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984B1 -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984B1
KR101723984B1 KR1020170014016A KR20170014016A KR101723984B1 KR 101723984 B1 KR101723984 B1 KR 101723984B1 KR 1020170014016 A KR1020170014016 A KR 1020170014016A KR 20170014016 A KR20170014016 A KR 20170014016A KR 101723984 B1 KR101723984 B1 KR 10172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r
iot
smart device
routers
iot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규
류재호
최승욱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그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립 filed Critical (주)그립
Priority to KR102017001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984B1/ko
Priority to US15/876,738 priority patent/US10772137B2/en
Priority to CN201810072563.XA priority patent/CN108377219A/zh
Priority to JP2018012399A priority patent/JP2018125849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3Access point log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별도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라우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 상기 케이블이 상기 WAN 포트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부; 상기 동작모드로써 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기기 접속부;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활성화되고,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라우터 접속부; 및 상기 라우터 접속부가 상기 타겟 라우터에 접속되면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메시지를 상기 타겟 라우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겟 라우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본 발명은 IoT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IoT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센서, 스마트TV, 또는 스마트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장치들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 지면서 스마트 장치들이 실생활과 더욱 밀접해 지고 있다. 이로 인해, 1인당 스마트 장치 소유 개수는 지금보다 더욱 증가하여 약 250억 개의 장치들이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들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는 M2M(Machine to Machine), IoT(Internet of Things), I2oT(Intuitive Internet of Things), 및 WoT(Web of Things) 등과 같은 사물 인터넷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물 인터넷은 각 센서들을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싱결과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라우터와 게이트웨이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부분의 게이트웨이는 동글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네트워크 장치인 라우터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의 설치환경이 제약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댁내 또는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다양한 종류의 IoT 디바이스들(예: 냉장고, TV, 전기밥솥, 에어콘, 세탁기, 조명기기, 태블릿 PC 등)과의 연결이 제한되므로 폭넓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라우터와 게이트웨이간의 직접 연결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게이트웨이를 라우터에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게이트웨이를 라우터에 무선 방식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가 라우터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입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게이트웨이의 크기 및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게이트웨이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고자 할 때, 라우터의 SSID가 한글인 경우 게이트웨이가 해당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없어 라우터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고, 이로 인해 게이트웨이가 접속하기 원하는 라우터에 접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기존의 게이트웨이의 경우 접속 가능한 라우터가 복수개인 경우 라우터를 신호강도 순서가 아닌 SSID의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신호강도가 강한 라우터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게이트웨이의 경우 단일 통신 프로토콜만을 지원하는 형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IoT 디바이스들과의 연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라우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리스트를 신호강도 순서로 재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는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 상기 케이블이 상기 WAN 포트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부; 상기 동작모드로써 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기기 접속부;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활성화되고,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라우터 접속부; 및 상기 라우터 접속부가 상기 타겟 라우터에 접속되면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메시지를 상기 타겟 라우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겟 라우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할당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타겟 라우터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라우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ction)의 크기순서로 상기 라우터들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재배열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의 한글형식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접속가능한 SSID의 한글형식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라우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로써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는 제2 모드가 결정되면 추가로 활성화되어 메모리로부터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라우터 접속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라우터 접속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타겟 라우터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상기 타겟 라우터의 인증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상기 타겟 라우터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포트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이 상기 WAN 포트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로써 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할당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접속시키는 단계;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의해 선택된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태 메시지를 상기 타겟 라우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겟 라우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ction)의 크기순서로 상기 라우터들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재배열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의 한글형식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접속가능한 SSID의 한글형식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상기 동작모드로써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는 제2 모드가 결정되면 메모리로부터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능동적으로 IP를 할당할 수 있는 서버모드로도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IoT 게이트웨이에 접속시키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입력할 수 있어 접속정보의 입력이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IoT 게이트웨이의 크기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가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가 지원하는 한글표기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한글 SSID가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가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라우터의 SSID 목록을 RSSI 크기 순서로 재배열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개의 라우터들 중 신호강도가 우수한 라우터를 용이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가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복수개의 통신모듈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IoT 서비스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가 적용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oT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와 라우터간의 접속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가 적용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라우터(110), IoT 게이트웨이(120), 스마트 기기(130),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14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한다.
