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54B1 -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54B1
KR101723654B1 KR1020160049589A KR20160049589A KR101723654B1 KR 101723654 B1 KR101723654 B1 KR 101723654B1 KR 1020160049589 A KR1020160049589 A KR 1020160049589A KR 20160049589 A KR20160049589 A KR 20160049589A KR 101723654 B1 KR101723654 B1 KR 10172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hart
point
genera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명희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The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generate a tooth chart while reflecting a characteristic oral condition of a patient by automatically separating a tooth region based on of a tooth tip guide line, wherein the tooth tip guide line guides the location of a tooth tip, thereby being able to promote convenience of a user.

Description

치아 차트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치아 차트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정보 입력 시 활용되는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used for inputting dental care information, .

최근 다수의 의료기관에서는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치과 진료 시에도 전자차트에 각종 진료정보를 입력하고 있다.Recently, many medical institutions use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according to this tendency, various medical information is inputted into an electronic chart even in a dental treatment.

도 1은 종래의 전자차트의 예를 보여준다.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chart.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차트는 크게 치아 차트(1)와 진료정보 입력창(2)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는 치아 차트(1)에서 치아 및 치아부위를 선택하고, 진료정보 입력창(2)에 선택된 치아에 대응하는 진료정보를 입력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char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tooth chart 1 and a medical care information input window 2. The user selects a tooth and a tooth part on the tooth chart 1, and enters the treat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oth selected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input window 2.

도 1과 같은 종래의 치아 차트(1)는 오로지 진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용도로서 치아 선택을 위한 치아번호 외의 다른 정보는 제공해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환자의 실제 치아 배열과는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설정된 치아 차트를 통해 진료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치열이나 치아관계, 구체적인 치아의 위치 등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치아 차트와 환자의 의료영상을 병행하여 살펴보는 것이 불가피하였다.The conventional tooth chart 1 as shown in FIG. 1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other than a tooth number for tooth selection as a purpose for inputting only the medic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ast, since the medic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niformly set tooth chart irrespective of the actual tooth arrangement of the patient, in order to grasp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dentition, tooth relationship, and specific tooth position, It was inevitable to examine the patient's medical images in parallel.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진료정보 입력 시 환자의 의료영상과 전자차트를 계속적으로 번갈아 살펴보아야 하므로 시선이 분산되어 불편하고, 진료정보를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환자는 치아 차트에 표시되는 치아번호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률적인 치아 차트를 통하여 진료내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user inputs medical information, the medical image and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must be continuously alternately examined. Therefore, the user's eyes are dispersed and inconvenient, and it takes much time to input the medical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often does not know the tooth number displayed on the tooth ch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rasp the medical history through a uniform tooth chart.

본 발명은 일률적인 치아 차트를 기반으로 진료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환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저해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개별적인 환자의 구강상태가 반영된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at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hinde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by inputt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a uniform tooth chart, A method for generating a reflected tooth chart,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tooth chart is record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치아 영상 내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각 치아별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상에 상기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배치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tooth tip guide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ooth tips of each tooth based on one or more points on a tooth image in a tooth image; Deriving a tooth region for each tooth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line; And generating a tooth chart by disposing an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each tooth area in the tooth im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장치는 치아 영상 내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는 치단 안내선 생성부; 상기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각 치아별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치아 영역 도출부; 및 상기 치아 영상에 상기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배치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차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comprising: a tooth tip gui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tooth tip guide for guiding a position of a tooth tip of each tooth based on one or more points on a tooth tip in a tooth image; A tooth reg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tooth region for each tooth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line; And a char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by disposing an identifying figure for identifying each tooth region in the tooth image.

한편,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중절치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근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1점, 및 악궁의 정중선(Median line)과 가장 이격된 치아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원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2점을 기초로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oth tip guide line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mesial surface among the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central incisor and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tooth, The tooth tip guide line can be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int.

또한.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중절치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근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1점, 악궁의 정중선과 가장 이격된 치아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원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2점, 및 상기 제 1점과 상기 제 2점 사이의 점으로서 미리 결정된 치아의 치단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인 제 3점을 기초로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여 치아 배열의 곡률을 반영할 수도 있다.Also. The tooth tip guide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mesial surface among the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central incisor and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mong the both end points on the tip of the tooth most distant from the midpoint of the arch, And a third point that is at least one point existing on a tooth tip of a predetermined tooth as a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o reflect the curvature of the tooth arrangement.

