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32B1 -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32B1
KR101724032B1 KR1020150074016A KR20150074016A KR101724032B1 KR 101724032 B1 KR101724032 B1 KR 101724032B1 KR 1020150074016 A KR1020150074016 A KR 1020150074016A KR 20150074016 A KR20150074016 A KR 20150074016A KR 101724032 B1 KR101724032 B1 KR 10172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substrate
dot pattern
lay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354A (ko
Inventor
박준서
한일기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32B1/ko
Priority to US14/754,941 priority patent/US9666821B2/en
Publication of KR2016013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32B1/ko
Priority to US15/495,883 priority patent/US98189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1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active inorganic nanostructures, e.g. luminescent quantum d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제1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판에 다양한 양자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OLOR QUANTUM DOTS PATTERN AND MULTICOLOR QUANTUM DOTS FORMED BY THE METHOD, QUANTUM DOT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기판 상에 발광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양자점을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60년대 브라운관부터 시작하여 LCD 등 평판 디스플레이를 거쳐 OLED, 유연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발전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장되며 시장적 측면에서 고휘도, 저전력, 고집적, 그리고 높은 색재현력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양자점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려면, 양자점을 기판 위에 색상별로 패터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양자점은 디스플레이 시장 이외에도 센서, 태양전지, 레이저 등에서 활용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이를 사용할 기판 위에 원하는 모양으로 패터닝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있어 다양한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연구되고 있다.
양자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주요문제는 다양한 색상의 양자점을 하나의 패널에 함께 증착하는데 있다. OLED같은 경우는 메탈 마스크를 활용한 증착법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지만, 해당 방법은 증착할 수 있는 픽셀의 최소 크기가 메탈 마스크와 증착물의 메탈 마스크로 인한 회절에 의해 제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자점이 열이나 진공증발을 이용한 증착으로는 증착이 어렵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론에 대한 필요가 논의되어 왔다.
때문에, 양자점은 유/무기 용액 상태에서 스핀 코팅(spin-coating)법을 이용한 상분리(phase separation) 코팅법이 균일한 양자점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았으나, 이 방법은 단색 양자점 발광체밖에 만들 수가 없다는 점에서 제한이 있었다(선행기술문헌의 비특허문헌 1).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밀착 프린팅(contact-printing)이라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이는 다른 기판에 미리 다른 기판에 도포된 다양한 색상의 양자점을 마치 도장으로 옮기듯 기판에 전사하는 방법이다(선행기술문헌의 비특허문헌 2). 이 방법은 양자점 소모를 줄이고 인치당 1000픽셀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데 장점이 있으나, 산업적 측면에서는 새로운 공정 라인을 만들어야 하고, 또한 전사에 사용할 고분자 도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서 부담이 있다.
KR 10-0577061 B1 KR 10-1140309 B1 KR 10-1098249 B1
Large-area ordered quantum-dot monolayers via phase separation during spin-casting, S. Coe-Sullivan et al., Adv. Funct. Mater., 2005, 15, 1117-1124 Contact printing of quantum dot light-emitting devices, L. Kim et al., NanoLett. 2008, vol. 8, No. 12, 4513-4517 Full-colour quantum dot displays fabricated by transfer printing, T. Kim et al., Nature photonics, 2011, vol 5, 176-18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발광 특성을 갖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으로 적용한 양자점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제1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양자점 패턴을 덮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2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하를 이용하는 층상자기조립법(Layer-by-Layer assembly method)으로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기판의 표면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띈 고분자를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의 고분자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띈 작용기를 갖는 양자점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3항에 기재된 상기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제1 양자점층을 다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띈 고분자 전해질이 0.5 내지 50 wt.% 수용액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고분자의 경우 PDDA(poly diallyldimethylamonium chloride) 및 PAH(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이고, 음전하 고분자의 경우 PSS(poly sodium styrene sulfonate) 및 PAA(polyacrylic acid)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양자점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표면 개질된 0.01 내지 10 mg/ml 수용액 상태의 반도체 나노 결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도체 나노 결정은 발광하는 코어 부분의 크기가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양자점은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하를 갖도록 표면이 개질되며, 상기 화합물은 양자점 또는 중간체(intermediate) 물질과 합성물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R-COOH(acid) 또는 R1-N-R2-R3(amine: primary or secondary or tertially) 및 R-OH(alcohol)(이때, R은 carbon alkyl group을 지칭하는 것으로, R에서 carbon의 개수가 1이상 8이하인 화합물, R1, R2, R3는 수소(H) 또는 carbon 개수가 1이상 8 이하인 물질)의 작용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체 