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91B1 -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191B1
KR101815191B1 KR1020170064264A KR20170064264A KR101815191B1 KR 101815191 B1 KR101815191 B1 KR 101815191B1 KR 1020170064264 A KR1020170064264 A KR 1020170064264A KR 20170064264 A KR20170064264 A KR 20170064264A KR 101815191 B1 KR101815191 B1 KR 10181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ies
remote
facility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17006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단말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연결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단말장치가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한 원격지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관제하고 제어하여, 시설물들에 대한 안정적인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시설물에 대한 관리자의 현장 방문 빈도를 현저하게 낮추면서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Gateway Platfor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GateWay Platfor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연결하면서, 원격지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하고, 영어의 머리글자를 따서 아이오티(IoT)라 약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더욱 진화된 단계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시설물이 사람의 개입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고, 이는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Ubiquitous)나 사물지능통신인 M2M(Machine to Machine)와 유사한 점은 있지만,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로 볼 수 있다.
즉, 종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예; 환기/기계설비, 방재설비, 계측/환경설비, 발전설비, 오수처리 설비, 냉난방기, 가로등, 조명등, 화재경보기, PLC 등)에 대한 제어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453364 호(공고일 2014.10.22), 등록특허공보 제 10-1453372 호(공고일 2014.10.22)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 또는 어플레이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들은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의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유무선의 통신망은 단순히 시설물에서 클라우드 서버 또는 클라이드 서버에서 시설물들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순 중계 역할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시설물들에 대한 유지 관리와 그에따른 원격 제어, 그리고 원격지의 시설물들을 모두 통합하여 관제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 제어에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연결 구성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가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한 원격지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제어하여 시설물들에 대한 안정적인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관리되는 원격지 시설물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호스트부;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운영소프트웨어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연계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연계 경로(THREAD)를 관리하는 복수의 시설물 연계부;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이 접속시,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경로 처리부;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메인 중계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유메모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클라이드 서버는 표준 프로토콜로 통신하되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은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접속포트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원격 모니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말 연계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공유메모리의 공유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연결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단말장치가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한 원격지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제어하여, 시설물들에 대한 안정적인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시설물에 대한 관리자의 현장 방문 빈도를 현저하게 낮추면서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물인터넷 기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시설물들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물인터넷 기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시설물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지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의해 관리되며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원격지 시설물들(200), 그리고 사물 인터넷 기반(IoT)의 클라우드 서버(300)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예; WiFi, Bluetooth, Zigbee, Etherent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P1,P2,P3,P4)를 가지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호스트부(HOST)(10), 클라이언트 연계부(20), 시설물 연계부(SCAN)(30), 통신경로 처리부(EDGE; 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40), 메인 중계처리부(WDT; Watch Dog Timer)(50), 공유메모리(60), 통신변환기(T10), 및/또는 모니터링 처리부(CLI)(70), 단말 연계부(GWMS)(80), 이벤트 처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스트부(1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1)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며, 표준 프로토콜 기반(예; TCP/IP)의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또는 원격지 시설물들(200)과 클라우드 서버(300)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시 이를 코딩(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 기능, 시간 동기(TIME SYNC) 기능, 구성 정보 생성 기능, 정주기/이벤트 전달 기능, 기기들에 대한 제어명령 전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에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설명하는 것이고, 상기 정주기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한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원격 관제 및 제어를 설정된 일정주기로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벤트는 시설물들(200)에 대한 장애 발생시 생성되는 신호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호스트부(10)가 실행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와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운영환경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상기 운영환경 정보는 링크되는 통신 프로세스 개수,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타입과 IP/PORT에 따른 통신 구성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 통신 환경과,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100)에 대한 전체 사용 여부, 시설물들별 프로토콜 INFO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정보, 그리고 시설물 운영포인트 리스트 정보(예; TAG, TYPE, ALARM, LEVEL, EVENT FLAG, SCALE, OFFSET 등)와 운영 포인트별 프로토콜 정보(예; 포인트별 어드레스, 프로토콜 인덱스 등)을 포함하는 포인트 