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30B1 - 가구용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30B1
KR101724630B1 KR1020150060633A KR20150060633A KR101724630B1 KR 101724630 B1 KR101724630 B1 KR 101724630B1 KR 1020150060633 A KR1020150060633 A KR 1020150060633A KR 20150060633 A KR20150060633 A KR 20150060633A KR 101724630 B1 KR101724630 B1 KR 10172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fixing
door
holes
finish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763A (ko
Inventor
김경아
조봉구
김진아
Original Assignee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102015006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도어 손잡이 본체와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마감 캡으로 구성되는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는 내측 반 호형으로 구성된 파지부와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마감 캡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통공으로 구성되고, 도어 손잡이 고정부의 내측 면에는 상기 마감 캡의 고정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캡의 일면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에 고정을 위한 고정용 봉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봉들은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삽입되며, 단면형상이 상기 제1 및 제2 통공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그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고정용 봉들;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고정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단턱상에 배치되며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고정용 봉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반 호형의 파지부 내측 평면상에 배치되고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4 고정용 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 고정부의 측면부들 중 한 측면부 내측 면상에 도어패널과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배치되는 제3 고정용 봉의 두께는 상기 단턱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손잡이{Door handl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감처리가 용이한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장식장이나 싱크대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제작하여 가구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0468507호에서는 이러한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공개실용신안 20-2011-009634호와, 20-2006-0013341호를 선행기술의 예로서 제시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9634'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결합부를 도어패널에 끼워 넣어 탄성압착편(3b)에 의해 도어패널에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의 양측부는 마감캡으로 마감을 하게 된다. 이때, 마감캡의 일면에, 상기 손잡이의 단면에 형성된 통공(S 좌우측의 구멍)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끼워지는 고정용 돌출봉이 형성된다.
공개실용신안 '1334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도어패널에, 나사수단(5)을 사용하여 고정을 하게 되고, 그리고 손잡이의 양측부는 마감캡으로 마감을 하게 된다. 이때에도, 마감캡의 일면에, 손잡이의 단면에 형성된 통공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끼워지는 고정용 돌출봉이 형성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0468507호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에 파지를 위한 파지부분을 돌출형상으로 만들고, 그리고 나사수잔을 사용하여 도어 손잡이를 도어패널에 고정을 하고 있다. 이때에도, 도어 손잡이의 양측부는 마감캡으로 마감을 하게 되고, 마감캡의 일면에는 손잡이 단면에 형성된 통공에 억지끼워 마춤으로 끼워지는 고정용 돌출봉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서, 도어 손잡이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로 제작하고, 마감캡의 경우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마감캡의 경우에, 도어 손잡이의 양측부에 형성된 통공 내에 억지끼워 맞춤이 되도록 제작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플라스틱의 변성에 의해 헐거워져 마감캡이 손잡이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초기 제작시 공차에 의해 마감캡이 손잡이에 헐렁하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13341'호와 등록실용신안 제0468507호에서는, 별도의 나사수단을 사용하여 도어 손잡이를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관계로, 도어패널에 나사구멍의 형성과 같은 손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목재로 제작되는 도어패널에 설치된 나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헐겁게되어 도어 패널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의 도어 손잡이에서는 별도의 장식을 하지 못하는 관계로, 미감을 위해 도어 손잡이의 외면에 스트립형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어 손잡이를 처음부터 제작할 때 고유의 색상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하거나, 또는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코팅이나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공정을 통해 알루미늄에 색상을 입히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므로, 도어 손잡이의 마감캡이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도어 손잡이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어 손잡이에 장식용 합성수지를 설치하여 도어 손잡이의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설치되는 마감캡이 시간의 경과나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도어 손잡이에 부착되도록 하고, 또한 도어 손잡이의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도어 손잡이 본체와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마감 캡으로 구성되는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는 내측 반 호형으로 구성된 파지부와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마감 캡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통공으로 구성되고, 도어 손잡이 고정부의 내측 면에는 상기 마감 캡의 고정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캡의 일면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에 고정을 위한 고정용 봉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봉들은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삽입되며, 단면형상이 상기 제1 및 제2 통공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그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고정용 봉들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고정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단턱상에 배치되며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고정용 봉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반 호형의 파지부 내측 평면상에 배치되고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4 고정용 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 고정부의 측면부들 중 한 측면부 내측 면상에 도어패널과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배치되는 제3 고정용 봉의 두께는 상기 단턱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사용하게 되면, 가구용 도어 손잡이가 도어패널에 손상을 입히는 일이 없이 고정되고, 또한 가구용 도어 손잡이 양단에 설치되는 마감캡이 이탈되는 일이 절대로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일면에, 색상이 착상된, 폴리우레아가 함유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 본체의 세부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사용되는 마감캡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 본체에 마감캡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도어 손잡이 본체(110)와, 도어 손잡이 본체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마감캡(120)으로 구성된다.
