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444B1 - 플랫형 드론 - Google Patents

플랫형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44B1
KR101725444B1 KR1020160037999A KR20160037999A KR101725444B1 KR 101725444 B1 KR101725444 B1 KR 101725444B1 KR 1020160037999 A KR1020160037999 A KR 1020160037999A KR 20160037999 A KR20160037999 A KR 20160037999A KR 101725444 B1 KR101725444 B1 KR 10172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battery
drones
frame bod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716A (ko
Inventor
장민하
Original Assignee
장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하 filed Critical 장민하
Priority to KR102016003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공간부를 제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를 구비한 구동팩과; 상기 바디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팩으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여 바디를 공중으로 띄우는 모터 및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일정두께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므로, 책은 물론 태블릿피씨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모바일기기와 포갤 수 있어, 가령 속이 꽉 찬 가방이나 배낭은 물론 작은 포켓에도 부담없이 넣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휴대성이 뛰어나며, 드론을 띄우지 않을 때에,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접속시켜 모바일 기기에 비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고, 아울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드론의 비행거리나 배터리 전력의 잔량은 물론 앞으로의 비행 가능거리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패널을 가져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제어부, 배터리, 터치패널, GPS, 카메라모듈 등이 패키징되어 있는 구동팩이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시 구동팩을 따로 분리하여 관리 또는 사용 할 수 도 있다.

Description

플랫형 드론{Flat type drone}
본 발명은 플랫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은,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 뿐 아니라 그 이외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
가령,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각종 재해나 사고지역 또는 정글이나 오지 또는 화산지역 등으로 투입되어, 현장의 상황파악이나 인명구조 또는 방송용 영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배송회사에서 물품수송의 상업적 목적으로 운용한다거나, 감시카메라를 대신하는 보안 및 관제서비스에 적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드론의 일반화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취미생활을 목적으로 드론을 구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지상의 콘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원격 제어된다. 드론 오퍼레이터는 드론과 매칭된 콘트롤러를 이용해 드론의 비행이나 영상촬영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최근에는 태블릿피씨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에서 구동되는 드론 제어 애플리케이션도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투박하고 커다란 콘트롤러를 따로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자신이 늘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드론을 제어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드론은, GPS와 전원과 제어부 등이 자리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연장단부에 구비되는 모터 및 프로펠러 등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59898호에 개시된 드론에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부와, 각 분기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모터 및 프로펠러와, 모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드론을 포함하는 기존 드론은, 거의 대부분, 프로펠러와 모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사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또한 프로펠러가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된 형태를 취하므로, 휴대하기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크기가 작은 미니드론이라 하더라도 가방에 다른 물건과 함께 넣어 다닐 수 없는 것이다. 프레임이나 프로펠러가 가방속의 물건에 눌려 휘어지거나 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가방이나 포켓 등에 수납하더라도 다른 물건에 눌려 손상이나 변형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휴대성이 뛰어나고, 더 나아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접속시켜 모바일 기기에 비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고, 제어부, 배터리, 터치패널, GPS, 카메라 등이 패키징되어 있는 구동팩을 착탈 가능하게 적용하여, 필요시 구동팩을 따로 분리하여 활용할 수 도 있는 플랫형 드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 영역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팩으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렛형 드론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상기 프로펠러케이스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이동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프로펠러케이스의 이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정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에는; 상기 구동팩내의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와, 외부의 모바일기기를 상기 구동팩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포갤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일정두께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므로, 