물질은 PEG, amphiphilc compound, oleic compound, amine compound, phosphorus compound, organosulfur compound, silane compound, dendrimer, protein, pepti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산소 플라즈마, 자외선-오존,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산을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6 이하의 황산, 질산 및 염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염기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8 이상의 NaOH, K2CO3, KOH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금속, 비금속, 세라믹, 산화막, 반도체, 유기물, 고분자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산화막은 SiO2, TiO2, Indium tin oxide(ITO), Y2O3, Al2O3, ZnO, WO3, MoO3, NiO, ZTO 및 S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양자점은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양자점은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대 극성(polarity index)이 0 보다 크고 7.5 이하인 유기용제에 의해 제거되는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용제는 alcohol(ROH: R의 C개수 1-3개), acetone, DMSO, NMP, NaOH, KOH, K2C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식각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식각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광, 이온빔 및 전자빔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은,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제2 양자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구성하는 각 양자점들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기는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색 양자점 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 및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제2 양자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구성하는 각 양자점들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기는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의 크기는 픽셀 크기와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양자점 패턴은 하나의 기판에 다양한 양자점을 원하는 모양으로 패터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발광 파장이 서로 다른 양자점을 단일 기판에 함께 패터닝 하는 기술로서 감광액을 사용해 패터닝 된 기판에 양자점을 전하를 이용하여 표면에 도포한 뒤(layer-by-layer assembly법),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감광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양한 종류의 산화막 표면에 원하는 모양대로 다양한 종류의 양자점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발광 특성을 가진 양자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대면적 기판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유연 디스플레이 장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l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으로 적용한 양자점 발광소자의 예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l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은, 전하를 이용하여 수용성(극성) 양자점을 기판에 증착하고, 감광액을 사용한 양자점 패터닝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양자점 클러스터를 동일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오프(Lift-off)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점을 보존하면서도 다종의 양자점을 기판 상에 동시에 구현하여, 다양한 양자점 발광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자점이 100 이상에서 특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공정을 100 이하에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 진행 중에 양자점이 받는 가장 높은 온도는 포토레지스트 베이킹 온도인 9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양자점을 순차적으로 코팅 하는 중에 기패터닝된 양자점이 자외선이나 플라즈마, 오존, 화학약품에 노출되면 그 발광 특성을 잃거나 양자점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양자점 도포 과정 중에는 기패터닝된 양자점이 포토레지스트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은 상기 기판(10) 상에 스핀 코팅법(Spin-Coating Method)으로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물질을 상기 기판(10)에 약 3000 rpm에서 약 30초간 회전 코팅 시킨 뒤, 약 90 에서 약 90 초간 소프트베이킹 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추후 산소 플라즈마나 자외선-오존 발생장치,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표면이 활성화 되는 기판으로, 금속, 비금속, 세라믹, 산화막, 반도체, 유기물, 고분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유연한 성질을 갖거나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10)이 대면적 기판인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이 산화막 기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SiO2, TiO2, Indium tin oxide(ITO), Y2O3, Al2O3, ZnO, WO3, MoO3, NiO, ZTO 및 SnO2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이 고분자 기판인 경우,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을 형성하는 포토레지스트 물질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일 수 있다. 다만, 패턴 형성 후 상대극성(polarity index)이 0 보다 크고 7.5 이하인 유기용제에 의해 제거가 되는 포토레지스트일 수 있다. 다만, 사진 식각 공정에서 사용하는 포토레지스트는 패터닝 공정 후 제거될 때 유기용제에 의해 양자점이 손상을 받지 않아야 한다. 유기용제의 예로는 alcohol(ROH: R의 C개수 1-3개), acetone, DMSO, NMP, base solution(NaOH, KOH, K2CO3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양자점을 하나의 기판에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기판의 종류와 상관없이 감광제를 도포할 수 있으면 진행될 수 있는 공정이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왔으나 가장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래피는 1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패턴을 형상화 할 수 있으며, 액침 노광(immersion lithography)이라는 기술과 극자외선 광원을 사용할 경우 현 기술로 수십 나노미터 수준의 패턴을 형상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법으로 양자점을 패터닝 할 경우 컨택트 프린팅(contact-printing)만큼, 혹은 그 이상의 해상도로 다색 양자점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제1 마스크(31)를 위치시켜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노광한다(expose).