도어 손잡이 본체(110)에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 본체는, 도어패널에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는 도어패널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1)와, 사람의 손으로 잡아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1)는 도어패널의 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면(111'1)과, 접촉면 바로 옆에 설치되는 단턱(111'2)과, 도어패널의 전면과 후면과 접촉하는 두 개의 측면부(1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의 측면 모습은 대략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면부(111'3)들 간의 간격은 도어패널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제작이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1)가 도어패널에 설치될 때, 도어패널과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면부(111'3)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용 돌기(111'4)들이 형성되고, 고정용 돌기들은 도어패널의 표면 상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12)는 사람의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와 평면부로 이루어진 반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110)에는 마감캡과의 체결을 위한 통공(113)이 형성된다. 통공들은 제1통공(113'1)과 제2통공(113'2)으로 이루어진다.
마감캡(12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마감캡(12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120)은 마감캡 본체(121)와, 도어 손잡이 본체(110)의양단과 결합을 위한 제1 내지 제4고정용 봉(122, 123, 124, 125)들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용 봉(122)은 도어 손잡이 본체의 제1통공(113'1)에 삽입되고, 제2고정용 봉(123)은 제2통공(113'2)에 삽입된다. 상기 제1고정용 봉과 제2고정용 봉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과 동일한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그 크기는 상기 제1통공 및 제2통공에 대응하는 크기이다.
상기 제3고정용 봉(124)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110)의 단턱(111'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고정용 봉(124)의 두께는 상기 단턱(111'2)의 깊이와 동일하게 되거나 또는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용 봉(125)은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의 파지부(112)의 평면부(112'1) 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4고정용 봉 역시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 본체와 마감캡을 구성하고, 도어 손잡이 본체에 마감캡을 설치한 후 도어 손잡이를 도어패널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면, 상기 제3고정용 봉(124)은 상기 단턱(111'2)에 위치하여, 단턱과 도어패널의 측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가 도어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마감캡은 도어패널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없게 된다. 특히, 제3고정용 봉(124)의 두께가 단턱(111'2)의 깊이보다 약간 더 크게 제작되면, 상기 제3고정용 봉은 도어패널의 측면에 의해 눌리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제4고정용 봉(125) 역시 평면부(112'1)와 더 밀착이 되도록 눌리게 되어 마감캡이 도어 손잡이 본체와 도어패널에 사이에서 단단히 고정되어 마감캡이 도어 손잡이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절대로 없게 된다.
