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257Y1 -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257Y1
KR200274257Y1 KR2020020002763U KR20020002763U KR200274257Y1 KR 200274257 Y1 KR200274257 Y1 KR 200274257Y1 KR 2020020002763 U KR2020020002763 U KR 2020020002763U KR 20020002763 U KR20020002763 U KR 20020002763U KR 200274257 Y1 KR200274257 Y1 KR 200274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molding
finishing
w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민
Original Assignee
황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민 filed Critical 황준민
Priority to KR2020020002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257Y1/ko

Link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등과 같이 목재가구 혹은 목재 혹은 대리석 질감을 갖도록 마무리하기 위한 마무리용 몰딩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구소재(10)의 표면을 매끄럽고 아름답게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몰딩물(20)을 가구의 표면에 덧쒸워 마감처리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몰딩물로 가구소재의 표면을 마감 처리함으로서 나무의 표면의 질감을 다양화하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제작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가구의 소재에 관계없이 가구를 제작할 수 있으나 외견상 가구는 목재가구 혹은 대리석 가구 등과 같은 고품격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Mold for Surface Process of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 등의 표면에 나무 혹은 대리석 질감을 갖도록 마무리하기 할 수 있으며, 가구의 제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가구의 표면 마무리용 몰딩물과 그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나무는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가구들은 톱밥 등을 압축하여 성형한 합판이나 압축하여 제작된 MDF판넬 등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소재들은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지만 자연스러운 나무질감이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나무결을 필름형태로 켜내어 그것을 나무의 표면에 붙여 나무질감을 표현해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나무질감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보면 원목을 필름의 피막형태로 켜내어 그것을 물속에 담그어 유연하게 한 뒤 나무 필름을 나무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한 뒤 그 표면에 에나멜로 도장을 해주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인테리어 공사 등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내부장식을 위하여 합판 등을 벽체를 시공한 뒤 그 표면을 마감할 때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구의 경우는 원목 등을 필요한 두께로 켜낸 각목을 사용하게 됨으로 가구의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특히 가구는 그 표면이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출하기 위하여 결이 좋은 나무를 선택하고 표면의 장식성을 위하여 표면가공 혹은 처리공정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흠집 매꾸기, 사포작업, 도장작업등 다양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실제 가구의 프레임을 만드는 작업보다 마무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제약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의 표면작업시 별도로 사출성형된 수지 몰딩물을 조립함으로서 신속하게 가구를 제작할 수 있는 가구의 표면처리용 몰딩물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합성수지 등을 용융시켜 사출성형기를 통해 사출한 뒤 그 표면에 나무질감이나 대리석 질감을 형성하여 그 몰딩물을 가구의 표면에 덧쒸워 부착함으로서 가구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구의 소재를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의 질감을 나무 혹은 대리석 등등 다양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을 현저히 줄이거나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구의 마감처리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구의 마감처리 몰딩물의 사시도,
도 3 (a)는 본 고안에 따른 몰딩물의 부착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3 (b)와 (c)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구소재
11:홈
12:구멍
20:몰딩물
22:훅크
21:걸림턱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몰딩물을 침대의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구소재는 나무나 철재 등으로 골격을 구성하게 되는데, 그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표면을 마감처리하게 된다. 이처럼 가구의 표면을 마감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몰딩물(20)이 덧쓰워져 있다.
덧씌워진 몰딩물(2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가구소재(10)의 표면중 "ㄱ"자 형태 혹은 "ㄷ"자 형태로 가구소재(10)(나무 혹은 철재)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은 오픈되어 있다.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소재(10)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홈(11)을 형성하고 몰딩물(20)의 내면에는 가구소재(10)에 형성된 홈(11)에 삽입되는 훅크(22)등을 부설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몰딩물(20)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1)이 형성된 훅크(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몰딩물(20)은 가구소재(10)를 포위하듯이 "ㄷ"자 형태로 커버하되 몰딩물(20)이 가구소재(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몰딩물(20)의 자유단에 걸림턱(21)을 형성하여 가구소재(10)의 둘레를 커버하였을 때 걸림턱(21)이 가구소재(10)의 모서리면에 걸리도록 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물(20)은 그 내면에 등간격으로 훅크(22)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구소재(10)의 표면에 상기 훅크(22)의 간격에 맞게구멍(12)을 뚫어 훅크(22)를 구멍(12)속으로 삽입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몰딩물(20)은 가구소재(10)의 형상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가구소재(10)의 형상이 원주형상인 경우 일측이 그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몰딩물(20)을 제작하되 몰딩물(20)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훅크(22)를 설치하고 가구소재(10) 표면에 상기 훅크(22)가 억지 끼워맞춤되는 홈(11)을 길게 형성하여 훅크(22)를 홈(11)에 끼워 부착한다.
이와 같은 몰딩물(20)의 가구소재(10)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몰딩물의 내면에 훅크(22)를 가구소재(10) 표면에 형성된 홈(11)속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하면 몰딩물(20)이 가구소재(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훅크(22)를 통해 가구소재(10)의 구멍(12)속으로 끼워 넣어 부착할 수도 있다.
가구의 모서리부분에는 몰딩물(20)을 45도로 절단하여 이웃한 다른 몰딩물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몰딩물로 가구소재(10)의 표면을 마감처리함으로서 가구의 표면 질감을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제작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가구의 소재에 관계없이 가구를 제작할 수 있으나 외견상 가구는 목재가구 혹은 대리석 가구 등과 같은 고품격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가구의 표면을 매끄럽고 아름답게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몰딩물(20)을 가구의 표면에 덧씌워 마감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마감처리용 몰딩물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목재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몰딩물의 내면에 상기 구멍(12)속으로 삽입되는 훅크(22)를 더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마감처리용 몰딩물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물(20)의 단부에 걸림턱(21)을 형성하여 가구소재(10)의 모서리면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몰딩물(2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마감처리용 몰딩물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물(20)은 가구소재(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훅크(22)를 형성하고, 가구소재(10)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홈(11)을 형성하여 훅크(22)를 홈(11)에 억지 끼워 맞추어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마감처리용 몰딩물 체결구조.
KR2020020002763U 2002-01-29 2002-01-29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KR200274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63U KR200274257Y1 (ko) 2002-01-29 2002-01-29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63U KR200274257Y1 (ko) 2002-01-29 2002-01-29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257Y1 true KR200274257Y1 (ko) 2002-05-06