상기 제1 마스크(31)는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 중 식각하기 위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35)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노광은 광, 이온빔, 전자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5)는 추후 양자점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며, 일 실시예로서 양자점 패턴이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개구부(35)의 크기는 픽셀 크기와 대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현상(develop)하여 상기 개구부(35)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의 영역을 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이 도포되기를 희망하는 부분에 개구부(35)가 형성된 마스크(31)를 상기 기판(10) 상에 위치 시킨 후, 350 W 자외선 램프 하에서 12.5초간 노광할 수 있다. 노광된 기판(10)은 현상액에서 약 45초간 현상하고, 시간이 지난 직후 D.I. 워터에 담가 현상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31)의 개구부(35)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20)의 영역이 식각되어, 상기 기판(10) 상에 기판(10)이 노출되는 트렌치(25)를 갖는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이 형성된다(도 1(c) 참조).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이 형성된 기판(10)의 표면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기판(10)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산소 플라즈마, 자외선-오존,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을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6 이하의 황산, 질산 및 염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염기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8 이상의 NaOH, K2CO3, KOH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에서 각각 10분간 초음파 세척된 석영(quartz) 기판과 유리 기판을 RIE(reactive ion etching) 챔버에서 산소 흐름속도 20 sccm, 총압 20 mTorr, 100 W의 플라즈마 하에서 60초간 표면 활성화(surface activ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화된 기판(10) 상에 제1 양자점층(5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양자점층(51)은 전하를 이용한 층상자기조립법(Layer-by-Layer assembly method)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화된 기판(10)의 표면 전하(예를 들어, (-)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예를 들어, (+) 전하)를 띈 고분자를 상기 기판(10) 상에 도포한다.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띈 고분자 전해질이 0.5 내지 50 wt.% 수용액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고분자의 경우 poly diallyldimethylamonium chloride(PDDA) 및 PAH(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일 수 있고, 음전하 고분자의 경우 poly sodium styrene sulfonate(PSS) 및 polyacrylic acid(PAA)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D.I. 워터로 희석시킨 PDDA(poly diallyldimethylamonium chloride) 수용액에 약 20 분간 담가둘 수 있다. 이후 수용액에서 꺼내 D.I. 워터로 씻어낸 후, 질소(N2) 건(gun)으로 드라이하여 건조(blow dry)시킬 수 있다.
이어,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의 고분자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예를 들어, (-) 전하)를 띈 작용기를 갖는 양자점을 도포한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표면 개질된 0.01 내지 10 mg/ml 수용액 상태의 반도체 나노 결정이고, 전하를 띄게 하는 물질은 표면 개질 가장 최외곽에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나노 결정은 발광하는 코어 부분의 크기가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자점은 표면이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하(positive charge or negative charge)를 갖도록 표면 개질 되어야 하며, 용액의 종류는 수용액(water soluble) 형태이며, 수용액의 농도는 0.1~0.0001 wt%의 농도 범위를(실시예: 0.01 내지 10mg/ml) 가지는 반도체 나노 결정을 말한다.