먼저, 라우터(110)는 관리서버(150)와 IoT 게이트웨이(120)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라우터(11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150)에 연결되고, IoT 게이트웨이(120)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이때,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라우터(110)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하나의 라우터(11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라우터(110)는 IoT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IP(Internet Protocol) 대역들 중 어느 하나의 IP 대역을 IoT 게이트웨이(120)에 할당함으로써, IoT 게이트웨이(120)가 해당 IP 대역을 통해 라우터(1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IoT 게이트웨이(120)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140)을 라우터(110)를 통해 관리서버(150)와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IoT 게이트웨이(120)는 라우터(110)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120)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40)들과 페어링(Paring)되어, IoT 디바이스(140)들과 해당 IoT 디바이스들(140)이 지원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 동작모드 결정부(220), 스마트기기 접속부(230), 라우터 접속부(240), 메모리(250), 및 서비스 수행부(260)를 포함한다.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는 라우터(110)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미도시)이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포트(도 1의 도번 12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는 모니터링 결과를 동작모드 결정부(220)로 전달한다.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로부터 WAN 포트에 케이블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가 수신되면,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먼저,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로부터 WAN 포트에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다는 모니터링 결과가 수신되면, 라우터 접속부(230)를 활성화시켜 라우터 접속부(240)가 라우터(110)로부터 IP대역을 할당 받도록 함으로써, 라우터 접속부(240)가 할당 받은 IP 대역을 이용하여 라우터(110)에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210)로부터 WAN 포트에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았다는 모니터링 결과가 수신되면,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모드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서버(Server)로써 동작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하고, 제2 모드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클라이언트(Client)로써 동작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IoT 게이트웨이(120)가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IoT 게이트웨이(120)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 IP 대역을 할당할 수 있는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oT 게이트웨이(120)가 클라이언트로써 동작할 수 있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IoT 게이트웨이(120)가 라우터(110)로부터 IP 대역을 할당 받을 수 있는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를 때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120)를 서버로 동작시키기 위해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120)를 클라이언트로 동작시키기 위해 라우터 접속부(240)를 활성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메모리(250)를 서치하여 메모리(250)에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110)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메모리(250)를 서치하여 메모리(250)에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110)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한다.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동작모드 결정부(220)에 의해 동작모드로써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와 접속된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기기 접속부(230)는 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의 IP를 선택하여 스마트 기기(130)로 할당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에 할당된 IP 대역을 통해 스마트기기 접속부(230)에 접속하게 된다.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가 접속되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라우터(이하, 타겟 라우터라 함)에 대한 접속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 라우터는 도 1에 도시된 라우터(110)와 동일한 라우터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라우터(110)와 다른 라우터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겟 라우터는 도 1에 도시된 라우터(110)인 것으로 가정하고 타겟 라우터를 도번 11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가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를 통해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는 별도의 입력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겟 라우터(11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IoT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입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는 IoT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를 이용하여 타겟 라우터(110)의 접속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입력할 수 있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의 입력이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IoT 게이트웨이(120)의 크기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는 타겟 라우터(110)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타겟 라우터(110)의 인증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타겟 라우터(110)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동작모드 결정부(220)에 의해 동작모드로써 제1 모드가 결정되면, IoT 게이트웨이(120) 주위에 존재하는 라우터들을 스캔함으로써 IoT 게이트웨이(120)가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한다.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가 획득되면 획득된 라우터들의 SSID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라우터의 SSID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라우터들의 SSID를 정렬함으로써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접속 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의 값이 큰 순서대로 라우터들의 SSID를 재정렬함으로써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120)는 라우터의 SSID를 라우터의 RSSI 크기 순서로 재배열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복수개의 라우터들 중 신호강도가 우수한 라우터를 용이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획득한 라우터의 SSID가 한글인 경우, 획득한 라우터의 SSID의 한글표기방식과 스마트 기기(130)에서 지원하는 한글 표기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스마트 기기(130)가 지원하는 한글표기방식에 따라 변환하고, 변환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기기 접속부(230)가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가 EUC-KR방식에 따라 작성되어 있고, 스마트 기기(130)는 UTF-8의 한글표기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UTF-8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한글 SSID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게이트웨이(120)가 라우터의 한글 SSID 표기 방식을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가 지원하는 한글 SSID의 표기방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에서 한글 SSID가 깨지지 않고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기기 접속부(230)는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의 획득을 동작모드 결정부(2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동작모드 결정부(220)는 스마트 기기 접속부(230)를 비활성화시키고, 라우터 접속부(240)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라우터 접속부(240)는 스마트기기 접속부(230)에 의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동작모드 결정부(220)에 의해 활성화된다. 라우터 접속부(240)는 스마트기기 접속부(230)에 의해 획득된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를 타겟 라우터(110)로 전송함으로써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타겟 라우터(110)로부터 IP 대역이 할당되고, 라우터 접속부(240)는 할당된 IP 대역을 통해 타겟 라우터(110)에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접속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 접속부(240)는 동작모드 결정부(220)에 의해 IoT 게이트웨이(120)의 동작모드가 제2 모드로 결정되면 동작모드 결정부(220)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경우, 라우터 접속부(240)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하게 되므로, 라우터 접속부(240)는 메모리(250)로부터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획득하고,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해당 라우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라우터에 대한 접속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라우터로부터 IP 대역이 할당되고, 라우터 접속부(240)는 할당된 IP 대역을 통해 해당 라우터(110)에 와이파이(Wifi)방식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는 상술한 타겟 라우터(110)와 동일한 라우터일 수도 있고, 타겟 라우터(110)와 다른 라우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는 타겟 라우터(110)로 표기하기로 한다.
