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75B1 -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475B1
KR102195475B1 KR1020190070652A KR20190070652A KR102195475B1 KR 102195475 B1 KR102195475 B1 KR 102195475B1 KR 1020190070652 A KR1020190070652 A KR 1020190070652A KR 20190070652 A KR20190070652 A KR 20190070652A KR 102195475 B1 KR102195475 B1 KR 10219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access point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975A (ko
Inventor
박태웅
박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연결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하고, 연결 정보를 앱에게 전송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SERVER,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실시예들은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개발과 함께 가정 내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홈 또는 홈 IoT의 구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같은 연결 장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서는 특정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모든 IoT 디바이스들에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에 결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가 자동으로 서버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과정이 없이도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pairing)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IoT 디바이스에 연동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달라진 경우에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된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분리하여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함으로써 추가적인 페어링 과정이 없이도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의 동작 방법은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간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Add-on-AP)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앱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상기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게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장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상기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앱에게 전송한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는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서버와 통신한다.
상기 연결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에 결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가 자동으로 서버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과정이 없이도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pairing)이 가능하다.
일 측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IoT 디바이스에 연동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달라진 경우에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된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분리하여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함으로써 추가적인 페어링 과정이 없이도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각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서버(101), 앱(APP)(103), IoT 디바이스(105), 및 부가 액세스 포인트(Add-on-AP)(107)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1)는 IoT 디바이스(105)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미도시)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를 앱(10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1)는 예를 들어, 웹 서버,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서버, 클라우드 컴퓨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앱(APP)(103)은 IoT 디바이스(105)에 설치된 별도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서, IoT 디바이스(105)와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를 서버(101)에게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앱(103)은 IoT 디바이스(105)의 펌웨어(firmwar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105)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셀룰러 폰, 스마트 태블릿, 랩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청소기, 스마트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장치들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5)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이 무선 주파수 연결을 위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는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의 포트(port)에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관련 표준 등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을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5)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IoT 디바이스(105)에 연동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달라진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를 분리하여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105) 간의 추가적인 페어링 과정이 없이도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105) 간의 연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서버(101)를 통해 이미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가 생성 및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가 IoT 디바이스(105)에 설치된 앱(103)으로부터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했다고 하자.
이 경우, 서버(101)는 IoT 디바이스(105)와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를 앱(10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디바이스(105)에 설치된 앱(103)은 서버(101)로부터 IoT 디바이스(105)와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110). 이때,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는 서버(101)가 IoT 디바이스(105)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IoT 디바이스(105)가 속한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105)에 등록된 사용자이거나, 또는 IoT 디바이스(105)가 해당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에 의해 서버(101) 또는 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의미한다.
서버(101)는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연결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에 할당한 후, 앱(1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앱(103)은 연결 정보를 IoT 디바이스(105)에게 전달할 수 있다(120).
IoT 디바이스(105)는 연결 정보를 통해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에 접속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130).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105)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과정이 없이도 서버(10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와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107)의 연결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다(210).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관련 표준 등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서버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연결 정보를 생성한다(220).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 또는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별로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SSID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부가되는 고유의 식별자이다. 구체적으로, SSID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들이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텍스트 데이터이다. BSS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다수의 이동 노드들로 구성되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가장 기본적인 무선 망 구성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SSID는 하나의 무선 랜과 다른 무선 랜을 구분하여 주며, 이에 따라 특정 무선 랜에 접속하고자 하는 모든 장치들은 반드시 특정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SSID가 변경되면 해당 장치는 원하는 BSS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패스워드는 IoT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 암호에 해당할 수 있다. 패스워드는 예를 들어,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 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에서 사용자 별로 고유하게 할당된 값인 가입 번호를 기반으로 특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 번호(또는 가입 번호)를 Base64 인코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정보 및/또는 가입 번호는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결정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출고시에 저장되어 출고될 수 있고, 출고 이후,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연결 정보는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되지도 않는다.
서버는 연결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한다(230).
서버는 연결 정보를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에게 전송한다(240). 또한, 서버는 연결 정보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는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310).
IoT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320).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사용자 별로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연결 정보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330).
IoT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서버와 통신한다(340).
