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424A -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424A
KR20240083424A KR1020220167546A KR20220167546A KR20240083424A KR 20240083424 A KR20240083424 A KR 20240083424A KR 1020220167546 A KR1020220167546 A KR 1020220167546A KR 20220167546 A KR20220167546 A KR 20220167546A KR 20240083424 A KR20240083424 A KR 2024008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rusion
furniture
ed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이광우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filed Critical 이광우
Publication of KR2024008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20Wood or simila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가구용 도어를 가공시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가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별도의 손잡이를 제작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닫는 경우 가구 본체에 밀착이 잘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Manufacturing method of furniture door and furniture do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판재의 일측 테두리에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지 않고도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장롱 등의 각종 가구에는 물품의 수납 및 개폐를 위한 도어(문짝)이 결합되어지며, 이러한 가구용 도어는 장식미를 겸하기 위하여 판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처리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시트지(합성수지재질 또는 원목재질)를 접착하고 있다.
한편, 싱크대나 장롱 등의 가구용 도어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주로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나뉘지만, 이들 모두는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24501호(참고문헌 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가구용 도어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 상단부에 안착 고정되는 부재로서 하단 후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도어의 내면에 접하는 연장고정부가 구비되고 상단에 곡면을 형성한 라운드부가 구비되되 라운드부의 전방이 개방되어 손 안착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구비된 손잡이바(BAR) 부재와, 상기 손잡이 바 부재의 양 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부재로서 손잡이 바의 단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일측면에 상기 수용홈에 결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돌출 형성된 손잡이 캡 부재가 마련되어서, 도어의 내면에 접한 연장고정부가 고정나사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 등에 제안된 종래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는 도어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도어 끝단부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거나, 도어의 테두리를 추가로 가공한 후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도어 손잡이의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참고문헌 1 등에 제안된 종래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해 도어를 추가로 가공하는 경우 도어 표면의 손상을 야기하여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별도 설치되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로 인해 도어를 닫는 경우 도어 손잡이에 의해 가구 본체에 도어의 밀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참고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24501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를 가공시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가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손잡이를 제작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닫는 경우 가구 본체에 밀착이 잘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본체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돌부와, 도어의 전면 테두리에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와 파지돌부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갖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재의 양면에 전면 및 후면 마감시트가 일체로 부착된 도어본체의 후면 마감시트의 가장자리를 절단하도록 절삭홈을 가공하는 제1단계; 상기 후면 마감시트의 가장자리는 제거하고 상기 전면 마감시트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연장부가 존재하도록 도어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파지돌부와 요홈 및 지지돌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전면 마감시트의 연장부 이면 또는 파지돌부와 요홈 및 지지돌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로 파지돌부와 요홈 및 지지돌부를 차례대로 감싸 일체로 부착하여 마감부를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파지돌부의 단부 내외측 모서리와 지지돌부의 단부 내측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딩 처리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4단계 이후에 파지돌부의 단부 외측을 절삭툴로 가공하여 경사면을 더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전면 마감시트의 연장부 이면의 판재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열풍건조를 수행하여 접착제를 경화하여 손잡이부를 완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가공시 테두리를 따라 손잡이부를 이루는 지지돌부와 파지돌부 및 요홈을 형성한 후 도어를 이루는 전면 마감시트의 가장자리를 제거하지 않고 연장부로 두고 이를 이용해 파지돌부와 요홈 및 지지돌부을 감싸도록 일체로 결합함으로서 별도의 부속이 필요없이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를 도어본체의 테두리부분을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손잡이가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를 제작하여 부착하지 않아 도어의 표면 손상 역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해 도어를 닫는 경우 손잡이의 간섭이 없어 도어가 가구 본체에 밀착이 잘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1)는 다양한 가구에 적용되어 가구 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1)의 테두리에는 손잡이부(10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도어(1)가 적용되는 가구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싱크대, 장롱, 장식장, 신발장, 서랍장 등 다양한 가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1)는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HDF(High Desity FiberBoard), 합판 등 다양한 판재(10)의 양면에 PP, PET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 및 후면 마감시트(20,30)가 일체로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전면 및 후면 마감시트(20,30)는 투명,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1)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그 모양은 적용되는 가구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1)는 별도의 독립된 