메모리(250)에는 스마트기기 접속부(230)가 생성한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가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250)에는 스마트기기 접속부(230)가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획득한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250)에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획득되는 새로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에 따라 새로운 타겟 라우터(110)에 접속하게 되면, 이전에 획득하였던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를 새로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로 갱신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타겟 라우터(110)에 대한 접속정보가 IoT 게이트웨이(120)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된다.
또한, 메모리(250)에는 스마트 기기 접속부(230)가 스마트 기기(130)에 할당할 수 있는 복수개의 IP 대역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서비스 수행부(260)는 IoT 게이트웨이(120)와 타겟 라우터(110)가 연결되면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40)들로부터 획득되는 IoT 디바이스(140)의 상태 메시지를 타겟 라우터(110)로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 수행부(260)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40)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타겟 라우터(11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14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수행부(260)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40)들과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270)들 및 각 통신모듈(270)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모듈 관리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각 통신모듈(270)은 IoT 디바이스(140)들과 페어링되어 IoT 디바이스(140)들로부터 IoT 디바이스(140)들의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다. 각 통신모듈(270)은 수신한 상태 메시지를 통신모듈 관리부(280)로 전달한다.
또한, 각 통신모듈(270)은 통신모듈 관리부(28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IoT 디바이스(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통신모듈(270)은 IoT 디바이스(140)들의 통신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모듈(270)은 지그비(Zeebig),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통신프로토콜 중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각 통신모듈(270)과 IoT 디바이스(140)들간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IoT 디바이스(140)들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270)을 해당 IoT 디바이스(140)들과 페어링시킨다.
IoT 디바이스(140)들과 통신모듈(270)간의 페어링을 위해,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타겟 라우터(110)에 연결되면 각 통신모듈(270)을 페어링 모드로 설정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각 IoT 디바이스(140)들이 페어링 모드로 설정되면 해당 통신모듈(270)과 IoT 디바이스(140)들을 페어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타겟 라우터(11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페어링 명령이 수신되면 통신모듈(270)을 페어링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각 통신모듈(270)로부터 IoT 디바이스(140)들의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관리서버(14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타겟 라우터(110)를 통해 관리서버(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각 통신모듈(270)로부터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HTTS+JSON 형태로 변경하여 관리서버(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타겟 라우터(110)를 통해 관리서버(140)로부터 IoT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복수개의 통신모듈(270)들 중 해당 제어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통신모듈(270)을 선택한다. 또한,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통신모듈(270)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여 해당 통신모듈(270)로 전달한다.