화합물은 양자점 또는 중간체(intermediate) 물질과 합성물을 이루며, 상기 화합물을 이루는 물질은 R-COOH(acid) 또는 R1-N-R2-R3(amine: primary or secondary or tertially) 또는 R-OH(alcohol)의 작용기를 가진다. 이때, R은 carbon alkyl group을 뜻하며, R에서 carbon의 개수가 1이상 8이하의 carbon을 가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R1 또는 R2 또는 R3는 수소(H) 또는 carbon 개수가 1이상 8이하인 물질을 말한다. 중간체 물질은 생략될 수 있으며, 중간체 물질로는 양자점과 화합물을 결합시킬 수 있는 물질이며, 그 예로 PEG, amphiphilc compound, oleic compound, amine compound, phosphorus compound, organosulfur compound, silanol compound, dendrimer, protein, peptid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D.I. 워터로 희석된 양자점 수용액을 피펫을 이용하여 표면에 고루 도포시킨 뒤, 약 15분 뒤에 D.I. 워터로 씻어내고 질소(N2) 건(gun)으로 드라이하여 건조(blow dry)시킬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의 공정은, 상기 제1 양자점층(51)이 원하는 두께로 형성될 때까지 또는 상기 제1 양자점층(51)을 다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양자점층(51)이 생성된 기판(10)으로부터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을 제거하여 제1 양자점 패턴(11)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을 제거하는 반면, 양자점에는 손상(damage)을 주지 않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뜯김없는 제1 양자점 패턴(11)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은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을 아세톤에 넣어 초음파 진동수조에 15분간 담가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기판(10)은 다시 메탄올에 담가 초음파 진동수조에서 5분간 잔여 아세톤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기판(10)으로부터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을 제거하면,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만 남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이 생성된 기판(10) 상의 다른 위치에 제2 양자점 패턴(1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픽셀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양자점 패턴(12)은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과 발광 특성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발광 특성의 양자점 패턴은 마스크를 이용한 한번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과는 다른 발광 특성의 제2 양자점 패턴(12)을 형성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다.
상기 제2 양자점 패턴(12)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을 형성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즉, 전하를 이용하여 수용성(극성) 양자점을 기판에 증착하고, 감광액을 사용한 양자점 패터닝 기술을 이용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하에서는, 제2 양자점 패턴(12)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g)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이 생성된 기판(10) 상에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은 형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11)을 덮음으로서, 추후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제1 양자점 패턴(11)을 보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은 스핀 코팅법(Spin-Coating Method)으로 상기 기판(10) 상에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을 형성하는 포토레지스트 물질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일 수 있다. 다만, 패턴 형성 후 상대극성(polarity index)이 0 보다 크고7.5 이하인 유기용제에 의해 제거가 되는 포토레지스트일 수 있다.
도 1(h)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제2 마스크(32)를 위치시켜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노광한다(expose).
상기 제2 마스크(32)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 중 식각하기 위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36)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노광은 광, 이온빔, 전자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현상(develop)하여 상기 개구부(36)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의 영역을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크(32)의 개구부(36)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22) 의 영역이 식각되어, 상기 기판(10) 상에 기판(10)이 노출되는 트렌치(26)를 갖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이 형성된다(도 1(i) 참조).
도 1(i)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이 형성된 기판(10)의 표면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기판(10)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산소 플라즈마, 자외선-오존,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을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6 이하의 황산, 질산 및 염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염기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8 이상의 NaOH, K2CO3, KOH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j) 및 도 1(k)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화된 기판(10) 상에 제2 양자점층(5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양자점층(52)은 전하를 이용한 층상자기조립법(Layer-by-Layer assembly method)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j)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화된 기판(10)의 표면 전하(예를 들어, (-)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예를 들어, (+) 전하)를 띈 고분자를 상기 기판(10) 상에 도포한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 도 1(k)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의 고분자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예를 들어, (-) 전하)를 띈 작용기를 갖는 양자점을 도포한다. 이후, 상기 기판(10)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j) 및 도 1(k)의 공정은, 상기 제2 양자점층(52)이 원하는 두께로 형성될 때까지 또는 상기 제2 양자점층(52)을 다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l)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양자점층(52)이 생성된 기판(10)으로부터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제거하여 제2 양자점 패턴(12)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제거하는 반면, 양자점에는 손상(damage)을 주지 않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1 양자점 패턴(11) 및 그 하부층의 뜯김없이 제2 양자점 패턴(12)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은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을 유기 용제에 담궈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기판(10)의 동일층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11) 및 제2 양자점 패턴(12)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숫자만큼의 다양한 양자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 오프(Lift-off)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양자점 패턴(11)을 보존하면서도 다종의 양자점을 기판(10) 상에 동시에 구현하여, 다양한 양자점 발광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사진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대면적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에 도포되어 있는 영역과 기판이 드러나는 영역을 구분 지은 뒤, 기판 표면을 활성화 시키고 전하를 이용하여 양자점층을 표면에 형성시킨다. 