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580B1 - 곡물 발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발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580B1
KR101724580B1 KR1020170006161A KR20170006161A KR101724580B1 KR 101724580 B1 KR101724580 B1 KR 101724580B1 KR 1020170006161 A KR1020170006161 A KR 1020170006161A KR 20170006161 A KR20170006161 A KR 20170006161A KR 101724580 B1 KR101724580 B1 KR 10172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ipe
water
circulation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자연주의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자연주의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자연주의숨
Priority to KR10201700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9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eeds f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서 발아한 벼를 저장탱크 아래에서 수압으로 굴착하여 저장탱크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고
또, 벼 발아과정에서 발생된 잡균과 벼에 흡착된 협착물을 온수 순환과정에서 여과하거나 잡균을 박멸하고,
또, 비여있는 저장탱크에 오존과 살균램프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저장탱크내의 잡균을 박멸하는 다곡물 습윤 및 발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하부에 배출수단(100)을 설치한 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101)의 상측 원주연에 균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배출공(102)과;
상기 배출공(102)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가 한곳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원주연에 형성한 물받이(103)와;
상기 물받이(103) 하단에 제1순환관(2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순환관(200)의 타측은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210)와 연결되며,
상기 여과장치(210)는 제2순환관(2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관(220)의 타측은 히터(A)에 의해 상기 제1,2순환관(200,220)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탱크(230)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탱크(230)는 제3순환관(24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은 수집조(104)와 연결되되 상기 제3순환관(240) 타측에
제1가지관(250)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지관(250)의 타측은 노즐배관(2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배관(260) 타측은 상기 수집조(104)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배관(260)의 물배출구(261)가 저장탱크(101)의 상측을 바라보게함과 아울러 동력수단(269)에 의해 상기 제1가지관(250)의 원주연방향으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는 동력막대(271)와 연결되며,
상기 제1가지관(250)에 제1개폐밸브(251)를 설치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 은 제2개폐밸브(241)가 설치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2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3순환관(240)에 순환펌프(280)를 설치한 구성이다.

Description

곡물 발아장치{Grain germinative equipment}
본 발명은 곡물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서 발아한 벼를 저장탱크 아래에서 수압으로 굴착하여 저장탱크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고
또, 벼 발아과정에서 발생된 잡균과 벼에 흡착된 협착물을 온수 순환과정에서 여과하거나 잡균을 박멸하고,
또, 비여있는 저장탱크에 오존과 살균램프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저장탱크내의 잡균을 박멸하는 곡물 습윤 및 발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곡물 예를 들면, 벼, 현미, 콩 등은 대기에 접촉한 상태로 수확됨으로 이들을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껍질에 부착된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하여야 하고, 또한 가공을 하기 위하여 가공 전 단계에 습윤(침지)을 하여야 하는바, 통상적으로 상기한 세척을 하기 위해서는 세척기를 사용하고, 또한 습윤을 위해서는 저장조에 곡물을 투입하여 방치한 상태로 두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의 세척과 습윤을 각각 별도로 실시하면 번잡하고, 가공 전 단계까지의 이송시에 곡물에 손상을 입히게 됨으로써 제품의 불량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미(생현미)는 벼의 왕겨 만을 현미기에서 벗긴 쌀로서, 그 구조는 외측으로부터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湖粉層) 등의 쌀겨층과, 쌀알의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배(胚))(배아,쌀눈),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젖(배유)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영양분은 쌀겨층과 벼에 대부분이 포함 되어 있음으로 상기 현미를 정미기에서 도정하는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 B1·B2가 풍부하기 때문에 영양분으로 볼 때 양호한 식품이다.
