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882B1 -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882B1
KR101724882B1 KR1020150106160A KR20150106160A KR101724882B1 KR 101724882 B1 KR101724882 B1 KR 101724882B1 KR 1020150106160 A KR1020150106160 A KR 1020150106160A KR 20150106160 A KR20150106160 A KR 20150106160A KR 101724882 B1 KR101724882 B1 KR 10172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nox
reactor
sox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129A (ko
Inventor
정무근
변석종
Original Assignee
(주)제스엔지니어링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엔지니어링,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주)제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0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0Simultaneously removing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01F3/042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F2003/0488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분진을 1차 처리하는 필터모듈이 장착된 건식처리부; 상기 건식처리부를 거진 1차 처리가스를 2차 처리하기 위한 습식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습식처리부에 오존공급부가 연결되어 상기 오존공급부에서 공급한 오존을 습식처리부의 반응기내 투입된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과 반응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COMPLEX REMOVING SYSTEM OF CONTAMINATING MATERIALS IN FLUE GAS}
본 발명은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연가스 중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산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연가스는 발전소, 보일러 등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기체로써, 대기오염물질인 분진(PM), SOx, NOx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으로 백필터(Bag filter)와 전기집진기 등의 설비가 요구되며, 백필터의 경우 여과섬유층 속의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을 채택하여 여과제 표면에 먼지층이 쌓이는 것에 의해 기공이 메워져 제거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아직까지는 PM2.5 정도의 초미세분진 까지는 제거할 수 없는 실정이고, 또 250℃ 이상의 고온에서는 사용가능한 필터재에 제한이 있으며, 점착성, 흡습성 등에 문제를 야기하여 분진제거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케이크 형성에 의해 두께가 일정 수준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폭발의 위험성까지 상존한다.
이에 따라, PM2.5 수준의 초미세분진까지도 제거가 가능하고, 대기오염물질과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NOx와 SOx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면서도, 간단한 장치구성에 의해 저렴하게 설치가 가능한 오염물질 제거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연가스 중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산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미세분진을 1차 처리하는 필터모듈이 장착된 건식처리부; 상기 건식처리부를 거진 1차 처리가스를 2차 처리하기 위한 습식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습식처리부에 오존공급부가 연결되어 상기 오존공급부에서 공급한 오존을 습식처리부의 반응기내 투입된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과 반응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2) 상기 (1)에 있어서,
필터모듈은 미세분진을 제거하는 세라믹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세라믹필터는 막을 관통하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3) 상기 (1)에 있어서,
습식처리부는 유입된 1차 처리가스내 함유된 PM2.5, NOx, SOx의 오염물질을 처리하며, 상기 건식처리부로부터 1차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1차 처리가스유입부, NOx, SOx의 산화반응을 위한 오존공급부, 생성된 산화물의 무해화 처리를 위한 중화반응을 위해 알칼리성분을 공급하는 알칼리 공급부, 및 PM2.5,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2차 처리가스 배출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가스유입부는 단부에 습식처리부의 반응기내로 기체 확산을 시키기 위한 미세기포확산부를 포함하여, PM2.5, NOx, SOx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1차 처리가스를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물속에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부는 오존공급관을 통해 습식처리부내 반응기로 오존을 투입하고, 오존공급관의 단부에는 반응기내로 오존확산을 위한 오존확산부를 포함하여 오존을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수중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연가스 중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산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구성하는 세라믹 필터의 구성 및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의 세부적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가스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의 1차 처리를 위한 건식처리부(100)와 2차 처리를 위한 습식처리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오염물질이라 함은 미세분진(PM10), 초미세분진(PM2.5), SOx, NOx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건식처리부(100)는 배연가스에 포함된 PM10과 NOx의 일부를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세라믹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모듈(110)이 장착되어 있다. 먼저, 유입된 배연가스 중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PM10이 필터모듈(110)을 구성하는 세라믹필터 표면에 흡착되어진다.
