 상태로 연습 스윙을 하는 등 치킨 윙 동작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고 실제 이러한 연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치킨 윙 동작을 없애기가 다소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치킨 윙 동작을 없애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팔의 상완과 하완에 각각 탈부착되는 상완 탈부착부와 하완 탈부착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본체; 및 상기 탈부착 본체에 결합되며, 임팩트 시 상기 팔이 곧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치킨 윙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보정기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정기구 모듈은, 상기 상완 탈부착부에 결합되는 상완측 모듈; 및 일측은 상기 하완 탈부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완측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임팩트를 완료하여 손바닥이 뒤집어지면서 비틀어질 때, 상기 상완측 모듈로부터 분리되는 하완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완측 모듈은, 모듈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완측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바아; 및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바아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듈 바아가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분리 방지용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바아의 타단부에는 상기 상완측 모듈의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부로 출입 가능한 출입용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바아에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입용 플랜지에는 상기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상완측 모듈의 내벽면에서 구름 이동되는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완측 모듈은, 모듈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완측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다수의 걸림치형이 형성되는 모듈 바아;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모듈 바아의 걸림치형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 유닛; 상기 걸림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 유닛을 구동시키는 유닛 구동부; 상기 모듈 하우징 또는 상기 유닛 구동부에 마련되며, 상기 임팩트 전후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 스윙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상완측 모듈과 모듈 바아 간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골프용 자세보정기구를 이용해서 임팩트(샷)를 진행하는 단계적인 이미지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상완측 모듈과 모듈 바아 간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골프용 자세보정기구를 이용해서 임팩트(샷)를 진행하는 단계적인 이미지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상완측 모듈과 모듈 바아 간의 요부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2의 골프용 자세보정기구를 이용해서 임팩트(샷)를 진행하는 단계적인 이미지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100)는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탈부착 본체(110)와, 탈부착 본체(110)에 결합되며 임팩트 시 팔이 곧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치킨 윙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보정기구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본체(110)는 팔에 탈부착되는 구조물로서 치킨 윙 동작을 없애 스윙을 교정하고자 하는 골퍼가 도 5처럼 팔에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 본체(110)는 팔의 상완에 탈부착되는 상완 탈부착부(111), 팔의 하완에 탈부착되는 하완 탈부착부(112), 그리고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를 플렉시블(flexible)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는 일종의 완장 개념으로써, 팔의 상완과 하완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는 그 사이즈만 상이할 뿐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 모두는 팔의 상완과 하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완장부(111a,112a)와, 완장부(111a,112a)를 둘러 고정시키는 밴드부(111b,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완장부(111a,112a)와 밴드부(111b,112b)에는 벨크로(V)가 각각 마련되어 완장부(111a,112a)가 팔의 상완과 하완에서 임의로 떨어지지 않게끔 한다.
도면에는 밴드부(111b,112b)가 완장부(111a,112a)를 둘러싸면서 벨크로(V)로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는 바지 벨트 방식으로 적용되더라도 관계없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시블 연결부(113)는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가 분리되지 않게 플렉시블 연결부(113)는 상완 탈부착부(111)를 연결한다. 즉 플렉시블 연결부(113)는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가 분리되지 않게 단지 연결만 할 뿐 다른 기능은 없다. 따라서 플렉시블 연결부(113)가 구성상 제외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한편, 보정기구 모듈(120)은 탈부착 본체(110)에 결합되며, 임팩트(샷) 시 팔이 곧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치킨 윙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정기구 모듈(120)은 상완 탈부착부(111)에 결합되는 상완측 모듈(130)과, 일측은 하완 탈부착부(11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완측 모듈(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임팩트를 완료하여 손바닥이 뒤집어지면서 비틀어질 때, 상완측 모듈(130)로부터 분리되는 하완측 모듈(14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하완측 모듈(140)의 경우, 임팩트 전에는 상완 탈부착부(111)에 결합되어 있다가 임팩트(샷) 이후 팔이 올라가 손바닥이 뒤집어질 때, 상완 탈부착부(1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완측 모듈(130)은 모듈 바아(160)가 출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완측 모듈(130)의 단부에는 모듈 바아(16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출입용 플랜지(162)가 출입되는 관통부(131)가 형성된다.
관통부(131)는 비원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완측 모듈(130)의 출입용 플랜지(162)는 관통부(131)에 그 방향이 맞아야만 비로소 출입될 수 있다.
하완측 모듈(140)은 모듈 하우징(150), 모듈 바아(160), 그리고 탄성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50)은 상완측 모듈(130)과 마찬가지로 모듈 바아(160)가 출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모듈 바아(160)는 일단부가 모듈 하우징(150)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완측 모듈(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모듈 바아(160)에는 손잡이(165)가 결합된다. 따라서 모듈 바아(160)를 회전시켜 조작하기가 편리하다.