또한 상기 현미의 유효물질에는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가바(GABA, Gamma Amino [0004] Butric Acd), 아라비노자일란(Arabinoxylan), 이노시톨 6-인산(IP6)(Inositol-6)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현미를 생산하기 위해 종래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0788496호에 기재된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은 벼를 세척하여 습윤수단에서 습윤한 후 탈수기에서 탈수하고, 상기 탈수한 벼를 증자수단에서 증자하여 건조한 후 현미기에서 도정하고 포장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습윤수단은 수개의 습윤체류조를 직렬설치함과 아울러 상부에 온수살수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각 습윤체류조에 다 공판을 승강할 수 있게 설치하여 세척한 벼를 각 습윤체류조에서 순서대로 습윤하며, 상기 습윤체류조의 상부에, 일측 습윤체류조에서 습윤된 벼를 순서대로 다음 습윤체류조로 이송함과 아울러 최종 습윤체류조에서 습윤된 벼를 배출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하고, 상기 증자수단은 증자실의 상부에 배습팬을 설치함과 아울러 내부에 다수단의 콘베이어를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증자실에 증기발생수단을 연결하여서, 저렴한 비용으로 유효물질의 함량증가가 양호하고, 악취가 없이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품질이 균일하고 소화흡수가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은 악취가 없이 대량생산하고 품질이 균일하며, 유효물질의 함량증가가 양호한 장점은 있으나, 세척기와, 수개의 습윤체류조를 직렬설치하여 습윤(침지)체류조를 순서대로 이송하면서 상기 세척된 벼를 습윤하는 습윤(침지)수단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고 유지비(운전요원 포함)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원가가 비싸지고, 또한 벼의 세척단계 및 습윤단계(침지단계)후에 이송공정을 경유할 때 벼와 세척기, 습윤체류조 또는 이송 콘베이어와의 마찰에 의하거나, 벼 끼리의 마찰에 의하여 현미기에서 도정하기 전에 왕겨가 벗겨짐으로써 현미가 대기중에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품질저하 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양으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328452호를 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본다.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하부에 배출수단을 설치한 저장탱크(10)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유체도관(21)을 설치하여 세척수와 습윤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과(20)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순환도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순환도관의 타단을 기 배출수단(13)조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순환도관(31)
순환펌프(32)를 설치하여 고압수를 세척 및 습윤하는 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뒤집음수단과(30);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한 이물질 분리수단(40);을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유체도관(21)을 설치하여 세척수와 습윤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과(20) 상측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물과 함께 벼를 충전한 후 발아 작업과정이 끝나면 벼는 어느정도 익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물과 벼가 배출수단(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배출과정 초기에는 잠시나마 벼가 물과 함께 배출되는데 잠시 후 물이 먼저 외부로 배출되면 벼는 그들의 중량(예를 들면 약 5톤)에 의해 저장탱크(10) 내부 하단에서 짓눌리고 늘어붙는다.
그래서 상측에서 많은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면서 배출하는데 그 또한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설명을 더 보충하면, 발아현미를 대량생산(저렴하게 공급할 양으로)하기 위해서는 저장탱크에 벼 수톤을 충전한 다음 습윤작업을 실시하는데 이 수톤의 중량감때문에 저장탱크 아래에서 습윤상태에 있는 벼는 눌러붙어 저장탱크를 파쇄해야 한다. 이점을 참고하여 이건을 바라보기 바란다.
그리고 벼 발아를 위해 저장탱크에 충전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약30~50도를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저장탱크 내부와 물에 존재하고 벼에 흡착된 미생물이 증식을 진행하는데 이 증식(증식 후 부폐)으로 역겨운 냄새가 발생하고 이 냄새가 벼에 흡수하여 최종적으로 생산된 발아현미쌀에서까지 냄새가 진동한다.
이러한 냄새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발아현미로서의 상품성은 상실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는데도 상기 종래의 기술은 물속에 포함된 잡균을 여과하는 장치가 없어 발아현미를 생산함에 있어 미완성 발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공급수단(20)이 상측에 있기 때문에 상측에서 물을 충전함으로 발아된 벼를 저장탱크(10)의 배출수단(13)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과정인 경우 물 중량이 벼의 중량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벼를 외부로 배출하기가 더욱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실험을 반복한 끝에 저장탱크에서 습윤상태(발아 생태)의 벼를 저장탱크 아래에서 수압으로 굴착하여 저장탱크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고
또, 습윤과정에서 발생된 잡균(미생물)과 벼의 왕겨에 흡착된 협착물을 온수 순환과정에서 여과하거나 잡균을 박멸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비어있는 저장탱크에 오존과 살균램프를 조사하여 저장탱크내에 존재한잡균 등을 박멸하고자 한다.