책은 물론 태블릿피씨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모바일기기와 포갤 수 있어, 가령 속이 꽉 찬 가방이나 배낭은 물론 작은 포켓에도 부담없이 넣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휴대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드론을 띄우지 않을 때에,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접속시켜 모바일 기기에 비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그 상면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드론의 비행거리나 배터리 전력의 잔량은 물론 앞으로의 비행 가능거리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패널을 가져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제어부, 배터리, 터치패널, GPS, 카메라모듈 등이 패키징되어 있는 구동팩이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시 구동팩을 따로 분리하여 관리 또는 사용 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에서 구동팩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구동팩을 뒤집어 도시한 도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구동팩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을 스파트폰과 함께 휴대케이스에 수납하여 펼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랫형 드론(11)은, 전체적인 외곽 형상이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므로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 가령 빽빽한 책가방 속의 책 사이에 끼워 놓거나 책꽂이에 꼽아 놓을 수 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마트폰과 겹쳐 가지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도 9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11)에서 구동팩(17)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13)와, 상기 프레임바디(13)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피칭프로펠러(25,27) 및 롤링프로펠러(31,33)와, 구동팩(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바디(13)는 일정두께(A)를 가지는 사각틀로서 그 중앙부에 센터지지부(15)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바디(13)는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그 형상이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어링(pairing)된 스마트폰(57)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완벽히 겹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13)가 중공형 바디로서 그 내부에 전력선이나 신호케이블 등이 내장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센터지지부(15)는 상부로 개방된 수납부(15e)를 갖는다. 상기 수납부(15e)는 구동팩(17)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으로서 관통구멍(15f)를 통해 하부로도 개방되어 있다. 관통구멍(15f)을 형성한 이유는 도 3에 도시한 제 1카메라모듈(17e)를 하부로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납부(15e)의 내벽면에는 메인접속포트(35)와 전력포트(3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접속포트(35)는 구동팩(17)의 메인단자(17b)와 접속하는 포트이고, 전력포트(37)는 전력단자(17c)와 접속한다.
상기 메인접속포트(35)는, 구동팩(17)으로부터, 피칭프로펠러(25,27)와 롤링프로펠러(3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포트이다. 상기 메인접속포트(35)가 피칭프로펠러(25,27) 및 롤링프로펠러(31,33)와 전송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내부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력포트(37)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충전용 전력을 전력단자(17c)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단자(17c)로 공급된 전력은 구동팩(17) 내부의 배터리(17h)로 인가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특히 상기 전력포트(37)는 센터지지부(15) 내부에서 충전포트(15c)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충전포트(15c)는 일반 스마트폰의 충전에 사용되는 범용적 충전용 잭이 끼워지는 포트이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일반 스마트폰의 충전기로 충전기 가능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충전시 플랫형 드론(11)을 함께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지지부(15)의 측부에는 접속포트(15d)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접속포트(15d)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케이블(61)의 커넥터(61a)가 끼워지는 포트이다. 상기 통신케이블(61)은 스마트폰(57)과 구동팩(17)을 접속시키는 케이블이다.
상기 스마트폰(57)의 각종 제어신호가 드론(11)의 비행 전 통신케이블(61)을 통해 구동팩(17)으로 전달되어 구동팩(17)에 저장될 수 도 있고, 플랫형 드론(11)의 비행 후, 드론의 비행이력이 스마트폰(57)으로 전달될 수 도 있는 것이다. 가령 플랫형 드론의 비행거리나 비행고도 또는 비행속도가 스마트폰(57)으로 보고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플랫형 드론(11)이 촬영한 영상이 접속포트(15d)와 커넥터(61a)와 통신케이블(61)을 통해 스마트폰(57)으로 전송될 수 도 있다.
상기 구동팩(17)은 수납부(15e)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송수신부(17g)와 배터리(17h)와 제어부(17k)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 등이 통합되어 패키징된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팩(17)의 상면에는 터치패널(17a)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패널(17a)은 현재 배터리(17h)의 전력 잔량이나 GPS(17m)와 송수신부(17g)의 감도는 물론 완료된 비행이력과 예정된 비행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터치패널(17a)을 통해 플랫형 드론(11)의 목적지를 입력할 수 도 있다.
도 6을 통해 상기 구동팩(17)의 구성 및 작동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팩(17)은 프레임바디(13)에 장착된 상태로, 플랫형 드론(11)의 운항에 관련된 모든 제어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영상촬영이나 지상콘트롤러와의 접속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케이스에 패키징되어 있다.