부속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1)를 가공시 도어(1)의 테두리에 손잡이부(10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도어(1)에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의 손잡이부(100)는 도어(1)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돌부(110)와, 도어(1)의 전면 테두리에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돌부(120)와, 상기 지지돌부(110)와 파지돌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요홈(130)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지지돌부(110)와 파지돌부(120) 및 요홈(130)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00)는 도어(1)의 상단이나 측면 또는 하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는 가구를 닫는 경우 전면부가 외부에 노출되며, 후면부 가장자리는 가구에 지지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요홈(130)으로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돌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지돌부(120)는 짧게 형성한다. 즉 도어(1)의 전면부 쪽에 파지돌부(120)가 짧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요홈(130)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손가락으로 파지돌부(120)를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1)를 가구의 전방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는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의 테두리를 연속적으로 감싸며 일체로 부착하여 마감부(140)를 형성하며, 후면 마감시트(30)는 상기 지지돌부(110)의 후면에만 일체로 부착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f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a에서와 같이 가구용 도어(1)를 제조하기 위해 도어본체(1a)를 준비한다. 이러한 도어본체(1a)는 PB, MDF, HDF, 합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10)의 전면 및 후면에 전면 및 후면 마감시트(20,30)가 각각 일체로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준비된 도어본체(1a)의 후면 마감시트(30)의 가장자리(31)를 절단하도록 절삭홈(32)을 가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절삭홈(22)은 절삭툴(200)을 이용하여 도어본체(1a)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추후 손잡이부(100)를 가공시 후면 마감시트(30)의 가장자리(31)가 깔끔하게 제거된다. 아울러 상기 절삭홈(32)은 도어본체(1a)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로로 형성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도어(1)의 최대 가로폭을 지정하게 되며, 절삭홈(22)을 도어본체(1a)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로 형성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도어(1)의 최대 세로폭(높이)을 지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에서와 같이 절삭홈(22)을 형성한 도어본체(1a)의 테두리를 따라 절삭툴(210)을 사용하여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도어본체(1a)의 테두리 방향으로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절삭날을 갖는 절삭툴(210)을 사용하여 가공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는 판재(10)에만 형성되며, 그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형성시 기형성된 절삭홈(32)에 의해 판재(10)의 후면에 부착된 후면 마감시트(30)의 가장자리(31)는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판재(10)의 전면에 부착된 전면 마감시트(20)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연장부(21)는 여전히 그대로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는 추후 공정을 통해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감싸며 일체로 부착되는 부분이므로 임의로 제거하면 안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에는 판재(10)의 잔여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그라인더로 갈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전방은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흡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에 접착된 판재(10)의 잔여물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2c에서와 같이 파지돌부(120)의 단부 외측 모서리(121)가 곡면을 이루도록 절삭툴(220)로 가공하고, 도 2d에서와 같이 파지돌부(120)의 단부 내외측 모서리(121)가 모두 곡면을 이루도록 절삭툴(230)을 사용하여 라운딩 처리를 수행한 후, 도 2e에서와 같이 지지돌부(110)의 단부 내측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도록 절삭툴(240)로 라운딩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도 2c는 생략한 후 도 2d 및 도 2e를 한번에 가공하여 파지돌부(120)의 단부 내외측 모서리(121,122)와, 지지돌부(110)의 단부 내측 모서리(111)가 곡면을 이루도록 한번에 라운딩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도 2c 내지 도 2e는 필요에 따라 가공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 2e에서와 같이 지지돌부(110)의 단부 내측 모서리(111)가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추가로 도 2f에서와 같이 파지돌부(120)의 단부 외측을 절삭툴(250)로 가공하여 경사면(123)을 형성하여 전면 마감시트(20)와 분리되게 한다. 이러한 도 2f의 공정은 도 2c에서와 같이 파지돌부(110)의 단부 외측 모서리(1211)가 곡면을 이루도록 공정을 수행시에 한번에 할 수 있으며, 도 2c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f의 공정을 수행하여 경사면(123)을 형성하여 연장부(21)와 연결되는 전면 마감시트(20)의 일부(연결부위)를 판재(10)와 분리한다. 이와 같이 경사면(123)을 형성하여 전면 마감시트(20)의 일부를 판재(10)에서 분리하면 추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부분으로 파지돌부(120)을 감싸는 경우 연장부(21)를 접기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판재(1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공하여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완성한 이후에는 도 2g에서와 같이 접착제(150)를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에 도포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접착제(150)는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에만 도포하거나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에도 함께 도포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150)는 핫멜트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분사하여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 또는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및 판재(10)에 달라붙은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노즐을 이용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등의 세척을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h에서와 같이 접착제(150)를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 또는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에 도포한 상태에서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로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차례대로 감싸는 포밍 공정을 수행하여 일체로 부착하여 마감부(14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가 지지돌부(110)의 테두리를 감싸 마감부(140)를 형성하고 남은 잔여단부(22)를 커팅하여 제거하면 도 2i와 같이 손잡이부(100)가 형성된다.