여기서 참고로, 벼가 적당한 온도(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온도에 해당)에서 발아하는 과정에 발생한 수많은 잡균과 왕겨에 흡착(흙 등)된 이물질이 뒤섞여 저장탱크 내부 구석구석이나 벽에 흡착되어 진다.
이를 그대로 두게되면 부패(냄새를 말로 표현하면 밥 쉰내를 시작으로 하여 썩은 냄새)되어 다음 벼 발아과정에서 뒤섞여 발아현미의 품질을 낮추게하거나 상품성을 상실하게 한다.
여기서 참고로, 저장탱크가 대용량이어서 그 내부를 매일 청소한다는 것은 위험하고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게 발생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술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저장탱크 하단에서 상부에 있는 벼를 향해 수압을 분사하여 벼를 굴착하는 노즐배관을 갖도록하고,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에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온수 순환과정에 온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잡균을 여과하고 박멸한다.
이렇게하면 온수도 절약하면서 발아 벼를 저장탱크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데 아주 편리하다.
여기서 종래의 문제점을 더 설명하면, 발아과정에 수많은 잡균이 온수에 포함되어 진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냄새가 지독하여 약 2시간에 한번씩 온수를 교체해야하는데 온수량이 방대하여 온수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온수 가열에 따른 에너지비용까지 포함하면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까지 감안하여 본 발명을 바라보기 바란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첨부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에 배출수단(100)을 설치한 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101)의 상측 원주연에 균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배출공(102)과;
상기 배출공(102)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가 한곳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원주연에 형성한 물받이(103)와;
상기 물받이(103) 하단에 제1순환관(2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순환관(200)의 타측은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210)와 연결되며,
상기 여과장치(210)는 제2순환관(2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관(220)의 타측은 히터(A)에 의해 상기 제1,2순환관(200,220)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탱크(230)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탱크(230)는 제3순환관(24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은 수집조(104)와 연결되되 상기 제3순환관(240) 타측에
제1가지관(250)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지관(250)의 타측은 노즐배관(2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배관(260) 타측은 상기 수집조(104)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배관(260)의 물배출구(261)가 저장탱크(101)의 상측을 바라보게함과 아울러 동력수단(269)에 의해 상기 제1가지관(250)의 원주연방향으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는 동력막대(271)와 연결되며,
상기 제1가지관(250)에 제1개폐밸브(251)를 설치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 은 제2개폐밸브(241)가 설치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2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3순환관(240)에 순환펌프(280)를 설치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발아한 벼를 저장탱크 아래에서 수압으로 굴착하여 저장탱크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므로서 벼 배출이 용이하다.
또, 발아과정에서 발생된 잡균과 벼의 왕겨에 흡착된 협착물을 온수 순환과정에서 여과하거나 잡균을 박멸하므로서 발아 현미 쌀에서 냄새가 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시장성이 우수하다.
또, 비어있는 저장탱크에 오존과 살균램프를 조사하여 저장탱크내에 존재한잡균 등을 박멸하므로서 항상 청결하다.
그리고 가지관을 통해 물을 저장탱크 내부로 충전할 수 있어 물 충전과 벼를 굴착하는 두가지 일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 등을 감안하면 종래(등록번호 10-1328452호)기술과 구성이 다르고 효과가 크다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곡물 발아장치로서 저장탱크 일부와 가열탱크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다른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 4도의 가)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로서 거름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는 노즐배관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사시도.
제 5도는 제 1도의 요부를 확대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온수 냉수의 순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저장탱크에서 배수되는 온수를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살균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하부에 배출수단(100)을 설치한 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101)의 상측 원주연에 균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배출공(102)과;
상기 배출공(102)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가 한곳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원주연에 형성한 물받이(103)와;
상기 물받이(103) 하단에 제1순환관(2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순환관(200)의 타측은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210)와 연결되며,
상기 여과장치(210)는 제2순환관(2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관(220)의 타측은 히터(A)에 의해 상기 제1,2순환관(200,220)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탱크(230)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탱크(230)는 제3순환관(24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은 수집조(104)와 연결되되 상기 제3순환관(240) 타측에
제1가지관(250)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지관(250)의 타측은 노즐배관(2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배관(260) 타측은 상기 수집조(104)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배관(260)의 물배출구(261)가 저장탱크(101)의 상측을 바라보게함과 아울러 동력수단(269)에 의해 상기 제1가지관(250)의 원주연방향으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는 동력막대(271)와 연결되며,
상기 제1가지관(250)에 제1개폐밸브(251)를 설치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 은 제2개폐밸브(241)가 설치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2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3순환관(240)에 순환펌프(280)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순환관(240)에 다수의 가지관(270,275,276)에 연결되고 그 가지관에 개폐밸브를 각각 설치하였다.