이후,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지워내 드러나 있던 기판에만 양자점이 남아있도록 한 뒤,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다시 기판 표면을 다음 양자점이 형성될 영역이 노출 되도록 패터닝 한 뒤 다시 양자점 층을 형성시키고 유기용제로 포토레지스트를 지워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기존 반도체 공정에서 확립되어 있는 노광기술만으로 양자점을 다양한 기판에 패터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100)의 예이다.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여러 색을 발광하는 양자점을 목표 기판에 직접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원하는 종류의 양자점을 원하는 수만큼, 원하는 모양으로 하나의 기판의 동일층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전하를 이용한 양자점 패턴 형성방법에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제를 이용한 패터닝 기술을 접목시켜 제조 공정이 용이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다양한 색을 발광하는 양자점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자점 패턴들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 패턴들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허용하는 만큼의 해상도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각 양자점 패턴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픽셀 크기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양자점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자점 패턴을 이루는 각 양자점은 극성의 작용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양자점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최외각에 존재하는 작용기를 가지며, 상기 작용기는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5 종류의 양자점을 이용한 선(line) 패턴을 형성하였다. 즉, 패턴(110a, 110b)은 레드(red) 컬러인 620 nm의 발광파장을 갖고, 패턴(120a, 120b)은 오렌지(orange) 컬러인 580 nm의 발광파장을 갖고, 패턴(130a, 130b)은 옐로우(yellow) 컬러인 560 nm의 발광파장을 갖고, 패턴(140a, 140b)은 그린(green) 컬러인 530 nm의 발광파장을 갖고, 패턴(150a, 150b)은 블루(blue) 컬러인 490 nm의 발광파장을 갖는다.
상기 기판(10)은 산소 플라즈마나 자외선-오존 발생장치,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표면이 활성화 되는 금속, 비금속, 세라믹, 산화막, 반도체, 유기물, 고분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유연한 성질을 갖거나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이 산화막 기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SiO2, TiO2, Indium tin oxide(ITO), Y2O3, Al2O3, ZnO, WO3, MoO3, NiO, ZTO 및 SnO2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이 고분자 기판인 경우,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판(1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소 플라즈마 등으로 표현이 활성화되는 기판이면 모두 이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으로 적용한 양자점 발광소자의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자점 발광소자(1)는 제1 전극(200)과 제2 전극(300) 사이에 전자 주입층(미도시), 전자 수송층(210), 정공 수송층(310), 정공 주입층(320) 중 적어도 하나의 층과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100)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전극 기판(200) 상에 전자 주입층(미도시), 전자 수송층(210),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 후, 본 발명의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을 적용하여, 발광층(100)을 이루는 다색 양자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유연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노광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색을 발광하는 양자점들을 목표 기판에 직접 형성하므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양자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기판에서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도포된 양자점의 두께가 얇아 빛을 투과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나아가, 고분자에도 패터닝이 가능하므로 유연 디스플레이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대면적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은 기존 반도체 공정에서 확립되어 있는 노광 기술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공정 기술과 호환가능하여 공정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은 양자점 파장변환 형질을 이용하여, 센서/태양전지의 경우 감지 영역/에너지 변환영역을 확대하거나 증폭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픽셀을 양자점으로 구성하는 경우 기존의 고분자 도장을 통해 기판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양자점 디스플레이는 후면 발광 기판(Back light unit)으로만 활용 중이나,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은 양자점 자체가 전기적 발광을 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체를 양자점으로 대체하여 OLED시장과 유사한 시장을 형성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0: 기판 20: 제1 포토레지스트층
21: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 25, 26: 트렌치
31: 제1 마스크 35, 36: 개구부
51: 제1 양자점층 11: 제1 양자점 패턴
22: 제2 포토레지스트층 23: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
32: 제2 마스크 52: 제2 양자점층
12: 제2 양자점 패턴 100: 다색 양자점 패턴
1: 양자점 발광소자 100: 발광층
200: 제1 전극 210: 전자 수송층
310: 정공 수송층 320: 정공 주입층
300: 제2 전극

Claims (31)

  1.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제1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하를 이용하는 층상자기조립법(Layer-by-Layer assembly method)으로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고, 상기 층상자기조립법은,