아울러,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악궁의 정중선의 일측 반악에 대하여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고,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상기 일측 반악의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도출된 상기 치아 영역을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미러링(Mirroring)하여 타측 반악에 대한 치아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tip guid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tooth tip guide with respect to one side half of the midline of the arch, and the tooth area derivation unit is configured to mirror the tooth area derived on the basis of the tip guide of the one side half, The tooth area for the other half drum can be derived by mirroring.

한편,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환자의 연령, 성별, 국가 및 인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수에 따른 치아 통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각 치아별 크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oth region deriving unit may derive the tooth region using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determined based on the tooth statist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ge, sex, country, and race of the patient.

또는,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치아 종류에 따른 악궁에서 차지하는 치아 비율에 관한 통계 정보와 상기 치단 안내선의 길이를 기초로 산출된 치아별 크기값에 대응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도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ooth area deriving part may derive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tooth ratio occupied in the arch according to the type of tooth and the size valu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length of the tooth guide line.

그리고, 전술된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치아의 유실 여부를 판단하는 유실 치아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트 생성부는 유실된 치아에 대응하는 상기 치아 영역과 유실되지 않은 치아에 대응하는 상기 치아 영역이 구분되도록 상기 식별도형을 배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may further include a missing tooth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oth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is lost, wherein the chart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tooth, And to arrange the identification figure so that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unequal teeth is divided.

이때, 상기 유실 치아 검출부는, 상기 치아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밝기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평균값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치아의 유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st tooth detecting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brightness values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tooth area, and determine whether the teeth are los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ooth areas.

그리고, 상기 차트 생성부는, 치아가 유실된 상기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도형의 외곽선, 색깔, 및 깜빡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치아가 유실되지 않은 상기 치아 영역과 달리하여 상기 식별도형을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t generation unit may arrange the identification figur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outline, color, and flicker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in which the tooth has been lost is different from the tooth area in which the tooth has not been lost have.

또한,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견치, 제1 소구치, 및 제2 소구치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이 해당 치아와 인접한 치아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도출할 수 있다.The tooth area derivation unit may derive such that a tooth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oth of a canine, a first premolar, and a second premolar is overlapped with at least a tooth area corresponding to a tooth adjacent to the tooth .

한편, 전술된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도형의 위치 및 크기를 수정하는 차트 수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tooth chart may further include a chart modifying unit for modify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dentifying figure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상기 차트 수정부는, 일 치아에 대한 상기 식별도형이 수정되면, 수정되는 상기 식별도형과 인접하거나 또는 교합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도형을 함께 수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chart modifying unit may modify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figure that is adjacent to or in an occlusion relationship with the identification figure to be corrected when the identification figure for the single tooth is modified together so as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아 영상을 기반으로 한 치아 차트를 제공함으로써 진료정보 입력 시 의료영상을 별도로 보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고, 환자의 진료 결과나 진료내용에 대한 이해 및 집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ooth chart based on a patient's tooth image is provid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view a medical image at the time of inputt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f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result and medical contents are improv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단 상의 점을 지나는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치아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영상 처리를 거치지 않고도 환자 맞춤형 치아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tient-customized tooth chart can be generated without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by separating the tooth region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passing the point on the tooth tip of the patient.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 수정 시 치아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다른 식별도형도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enhanced by automatically correcting other identification dia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eth when correcting the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the tooth area.

이상에서 몇 가지 효과가 기재되었지만,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some effec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종래 전자차트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치아 검출부의 유실 치아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일측 반악에 대하여 치단 안내선을 도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일측 반악에 대하여 치단 안내선을 도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일측 반악에 대하여 치아 영역이 도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측 반악의 치아 영역을 기초로 타측 반악의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상악과 하악에 대해서 치아 영역이 도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치아 차트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ch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tooth chart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missing tooth of a missing tooth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riving a diving guide for one side half; FIG.
FIG. 6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deriving a tongue guide line for one side tongue;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 region is derived for one side half;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riving a tooth area of the other half of a tooth on the basis of a tooth area of one side half;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ooth region is derived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tooth chart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terminology for describ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장치는 의료 정보를 전산화하는 전자의무기록에 따라 각종 진료정보를 전자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전자차트에 활용될 수 있는 치아 차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provides a tooth chart that can be utilized in an electronic chart for electronically inputting various medical care information according to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computerizing medical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치단 안내선 생성부(20), 치아 영역 도출부(30), 유실 치아 검출부(40), 차트 생성부(50), 및 차트 수정부(6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ooth chart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0, a tooth tip guide generation unit 20, a tooth area derivation unit 30, a missing tooth detection unit 40, A chart generating unit 50, and a chart correcting unit 6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으로, 마우스, 키보드, 버튼,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입력 메뉴와 처리 결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입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입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10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from a user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mouse, a keyboard, a button, and a keypad, an input menu, a processing result, A touch screen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through a single device, and the like.