상세하게는, 제3순환관(240)에 해당하되 제2개폐밸브(241) 후방으로 순환펌프(280)가 연결되고 상기 순환펌프(280) 후방에 또 다른 제3개폐밸브(242)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펌프(280)와 상기 제3개폐밸브(242) 사이에 제2가지관(27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관(미도시)과 연결되에 냉수를 공급받는다.(도6 참조)
그리고 상기 제2가지관(270)에는 제4개폐밸브(2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지관(270)의 일단과 상기 제 4개폐밸브(243) 사이에 제3가지관(275)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온수탱크(미도시)와 연결되되 상기 제3가지관(275)에 제6개폐밸브(244)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2가지관(270)의 일단과 제4개폐밸브(243) 사이에 제4가지관(276)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버려지는 온수를 회수하는 회수통(300)과 연결되고
상기 제4가지관(276)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5개폐밸브(24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장탱크(101)에 벼를 충전한 다음 냉수를 충전하기 위해서
제1개폐밸브(251)와 제4개폐밸브(243)를 개방하고
나머지 제2,3,5,6개폐밸브(241,242,244,245,)는 밀폐한다.
그 후 순환펌프(280)를 가동하거나 외부에서 제2가지관(270)에 냉수를 공급하면 냉수는 저장탱크(101) 내부에 충전된다. (도 6참조)
이처럼, 지속적으로 냉수를 공급하면 냉수의 수압에 의해 벼가 뒤집어지면서 벼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척되고 그 세척된 이물질은 물위로 지속적으로 떠올라 물과함께
저장탱크(101) 상측에 형성한 배출공(102)으로 넣어 저장탱크(101) 외부에 형성한 물받이(103)와 제1순환관(200)과 여과장치(210)를 경유하거나 외부배출관(B)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면 벼는 깨끗이 세척된다.
그 후 냉수는 배출수단(100)에 연결된 배관(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수단(100) 내부에 거름망(100')이 설치되어 있어 벼는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은 저장탱크에 온수를 충전하여 발아를 하고자 한다.(도 6참조)
온수를 충전하기 위해서 제1,6개폐밸브(251,244)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밸브를 밀폐한 다음 제3가지관(275)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면 온수는 제3순환관(240)과 제1가지관(250)과 노즐배관(260)을 경유하여 저장탱크(101) 내부로 충전하는데 그 충전은 저장탱크(101) 상측에 형성한 배출공(102)으로 넘치도록 충전한다.
그 후 온수 충전 후 온수 공급을 중단한다.
다음은 온수를 순환시켜 벼를 지속적으로 뒤집어 벼가 고르게 발아가 되도록 하고 또 설정온도에서 온도가 떨어진 온수 온도를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한다.(도 5참조)
온수를 순환하기 위해서 제2,3개폐밸브(241,242)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밸브는 밀폐한다.
그 후 순환펌프(280)를 가동하면 저장탱크(101)의 상단 배출공(102)으로 넣어 여과장치(210)에서 잠시 머물고 있는 온수가 제2,3순환관(220,240)과 가열탱크(230)를 경유하여 저장탱크(101)의 배출수단(100)으로 유입되어 저장탱크내부를 지나 다시 배출공(102)으로 넘치게 된다.
이러한 순환과정에 온수는 가열탱크(230)에서 히터(A)에 의해 제차가열되어 설정온도를 유지하고 순환되는 수압은 저장탱크 아래에서 벼를 지속적으로 뒤집는다.