    상기 활성화된 기판의 표면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띈 고분자를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의 고분자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띈 작용기를 갖는 양자점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pH 6 이상 pH 8 이하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양자점 패턴을 덮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2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제2 양자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기판 상에 제1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상자기조립법의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제1 양자점층을 다중층으로 형성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띈 고분자 전해질이 0.5 내지 50 wt.%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를 띈 고분자는, 양전하 고분자의 경우 PDDA(poly diallyldimethylamonium chloride) 및 PAH(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이고, 음전하 고분자의 경우 PSS(poly sodium styrene sulfonate) 및 PAA(polyacrylic acid) 중 하나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표면 개질된 0.01 내지 10 mg/ml 수용액 상태의 반도체 나노 결정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하를 갖도록 표면이 개질되며, 상기 화합물은 양자점 또는 중간체(intermediate) 물질과 합성물을 이루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COOH(acid) 또는 R1-N-R2-R3(amine: primary or secondary or tertially) 및 R-OH(alcohol)(이때, R은 carbon alkyl group을 지칭하는 것으로, R에서 carbon의 개수가 1이상 8이하인 화합물, R1, R2, R3는 수소(H) 또는 carbon 개수가 1이상 8 이하인 물질)의 작용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물질은 PEG, amphiphilc compound, oleic compound, amine compound, phosphorus compound, organosulfur compound, silane compound, dendrimer, protein, peptide 중 적어도 하나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산소 플라즈마, 자외선-오존, 산 또는 염기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산을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6 이하의 황산, 질산 및 염산 중 하나를 이용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염기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 방법은 pH 8 이상의 NaOH, K2CO3, KOH를 이용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 비금속, 세라믹, 산화막, 반도체, 유기물, 고분자 중 하나로 형성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SiO2, TiO2, Indium tin oxide(ITO), Y2O3, Al2O3, ZnO, WO3, MoO3, NiO, ZTO 및 S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자점은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자점은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같은,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대 극성(polarity index)이 0 보다 크고 7.5 이하인 유기용제에 의해 제거되는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alcohol(ROH: R의 C개수 1-3개), acetone, DMSO, NMP, NaOH, KOH, K2C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식각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식각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광, 이온빔 및 전자빔 중 하나를 이용하는,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24.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제2 양자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구성하는 각 양자점들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을 갖는, 다색 양자점 패턴.
  25.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제2 양자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구성하는 각 양자점들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을 갖는, 다색 양자점 패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는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갖는, 다색 양자점 패턴.
  27. 삭제
  28. 기판 상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 및 다색 양자점 패턴을 발광층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기판에 생성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양자점과 발광 특성이 다른 제2 양자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을 구성하는 각 양자점들은 표면이 소정의 전하를 갖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고,
    상기 작용기는 음전하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양전하로는 아민기(-NH3)를 갖는, 양자점 발광소자.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을 갖는, 양자점 발광소자.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자점 패턴 및 상기 제2 양자점 패턴의 크기는 픽셀 크기와 대응하는, 양자점 발광소자.
KR1020150074016A 2015-05-27 2015-05-27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KR10172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16A KR101724032B1 (ko) 2015-05-27 2015-05-27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US14/754,941 US9666821B2 (en) 2015-05-27 2015-06-30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olor quantum dot pattern, multicolor quantum dot pattern formed by the method, and quantum dot light-emitting device for the method
US15/495,883 US9818943B2 (en) 2015-05-27 2017-04-24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olor quantum dot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16A KR101724032B1 (ko) 2015-05-27 2015-05-27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54A KR20160139354A (ko) 2016-12-07
KR101724032B1 true KR101724032B1 (ko) 2017-04-07

Family

ID=5739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016A KR101724032B1 (ko) 2015-05-27 2015-05-27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66821B2 (ko)
KR (1) KR101724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6833B2 (en) 2019-03-25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the quantum dot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quantum dot layer
KR20230029219A (ko) 2021-08-24 2023-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포토레지스트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 박막의 패터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943B2 (en) * 2015-05-27 2017-11-14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olor quantum dot pattern
KR102356684B1 (ko) * 2017-01-10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하는 광센서 및 이미지 센서
US10948628B1 (en) * 2017-06-14 2021-03-16 Eclipse Energy Systems, Inc. Thin film coatings on transparent substr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WO2018235727A1 (ja) * 2017-06-22 2018-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層、発光デバイス、発光層の製造装置
