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77B1 -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77B1
KR101724677B1 KR1020150000962A KR20150000962A KR101724677B1 KR 101724677 B1 KR101724677 B1 KR 101724677B1 KR 1020150000962 A KR1020150000962 A KR 1020150000962A KR 20150000962 A KR20150000962 A KR 20150000962A KR 101724677 B1 KR101724677 B1 KR 10172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management
substance
inpu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589A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Priority to KR102015000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4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관리물질 관리방법은 관리물질이 입고되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정보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검증 수행 조건 판단단계; 상기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증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관리물질 검증단계; 및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출력하는 결과 저장 및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MANAGEMENT MATERIALS}
본 발명은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리물질은 의료검사를 위해 관리 대상이 되는 물질로, 시약, 키트, 표준물질, 정도관리 물질(Contr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약은 약학, 화학, 의학 등의 분야에서, 물질의 성분을 검출하거나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 등을 말한다. 이러한 시약은 특정 제조사로부터 구매하거나, 연구소나 연구 부서에 직접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키트는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하여 혈당, 간염, 임신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기판 상면에 혈액 또는 소변이 흡수되는 재질의 시단시약이 부착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준물질은 검사장비에서 검사를 위해 기준점을 설정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관리물질은 입고될 때마다 사용자가 관리물질별로 관리물질에 대한 이름, 제조사, 제조번호, 입고일, 입고량 등을 데이터화하여 직접 관리한다.
이러한 관리물질은 입고하는 날짜와 사용하는 날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새롭게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와 다르거나 새롭게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관리물질의 종류가 다양하고, 관리물질을 관리 또는 검사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해당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힘들다.
또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때문에 새롭게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와 다르거나 새롭게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가 변경되더라도 검증을 정기적으로 수행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관리물질을 변질시켜 사용 불능 상태로 되거나, 변질된 관리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검사를 망치거나 엉뚱한 검사결과를 얻을 위험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리물질을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한 관리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리물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관리물질 관리방법은 관리물질이 입고되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정보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검증 수행 조건 판단단계; 상기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증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관리물질 검증단계; 및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출력하는 결과 저장 및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관리방법은 관리물질에 대한 알림 및 검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관리물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방법은 검증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추후에 결과 비교 및 확인을 위해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키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측정가능범위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관리물질이 입고되면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입고 날짜, 품명, 규격, 단위, 거래처, 제조사, 제조번호(Lot number), 유효기간, 입고량, 이월량, 가용량 등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1), 입력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2),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103),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4),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S105), 수행된 관리물질의 검증에 대한 결과를 출력 및 저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이때, 관리물질은 의료 검사 진행을 위한 시약, 키트, 표준 물질, 정리관리 물질(Control)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관리물질에 대한 월별 입고에 따라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날짜, 관리물질의 품명, 규격, 단위, 거래처, 제조사, 제조번호, 유효기간, 입고날짜, 입고량, 이월량, 가용량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와 상이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는 동일한 관리물질에 대한 이전에 입력된 제조번호와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이 시약인 경우 새로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력된 시약의 제조번호를 비교하고,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이 표준물질(Calibrator)인 경우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의 제조번호와 동일한 표준물질의 이전에 입력된 제조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의 제조번호와 상이하면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고,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가 상이한 경우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와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검증 프로그램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증은 관리물질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시약 검증을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Parallel test), 컷오프 검증 테스트(Cut-off test), 시약의 측정가능범위를 검증하기 위한 AMR 검증 테스트(Analytical measurement range test), 표준물질 검증을 위한 캘리브레이터 페럴렐 검증 테스트(Calibrator Parallel te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가 상이한 경우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등을 표시하고, 이러한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등에 대응하여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인지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가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검증을 위해 필요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약을 검증하기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입력 인터페이스는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일자, 분과명, 시약명, 데스트 수행 횟수, 제조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조건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검사장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수행된 관리물질의 검증에 대한 결과를 출력 및 저장하는 단계는 검증이 완료되면 검증에 대한 결과값을 저장하고, 검증에 대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약 검증을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가 완료되면 페럴렐 검증 테스트에 대한 결과 값인 이전에 입고된 시약과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차이값을 저장하고, 이러한 차이값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하는 관리 프로그램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단에 관리물질을 입고한 분과명,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조회 날짜, 관리물질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하단에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날짜, 관리물질의 품명, 규격, 단위, 거래처, 제조사, 제조번호, 유효기간, 입고날짜, 입고량, 이월량, 