치단 안내선 생성부(20)는 치아 영상 내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한다. 참고로, 치아 영상은 치아가 촬영된 영상으로, 파노라마 영상, 컴퓨터 단층영상(CT), X-ray 영상, 자기공명영상(MRI)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포함한다.The tooth tip guide generation unit 20 generates a tooth tip guide that guides the position of each tooth in each tooth image. For reference, a tooth image is an image of a tooth, and includes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a panoramic image, a CT image, an X-ray image, an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mage.

치단 안내선은 상악과 하악 치아가 서로 교합되는 교합면 상에 존재하는 각 치아 치관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치단들의 위치를 안내하는 선을 의미한다. 치단 안내선은 치아 영상 내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생성되며, 모든 치아의 치단을 그대로 트레이싱(Tracing)한 선뿐 아니라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안내하는 선들을 모두 포함한다. 치단 안내선은 상악과 하악에 대해서 각각 생성된다.A tooth guide refers to a line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eeth corresponding to the end of each tooth crown on the occlusal surface wher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tooth tip guide line is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points on the tip of the tooth image, and includes not only the line that traces the tooth tip of all the teeth but also the lines that roughly guide the tooth tip position of each tooth. Tooth guides are created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respectively.

치단 안내선 생성의 기초가 되는 치단 상의 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그레이(Gray scale)을 기반으로 한 각종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oint on the tooth base that is the basis of the tooth tip guide line may be input directly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or may be implemented to be automatically recognized through various image recognition algorithms based on gray scale have.

치아 영역 도출부(30)는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치아 영상 내 각 치아별로 치아 영역을 도출한다. 치아 영역은 해당 치아가 존재하는 범위를 정의하는 영역으로서, 일 치아 영역 내부에 하나의 치아가 포함되는 일대일 맵핑(Mapping) 관계를 갖는다. 치아 영역은 단순한 사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사각형 외 다양한 도형 형태 등 하나의 치아가 존재하는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도출될 수 있다. The tooth region deriving unit 30 derives a tooth region for each tooth in the tooth image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line. The tooth region defines a range in which the tooth exists, and has a one-to-one mapping relationship in which one tooth is included in the single tooth region. The tooth region may be defined as a simple rectangular shape, but various shapes can be derived if a range of a single tooth such as various shapes other than a rectangle can be defined.

치아 영역 도출부(30)는 각 치아별 크기값을 기초로 치단 안내선을 구획하여 치아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의 크기는 치아의 치관과 치근을 포함하는 치아의 높이 및 치아의 폭을 의미한다. 각 치아별 크기값은 환자의 연령, 성별, 국가, 인종을 포함하여 치아 크기와 관계된 다양한 변수에 따른 치아 통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tooth area deriving unit 30 can derive the tooth area by dividing the tooth guide line based on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Here, the size of a tooth means the height of the tooth including the crown of the tooth and the root and the width of the tooth.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ooth statist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tooth size including the patient's age, sex, country, and race.

유실 치아 검출부(40)는 치아 영상에서 유실 치아를 검출한다. 이는 치아 영역 도출부(30)를 통해 도출된 치아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값을 기초로 검출할 수 있다.The missing tooth detecting unit 40 detects a lost tooth in a tooth image. This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the tooth region derived through the tooth region derivation unit 3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치아 검출부(40)의 유실 치아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missing tooth of a missing tooth detect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아가 존재하는 부분과 치아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밀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X선의 감쇄율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서 밝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Since there are different densities of teeth and non-teeth, the brightness of X-ray im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치아가 존재하는 부분(301)은 치아가 유실된 부분(303)과 비교해 밝게 나타나고, 치아가 유실된 부분은 치아가 존재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301 where the tooth exists is bright compared to the portion 303 where the tooth is lost, and the portion where the tooth is lost is relatively dark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tooth exists.