이처럼, 순환과정에 벼와 온수에 포함되 잡균이 증식하는데 이 증식은 여과장치(210)를 경유하면서 오존에 노출되어 박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환과정에 발생된 오염수는 상기 여과장치(210)의 여과망(211)에 의해 여과된다.
이처럼, 온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 벼는 발아되고 이물질은 제거되고 잡균은 박별하는 것이다.
다음은 발아된 벼(습윤 시킨 벼)를 저장탱크 아래로 배출하고자 한다.
어느정도 발아되고 온수에 의해 부풀린 벼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할 경우 왕겨가 박리되어 품질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또, 기계적인 마찰로 인해 짓눌리게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후술로 이어지는 본원의 방법에 의해 벼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아벼 배출을 위해 먼저, 제2,3,4,6개폐밸브(241,242,243,244)를 밀폐하고
제1,5개폐밸브(251,245)개발할 수 있는데 이때는 발아벼를 배출수단(100) 아래에 있는 발아벼배출밸브(130)를 통해 온수와 함께 거름망 형태의 이송컨베이어(131) 위에 배출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 온수는 이송컨베이어(131) 아래에 위치한 수로(400)를 통에 온수 회수통(300)에 보내진다.
이로 인해 회수통(300)에 온수가 모아지는데 이 온수는 순환펌프(280)가 가동하면
제4,2,1가지관(276,270,250), 제3순환관(240), 노즐배관(260)을 통해 저장탱크(101) 내부 상부로 분사된다.
이렇게 온수를 제차 사용함으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압이 낮아 벼를 굴착할 수 없게되면 도시와 같이 2개의 순환펌프를 가동할 수 있다.
다음은 가열한 온수를 공급하여 벼를 굴착할 경우를 살펴본다.
온수를 충전하기 위해서, 제1,6개폐밸브(251,244)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밸브를 밀폐한 다음 순환펌프(280)를 가동하면 제3,2,1개폐밸브(275,270,250),노즐배관(260)을 통해 분사된다.
이렇게하면 온수는 낭비되지만 깨끗한 온수를 사용한다는 장점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요부인 노즐배관을 설명하고자 한다.
구성을 제차 살펴보면, 노즐배관(2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배관(260) 타측은 상기 수집조(104)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배관(260)의 물배출구(261)가 저장탱크(101)의 상측을 바라보게함과 아울러 동력수단(269)에 의해 상기 제1가지관(250)의 원주연방향으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는 동력막대(271)와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서 동력수단(액추에이터에 해당)을 가동하면 막대(액추에이터의 로드에 해당)가 신장하거나 축소된다. 그 신장과 축소를 반복하면 노즐배관(260)은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배관(260) 끝단 또한 저장탱크(101) 내부 상측을 향하면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벼를 수압에 의해 굴착하게 된다.
이러한 수압은 순환펌프(280)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은 여과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여과장치(210)는 내부에 복수의 여과망(211)과 오존발생수단(미도시)을 갖도록 하여 여과장치(210)를 경유하는 물이 살균되고 여과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여과장치(210)는 그 내부에 온수가 통과되면 온수에 포함된 협착물을 걸러내는 여과망(211)이 있고, 오존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온수속에 분사한다.
그러므로 온수는 여과되고 잡균은 오존에 의해 박멸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내부가 비워져 있는 저장탱크에 존재할 수 있는 잡균(雜菌)을 박멸하고자 한다.
상기 저장탱크(101) 외부 상부에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조사하는 살균램프(50)를 설치하되 상기 살균램프(50)를 권취기(51)에 감겨진 견인로프(52)에 연결된 상태에서 벼를 세척하고 발아하는 과정에는 상기 살균램프(50)가 저장탱크(101) 외부 상부에서 대기하고 저장탱크(101)가 비어있는 상태에는 상기 저장탱크(101) 상부를 덮고있는 뚜껑(53)을 개방한 후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살균램프(50)를 저장탱크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습기와 이물질에 노출되면 살균램프(50)에 그 들 협착물이 쌓여 살균파장이 발생할 수 없게될 수 있다. 그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대기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기(51)는 견인로프(52)를 감았다 풀었다를 반복시켜 살균램프(50)를 저장탱크의 내부 상단과 하단을 오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저장탱크 전체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01) 내부에 상기 저장탱크(101)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저장탱크(101)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살균램프를 조사하면 내부공기를 고르게 살균할 수 있어 살균력이 우수하다.