상기 구동팩(17)에는 제어부(17k)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와 배터리(17h)와 송수신부(17g)가 내장된다. 또한 그 상면에는 터치패널(17a)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17a)은 사용자에게 비행이력이나 비행가능 예측거리 또는 배터리의 잔량 등을 포함하는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널(17a)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도 있다. 가령 드론(11)이 도착할 목적지 코드를 입력하여 드론이 별도의 제어신호를 받지 않고도 목적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와 송수신부(17g)는 제어부와 내부 접속되며 제어부에 의해 콘트롤된다.
상기 배터리(17h)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방전시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팩(17)의 저면에는 배터리커버(17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커버(17d)를 개방하면 배터리(17h)가 노출된다. 마치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처럼, 배터리커버(17d)를 열고 배터리(17h)를 교체하는 것이다.
상기 LED램프(17f)는 제 1카메라모듈(17e)을 이용해 카메라를 사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제 1카메라모듈(17e)을 이용해 야간에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 플래쉬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야간비행시 드론(11)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점등되기도 한다.
이외의 송수신부(17g)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은 일반적인 드론에서 적용되는 송수신부와 GPS와 카메라와 같은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17k)는 구동팩(17)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39)와 제 2카메라모듈(19)과 LED램프(21)까지 제어한다. 상기 모터(39)는 프로펠러(25,27,31,33,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17k)를 통해 배터리(17h)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제 2카메라모듈(19)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바디(13)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행 중 전방 상황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LED램프(21)는 상기 제 2카메라모듈(19)의 양측에 위치하며 필요시 점등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길이방향 앞뒤에는 프레임바디(13)에 고정되는 모터(39)와 상기 모터(39)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피칭프로펠러(25,27)가 구비된다.
상기 피칭프로펠러(25,27)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수는 제어부(17k)에 의해 각기 제어되어, 비행 중 플랫형 드론(11)의 피칭(pitching) 모멘트가 적절히 발생된다. 즉 화살표 p 방향 및 그 반대방향의 기울어짐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는 롤링(rolling) 모멘트를 발생하기 위한 롤링프로펠러(31,33)와 모터(39)가 장착된다. 본 상세한 설명의 도면에서 모터(39)의 구체적 형상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프로펠러(25,27,31,33,51)의 하부에 모터가 위치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롤링프로펠러(31,33)는 구동팩(17)의 좌측에 두 개, 우측에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롤링프로펠러(31,33)는 제어부(17k)의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플랫형 드론(11)에 롤링모멘트를 제공한다. 즉 플랫형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화살표 R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롤링프로펠러(31,33)를 두 개씩 설치하였지만 롤링프로펠러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구동팩(17)을 뒤집어 도시한 도립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팩(17)의 저면에 배터리커버(17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커버(17d)를 개방했을 때 배터리(17h)가 노출됨은 상기한 바와같다.
또한 상기 배터리커버(17d)의 측부에는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가 위치한다. 상기 제 1카메라모듈(17e)은 제어부(17k)에 의해 제어되며 비행 중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한다. 특히 상기 제 1카메라모듈(17e)을 프레임바디(13)로부터 분리하여 그 자체를 카메라로 사용할 경우에는, 터치패널(17a)에 카메라 사용모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통상의 스마트폰을 카메라의 용도로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LED램프(17f)를 점등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 공간부(13a)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공간부(13a)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프로펠러케이스(41)를 수용한다. 상기 공간부(13a)가 프레임바디(13)의 두께방향 상하로도 개방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각 공간부(13a)를 구획하는 양측 대향면에는 가이드슬릿(15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5k)은 수평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케이싱(41)의 양측면에 형성된 사이드돌출부(41a)를 수용한다. 상기 사이드돌출부(41a)는 가이드슬릿(15k)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는 사이드단자(15m)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단자(15m)는 구동팩(17)과 내부 접속된 단자로서 신호접속포트(41b)에 삽입되어 모터(39)에 전력과 작동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신호접속포트(41b)는 양 케이싱(41)의 측면에 적용된 것으로서, 케이싱(41) 내에서 모터(39)와 접속된다. 결국 상기 공간부(13a)에 케이싱(41)을 끼움에 따라 구동팩(17)의 전력과 제어신호가 모터(39)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공간부(13a)로부터 케이싱(4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이에 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앞뒤에 두 개씩의 공간부(13a)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두 네 개의 공간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13a)는 프로펠러케이스(41)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각 가이드슬릿(15k) 내부에 지지스프링(55)과 탄력전극(53)을 갖는다.