예컨대, 통신모듈 관리부(280)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파싱함으로써 해당 제어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통신모듈(270) 및 해당 통신모듈(270)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판단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통신모듈(270)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통신모듈(270)로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IoT 게이트웨이(120)로부터 할당되는 IP 대역을 이용하여 IoT 게이트웨이(120)에 접속한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에는 IoT 게이트웨이(120)와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에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올조인(Alljoyn) 프로토콜 기반으로 작성된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IoT 게이트웨이(120)에 접속되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oT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우터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라우터의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어느 하나의 라우터가 타겟 라우터로 선택되면, 타겟 라우터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타겟 라우터의 SSID, 타겟 라우터의 인증타입, 및 타겟 라우터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IoT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IoT 게이트웨이(120)가 타겟 라우터(110)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IoT 디바이스(140)들과 IoT 게이트웨이(120)간의 페어링을 위해 스마트 기기(1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페어링 명령을 생성하여 IoT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겟 라우터(110)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페어링 명령을 타겟 라우터(110)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oT 디바이스(140)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명령을 관리서버(150)로 전달한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는 관리서버(140)로부터 IoT 디바이스(140)들의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를 통해 생성된 제어명령은 관리서버(140) 및 라우터(110)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고, IoT 게이트웨이(120)에 의해 취합된 IoT 디바이스(140)들의 상태메시지는 라우터(110) 및 관리서버(14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13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40)는 IoT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자신의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IoT 게이트웨이(11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IoT 디바이스(140)에는 IoT 게이트웨이(11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내장되어 있고, 내장된 통신모듈이 IoT 게이트웨이(110)의 통신모듈(270)과 페이링된다.
이러한 IoT 디바이스(140)는 도어락, IoT 스위치, IoT 센서, CCTV, 가스밸브, 조명제어기, IoT 플러그, TV, 냉장고, 오디오 등일 수 있다.
관리서버(150)는 라우터(110)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되는 IoT 디바이스(140)들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직접 처리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150)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30)로부터 IoT 디바이스(140)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제어명령을 라우터(110)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포트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00).
모니터링결과 WAN 포트에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IoT 게이트웨이는 메모리에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했던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판단결과, 메모리에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했던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IoT 게이트웨이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로드한다(S320).
IoT 게이트웨이는 S320에서 로드한 접속정보를 라우터로 전송하고(S330), 라우터로부터 IP 대역을 할당받아 라우터에 접속한다(S340).
한편, S310의 판단결과, 메모리에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했던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IoT 게이트웨이는 서버로써 동작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접속가능한 라우터를 스캔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한다(S3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는 접속가능한 라우터를 스캔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SSID를 획득하고, 획득된 라우터의 SSID를 알파벳 순서로 정렬함으로써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는 접속 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의 값이 큰 순서대로 라우터들의 SSID를 재정렬함으로써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의 SSID를 라우터의 RSSI 크기 순서로 재배열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복수개의 라우터들 중 신호강도가 우수한 라우터를 용이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획득한 라우터의 SSID가 한글인 경우, 획득한 라우터의 SSID의 한글표기방식과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 표기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스마트 기기가 지원하는 한글표기방식에 따라 변환하고, 변환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IoT 게이트웨이가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가 EUC-KR방식에 따라 작성되어 있고, 스마트 기기는 UTF-8의 한글표기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는 획득한 라우터의 한글 SSID를 UTF-8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한글 SSID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게이트웨이가 라우터의 한글 SSID 표기 방식을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가 지원하는 한글 SSID의 표기방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한글 SSID가 깨지지 않고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S350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의 IP를 선택하여 스마트 기기로 할당한다(S360).
이후, 할당된 IP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IoT 게이트웨이가 연결되면(S370), IoT 게이트웨이는 S350에서 생성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스마트 기기로 제공한다(S380).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라우터(이하, 타겟 라우터라 함)에 대한 접속정보를 수신한다(S390).
이때,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는 타겟 라우터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타겟 라우터의 인증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타겟 라우터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가 제2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로부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별도의 입력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겟 라우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입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타겟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입력할 수 있어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의 입력이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IoT 게이트웨이의 크기 및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S380에서 수신된 접속정보를 라우터로 전송하고(S395), 라우터로부터 IP 대역을 할당받아 라우터에 접속한다(S340).
한편, S300의 모니터링결과 WAN 포트에 케이블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로부터 IP 대역을 할당받아 라우터에 접속한다(S340).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과 스마트 기기간에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S405).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해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가 라우터에 접속한다(S410).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는 라우터로 IoT 게이트웨이로 페어링 명령을 전송한다(S410). 이후, 라우터는 IoT 게이트웨이로 페어링 명령을 전달한다(S420).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페어링 명령에 따라 페어링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페어링모드로 설정한다(S4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통신모듈은 IoT 디바이스들의 통신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모듈은 지그비(Zeebig),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통신프로토콜 중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페어링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들이 페어링 모드로 설정되면(S440) 페어링 모드로 설정된 IoT 디바이스를 해당 통신모듈과 페어링시킨다(S430).