상기 저장탱크(101) 하단과 집수조(104) 및 배출수단(100)에서 잡균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수단(100) 내부 내지는 상기 집수조(104) 내부에
오존발생수단(미도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오존발생수단을 설치한 다음 상기 저장탱크 하단과 집수조 및 배출수단을 박멸하고자 할 경우 물을 저장탱크 하단까지 충전한 다음 물속에 오존을 발생하면 상기 부분에서 박멸하게 된다.
설명을 보충하면, 물을 저장탱크 상단까지 충전하면 물량이 방대하여 그 또한 경제적인 손실이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다.
상기 오존발생기를 이용하는 이유는, 배출수단(100)의 구조가 지그재그 형태로 될 경우 살균램프(50)의 빛이 도달하지 못하므로 여기서는 물속으로 분사하는 오존발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1) 내부에 수직으로 길게
진동배관(600)을 수용하고 상기 진동배관(600) 일측에 진동모터(610)를 연결한 상태에서
벼를 저장탱크(101) 아래로 배출하기 위해서 물을 외부로 배출한 다음 진동모터(600)를 작동하면 진동모터(610)는 진동을 발생하고 그 진동은 진동배관(610)을 진동시킨다.
이로 인해 진동에 의해 벼가 아래로 이동(낙하)하는 저장탱크(101) 하단에 형성한 배출공(101')과 배출관(101")을 지나 상기 저장탱크(101)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진동배관(101)은 내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진동배관(101)의 길이방향에 균등간격으로 복수의 공기배출구(601)를 형성한다.
이처럼 복수의 공기배출구(601)를 갖도록 한 다음 외부( 콤프레셔 )에서 진동배관(6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공기배출구(601)를 통해 동시에 공기가 저장탱크 내부로 배출된다. 그 공기로 인하여 벼가 더욱 활발하게 뒤집어진다.
상기 진동모터(610)는 저장탱크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배관(600)하단 끝단은 상기 저장탱크(101)의 하단 배출공(101')까지 향하게 함으로서 벼 배 출이 원할하다.
50 : 살균램프 51 : 권취기
52 : 견인로프 53 : 뚜껑
100 : 배출수단 100': 거름망
101 : 저장탱크 102 : 배출공
103 : 물받이 104 : 수집조
130 : 발아벼배출밸브 131 : 이송컨베이어
200 : 제1순환관 210 : 여과장치
211 : 여과망 220 : 제2순환관
230 : 가열탱크 240 : 제3순환관
241 : 제2개폐밸브 242 : 제3개폐밸브
243 : 제4개폐밸브 244 : 제6개폐밸브
245 : 제5개폐밸브 250 : 제1가지관
251 : 제1개폐밸브 260 : 노즐배관
261 : 물배출구 269 : 동력수단
271 : 동력막대 275 : 제3가지관
276 : 제4가지관 280 : 순환펌프
300 : 회수통 400 : 수로
A : 히터 B : 외부배출관

Claims (4)

  1. 하부에 배출수단(100)을 설치한 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101)의 상측 원주연에 균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배출공(102)과;
    상기 배출공(102)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가 한곳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 원주연에 형성한 물받이(103)와;

    상기 물받이(103) 하단에 제1순환관(2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순환관(200)의 타측은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210)와 연결되며,

    상기 여과장치(210)는 제2순환관(2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관(220)의 타측은 히터(A)에 의해 상기 제1,2순환관(200,220)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탱크(230)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탱크(230)는 제3순환관(24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은 수집조(104)와 연결되되 상기 제3순환관(240) 타측에
    제1가지관(250)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지관(250)의 타측은 노즐배관(2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배관(260) 타측은 상기 수집조(104)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배관(260)의 물배출구(261)가 저장탱크(101)의 상측을 바라보게함과 아울러 동력수단(269)에 의해 상기 제1가지관(250)의 원주연방향으로 소정각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는 동력막대(271)와 연결되며,

    상기 제1가지관(250)에 제1개폐밸브(251)를 설치되고 상기 제3순환관(240)의 타측 은 제2개폐밸브(241)가 설치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2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3순환관(240)에 순환펌프(280)를 설치한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여과장치(210)는 내부에 복수의 여과망(211)과 오존발생수단을 갖도록 하여 여과장치(210)를 경유하는 물이 살균되고 여과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저장탱크(101) 외부 상부에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조사하는 살균램프(50)를 설치하되 상기 살균램프(50)를 권취기(51)에 감겨진 견인로프(52)에 연결된 상태에서 벼를 세척하고 발아하는 과정에는 상기 살균램프(50)가 저장탱크(101) 외부 상부에서 대기하고 저장탱크(101)가 비어있는 상태에는 상기 저장탱크(101) 상부를 덮고있는 뚜껑(53)을 개방한 후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조사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저장탱크(101) 내부에 상기 저장탱크(101)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가 설치하여 저장탱크(101)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습윤 및 발아장치.
