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06Y1 - 하부문틀의 구조 - Google Patents

하부문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06Y1
KR200341306Y1 KR20-2003-0033650U KR20030033650U KR200341306Y1 KR 200341306 Y1 KR200341306 Y1 KR 200341306Y1 KR 20030033650 U KR20030033650 U KR 20030033650U KR 200341306 Y1 KR200341306 Y1 KR 200341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door
lower frame
fram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규
Original Assignee
신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규 filed Critical 신복규
Priority to KR20-2003-0033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되,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 등을 부착할 수 있는 접착부와, 상부 일 측에 경사면,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반대 측에 도어의 하단이 밀착되는 벽면부로 구성된 틀 부재와, 상면이 평면으로 구성된 하부문틀부재로 구성하여 틀 부재를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 형성하여 양면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하부문틀부재위에 부착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틀 부재를 문틀의 크기에 따라 재단형성한 뒤 하부문틀부재의 표면에 부착 고정시키면, 도어를 닫을 때 충격흡수효과가 따르게 되어 충격소음을 완화시키게 되고, 재질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서 미끄럼방지효과 등이 뛰어나며, 더불어 색상이나 질감이 목재 또는 석재로 된 하부문틀과 다름으로서 장식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틀 부재의 시공 시기는 가급적 건물의 내부공사가 끝난 뒤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하부문틀이 파손되거나 흠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하부문틀이 깔끔하게 시공 완료되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하부문틀의 구조{the structure of under doorframe}
본 고안은 하부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에 시공 설치되는 문틀 중 하부문틀을 상면이 평면구성으로 된 하부문틀부재와, 상기 하부문틀부재 위에 부착 설치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압출 성형되어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하여 사용토록 한틀 부재로 구성하여 하부문틀부재위에 틀 부재를 부착고정시킴으로서 미끄럼방지효과와 충격소음흡수효과, 그리고 장식성이 크게 증대되는 패션하부문틀로 구성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하부문틀은 상면 일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의 반대편에 도어의 하단이 밀착되는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게끔 가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문틀은 목재로 된 것이 주종을 이루기는 하나, 욕실의 하부문틀의 경우는 하부문틀이 석재 또는 인조석재로 된 것도 있다.
특히 하부문틀은 출입시 밟히는 경우가 많고, 또, 통상 목재문틀의 경우는 문틀시공 후 니스, 또는 락커나 페인트칠을 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깔끔하게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간혹 하부문틀의 경사면을 밟았을 때 미끄러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게 되고, 특히 위와 같이 미끄러지는 현상은 욕실을 출입할 때 발에 물이 묻은 상태이거나, 또는 하부문틀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문틀을 시공할 때는 하부문틀의 양측 상면을 소정의 형태로 일일이 평면 가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기둥문틀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끔 가공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가공은 작업상 까다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르고 가공에 따르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 소요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문틀은 목재 또는 석재를 가공 형성하여서 된 것이므로 투톤의 질감을 갖게 한다거나 색상을 다르게 구비되지 못하며, 걸림턱 부분이 목재 또는 석재로 되어 있어 도어를 닫을 때 도어하단과의 충격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등의 폐단도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하부문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이 평면으로 가공 형성된 하부문틀부재와, 상기 하부문틀부재에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 고정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압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틀 부재로 구성하여 건물의 실내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간편하게 재단 부착할 수 있는 하부문틀의 구조를제공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상면 일 측에 경사면(3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수직으로 벽면부(32)를 가지며 양측부에 기둥문틀(4)(4')을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둥문틀결합부(5)(5')를 가진 통상의 하부문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1)을 목재, 또는 석재로 되며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문틀부재(2)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연속 압출성형되며 일 측에 경사면(31)과 타 측에 도어의 하단이 밀착되는 벽면부(32)를 가지며,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33)로 구성된 틀 부재(3)로 구성하여, 상기 틀 부재(3)를 문틀 시공시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하여 하부문틀부재(2)위에 부착 시공함으로서 하부문틀(1)이 완성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부문틀을 목재, 또는 석재로 된 하부문틀부재(2)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압출 성형된 틀 부재(3)로 분리 구성하여 이를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형성한 뒤 하부문틀부재(2)위에 틀 부재(3)를 부착 고정시킨 것이므로, 도어를 여닫을 때 틀 부재(3)의 벽면부(32)에 도어의 하단이 밀착되게 되어 충격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또, 틀 부재(3)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됨에 따라 미끄럼이 예방 된다.
또한, 하부문틀(1)이 이종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색상을 달리하면 투톤의 질감과 색상을 갖게 되어 외관이 매우 미려 단정하게 됨은 물론 장식성이 뛰어나게 되고, 밟았을 때 쿠션이 발휘되어 감촉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문틀을 세울 때는 상기한 틀 부재(3)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하고, 시공완료 된 후 마무리단계에서 틀 부재(3)를 칼이나 가위 등으로 재단하여 부착시공하면 됨으로 시공 후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시공과정에서 하부문틀부재(2)표면에 흠이 발생하더라도 시공완료 후에는 완전히 새것으로 탈바꿈되어 상품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문틀(1)을 목재 또는 석재로 된 하부 문틀부재(2)와,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서 된 틀 부재(3)로 분리 구성하여, 이를 문틀의 시공완료단계에서 조립 사용함에 따라 상품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충격소음 예방, 미끄럼방지 등등의 많은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면 일 측에 경사면(3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수직으로 벽면부(32)를 가지며 양측부에 기둥문틀(4)(4')을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둥문틀결합부(5)(5')를 가진 통상의 하부문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1)을 목재, 또는 석재로 되며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문틀부재(2);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연속 압출성형되며 일 측에 경사면(31)과 타 측에 도어의 하단이 밀착되는 벽면부(32)를 가지며,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33)로 구성된 틀 부재(3);로 구성하여, 상기 틀 부재(3)를 문틀 시공시 소정의 길이와 모양으로 재단하여 하부문틀부재(2)위에 부착 시공함으로서 하부문틀(1)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문틀의 구조.
KR20-2003-0033650U 2003-10-23 2003-10-23 하부문틀의 구조 KR200341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50U KR200341306Y1 (ko) 2003-10-23 2003-10-23 하부문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50U KR200341306Y1 (ko) 2003-10-23 2003-10-23 하부문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06Y1 true KR200341306Y1 (ko) 2004-02-11