각 세라믹 필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을 관통하는 미세기공(C)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기공(C)의 표면에는 NOx의 환원반응을 매개하는 촉매(예로, V2O5/TiO2/WO3)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막의 미세기공(C)으로 NOx, SOx, 및 PM2.5의 미세분진은 통과하지만, PM10과 같이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오염물질은 막의 표면에 흡착되어 케이크를 형성한다. 케이크가 형성되면서 막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따라서 이들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은 보다 증가하게 되지만, 일정한 두께 수준에 이르면 미세기공(C)까지 차단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따르게 되므로 운전 중 혹은 운전을 정지하고 케이크를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배연가스의 오염물질 제거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건식처리부(100)에서 하기 반응식 1에 의해 NOx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제거해주기 위하여, 반응을 위해 외부에서 별도로 암모니아 혹은 요소와 같은 반응물이 투입되어야 하고, 필요한 경우 반응기의 온도를 반응에 필요한 온도(예로, 350℃)로 조절해 주기 위한 열공급부(미도시)가 필요할 수 있다.
[반응식 1]
6NO+4NH3→5N2+6H2O, 6NO2+8NH3→7N2+12H2O
PM10의 분진이 제거된 1차 처리가스(바람직하게는 NOx의 일부 혹은 전부가 제거)는 후속공정인 습식처리를 위해 습식처리부(200)로 유입된다.
습식처리부(200)는 유입된 1차 처리가스내 함유된 PM2.5,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을 완벽히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식처리부(100)로부터 1차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1차 처리가스유입부(120), NOx, SOx의 산화반응을 위한 오존공급부(400), 생성된 산화물의 무해화 처리를 위한 중화반응을 위해 알칼리성분을 공급하는 알칼리 공급부(300), 및 PM2.5,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2차 처리가스 배출부(500)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1차 처리가스유입부(120)는 단부에 습식처리부(200)의 반응기내로 기체 확산을 시키기 위한 미세기포확산부(121)를 포함하여, PM2.5,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1차 처리가스를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물속에 확산시킨다.
상기 오존공급부(300)는 통상적인 오존발생기일 수 있으며, 생성된 오존(O3)은 오존공급관(410)을 통해 습식처리부(200)내 반응기로 투입되어진다. 마찬가지로 오존공급관의 단부에는 반응기내로 오존확산을 위한 오존확산부(411)를 포함하여 오존을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수중으로 확산시킨다.
상기 반응기내 수중에서는 질소산화물(NOx)이 아래 반응식 2에 의해 오존(O3)과 반응하여 산화된 후, 산화물은 투입된 알칼리에 의해 중화처리되어 무해화된다.
[반응식 2]
2NO+O3+H2O→2HNO3
6NO2+O3+3H2O→6HNO3
HNO3+NaOH→NaNO3+H2O
마찬가지로, 상기 반응기내 수중에 투입된 황산화물(SOx)은 아래 반응식 3에 의해 오존(O3)과 반응하여 산화된 후, 산화물은 투입된 알칼리에 의해 중화처리되어 무해화된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72973457-pat00001
상기와 같은 반응식 2 및 3을 거쳐 얻어진 PM2.5, NaNO3, Na2SO3, Na2SO4 및 기타 오염물질은 반응기 하단으로 모여 배출밸브(221)을 개방하여 배출부(220)을 통해 배출시키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배출부(500)을 통해 일부는 배출시키고, 일부는 압축하여 반응기내로 공급한다.