KR1020170006161A 2017-01-13 2017-01-13 곡물 발아장치 KR10172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61A KR101724580B1 (ko) 2017-01-13 2017-01-13 곡물 발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61A KR101724580B1 (ko) 2017-01-13 2017-01-13 곡물 발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80B1 true KR101724580B1 (ko) 2017-04-07

Family

ID=5858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161A KR101724580B1 (ko) 2017-01-13 2017-01-13 곡물 발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132A (ko) 2020-07-28 2022-02-04 김창근 곡물 발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170A (ja) * 2002-09-03 2004-03-25 Takanori Ichikawa 温水循環式穀物及び植物種子発芽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2444B1 (ko) * 2005-06-29 2006-10-09 신창상역 주식회사 발아곡류의 발아 및 발아정지 시스템
KR20090076235A (ko) * 2008-01-08 2009-07-13 대선제분 주식회사 발아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328452B1 (ko) * 2012-07-20 2013-11-14 이민성 곡물의 세척 겸 습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170A (ja) * 2002-09-03 2004-03-25 Takanori Ichikawa 温水循環式穀物及び植物種子発芽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2444B1 (ko) * 2005-06-29 2006-10-09 신창상역 주식회사 발아곡류의 발아 및 발아정지 시스템
KR20090076235A (ko) * 2008-01-08 2009-07-13 대선제분 주식회사 발아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328452B1 (ko) * 2012-07-20 2013-11-14 이민성 곡물의 세척 겸 습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132A (ko) 2020-07-28 2022-02-04 김창근 곡물 발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0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genetically transformable plant tissue
US5073401A (en) Automated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2146775B1 (ko) 굼벵이 사육장치 및 방법
KR101724580B1 (ko) 곡물 발아장치
KR101867875B1 (ko) 곡물세척기
KR101862636B1 (ko) 곡물발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곡물 제조방법
KR100711543B1 (ko) 위생 고추분말의 제조설비 및 세척살균장치
KR20060101844A (ko) 위생 고추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608177B1 (ko) 미강 세척시스템
KR101328450B1 (ko) 현미의 제조장치
KR20160058637A (ko)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CN215013430U (zh) 一种红薯干、果干清洗干燥杀菌系统
CN207167380U (zh) 畜牧用饲料回收食槽
CN114468253A (zh) 一种立式腌制腌菜的平台
KR101328452B1 (ko) 곡물의 세척 겸 습윤장치
CN213162111U (zh) 一种果蔬清洗风干一体机
RU22916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KR102083117B1 (ko) 정량공급유닛을 가지는 콩나물 세척장치
CN111642171A (zh) 一种番茄种子催芽处理装置
ES2326773B2 (es) Metodo para procesar semillas.
KR100632444B1 (ko) 발아곡류의 발아 및 발아정지 시스템
RU2802325C1 (ru) Мобиль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в засушливых условиях
CN207854952U (zh) 一种茶叶清洗杀菌加工线
CN214339986U (zh) 一种脱水蔬菜加工用清洗设备
KR101039854B1 (ko) 가바성분을 함유한 곡물의 발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곡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