이후 열풍건조를 수행하여 접착제를 경화하여 손잡이부(100)를 완성한다. 물론 손잡이부(100)를 완성한 후 달라붙은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노즐을 이용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등의 세척 또는 청소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가구용 도어 1a: 도어본체
10: 판재 20: 전면 마감시트
30: 후면 마감시트 100: 손잡이부
110: 지지돌부 120: 파지돌부
130: 요홈 140: 마감부

Claims (6)

  1. 도어본체(1a)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돌부(110)와, 도어(1)의 전면 테두리에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돌부(120)와, 상기 지지돌부(110)와 파지돌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요홈(130)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00)를 갖는 가구용 도어(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재(10)의 양면에 전면 및 후면 마감시트(20,30)가 일체로 부착된 도어본체(1a)의 후면 마감시트(30)의 가장자리(31)를 절단하도록 절삭홈(32)을 가공하는 제1단계;
    상기 후면 마감시트(30)의 가장자리(31)는 제거하고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연장부(21)가 존재하도록 도어본체(1a)의 테두리를 따라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 또는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에 접착제(150)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21)로 파지돌부(120)와 요홈(130) 및 지지돌부(110)를 차례대로 감싸 일체로 부착하여 마감부(140)를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파지돌부(120)의 단부 내외측 모서리(121)와 지지돌부(110)의 단부 내측 모서리(111)가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딩 처리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파지돌부(120)의 단부 외측을 절삭툴(250)로 가공하여 경사면(123)을 더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전면 마감시트(20)의 연장부(21) 이면의 판재(10)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열풍건조를 수행하여 접착제를 경화하여 손잡이부(100)를 완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KR1020220167546A 2022-12-05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KR2024008342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424A true KR20240083424A (ko) 2024-06-1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0373A (en) Flexible edging of desks
US5803563A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KR20240083424A (ko) 가구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도어
KR101745450B1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KR101619488B1 (ko) 도어 휨방지 프로파일
US20030159386A1 (en) Mirror door and door molding with compo frame design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CN106837062B (zh) 一种木门的墙面处收口工装
CN216043399U (zh) 一种新型免拉手门板结构
CN209585841U (zh) 一种新型门把手及应用该把手的金属门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CN205547974U (zh) 一种实木衣柜
CN218324577U (zh) 一种免钉模压造型门板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CN220377738U (zh) 一种踢脚线安装结构
CN216675124U (zh) 一种降噪式木柜
CN217106632U (zh) 一种应用于钢制门的可调伸缩包边门套
KR200377357Y1 (ko) 서랍의 전면판 결합구조
CN208040228U (zh) 一种柜门结构
CN108331499B (zh) 适配门框主体的凸型件、模压门和模压门的制备方法
CN213188781U (zh) 一种家装家具的厚壁包边封条
CN216277473U (zh) 一种木质门框
KR200495840Y1 (ko) 개선된 모서리를 갖는 가구용 패널
CN215255819U (zh) 一种极简门
CN213234690U (zh) 一种轻奢护墙房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