실시예에 따라서,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고, 디바이스 정보를 기초로,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의 장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각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403)에 설치된 앱(401)은 부가 액세스 포인트(Add-on-AP)(405)의 연결 정보를 서버(409)에게 요청할 수 있다(410). 앱(401)은 단계(410)의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409)로부터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20). 이때,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연결 정보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앱(401)은 장치 등록을 위해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연결 정보를 IoT 디바이스(403)에게 전달하고, IoT 디바이스(403)에게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430). 여기서, 디바이스 정보는 IoT 디바이스(403)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403)의 디바이스 유형, IoT 디바이스(403)의 모델 정보, IoT 디바이스(403)의 식별 정보, 및 IoT 디바이스(403)의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403)는 단계(430)의 요청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403)의 디바이스 정보를 앱(401)에게 제공할 수 있다(440).
전술한 단계(430) 및 단계(440)의 과정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된 앱(401)의 규격에 따라 수행 순서가 변경되거나, 또는 디바이스 정보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단계(430)에서 앱(401)으로부터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연결 정보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03)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와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450).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407)의 포트에 부착된 부가 액세스 포인트(405)는 액세스 포인트(407)와 유선 연결될 수 있고 (460), 액세스 포인트(407)는 서버(409)와 통신할 수 있다(470).
앱(401)은 단계(440)에서 제공받은 디바이스 정보를 기초로, 서버(409)에게 IoT 디바이스(403)의 장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480). 서버(409)에 장치 등록된 IoT 디바이스(403)는 서버(409)로부터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500)가 도시된다.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통신 인터페이스(530) 및 메모리(5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 통신 인터페이스(530) 및 메모리(550)는 통신 버스(5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장치(500)는 서버일 수도 있고, 또는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500)가 서버라고 하자.
이 경우, 프로세서(510)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연결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별로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연결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한다.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별로 할당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연결 정보를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에게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연결 정보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 및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장치(500)가 IoT 디바이스라고 하자.
이 경우, 프로세서(510)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별로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무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서버와 통신한다.
메모리(550)에는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50)는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 및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서버 혹은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5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50)는 상술한 프로세서(5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5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장치
505: 통신 버스
510: 프로세서
530: 통신 인터페이스
550: 메모리

Claims (20)

  1.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간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Add-on-AP)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앱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할당되는,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상기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7.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인,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게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장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 상기 IoT 디바이스의 모델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IoT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앱에게 전송하는,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식별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속한 사용자의 가입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별로 할당되는, 서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19. 서버에게, IoT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을 위한 부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부착되는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상기 부가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는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KR1020190070652A 2019-06-14 2019-06-14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5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52A KR102195475B1 (ko) 2019-06-14 2019-06-14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52A KR102195475B1 (ko) 2019-06-14 2019-06-14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75A KR20200142975A (ko) 2020-12-23
KR102195475B1 true KR102195475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52A KR102195475B1 (ko) 2019-06-14 2019-06-14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766A (ja) 2010-08-26 2012-03-08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101844012B1 (ko) 2017-09-28 2018-03-30 유경학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KR101853398B1 (ko) 2017-03-23 2018-04-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8125849A (ja) 2017-01-31 2018-08-09 グリブ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Grib Co.,Ltd IoT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849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모듈을 이용한 가전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네크워크 연결 시스템
CN105376738B (zh) * 2015-09-30 2019-04-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网络接入方法、装置和系统
KR102470455B1 (ko) * 2016-02-01 2022-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766A (ja) 2010-08-26 2012-03-08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JP2018125849A (ja) 2017-01-31 2018-08-09 グリブ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Grib Co.,Ltd IoT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1853398B1 (ko) 2017-03-23 2018-04-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44012B1 (ko) 2017-09-28 2018-03-30 유경학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75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5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US1161201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P3641365B1 (en) Device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558346B2 (en) 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US11457489B2 (en) Terminal interaction with different user plane function entities
WO2020043208A1 (zh) 网络切片选择方法、设备及系统
CN110049485B (zh) 一种配置ue的策略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327021B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070433B2 (en) Network function NF management method and NF management device
CN109429214B (zh) 业务会话建立方法、设备及系统
JP2011523256A (ja) ワイヤレス・アクセスポイントが複数のサービスネットワークをサポートすることに関するアドバタイズ
WO2017125025A1 (zh) 寻呼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1095904B (zh) 通信网络中的服务层消息模板
JP2021184308A (ja) 機器をリモートで管理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5043537A (ja) 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US20240172097A1 (en)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restricted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direct discovery based on ue identifier (ue id)
US10863555B2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KR102195475B1 (ko)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WO2019149078A1 (zh) 会话管理方法、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