모듈 바아(160)의 일단부는 모듈 하우징(15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아야 하므로, 모듈 바아(160)의 일단부에는 분리 방지용 플랜지(161)가 마련된다. 모듈 바아(160)의 일단부가 모듈 바아(160)의 타단부와 같이 동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 방지용 플랜지(161)에는 회전방지용 돌기(161a)가 형성되어 모듈 하우징(150)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모듈 바아(160)의 일단부가 구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듈 바아(160)의 타단부에는 상완측 모듈(1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부(131)로 출입 가능한 출입용 플랜지(162)가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모듈 바아(160)가 회전되어 출입용 플랜지(162)와 관통부(131) 간의 방향이 맞아야만 출입용 플랜지(162)가 상완측 모듈(130)에서 빠질 수 있다.
이때, 출입용 플랜지(162)에는 관통부(131)가 형성되지 않은 상완측 모듈(130)의 내벽면에서 구름 이동되는 베어링(164)이 결합된다. 따라서 임팩트 시 팔의 궤적에 따라 베어링(164)이 관통부(131)가 형성되지 않은 상완측 모듈(130)의 내벽면에서 구름 이동될 수 있는데, 임팩트(샷) 이후 팔이 올라가 손바닥이 뒤집어질 때, 상완 탈부착부(111)와 하완 탈부착부(112)가 상호 비틀어지면서, 출입용 플랜지(162)와 관통부(131) 간의 방향이 맞아서 모듈 바아(160)가 상완측 모듈(13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탄성부재(170)는 모듈 하우징(150) 내에 마련되어 모듈 바아(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170)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처럼 샷 전의 준비자세에서는 하완측 모듈(140)이 상완측 모듈(1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샷이 완료된 이후 팔이 올라가 손바닥이 뒤집어질 때는 하완측 모듈(140)이 상완측 모듈(130)로부터 분리되어 팔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킨 윙 동작이 없는 바른 스윙 자세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에서 보정기구 모듈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분리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역시, 치킨 윙 동작이 없는 바른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보정기구 모듈(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정기구 모듈(22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완 탈부착부(111, 도 2 참조)에 결합되는 상완측 모듈(230)과, 일측은 하완 탈부착부(112, 도 2 참조)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완측 모듈(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임팩트를 완료하여 손바닥이 뒤집어지면서 비틀어질 때, 상완측 모듈(230)로부터 분리되는 하완측 모듈(2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하완측 모듈(240)은 모듈 하우징(250), 모듈 바아(260), 탄성부재(270), 걸림 유닛(280), 유닛 구동부(283), 감지부(286), 그리고 컨트롤러(29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250)과 탄성부재(27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모듈 바아(260)는 앞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 일단부는 모듈 하우징(250)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완측 모듈(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모듈 바아(260)의 일단부에도 분리 방지용 플랜지(261)가 형성된다.
이러한 모듈 바아(260)에도 손잡이(265)가 마련되는데, 모듈 바아(260)의 외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수의 걸림치형(262)이 형성된다. 다수의 걸림치형(262)은 걸림 유닛(280)의 단부가 걸리는 장소를 이룬다. 걸림 유닛(280)의 단부가 걸림치형(262)에 걸릴 때, 모듈 바아(260)는 이동되지 않는다.
걸림 유닛(280)은 모듈 바아(160)의 걸림치형(262)에 걸림(도 6 참조) 또는 걸림해제(도 7 참조)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유닛 구동부(283)는 걸림 유닛(280)에 연결되어 걸림 유닛(280)을 도 6 및 도 7처럼 구동시킨다. 유닛 구동부(283)는 컨트롤러(29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도 6의 걸림상태에서 유닛 구동부(283)가 동작되면, 걸림 유닛(280)을 아래로 끌어당길 수 있다. 그러면, 걸림 유닛(280)의 걸림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270)가 복귀되면서, 모듈 바아(160)를 하완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완과 하완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감지부(286)는 모듈 하우징(250) 또는 유닛 구동부(283)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감지부(286)는 임팩트 전후의 상태, 다시 말해 샷 전후의 자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지부(286)로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구슬과 같은 형태의 중력 센서가 감지부(286)로 적용될 수 있다. 즉 구슬과 같은 형태의 중력 센서를 감지부(286)로 적용하여 하완측 모듈(240)에 결합시킬 경우, 준비자세에서는 중력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다가 샷 이후에는 팔이 올라가므로 다른 방향으로 구슬이 이동되면서 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형태의 중력 센서가 아닌 예컨대, 근접 센서 등을 감지부(286)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290)는 감지부(286)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290)는 임팩트를 하기 전의 준비자세에서는 걸림 유닛(280)이 모듈 바아(260)의 걸림치형(262)에 걸리도록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도 6 참조)하고, 임팩트가 완료된 이후에는 걸림 유닛(280)이 모듈 바아(160)의 걸림치형(262)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도 7 참조)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90)는 중앙처리장치(291, CPU), 메모리(292, MEMORY), 서포트 회로(2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91)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286)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91)와 연결된다. 메모리(2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2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90)는 감지부(286)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290)가 임팩트를 하기 전의 준비자세에서는 걸림 유닛(280)이 모듈 바아(260)의 걸림치형(262)에 걸리도록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도 6 참조)하고, 임팩트가 완료된 이후에는 걸림 유닛(280)이 모듈 바아(160)의 걸림치형(262)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유닛 구동부(283)의 동작을 컨트롤(도 7 참조)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방법으로 치킨 윙 동작을 없앨 수 있어 임팩트 시 힘을 제대로 실어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110 : 탈부착 본체