이후, IoT 게이트웨이는 페어링된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다(S460).
IoT 게이트웨이는 S460에서 수신한 상태 메시지를 라우터로 전달하고(S465), 라우터는 전달받은 상태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며(S467), 관리서버는 전달받은 상태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제공한다(S469).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는 각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IoT 디바이스들의 상태메시지를 관리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IoT 게이트웨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HTTS+JSON 형태로 변경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는 IoT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면(S470), 관리서버는 수신한 제어명령을 라우터로 전달하고(S472), 라우터는 해당 제어명령을 IoT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며(S474), IoT 게이트웨이는 해당 제어명령을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제공한다(S476). 이를 위해, IoT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먼저 IoT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복수개의 통신모듈들 중 해당 제어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통신모듈을 선택한 후,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통신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한 후 해당 통신모듈로 전달하게 된다.
예컨대, IoT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파싱함으로써 해당 제어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통신모듈 및 해당 통신모듈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톨을 판단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통신모듈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통신모듈로 전달한다.
상술한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및 IoT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및 IoT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라우터
120: IoT 게이트웨이 130: 스마트 기기
140: IoT 디바이스 150: 관리서버
210: WAN 포트 모니터링부 220: 동작모드 결정부
230: 스마트기기 접속부 240: 라우터 접속부
250: 메모리 260: 서비스 수행부
270: 통신모듈 280: 통신모듈 관리부

Claims (15)

  1. IoT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WAN 포트 모니터링부;
    상기 케이블이 상기 WAN 포트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부;
    상기 동작모드로써 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기기 접속부;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활성화되고,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라우터 접속부; 및
    상기 라우터 접속부가 상기 타겟 라우터에 접속되면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메시지를 상기 타겟 라우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겟 라우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라우터 접속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라우터 접속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할당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접속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접속가능한 라우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타겟 라우터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라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ction)의 크기순서로 상기 라우터들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재배열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의 한글형식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접속가능한 SSID의 한글형식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 접속부는,
    상기 동작모드로써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는 상기 제2 모드가 결정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타겟 라우터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상기 타겟 라우터의 인증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상기 타겟 라우터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0.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라우터와의 유선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원거리 통신망(WAN) 포트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이 상기 WAN 포트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로써 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모드가 결정되면, 할당 가능한 IP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할당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접속시키는 단계;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라우터들 중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의해 선택된 타겟 라우터에 대한 접속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태 메시지를 상기 타겟 라우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겟 라우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동작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ction)의 크기순서로 상기 라우터들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재배열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을 스캔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가능한 라우터들의 SSID의 한글형식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접속가능한 SSID의 한글형식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한글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로써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는 상기 제2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IoT 게이트웨이가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접속한 라우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타겟 라우터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상기 타겟 라우터의 인증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상기 타겟 라우터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KR1020170014016A 2017-01-31 2017-01-31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172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16A KR101723984B1 (ko) 2017-01-31 2017-01-31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US15/876,738 US10772137B2 (en) 2017-01-31 2018-01-22 Internet of things gatewa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201810072563.XA CN108377219A (zh) 2017-01-31 2018-01-25 IoT网关及其工作方法
JP2018012399A JP2018125849A (ja) 2017-01-31 2018-01-29 IoT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の動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16A KR101723984B1 (ko) 2017-01-31 2017-01-31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984B1 true KR101723984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16A KR101723984B1 (ko) 2017-01-31 2017-01-31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72137B2 (ko)
JP (1) JP2018125849A (ko)
KR (1) KR101723984B1 (ko)