CN108389943B (zh) * 2018-02-27 2019-07-26 苏州星烁纳米科技有限公司 量子点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US11152536B2 (en) 2018-09-17 2021-10-1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hotoresist contact patterning of quantum dot films
CN109749314A (zh) * 2018-12-11 2019-05-14 江苏鑫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高阻隔含氟塑料粒子的制备工艺
KR20200076050A (ko) * 2018-12-19 2020-06-29 재단법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전하 전달층을 구비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143185B1 (ko) * 2019-05-30 2020-08-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온 다이오드
CN113130796B (zh) * 2020-01-16 2022-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Qled器件、空穴传输材料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314675B (zh) * 2020-02-27 2023-0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器件及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497991B1 (ko) * 2020-11-25 2023-02-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 양자점의 생성과 크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2530712B (zh) * 2020-11-26 2022-02-22 吉林大学 一种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超级电容器
CN115136337A (zh) * 2021-01-27 2022-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量子点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
CN113667398B (zh) * 2021-08-31 2022-04-01 徐建诚 一种有机硅膜及其在制备具有平行光功能的发光装置中的应用
US20240118396A1 (en) * 2022-09-19 2024-04-11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US, LLC Quantum dot detector array for automotive lad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61B1 (ko) * 2004-01-15 2006-05-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딥코팅 방법을 이용한 양자층 및 패턴 구조 형성방법
JP2007246417A (ja) * 2006-03-14 2007-09-27 Canon Inc 感光性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表面修飾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5287B2 (en) * 2007-04-18 2013-09-03 Invisage Technologies, Inc.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for optoelectronic devices
KR101140309B1 (ko) 2009-01-09 2012-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다층 박막을 포함한 전기발광소자
US9296870B2 (en) * 2009-07-27 2016-03-2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odification of surfaces with nanoparticles
KR101098249B1 (ko) 2009-11-25 2011-12-23 한국과학기술원 선택적 액적의 젖음 현상을 이용한 미세구조의 패턴 형성방법
KR20140025161A (ko) 2012-08-21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점 소자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양자점 소자 및 양자점 소자의 전하 이동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61B1 (ko) * 2004-01-15 2006-05-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딥코팅 방법을 이용한 양자층 및 패턴 구조 형성방법
JP2007246417A (ja) * 2006-03-14 2007-09-27 Canon Inc 感光性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表面修飾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6833B2 (en) 2019-03-25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the quantum dot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quantum dot layer
KR20230029219A (ko) 2021-08-24 2023-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포토레지스트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 박막의 패터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54A (ko) 2016-12-07
US9666821B2 (en) 2017-05-30
US20160351842A1 (en)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32B1 (ko) 다색 양자점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형성된 다색 양자점 패턴, 양자점 발광소자
Harwell et al. Patterning multicolor hybrid perovskite films via top-down lithography
WO2013136844A1 (ja) フィルム状モールドを用いた凹凸パターンを有する光学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その光学基板を備え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TW202107697A (zh) 色彩轉換層之原位固化
US20090068915A1 (en) Highly efficient organic light-emmitting device using substrate or electrode having nanosized half-spherical convex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826011B1 (en) QLED fabricated by patterning with phase separated emissive layer
EP2339658A2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électrode a nanostructures métallique et diélectrique pour le filtrage coloré dans une OLED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OLED
CN104254438A (zh) 微细图案转印用模具的制造方法以及使用该模具的具有凹凸结构的基板的制造方法、以及具备具有该凹凸结构的基板的有机电致发光元件的制造方法
US10388902B1 (en) Structure for a high resolution light-emitting device
JP6013945B2 (ja) 凹凸パターンを有する基板を備え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40203258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1513427A (zh) 疏水性堤部
WO2004006291A2 (en) Patterning method
US11309507B2 (en) Control of the position of quantum dots in emissive layer of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TW201330053A (zh) 於薄膜元件中壓印圖案化材料的製程
US915194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ixel walls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US981894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olor quantum dot pattern
TWI624972B (zh) 光電子裝置及其製作方法
KR101389987B1 (ko)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126444A1 (zh) 图案化量子点膜层、量子点发光器件和制作方法
US10248024B2 (en) Method for making a micro- or nano-scale patterned layer of material by photolithography
KR100948856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006165A1 (en) Trilayer photoresist system and method for patterning organic devices
US20220158107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patterned quantum dots light emitting diodes (qleds)
WO2022190194A1 (ja) El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el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