구성정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부(1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때 그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도록 하였으며, 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원격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2)에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관리 주체인 표준 프로토콜 기반(예; TCP/IP)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운영소프트웨어(OS)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호스트부(10) 사이에서 쌍방간의 구성정보 전달과 정주기/이벤트 전달기능,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 통합 관제 및 제어할 수 있지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배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가 직접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전달하여 통합 관제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 및 제어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의 클라이언트 연계부(20)로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요청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원격 관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시설물 연계부(30)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경로(THREAD)를 관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는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3)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이 접속시, 접속되는 시설물들(200)에 대하여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포트(P3)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TCP/IT)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T10)를 연결하면서, 정보의 리드(READ)/라이트(WRITE)를 관리하고, 로우레벨(LOW LEVEL) 이벤트 생성 및 상위 포인트 현재값을 업데이트하며, 실시간 기기별 포인트 정보 관리와, DI(Digital Input) 상태값 변경시 COS(Change of State) 이벤트 생성, AI(Analog Input)값 변경시 COA(Change of Analog) 이벤트 생성,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기기들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50)는 상기 호스트부(10)와 클라이언트 연계부(20) 및 시설물 연계부(30),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공유메모리(60)는 상기 호스트부(10)와 클라이언트 연계부(20) 및 시설물 연계부(30),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50)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원격 모니터링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운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연계 프로세스를 가지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시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원격지 시설물들(200)별 수집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한편, 클라우드 서버(300)와 호스트부(10) 사이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타임아웃(TIMEOUT) 실시간 설정 정보, 시설물들(200)별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및 포인트 정보 표출 기능, 그리고 시설물들(200)에 대한 그룹단위 또는 개별단위의 통신량 모니터링 정보와 그룹별/기기별 통신속도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정보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감시, 제어, 계측, 설정이 이루어질때마다 정량적으로 부여되는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포인트 부여에 따라 시설물들(200)에 대한 정상의 작동상태 또는 불량한 상태 또는 정상적이지는 않지만 불량하지도 않은 상태 등을 경보레벨/경보상태/상한/하한 등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등급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단말 연계부(8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4)에 인접하는 표준 프로토콜 기반(예; TCP/IP)의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가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9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의 공유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면서,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거나,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접속포트(P1,P2,P3,P4)에 각각 클라우드 서버(300)와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 원격지 시설물들(20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를 접속하여둔다.
그러면,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작동에 따른 정보들은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에서 시설물 연계부(30)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경로 처리부(40)를 통해 경로가 지정되고, 이렇게 지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작동 정보들이 수집된 후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의 호스트부(10)에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호스트부(1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시설물들(200)의 작동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게 되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시설물들(200)의 작동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하고 그 통합 관제로부터 시설물들(200)에 대한 원격 제어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발생하는 제어명령이 호스트부(10)에 전달시, 상기 호스트부(10)는 이를 공유메모리(60)를 통해 시설물 연계부(30) 및/또는 클라이언트 연계부(20)에 전달하게 되면서,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와 이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경로 처리부(4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간접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의 접속포트(P2)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원격지에서 직접 시설물들(200)을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이 원격 제어되고 있을 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에 마련되어 운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연계 프로세스를 가지는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포트(P2)에 접속시,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원격지 시설물들(200)별 수집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한편, 클라우드 서버(300)와 호스트부(10) 사이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타임아웃(TIMEOUT) 실시간 설정 정보, 시설물들(200)별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및 포인터 정보 표출 기능, 그리고 시설물들(200)에 대한 그룹단위 또는 개별단위의 통신량 모니터링 정보와 그룹단위와 개별단위별 통신속도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마련되는 접속포트(P4)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이용하여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간접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포함되는 이벤트 처리부(9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의 공유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벤트 처리부(90)에 의해 감시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시, 상기 이벤트 처리부(90)는 이벤트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이벤트신호를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거나,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하게 되며, 이에따라 시설물들(200)에 대한 장애신호를 해소하기 위한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속조치라 함은 원격제어를 통해 장애를 해소할 수 있으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제어명령을 재전송하는 것이고, 원격제어를 통해 치유할 수 없는 것이라면 현장에 시설물 관리자를 투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하면서 시설물들(200)의 작동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원격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장애신호 발생시 그 장애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호스트부 20; 클라이언트 연계부