Family

ID=7311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63U KR200274257Y1 (ko) 2002-01-29 2002-01-29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2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24Y1 (ko) * 2009-09-23 2010-03-25 주식회사 에리트 서가용 보강재
KR101457128B1 (ko) * 2013-07-16 2014-11-03 주식회사 금성침대 커버가 구비된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24Y1 (ko) * 2009-09-23 2010-03-25 주식회사 에리트 서가용 보강재
KR101457128B1 (ko) * 2013-07-16 2014-11-03 주식회사 금성침대 커버가 구비된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5080A1 (en) Press molded doo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stile structure
US6240698B1 (en) Composite baluster
KR200274257Y1 (ko)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US4281602A (en) Molded objects such as tables, chairs and the like
CA2199031A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shaft-unified resin rotator having a hollow part in the inside
KR10081264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WO2018037251A1 (en) Method for making assemblable coffin shell surfaces by moulding and compacting wood pulp, surfaces made with this method and a shell assemblable with such surfaces
US6945006B2 (en) Counterto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738508B1 (ko) 건물 외장용 조형물의 보강구조
KR0113660Y1 (ko) 가구용 문의 장식구조
KR200381141Y1 (ko) 가구용 손잡이
KR100483959B1 (ko) 개량도마 및 그 제조방법
CN209637534U (zh) 一种门体的装饰环套
KR100464533B1 (ko) 테두리 마감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16Y1 (ko) 싱크볼과 상판의 경계부위 접합 어셈블리
KR200341306Y1 (ko) 하부문틀의 구조
KR200375934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100359167B1 (ko) 칸막이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3510A (ko) 가구용 상판 제조방법
KR200435112Y1 (ko) 문틀의 문선조립구조
KR200316924Y1 (ko) 샤시류 제품의 체결 구조
KR200238241Y1 (ko) 장식물을 갖춘 방화문
KR100751067B1 (ko) 침대 프레임용 기둥
KR100676414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310621Y1 (ko)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