상기 지지스프링(55)은, 말하자면 띠형 탄력판을 구부려 양단부를 가이드슬릿(15k)의 벽 내부로 매립한 것으로서, 프로펠러케이스(41)가 공간부(13a)의 내부에 끼워져 있도록 지지한다. 즉 프로펠러케이스(41)가 공간부(13a)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탄력전극(53)은 상기 구동팩(17)과 내부 접속한 부속으로서, 배터리(17h)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동전극(41d)으로 인가한다. 상기 탄력전극(53)의 모양은 지지스프링(55)과 같도록 제작하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케이스(41)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돌출부(41a)에는 상하로 개방된 걸림홈(41c)이 마련되어 있고, 각 걸림홈(41c)에는 이동전극(41d)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전극(41d) 프로펠러케이스(41) 내부의 모터(39)와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전극(41d)은 상하로 개방된 ㄷ 자형 브라켓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스프링(55)이나 탄력전극(53)에 선택적으로 접한다. 가령 프로펠러케이스(41)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간부(13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내부에 지지스프링(55)을 수용하여 지지력을 인가 받는다. 이 상태는 드론(11)의 유휴상태이다.
또한, 프로펠러케이스(41)를 화살표 z방향으로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는 탄력전극(53)과 접하여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탄력전극(53)과 이동전극(41d)이 접함으로써 드론(11)의 비행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각 프로펠러케이스(41)에는 근거리무선송수신포트(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송수신포트(71)는 상기 제어부(17k)의 제어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받는 통로이다.
결국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드론을 작동시키기 위해 프로펠러케이싱(41)을 프레임바디(13)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인출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11)을 스마트폰(57)과 함께 휴대케이스(59)에 수납하여 펼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케이스(59)는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케이스이다. 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마트폰케이스와 같은 것이다.
상기 휴대케이스(59)에는 제 1수납부(59a)와 제 2수납부(59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수납부(59a)에는 스마트폰(57)이 끼워지고, 제 2수납부(59b)에는 상기 프랫형 드론(11)이 끼워진다. 상기 프랫형 드론(11)은 그 두께가 스마프폰(57)과 다를지라도 넓이 즉 평면형상은 스마트폰(57)가 같아 양자를 포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은 통신케이블(61)을 통해 접속될 수 도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61)은 그 양단부에 커넥터(61a,61b)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 커넥터(61b)를 스마트폰(57)의 충전포트에, 타측 커넥터(61a)를 플랫형 드론(11)의 접속포트(15d)에 끼움으로써, 스마트폰(57)의 CPU와 플랫형 드론(11)의 구동팩(17)을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을 접속시키는 이유는, 플랫형 드론(11)의 비행이력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거나, 드론(11)의 앞으로의 비행 계획을 스마트폰에서 구동팩(17)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랫형 드론(11)이 촬영한 내용을 스마트폰으로 다운 받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결국, 사용자는 플랫형 드론(11)을 스마트폰(57)과 함께 휴대케이스(59) 내부에 넣어 언제 어디에서나 휴대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플랫형 드론 13:프레임바디 13a:공간부
15:센터지지부 15c:충전포트 15d:접속포트
15e:수납부 15f:관통구멍 15k:가이드슬릿
15m:사이드단자 17:구동팩 17a:터치패널
17b:메인단자 17c:전력단자 17d:배터리커버
17e:제 1카메라모듈 17f:LED램프 17g:송수신부
17h:배터리 17k:제어부 17m:GPS
19:제 2카메라모듈 21:LED램프 25,27:피칭프로펠러
31,33:롤링프로펠러 35:메인접속포트 37:전력포트
39:모터 41:프로펠러케이스 41a:사이드돌출부
41b:신호접속포트 41c:걸림홈 41d:이동전극
51:프로펠러 53:탄력전극 55:지지스프링
57:스마트폰 59:휴대케이스 59a:제 1수납부
59b:제 2수납부 61:통신케이블 61a,61b:커넥터
71:근거리무선 송수신포트

Claims (4)

  1.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 영역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팩으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2.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상기 프로펠러케이스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이동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프로펠러케이스의 이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정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구동팩내의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와,