위와 같은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유실 치아 검출부(40)는 치아 영역 도출부(30)를 통해 도출된 각 치아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각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평균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평균값이 많이 낮은 경우에는 해당 치아 영역 내 치아가 유실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Using the above brightness difference, the lost tooth detecting unit 4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of pixels constituting each tooth area derived through the tooth area deriving unit 30, and calculates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ooth areas In comparison, if the average value is relatively low,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oth in the tooth area is lost.

이와 같이, 유실 치아 검출부(40)는 각 치아 영역에 대한 화소들의 평균값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무치악 환자와 같이 치아가 전부 유실된 경우에는 상대적 비교를 통해 판별하기 어려우므로 치아가 존재하는 경우와 유실된 경우의 대략적인 화소 값의 범위를 적용하여 보완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principle, the lost tooth detecting unit 40 compares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s with respect to each tooth region, and in the case where all the teeth are lost as in the edentulous patient, And may be supplemented by applying a range of approximate pixel values in case of loss.

차트 생성부(50)는 치아 영역 도출부(30)를 통해 도출된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치아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하고, 식별도형을 통해 시각화된 치아 영역을 해당 치아 번호와 매핑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식별도형은 도출된 치아 영역의 위치에 상응하여 배치되므로, 결과적으로 식별도형은 치아가 배열을 이루고 있는 것과 같이 치단 안내선을 따라 일련의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The chart generating unit 50 overlays an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each tooth area derived through the tooth area deriving unit 30 on the tooth image and displays the visualized tooth area on the identification figure with the corresponding tooth number Create a tooth chart by mapping. According to this, the identification figure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rived tooth area, so that the identification figure is arranged so as to form a series of arrangements along the tooth guide, such that the teeth are arranged.

식별도형은 치아 영역의 식별이 가능하다면 사각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정해질 수 있으며, 각 치아 영역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되고 서로 다른 형태로 정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치아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형태 및/또는 색깔의 식별도형을 형성하여 치아 종류의 직관적 인식을 도와줄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igure may be defin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rectangle if the tooth area can be identified, and each tooth area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or may be set to a different shape. For example, different types and / or colors of identification patterns may be formed for each type of teeth, thereby helping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types of teeth.

또한, 차트 생성부(50)는 치아의 유실여부와 무관하게 식별도형을 배치하되, 유실 치아 검출부(40)를 통해 특정 치아 영역 내 치아가 유실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해당 치아 영역에 대한 식별도형을 유실되지 않은 치아에 대한 치아 영역과 서로 구분되도록 식별도형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치아가 유실된 치아 영역은 식별도형의 외곽선을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색깔을 달리할 수 있으며, 식별도형이 깜빡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hart generation unit 50 determines that the teeth in the specific tooth area are lost through the lost tooth detection unit 40, the identification chart is arrang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teeth are lost or not, An identification figure can be form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a tooth area for a tooth that has not been lost. For example, a tooth area in which a tooth has been lost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line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e color may be different, and the identification figure may flicker.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식별도형을 클릭(Click)하여 치아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치아에 대한 각종 진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can click on an identification figur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to select a tooth region and input various treatment information for a tooth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ooth region.

여기서, 치아 차트는 식별도형 내에 직접 아이콘 등을 삽입하여 치아 차트 상에 곧바로 진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치아 차트를 별도의 진료정보 입력창과 연동되도록 하여 입력창에 각종 진료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tooth chart may be implemented to directly input medical information on the tooth chart by inserting an icon or the like directly into the identification figure, or may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tooth chart is linked with a separate medical information input window, May be implemented to input information.

차트 수정부(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식별도형의 위치를 이동, 회전 또는 크기 등을 수정한다.The chart modifier 50 modifies the movement, rotation, size, etc. of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on the basis of the user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이때, 위치 이동은 각 식별도형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식별도형 수정 시 어느 하나의 치아에 대한 식별도형의 위치나 크기가 수정되면, 수정되는 치아에 인접하는 치아나 좌우 치열에 영향을 받는 치아들에 대응하는 식별도형이 함께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하나의 식별도형이 이동하면 이동방향 경로 상에 존재하는 식별도형의 위치가 일률적으로 이동됨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특정 식별도형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방향 경로 상에 존재하는 식별도형들이 자동적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al movement may be implemented to be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identification figure. However, if the position or size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with respect to one tooth is modified when the identification figure is modified, The identification figure corresponding to the affected teeth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together with th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when one identification graphic typically moves,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graphic present on the movement direction path is uniformly shifted. When the user moves the specific identification graphic patter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identification figures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gether.