상기 반응식 2 및 3을 통해 생성되어 배출된 물질 중 NaNO3, Na2SO3, Na2SO4 등의 물질은 별도로 정제공정을 거쳐 수거된다. 이 중 NaNO3는 식품첨가물의 하나로 육류발색제, 보존료, 색소고정제로 산업적으로 사용되어지며, Na2SO3는 방부제, 펄프나 종이공업에서 주로 이용되며, 사진공업에서 탈산소제, 탈색제 등으로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마지막으로 Na2SO4는 무수물은 망초라 하여 유리의 원료나 유기물의 건조 등에 산업적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연가스 중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산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건식처리부
110: 필터
120: 1차 처리가스유입부
121: 미세기포확산부
200: 습식처리부
300: 알칼리공급부
400: 오존공급부
410: 오존공급관
411: 오존확산부

Claims (5)

  1. 막을 관통하고 표면에 질소산화물(NOx)의 환원반응을 매개하는 촉매 코팅층이 형성된 미세기공을 갖는 세라믹필터로 이루어져, 배연가스에 포함된 PM10과 질소산화물(NOx)을 1차 처리하는 필터모듈이 장착된 건식처리부; 및 상기 건식처리부를 거친 1차 처리가스를 2차 처리하기 위한 습식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습식처리부는 유입된 1차 처리가스내 함유된 PM2.5,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의 오염물질을 처리하며, 상기 건식처리부로부터 1차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1차 처리가스유입부,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의 산화반응을 위해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부, 반응기내 수중에서 생성된 산화물의 무해화 처리를 위한 중화반응을 위해 알칼리성분을 공급하는 알칼리 공급부, 및 PM2.5,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2차 처리가스 배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1차 처리가스유입부는 단부에 습식처리부의 반응기내로 기체 확산을 시키기 위한 미세기포확산부를 포함하여, PM2.5,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1차 처리가스를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물속에 확산시키고,
    상기 오존공급부는 오존공급관을 통해 습식처리부내 반응기로 오존을 투입하고, 오존공급관의 단부에는 반응기내로 오존확산을 위한 오존확산부를 포함하여 오존을 미세기포 형태로 반응기내 수중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06160A 2015-07-27 2015-07-27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KR10172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60A KR101724882B1 (ko) 2015-07-27 2015-07-27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60A KR101724882B1 (ko) 2015-07-27 2015-07-27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29A KR20170013129A (ko) 2017-02-06
KR101724882B1 true KR101724882B1 (ko) 2017-04-10

Family

ID=5810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160A KR101724882B1 (ko) 2015-07-27 2015-07-27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2107A (zh) * 2019-04-19 2019-07-26 西安西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水泥窑脱硝脱硫催化系统
CN113908656B (zh) * 2021-10-29 2023-05-02 滁州市炬基节能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除尘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98B1 (ko) 2012-12-26 2013-03-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융합형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79B1 (ko) * 2000-08-07 2002-10-11 주식회사 세진 오존을 이용한 배기가스의 탈황, 탈질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498007B1 (ko) * 2013-04-15 2015-03-03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의 배기가스 내 PM, SOx, NOx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98B1 (ko) 2012-12-26 2013-03-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융합형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29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6974C (en) Method of removing sulfur trioxide from a flue gas stream
JP5121637B2 (ja) 脱硝触媒の再生方法、脱硝触媒の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US10286360B2 (en) Method for cleaning process off- or engine exhaust gas
JP2009539605A (ja) 一体型乾式及び湿式煙道ガス浄化法及びシステム
JP2007222824A (ja) ガス浄化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US20100202935A1 (en) Process and system for removing hydrogen sulfide and mercaptans in ammonia-based desulfurization systems
KR101567746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30034703A (ko) 복합형 질소산화물 처리 시스템
CN104492257B (zh) 一种烟气综合处理系统
KR101724882B1 (ko)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CN204619713U (zh) 一种脱除烟气中多种污染物的系统及锅炉
CN105498480B (zh) 一种基于紫外辐照强化的次氯酸盐同时脱硫脱硝脱颗粒物方法及装置
KR19990010029A (ko) 가스상 및 입자상 오염물질의 여과집진장치
JPS6135827A (ja) 乾式石灰法による排ガスの浄化方法
CN109260919A (zh) 臭氧结合尿素的一体化脱硫脱硝装置及其脱硫脱硝方法
TWM539026U (zh) 可過濾懸浮氣膠及氣狀污染物之陶纖濾管
CN105822387A (zh) 地下工程柴油发电机站尾气综合治理深度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5957610A (zh) 一种垃圾焚烧烟气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2122253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694040B1 (ko) 에어펄싱기능을 갖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KR101813404B1 (ko) 선박용 대기오염물질 저감용 열공명시스템
KR20170013192A (ko) 에어펄싱기능을 갖는 배연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복합제거시스템
KR100520415B1 (ko) 폐가스 처리방법
JP2007222826A (ja) ガス浄化部材及びガス浄化装置
CN208553744U (zh) 一种工业废气交替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