가용량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20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검증의 필요 여부를 알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관리물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물질에 대한 조회일자, 품명, 규격, 단위, 단가, 이월량, 입고량, 사용량, 재고량, 입고단가 등과 같은 재고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영역(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정보 입력 중 관리물질에 대한 품명이 입력되면 해당 관리물질에 대한 검사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검사항목 선택창(230)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항목은 CA15-3(Cancer Antigen 15-3), CA19-9(Carbohydrate Antigen 19-9), CEA(Crcinoembryonic Antigen)와 같은 종양 표지자, 알파태아단백(α-fetoprotein, AFP), 전립선 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관리물질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시약에 대한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시약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입고된 시약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240)가 이전에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와 상이하면 해당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2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검증이 수행된 경우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시약의 제조번호를 비교하여 두 제조번호가 상이하면 시약 검증을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페럴렐 검증 테스트는 이전에 입고된 시약과 새로 입고된 시약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결과값을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검증 테스트를 의미한다. 이때, 표시된 알림 텍스트는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표시된 알림 텍스트를 클릭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증이 필요한 시약에 대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는 검증 프로그램의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단에 검증을 수행하는 수행날짜, 검증을 수행하는 분과명, 검증을 수행하는 시약명, 검증을 수행하는 횟수, 시약의 제조번호 등과 같은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하단에 검증에 대한 결과값을 나타내는 출력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이전에 입고된 시약과 새로 입고된 시약의 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출력 영역의 하단에 사용자가 출력된 차이값을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한 판정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판정 결과 입력영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고, 검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리물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표준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표준물질에 대한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표준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400)가 이전에 입고된 표준물질의 제조번호와 상이하면 해당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검증이 수행된 경우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표준물질의 제조번호를 비교하여 두 제조번호가 상이하면 표준물질을 검증하기 위한 캘리브레이터 페럴렐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캘리브레이터 페럴렐 검증 테스트는 장비에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검사항목별로 검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 결과값을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는 검증 테스트를 의미한다. 이때, 표시된 알림 텍스트는 캘리브레이터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표시된 알림 텍스트를 클릭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터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검증이 필요한 표준물질에 대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는 검증 프로그램의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단에 검증을 수행하는 분과명, 검증을 수행하는 사유, 검증을 수행하는 날짜, 검증을 수행하는 장비명 및 물질명, 검증을 수행하는 횟수, 표준물질의 제조번호 및 유효기간 등과 같은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조건정보 중 표준물질의 제조번호 및 유효기간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검사장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하단에 검증에 대한 검사항목별 결과값을 나타내는 출력 영역(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사항목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GT(Gamma-Glutamyl Transfera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이전에 입고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검사항목별로 검사를 진행한 결과값과 새로 입고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검사항목별로 검사를 진행한 결과값의 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출력 영역의 하단에 사용자가 출력된 차이값을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한 판정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판정 결과 입력 영역(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입고된 키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키트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키트에 대한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새로 입고된 키트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키트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입고된 키트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600)가 이전에 입고된 키트의 제조번호와 상이하면 해당 키트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6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검증이 수행된 경우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키트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키트의 제조번호를 비교하여 두 제조번호가 상이하면 키트를 검증하기 위한 컷오프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컷오프 검증 테스트는 검사를 진행할 시 양성 반응과 음성 반응을 판단하는 기준 수치가 되는 컷오프를 검증하는 검증 테스트를 의미한다. 이때, 표시된 알림 텍스트는 컷오프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표시된 알림 텍스트를 클릭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컷오프 검증 테스트는 키트의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키트의 제조번호와 상이할 경우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새로운 키트 도입 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주기 또는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컷오프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하거나 새로운 키트가 도입될 때 컷오프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증이 필요한 키트에 대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는 검증 프로그램의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단에 검증을 수행하는 분과명,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일자, 검증주기, 검증방법, 검사항목수 및 검사항목, 검사항목의 컷오프, 검증의 검증 횟수 등과 같은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증방법은 제조사로부터 제공된 컷오프를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조번호가 변경될 때마다 검증을 수행할지 또는 특정 주기마다 검증을 수행할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에 대한 허용범위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하단에 검증에 대한 검사항목별 결과값을 나타내는 출력 영역(710,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컷오프의 허용범위에 해당된 수치를 가지는 검체들에 대해서 검사항목별로 측정 농도에 따라 양성 반응 또는 음성 반응이 나타나는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결과값이 출력된 영역의 하단에 결과값을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한 판정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판정 결과 입력 영역(711, 7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측정가능범위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새로 입고된 시약의 측정가능범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새로 입고된 시약의 측정 가능 범위에 대한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라 측정 가능 범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을 참조하여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관리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시약의 측정가능범위(AMR)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8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정보는 상기의 도 3에서 설명한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에 페럴렐 검증 테스트와 검증 AMR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검증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검증이 수행된 경우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가능범위는 검체를 희석하거나 농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결과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시약에 대한 관리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시약에 대한 AMR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MR 검증 테스트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시약의 측정가능범위가 실제로 그 측정가능범위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검증 테스트를 의미한다. 