30; 시설물 연계부 40; 통신경로 처리부
50; 메인 중계처리부 60; 공유메모리
70; 모니터링 처리부 80; 단말 연계부
90; 이벤트 처리부 100; 클라이언트 단말
200; 원격지 시설물 300; 클라우드 서버
T10; 통신변환기

Claims (6)

  1.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관리되는 원격지 시설물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호스트부;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운영소프트웨어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연계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연계 경로(THREAD)를 관리하는 복수의 시설물 연계부;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이 접속시,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경로 처리부;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메인 중계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유메모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클라이드 서버는 표준 프로토콜로 통신하되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은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접속포트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원격 모니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말 연계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공유메모리의 공유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KR1020170064264A 2017-05-24 2017-05-24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KR10181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64A KR101815191B1 (ko) 2017-05-24 2017-05-24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64A KR101815191B1 (ko) 2017-05-24 2017-05-24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191B1 true KR101815191B1 (ko) 2018-01-05

Family

ID=6100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64A KR101815191B1 (ko) 2017-05-24 2017-05-24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1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551B1 (ko) * 2018-07-25 2018-12-03 (주)명진이엔지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장치
KR102078607B1 (ko) * 2019-09-10 2020-02-19 (주)주인정보시스템 블록체인 보안기술을 적용한 계장제어시스템
KR20200084953A (ko) * 2018-12-27 2020-07-14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IoT 기반 라돈 측정기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돈 측정기 제어방법
KR102154347B1 (ko) * 2019-06-20 2020-09-10 퍼핀플래닛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수의 IoT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1547B1 (ko) * 2020-11-17 2021-07-01 주식회사 모린정보기술 IoT 기반의 자가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한 펌프장 원격감시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06B1 (ko) 2015-06-15 2016-12-06 (주)엔텔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23984B1 (ko) 2017-01-31 2017-04-06 (주)그립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1730180B1 (ko) 2016-02-11 2017-04-2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06B1 (ko) 2015-06-15 2016-12-06 (주)엔텔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30180B1 (ko) 2016-02-11 2017-04-2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KR101723984B1 (ko) 2017-01-31 2017-04-06 (주)그립 IoT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551B1 (ko) * 2018-07-25 2018-12-03 (주)명진이엔지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장치
KR20200084953A (ko) * 2018-12-27 2020-07-14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IoT 기반 라돈 측정기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돈 측정기 제어방법
KR102170134B1 (ko) * 2018-12-27 2020-10-27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IoT 기반 라돈 측정기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돈 측정기 제어방법
KR102154347B1 (ko) * 2019-06-20 2020-09-10 퍼핀플래닛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수의 IoT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78607B1 (ko) * 2019-09-10 2020-02-19 (주)주인정보시스템 블록체인 보안기술을 적용한 계장제어시스템
KR102271547B1 (ko) * 2020-11-17 2021-07-01 주식회사 모린정보기술 IoT 기반의 자가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한 펌프장 원격감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191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US1182554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building management
US9920948B2 (en) Asynchronous reporting system
ES2829280T3 (es) Aparato para monitorizar un proceso
US2021012681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Building Operations Management
US2020033692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ruption in a Sensor Network Application
WO2018194859A1 (en) Internet of things pub-sub data publisher
US20240064537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Sensor Information to a Building Control System
US20140081466A1 (en) Gateway round-robin system
US10659322B2 (en) Monitoring system, facility management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KR101834595B1 (ko) 임베디드 웹서버를 구비한 필드 패널 및 이를 액세스하는 방법
US20140082068A1 (en) Mailbox data storage system
CN104615067A (zh) 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KR102104559B1 (ko)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KR101924551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장치
KR102027431B1 (ko)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KR101740236B1 (ko) 엠큐티티(mqtt) 및 디디에스(dds) 클라이언트 모듈을 갖는 장치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EP3719646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distributed process control system and network-distributed process control system
JP7210863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Li et al. A Data-centered Fog PIatform for Smart Living
EP1598983A1 (en) Apparatuses interfac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data in telecontrol system
KR20050048927A (ko) 디지털 홈서비스 분배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UA150096U (uk) Спосіб віддаленого підключення системи охоронної сигналізації до пульта централізованого спостереження
KR20130079047A (ko) 다중 플랫폼을 위한 프로젝트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215791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