111 : 상완 탈부착부 112 : 하완 탈부착부
113 : 플렉시블 연결부 120 : 보정기구 모듈
130 : 상완측 모듈 131 : 관통부
140 : 하완측 모듈 150 : 모듈 하우징
160 : 모듈 바아 161 : 분리 방지용 플랜지
162 : 출입용 플랜지 164 : 베어링
165 : 손잡이 170 : 탄성부재
111 : 상완 탈부착부 112 : 하완 탈부착부
113 : 플렉시블 연결부 120 : 보정기구 모듈
130 : 상완측 모듈 131 : 관통부
140 : 하완측 모듈 150 : 모듈 하우징
160 : 모듈 바아 161 : 분리 방지용 플랜지
162 : 출입용 플랜지 164 : 베어링
165 : 손잡이 170 : 탄성부재
Claims (6)
- 팔의 상완과 하완에 각각 탈부착되는 상완 탈부착부와 하완 탈부착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본체; 및
상기 탈부착 본체에 결합되며, 임팩트 시 상기 팔이 곧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치킨 윙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보정기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기구 모듈은,
상기 상완 탈부착부에 결합되는 상완측 모듈; 및
일측은 상기 하완 탈부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완측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임팩트를 완료하여 손바닥이 뒤집어지면서 비틀어질 때, 상기 상완측 모듈로부터 분리되는 하완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완측 모듈은,
모듈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완측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다수의 걸림치형이 형성되는 모듈 바아;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모듈 바아의 걸림치형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 유닛;
상기 걸림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 유닛을 구동시키는 유닛 구동부;
상기 모듈 하우징 또는 상기 유닛 구동부에 마련되며, 상기 임팩트 전후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아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듈 바아가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분리 방지용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모듈 바아의 타단부에는 상기 상완측 모듈의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부로 출입 가능한 출입용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모듈 바아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용 플랜지에는 상기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상완측 모듈의 내벽면에서 구름 이동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239A KR101725631B1 (ko) | 2015-05-12 | 2015-05-12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239A KR101725631B1 (ko) | 2015-05-12 | 2015-05-12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303A KR20160133303A (ko) | 2016-11-22 |
KR101725631B1 true KR101725631B1 (ko) | 2017-04-11 |
Family
ID=5754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6239A KR101725631B1 (ko) | 2015-05-12 | 2015-05-12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6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8495A (ko) | 2022-10-26 | 2024-05-03 | 정은재 | 골프 스윙 교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4873Y1 (ko) * | 1988-03-15 | 1991-07-08 | 김종기 | 골프용 스윙자세 교정구 |
KR20020082287A (ko) | 2001-04-20 | 2002-10-3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선루프의 소음저감용 디플렉터구조 |
DE10148599A1 (de) | 2001-10-02 | 2003-04-10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aus trockenen Pulvermischungen mittels Walzen |
KR20090012493U (ko) * | 2008-06-03 | 2009-12-08 | 이수열 | 골프스윙 손목자세교정기 |
-
2015
- 2015-05-12 KR KR1020150066239A patent/KR10172563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8495A (ko) | 2022-10-26 | 2024-05-03 | 정은재 | 골프 스윙 교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303A (ko) | 2016-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5631B1 (ko) |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 |
US8894503B2 (en) | Golf swing training aid | |
US2015031418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a basketball players shooting accuracy | |
US6350206B1 (en) | Golf club grip assist device | |
WO2015049935A1 (ja) | ゴルフ用手袋 | |
US9975021B1 (en) | Ball retrieving receptacle | |
JP4638852B2 (ja) | ゴルフ練習用具 | |
JP6149835B2 (ja) | ゴルフクラブ | |
KR101327201B1 (ko) | 골프 스윙연습기 | |
JP6180279B2 (ja) | 球技用の棒状体 | |
KR20110107955A (ko) | 골프채용 보조그립 | |
JP3236221U (ja) | ゴルフ練習器具 | |
KR200324981Y1 (ko) | 골프 스윙 연습기구 | |
US9283462B2 (en) | Golf training ai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200469447Y1 (ko) | 연습용 골프채 | |
CN204619335U (zh) | 高尔夫挥杆辅助器具以及高尔夫练习用旋转运动辅助器 | |
JP3206589U (ja) | ゴルフ練習器具 | |
KR20240058495A (ko) | 골프 스윙 교정장치 | |
JP4320047B1 (ja) | スポーツ用打撃具とフォーム矯正具 | |
JP3142888U (ja) | パタークラブ | |
JP3167904U (ja) | 打撃フォーム矯正具 | |
JP2005288015A (ja) | トレーニング器具 | |
JP2008264278A (ja) | パット練習用支持具 | |
KR101690667B1 (ko) |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 |
JP3188564U (ja) | ゴルフスイングフォーム矯正具および矯正用ゴルフクラ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