CN (1) CN10837721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191B1 (ko) 2017-05-24 2018-01-05 김양수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GB2565129A (en) * 2017-08-03 2019-02-0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Data communications
KR20190119217A (ko) * 2018-04-02 2019-10-22 이영돈 Iot 기기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게이트웨이
EP3576066A1 (en) * 2018-05-31 2019-12-04 Grib Co., Ltd. Standalone iot gateway directly connectable to user terminal using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CN110958323A (zh) * 2019-12-11 2020-04-03 厦门大洋通信有限公司 物联网路装置通讯方法
CN111264076A (zh) * 2017-10-26 2020-06-09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设备以及设备控制系统
WO2021095933A1 (ko) * 2019-11-15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5세대 통신을 지원하는 가정용 단말 장치 및 그 가정용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3016001A (zh) * 2018-11-19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对基于内容的推荐进行预测的方法和系统
KR20210128214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게이트웨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401B2 (en) 2014-02-05 2023-07-11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641489B2 (en) 2014-02-05 2023-05-02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700400B2 (en) 2014-02-05 2023-07-11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700399B2 (en) 2014-02-05 2023-07-11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683534B2 (en) 2014-02-05 2023-06-20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553214B2 (en) * 2014-02-05 2023-01-10 Enseo, Llc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641490B2 (en) 2014-02-05 2023-05-02 Enseo, Ll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251955B2 (en) * 2017-09-07 2022-02-15 Arris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wifi set up of client devices
WO2019061254A1 (en) * 2017-09-29 2019-04-04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INTELLIGENT CONSTRUCTION SOLUTION AT LOW COST ACTIVATED BY AN INTELLIGENT GATEWAY
US11108849B2 (en) 2018-12-03 2021-08-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lobal internet of things (IOT) quality of service (QOS) realization through collaborative edge gateways
BE1026835B1 (de) * 2018-12-06 2020-07-07 Phoenix Contact Gmbh & Co Router mit Anmeldungsfunktionalität und hierfür geeignetes Zugriffskontrollverfahren
US10992498B2 (en) * 2018-12-31 2021-04-27 Enseo, Llc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521483B2 (en) * 2018-12-31 2022-12-06 Enseo, Llc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507116B2 (en) * 2018-12-31 2022-11-22 Enseo, Llc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659144B1 (en) 2019-01-31 2020-05-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nagement of massively distributed internet of things (IOT) gateways based on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via fly-by master drones
KR102195475B1 (ko) * 2019-06-14 2020-12-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MX2022000088A (es) 2019-06-21 2022-04-18 Lutron Tech Co Llc Rutina de inicio coordinada para dispositivos de control de una red.
KR20210057392A (ko) * 2019-11-12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61856A (ko) * 2019-11-20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1093247B (zh) * 2019-11-22 2022-02-18 上海五零盛同信息科技有限公司 适用于窄带物联网终端设备的离散入网方法、系统、介质及设备
US11770324B1 (en) 2019-12-02 2023-09-2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Processing advertisement messages in a mesh network
CA3160470A1 (en) 2019-12-02 2021-06-10 Galen Edgar Knode Percentile floor link qualification
WO2021181703A1 (ja) * 2020-03-13 2021-09-1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A3174169A1 (en) * 2020-05-08 2021-11-11 Galen Edgar Knode Assigning router devices in a mesh network
US11533229B2 (en) * 2020-05-21 2022-12-2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Iot devices using manufacturer usage description files
CN111865592A (zh) * 2020-09-21 2020-10-30 四川科锐得电力通信技术有限公司 物联网设备快速接入方法、装置、物联网平台及存储介质
CN113194477B (zh) * 2021-04-29 2023-04-28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设备组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44681B (zh) * 2021-12-21 2023-08-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设备连接故障预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996480B (zh) * 2022-12-23 2023-11-28 深圳市极米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组网方法、显示设备、物联网设备和组网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88A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중계 장치
KR20130081754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07968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KR20160016541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7061A (ko) * 2015-03-31 2016-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그리고 a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8625B2 (en) *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KR101797039B1 (ko) * 2011-08-31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 무선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CN103517385B (zh) 2012-07-11 2016-08-0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安卓系统Wi-Fi的AP的连接方法及系统
US9277494B2 (en) * 2012-09-28 2016-03-01 Intel Corporation Reducing wireless reconnection time of a computing device
JP2014225857A (ja) 2013-04-18 2014-12-0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185253A (zh) * 2013-05-20 2014-12-03 海尔集团公司 接入无线路由器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JP6368989B2 (ja)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TWI507026B (zh) 2013-07-26 2015-11-01 Sonix Technology Co Ltd 網路監控系統、無線網路監視裝置及其設定方法
CN103686674A (zh) 2013-09-30 2014-03-26 深圳市通力科技开发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智能终端以及wifi接入设备