도 7은 제3고정용 봉(124)이 단턱(111'2)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3고정용 봉의 두께가 단턱의 깊이와 거의 동일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 손잡이가 도어패널에 설치되게 되면, 제3고정용 봉이 도어 손잡이 본체의 단턱과 도어패널의 측면 사이에서 배치되게 되어, 도어 손잡이를 도어패널로부터 제거하지 않는 한은, 도어 손잡이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사출로 형성하는 관계로 외관의 장식적인 면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의 파지부 외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리우레아와, 경화제와 첨가제로 된 조성물(115)을 도포하여 외관을 화려하게 한다. 상기 경화제는 아민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첨가제는 예컨대, 백색안료, 자개분말, 글리터 및 황토분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아와 경화제와 첨가제의 배합비는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성물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상기 첨가제는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성물 도포에 의해 본원발명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게 하여,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게 다른 기존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와는 차별을 두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이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가구용 도어 손잡이 110 : 도어 손잡이 본체
111 : 고정부 111'1 : 접촉면
111'2 : 단턱 111'3 : 측면부
111'4 : 고정용 돌기 112 : 파지부
112'1 : 평면부 113 : 통공
113'1 : 제1통공 113'2 : 제2통공
120 : 마감캡 121 : 마감캡 본체
122 : 제1고정용 봉 123 : 제2고정용 봉
124 : 제3고정용 봉 124 : 제4고정용 봉
115 : 조성물

Claims (6)

  1. 가구용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도어 손잡이 본체와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마감 캡으로 구성되는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는 내측 반 호형으로 구성된 파지부와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마감 캡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통공으로 구성되고,
    도어 손잡이 고정부의 내측 면에는 상기 마감 캡의 고정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캡의 일면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에 고정을 위한 고정용 봉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봉들은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삽입되며, 단면형상이 상기 제1 및 제2 통공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그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고정용 봉들;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고정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단턱상에 배치되며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고정용 봉과,
    상기 도어 손잡이의 반 호형의 파지부 내측 평면상에 배치되고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4 고정용 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 본체 고정부의 측면부들 중 한 측면부 내측 면상에 도어패널과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배치되는 제3 고정용 봉의 두께는 상기 단턱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호형으로 구성된 파지부의 외측면들 중 일측면에 폴리우레아와, 경화제와 첨가제로 된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경화제는 아민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첨가제는 예컨대, 백색안료, 자개분말, 글리터 및 황토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KR1020150060633A 2015-04-29 2015-04-29 가구용 도어 손잡이 KR10172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33A KR101724630B1 (ko) 2015-04-29 2015-04-29 가구용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33A KR101724630B1 (ko) 2015-04-29 2015-04-29 가구용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63A KR20160128763A (ko) 2016-11-08
KR101724630B1 true KR101724630B1 (ko) 2017-04-07

Family

ID=5752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33A KR101724630B1 (ko) 2015-04-29 2015-04-29 가구용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12Y1 (ko) * 2017-08-23 2019-04-16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16Y1 (ko) * 2009-12-17 2010-07-15 박광호 도어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99Y1 (ko) * 2000-02-19 2000-07-15 김명자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KR100860836B1 (ko) * 2006-08-11 2008-09-29 (주)대흥시스템 도어용 안전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16Y1 (ko) * 2009-12-17 2010-07-15 박광호 도어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63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113Y1 (ko)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구조
KR101724630B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US2363665A (en) Screw cap
US9801439B2 (en) DIY splicing assembly and handbag made by the same
US20080039225A1 (en) Handle of Golf Club
USD779917S1 (en) Handle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CN206551879U (zh) 安装于汽车副仪表上的usb插座结构和汽车
KR20080004610U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225587Y1 (ko) 열쇠 손잡이
CN210390888U (zh) 一种拉手及车辆
KR200274257Y1 (ko)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KR20160003391U (ko) 가구용 문짝 프레임 겸용 손잡이
KR101966437B1 (ko) 화장용 브러시 손잡이
KR200410612Y1 (ko) 알루미늄 압출 몰딩
KR200206796Y1 (ko) 장롱 문짝
KR100576783B1 (ko) 투명부를 갖는 인조손톱
KR20150004297U (ko) 욕실용 수납장의 모서리부재
KR200345463Y1 (ko)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CN203677914U (zh) 一种麻将机外框
KR20090046595A (ko) 가구무늬 형성방법
KR101317774B1 (ko) 엘라스토머 성형품
KR101383773B1 (ko) 문손잡이
KR101664461B1 (ko) 가구의 문짝 구조
KR200356926Y1 (ko) 우산손잡이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