이때, 표시된 알림 텍스트는 AMR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표시된 알림 텍스트를 클릭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R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MR 검증이 필요한 시약에 대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는 검증 프로그램의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의 형태로 검사항목(900), 검체의 희석단계(910), 검증의 판정기준(920), 판정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실측값 횟수(930), 기대하는 측정가능범위의 최대값 및 최소값(940), 제조사가 제공하는 측정가능범위(950) 등과 같은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조건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거나 또는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검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특히 도 11은 희석 단계를 5단계로 선택하여 검증을 수행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도 12는 희석 단계를 10단계로 선택하여 검증을 수행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2개의 검체인 Sample1과 Sample2를 단계별로 희석하여 혼합한 후 결과 값이 직선 그래프로 출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측정가능범위를 벗어나는 낮은 검체와 높은 검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각 검체들을 농축 또는 희석하여 심각하게 낮거나 높은 검체의 검사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2개의 검체인 Sample1과 Sample2를 5단계로 희석하고, 도 12를 참조하면 2개의 검체인 Sample1과 Sample2를 10단계로 희석하여 혼합한 결과값인 기대값과 실측값을 출력하고, 그에 따른 오차률 및 회복율, 이러한 실측값을 직선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값(1000, 10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측값은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실측값을 2개 이상으로 출력한 경우 2개 이상의 실측값의 평균값을 최종 결과값으로 출력하거나 첫번째 실측값을 최종 결과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가 제공한 측정가능범위가 3-2000인 경우 두 검체에 대한 실측값 중 최소값이 3이고, 최대값이 2214이면 적용 AMR은 3-2214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오차율 또는 회복율에 따라 이러한 결과값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에는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한 판정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판정 결과 입력 영역(1001, 10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정도관리 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고, 정도관리 물질에 대한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새로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의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가 이전에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의 제조번호와 상이하면 해당 시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검증이 수행된 경우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의 제조번호와 이전에 입고된 정도관리 물질의 제조번호를 비교하여 두 제조번호가 상이하면 정도관리 물질 검증을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알림 텍스트는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표시된 알림 텍스트를 클릭하면 페럴렐 검증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새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고, 검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리물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관리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입력부(10), 제어부(20), 디스플레이부(30), 저장부(40)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도 1에서 설명한 관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가 구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또는 네트워크나 데이터 전송 등에 의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된 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구현되는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논리적, 수학적 연산이 가능하다. 특히 인터페이스 제공부(21)는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검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1)는 제어부(2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로부터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저장부(40)는 검증에 대한 결과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장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방법은 관리물질에 대한 알림 및 검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관리물질을 관리할 수 있고, 검증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추후에 결과 비교 및 확인을 위해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입력부 20: 제어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저장부

Claims (9)

  1. 관리물질에 해당되는 시약, 키트, 표준물질 또는 정도관리 물질 중 어느 하나 뿐만 아니라 다른 하나 이상이 각각 입고되더라도, 입고되는 관리물질에 상관없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관리정보 입력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된 관리정보 중 제조번호(Lot Number)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검증 수행 조건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증 수행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번호가 상이하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리고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증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검증 조건정보 입력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수행하는 관리물질 검증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출력하는 결과 저장 및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입력된 관리정보와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관리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전에 입고된 관리물질의 어느 하나와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물질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관리물질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조건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의 검증을 위해 필요한 검증 조건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인 관리물질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물질 검증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된 검증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관리물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인 관리물질 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은,
    시약 검증을 위한 페럴렐 검증 테스트(Parallel test), 컷오프 검증 테스트(Cut-off test), 시약의 측정가능범위를 검증하기 위한 AMR 검증 테스트(Analytical measurement range test), 표준물질 검증을 위한 캘리브레이터 검증 페럴렐 테스트(Calibrator Parallel te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리물질 관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저장 및 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증에 대한 결과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물질 관리방법.