    외부의 모바일기기를 상기 구동팩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포갤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KR1020160037999A 2016-03-29 2016-03-29 플랫형 드론 KR10172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ko) 2016-03-29 2016-03-29 플랫형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ko) 2016-03-29 2016-03-29 플랫형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16A KR20160129716A (ko) 2016-11-09
KR101725444B1 true KR101725444B1 (ko) 2017-04-11

Family

ID=5752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ko) 2016-03-29 2016-03-29 플랫형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404B (zh) * 2016-12-02 2024-04-02 成都天府新区光启未来技术研究院 无人机电池的更换系统和方法及无人机
CN106890456A (zh) * 2017-02-13 2017-06-27 深圳市龙云创新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驱动组件与组合模型
US10067504B1 (en) 2017-02-14 2018-09-04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ial device
WO2019019093A1 (zh) * 2017-07-27 2019-01-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组件
KR101951666B1 (ko) * 2017-10-05 2019-02-25 윤태기 촬영용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5304B1 (ko) * 2020-02-24 2021-09-27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카메라 모듈 공유 방식의 드론 결합 전자기기
KR200494426Y1 (ko) * 2020-02-25 2021-10-13 주식회사 위즈윙 무인 비행체
KR102365931B1 (ko) * 2020-03-12 2022-02-21 윤태기 배터리 교체형 드론의 공중 배터리 교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73708B1 (ko) * 2020-06-02 2022-03-15 김용철 산악 인명 구조용 드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979B1 (ko) 2015-04-13 2015-1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비행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ko) *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로터 항공기
KR101407722B1 (ko) * 2012-08-21 2014-06-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발전형 쿼드콥터
KR101570065B1 (ko) * 2014-03-06 2015-11-19 국방과학연구소 대전차 유도무기의 탑재비행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979B1 (ko) 2015-04-13 2015-1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비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16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444B1 (ko) 플랫형 드론
US11454963B2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EP2691300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it
US9426430B2 (en)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CN110233919B (zh)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拍摄装置
US2007011595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US20170369164A1 (en) Improved visual monitoring on smartphone screen
KR102397076B1 (ko)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1145912U (zh) 云台、无人机成像装置和手持式成像装置
KR102500680B1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US20160277052A1 (en)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EP2912835A1 (en)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CN111294428B (zh) 电子设备
CN106218909A (zh) 飞行器及航拍系统
CN210694116U (zh) 布控摄像机
CN112954092B (zh) 电子设备
KR20190080516A (ko) 두루마리 타입의 디지털 터치 노트
CN205080395U (zh) 自推进设备
KR101508601B1 (ko) 다기능 벨트
CN109791726A (zh) 用于控制移动设备的遥控器
CN207658058U (zh) 分体型飞行式移动终端及其飞行动力单元
CN112285932A (zh) 头戴式的智能显示装置、智能眼镜、虚拟现实智能眼镜
CN215991220U (zh) 便携式通信基站和通信系统
CN216131730U (zh) 控制与驱动稳定通讯的云台稳定器
CN110191219A (zh) 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