CN103716911B (zh) * 2014-01-02 2017-06-30 福建星网锐捷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配置无线终端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363636A (zh) 2014-10-29 2015-02-1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JP5845453B1 (ja) * 2014-11-21 2016-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9838390B2 (en) 2015-03-31 2017-12-05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JP6198074B2 (ja) 2015-03-31 2017-09-2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lan中継装置、無線lan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割当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44438B2 (en) 2015-04-28 2019-03-2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Neighbor list management and connection control in a network environment
JP6631078B2 (ja) 2015-06-16 2020-01-15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機器の接続方法、オーディオ機器、オーディオ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端末装置
CN106487578B (zh) * 2015-08-26 2019-11-26 大同股份有限公司 错误恢复方法及应用其的物联网系统与充电系统
CN105652676B (zh) 2016-01-20 2018-09-28 惠州市物联微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0064062B2 (en) * 2016-06-07 2018-08-28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securely registering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US10079691B2 (en) * 2016-07-29 2018-09-18 American Megatrend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interactions betwee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GUI) based tool
US20180184464A1 (en) * 2016-12-28 2018-06-28 SafeNet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devices to cloud-base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88A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중계 장치
KR20130081754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07968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KR20160016541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7061A (ko) * 2015-03-31 2016-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그리고 ap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191B1 (ko) 2017-05-24 2018-01-05 김양수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GB2565129A (en) * 2017-08-03 2019-02-0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Data communications
AU2017436875B2 (en) * 2017-10-26 2021-09-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xternal connection unit and device control system
EP3703426A4 (en) * 2017-10-26 2020-09-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DEVICE CONTROL SYSTEM
CN111264076A (zh) * 2017-10-26 2020-06-09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设备以及设备控制系统
KR20190119217A (ko) * 2018-04-02 2019-10-22 이영돈 Iot 기기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게이트웨이
KR102038284B1 (ko) 2018-04-02 2019-10-30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Iot 기기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게이트웨이
KR102076276B1 (ko) * 2018-05-31 2020-02-12 (주)그립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직접 연동 가능한 독립형 IoT 게이트웨이
CN110557327A (zh) * 2018-05-31 2019-12-10 格里布株式会社 利用近程通信技术可直接与用户终端联动的独立型IoT网关
KR20190136712A (ko) * 2018-05-31 2019-12-10 (주)그립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직접 연동 가능한 독립형 IoT 게이트웨이
US20190373081A1 (en) * 2018-05-31 2019-12-05 Grib Co., Ltd. Standalone iot gateway directly connectable to user terminal using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EP3576066A1 (en) * 2018-05-31 2019-12-04 Grib Co., Ltd. Standalone iot gateway directly connectable to user terminal using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CN113016001A (zh) * 2018-11-19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对基于内容的推荐进行预测的方法和系统
WO2021095933A1 (ko) * 2019-11-15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5세대 통신을 지원하는 가정용 단말 장치 및 그 가정용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958323A (zh) * 2019-12-11 2020-04-03 厦门大洋通信有限公司 物联网路装置通讯方法
CN110958323B (zh) * 2019-12-11 2023-08-29 厦门大洋通信有限公司 物联网路装置通讯方法
KR20210128214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게이트웨이 장치
KR102326162B1 (ko) * 2020-04-16 2021-11-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게이트웨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0476A1 (en) 2018-08-02
US10772137B2 (en) 2020-09-08
CN108377219A (zh) 2018-08-07
JP2018125849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984B1 (ko)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US9986495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76276B1 (ko)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직접 연동 가능한 독립형 IoT 게이트웨이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10602362B2 (en) Gateway, gateway setup method, and IoT device setup method in IoT system
US10050665B2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7065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9686639B2 (en) Transmission system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ique
EP3032850A1 (en) Service discovery techniqu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forming p2p group
KR102310027B1 (ko) 결정 방법 및 대응하는 단말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저장 매체
US10447497B2 (en) Lighting network
US20180255446A1 (en) Remote access to an accessory device
JP2019029967A (ja) 無線デバイス
US20120257540A1 (en) Method of managing a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836761B1 (en) A gatew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lighting system elements to a data transfer network
JP4352960B2 (ja) 親通信装置、子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405005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WO2022186246A1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無線装置
US10736178B2 (en) Connection method for wireless system
US20140074256A1 (en) Control system,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JP2023130202A (ja) 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ステーション、および通信方法
WO2023011917A1 (en) A wirel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dual-mode node
KR20240042909A (ko)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40954A (ko) 통신 채널 선정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13124545A (zh) 空调机组的监控方法、装置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