그리고, 식별도형 수정 시 어느 하나의 치아에 관한 식별도형의 위치나 크기가 수정되면, 해당 치아의 수정에 따라 교합하는 위 아래 치아들에 대응하는 식별도형이 함께 수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차트 수정부(5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복수의 식별도형들을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그룹핑된 식별도형들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with respect to one of the teeth are modified when the identification figure is modified, the identification fig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that are occluded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tooth may be modified together. In addition, the chart modifier 50 may be configured to group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diagram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o that the grouped identification diagrams can be moved toge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치아 차트 생성 장치(100)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본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organic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ooth chart genera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치단 안내선 생성부(20)는 각종 영상 장비를 통해 획득된 치아 영상에서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한다(S10).Referring to FIG. 4, the dental guide line generating unit 20 generates dental guide lines guiding the positions of the teeth of each tooth on the basis of one or more points on the tooth top in the tooth image obtained through various imaging devices (S10).

도 5를 참조하여, 일측 반악에 대하여 치단 안내선을 도출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악궁의 정중선(M)의 일측 반악에 존재하는 중절치(510)의 치단 상의 양 끝점(511, 513) 중 근심면 방향의 점인 제 1점(511)과, 일측 반악의 치아 중 정중선(M)과 가장 이격된 치아인 제2 대구치(520)의 치단 상의 양 끝점(521, 523) 중 원심면 방향의 점인 제 2점(523)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을 치단 안내선(L1)으로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근심면은 정중선과 가까운 쪽으로서, 치아가 서로 맞닿게 되는 인접면 중 중앙에 가까운 앞쪽을 의미하며, 원심면은 정중선과 먼 쪽으로서, 인접면 중 중앙에서 먼 뒤쪽을 의미한다.5, among the end points 511 and 513 on the tip of the central tooth 510 present on one side of the midline M of the midline M of the arch, Which is a point in the centrifugal plane direction among the two end points 521 and 523 on the tip of the second molar 520 which is the tooth spaced farthest from the midline M among the teeth of one hal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523 can be led to the tip guide L1. For reference, the mesial surface is the near side to the midline, the near side to the center of the adjacent surfaces where the teeth abut against each other, and the centrifugal surface means the far side from the midline and the fa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adjacent surface.

도 6을 참조하여 일측 반악에서 치단 안내선을 도출하는 또 다른 예를 살펴보면, 실제 치아들의 치단을 트레이싱하여 획득된 선은 곡률이 있는 곡선으로 나타나므로. 위와 같은 치아 배열의 곡률을 반영하여 치단 안내선이 실제에 더욱 부합되도록 전술된 제 1점(511)과 제 2점(523)뿐 아니라, 제 1점(511)과 제 2점(523) 사이의 점으로서 미리 결정된 치아의 치단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을 추가로 지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another example of deriving the tooth tip guides in one side half, the lines obtained by tracing the tooth tips of actual teeth appear as curved lines. In addition to the first point 511 and the second point 523 described above to reflect the curvature of the tooth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ooth tip guide line is more in actuality, It is possible to further pass at least one or more points existing on a tooth of a predetermined tooth as a point.

참고로, 도 6에서는, 제1 대구치(530)의 근심면 방향의 치단의 끝점(531)과 측절치(540)의 원심면 방향의 치단의 끝점(541)을 추가로 지나도록 치단 안내선(L1)을 도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점(511)과 제 2점(523) 사이의 점으로서 치단 상에 존재하는 점이라면 어느 위치라도 무관하다.6, the tooth tip guide L1 is formed so as to further pass the end point 531 of the tooth tip of the first molar 530 in the direction of the mesial surface direction and the end point 541 of the tip of the tooth tip in the centrifugal plane direction of the side tooth pitch 5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any point as long as it exists on the tooth edge as a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511 and the second point 523.