Family

ID=4942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50U KR200341306Y1 (ko) 2003-10-23 2003-10-23 하부문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779B1 (en) Composite frame mem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050037A (en) Brick molding having an integral hinge and a concealed mounting surface
EP1255020A1 (en) Door leaf assembly with filling element of glass
US8056290B2 (en) Decorative molding
US6389768B1 (en) Molded plastic door skin
US5901510A (en) Doorjamb assembly with extruded unitary molding and stop members
US11047165B1 (en) Durable entryway threshold
KR200341306Y1 (ko) 하부문틀의 구조
US6826881B2 (en) Mirror door and door molding with compo frame design
WO2007078612A3 (en) Architectural molding longitudinal groove
KR200274257Y1 (ko) 가구의 표면 마감용 몰딩물 체결구조
KR900009848Y1 (ko) 욕실용 합성수지제 문지방
KR200375922Y1 (ko) 조립 마감재
JP3073007U (ja) 改良化粧コーナー保護材
KR100359167B1 (ko) 칸막이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H026213Y2 (ko)
KR20240083424A (ko)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CN2560700Y (zh) 复合式装饰线条
KR200168166Y1 (ko) 가정용 문틀
JPS6244024Y2 (ko)
KR200428830Y1 (ko) 문짝 마감용 바
CN116446616A (zh) 一种一体化pvc装饰条
KR200340538Y1 (ko) 욕실의 하부문틀구조
JP2605494Y2 (ja) 外装建材
CN203412446U (zh) 套装门门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