KR1020150000962A 2015-01-06 2015-01-06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KR10172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62A KR101724677B1 (ko) 2015-01-06 2015-01-06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62A KR101724677B1 (ko) 2015-01-06 2015-01-06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89A KR20160084589A (ko) 2016-07-14
KR101724677B1 true KR101724677B1 (ko) 2017-04-17

Family

ID=5649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962A KR101724677B1 (ko) 2015-01-06 2015-01-06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89B1 (ko) * 2019-03-19 2021-01-13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의료검사 데이터의 내부 정도관리를 위한 검사실 허용범위 설정 방법
KR102599838B1 (ko) * 2022-06-15 2023-11-08 주식회사 신화소프트랩 혼합 표준편차를 활용한 검사실 허용범위 설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7113A1 (fr) 2000-03-03 2001-09-13 Hitachi, Ltd. Procede et systeme de gestion de donnees analytiques
JP2006164295A (ja) 2005-12-26 2006-06-22 Olympus Corp 分析システムの運用管理方法
JP2013019682A (ja) 2011-07-07 2013-01-31 Sysmex Corp 検体分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520293A (ja) * 2011-03-29 2014-08-21 バイオ−ラド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品質管理物質の統計学的に有効な分析平均値および分析範囲を得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7113A1 (fr) 2000-03-03 2001-09-13 Hitachi, Ltd. Procede et systeme de gestion de donnees analytiques
JP2006164295A (ja) 2005-12-26 2006-06-22 Olympus Corp 分析システムの運用管理方法
JP2014520293A (ja) * 2011-03-29 2014-08-21 バイオ−ラド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品質管理物質の統計学的に有効な分析平均値および分析範囲を得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019682A (ja) 2011-07-07 2013-01-31 Sysmex Corp 検体分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89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zet et al. Advances in validation, risk and uncertainty assessment of bioanalytical methods
Parr et al. Life cycle management of analytical methods
US8600689B2 (en) Automatic analyzer
CN102047114B (zh) 在成分检验中的自校准梯度稀释以及在薄膜样本中执行的梯度稀释设备
JP7071559B2 (ja) 較正方法
CN104569314B (zh) 一种商品化定量检测试剂盒评价方法
WO2006106661A1 (ja) 生体関連物質の測定情報の表示方法
US10036760B2 (en) Sample analyzer and sample analysis method
CN104246489B (zh) 质量分析装置以及质量分析方法
EP3152294A1 (en) Flow cytometer signal peak identification employing dynamic thresholding
CN113287009A (zh) 用于评估分析仪器性能的技术
KR101724677B1 (ko) 관리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CN101661008B (zh) 荧光x射线分析装置
JP2019056620A (ja) クロマトグラフのデータ処理装置
JP5686710B2 (ja) 自動分析装置
Ellison et al. Measurement uncertainty and its implications for collaborative study method validation and method performance parameters
CN111596045B (zh) 试剂信息管理方法、样本分析装置及存储介质
US9869631B2 (en) Analysis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mounted state of cartridge of the analysis device
CN114660310B (zh) 样本分析系统的自动定标方法
CN111380819A (zh) 一种反应数据显示方法和样本分析装置
CN109959651A (zh) 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JP5931231B2 (ja) 自動分析装置
Pereira et al. Statistical validation of standardless and standard-based analysis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n iron ores characterisation
US11125765B2 (en) Automatic analyzer
Wampfler et al. Measurement Uncertainty in Analysis of Plastics: Evaluation by Interlaboratory Test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