한편, 정중선(M)과 치단 안내선(L1)을 도출하기 위한 기준인 제 1점(511), 제 2점(523), 및 추가점(531, 541)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또는, 그레이 스케일을 기반으로 한 각종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정중선(M)은 콧구멍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을 검출하여 그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으로 인식될 수 있다. The first point 511, the second point 523 and the additional points 531 and 541 for deriving the midline M and the tip guide L1 are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10 via the user interface 10, Or may be implemented to be automatically recognized through various image recognition algorithms based on gray scale. For example, the midline M may be recognized as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such as the nostril.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치단 안내선(L1)이 직선 기반으로 도출되었으나, 제 1점(511), 제 2점(523), 추가점(531, 541)을 지나는 곡선 형태로 치단 안내선(L1)이 도출될 수도 있다. 이때, 곡선 형태는 미리 설정된 곡선 방정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5 and 6, the tooth tip guide L1 is drawn on a straight line basis. However, in a curved shap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int 511, the second point 523, and the additional points 531 and 541, ) May be derived. At this time, the curve shape can b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curve equation.

이와 같이, 치단 안내선이 도출되면, 치아 영역 도출부(30)는 치단 안내선을 기준으로 각 치아가 위치하는 치아 영역을 도출한다(S20). 이에 따르면, 치단 안내선을 따라 각 치아 영역이 줄지어 배열되며, 치아 영역의 크기는 각 치아별 크기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영역은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인접한 치아 영역과 일부 또는 전부가 겹쳐질 수도 있다.In this manner, when the tooth tip guide line is derived, the tooth area derivation unit 30 derives a tooth area where each tooth is located with reference to the tooth tip guide (S20). According to this, each tooth area is lined up along the tooth tip guide line, and the size of the tooth area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Further, the tooth region may overlap part or all of the adjacent tooth region depending on the oral condition of the patient.

치아 영역 도출부(30)는 각 치아별 크기값을 기초로 치단 안내선(L1)을 구획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반악에 대한 치아 영역들(A1)을 도출한다. 도 7에서는 우측 상악에 대하여 치아 영역이 도출된 예를 보여준다.The tooth area derivation unit 30 divides the tooth tip guide L1 based on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to derive the tooth areas A1 for one side half as shown in FIG.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ooth region is derived from the right maxilla.

여기서, 각 치아별 크기값은 환자의 연령, 성별, 국가 및 인종별 치아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치단 안내선과 무관하게 치아의 높이 및 폭에 관한 값을 바로 결정할 수 있지만, 치아 종류에 따른 악궁에서 차지하는 치아 비율에 관한 통계값을 저장하고, 치단 안내선의 길이 대비 비율에 따른 각 치아별 크기값을 결정함으로써 개별 환자에 좀 더 부합한 크기값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size value of each tooth can be determined by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s age, sex, country, and race. At this time, the value abou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tooth can be directly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tooth guide line. By storing the statistical value of the teeth ratio in the arch according to the type and determining the magnitude value of each tooth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ooth guide line, the more appropriate size value can be determined for the individual patient.

한편, 임상 케이스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기준들을 적용하여 각 치아별 크기값을 이용하여 치단 안내선(L1)을 구획할 때 특정 영역을 겹치거나 이격시켜 구획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수의 임상 케이스에서 견치와 제1 소구치, 제1 소구치와 제2 소구치 간에는 서로 겹치는 영역들이 나타나는데, 이를 반영하여 치단 안내선(L1)을 구획할 때 견치와 제1 소구치, 제1 소구치와 제2 소구치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B1)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ividing the tooth tip guide line L1 by using the magnitude values of each tooth by applying predetermined criteria based on the clinical case, specific regions may be overlapped or separated. For example, in many clinical cases, overlapping areas appear between the canine and the first premolar, the first pre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and when reflecting the tooth guide line L1,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the first premolar, The tooth area B1 corresponding to the two premolars may be partially overlapped.

이와 같이 일측 반악의 치아 영역(A1)이 도출되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중선(M)을 기준으로 미러링하여 타측 반악에 해당하는 좌측 상악에 대한 치아 영역들(A2)을 도출한다(S30). 이는 좌측과 우측의 대칭성을 활용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데칼코마니(Decalcomanie)와 같이 좌측과 우측이 정중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치아 영역이 도출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tooth area A1 of one side half is derived, the tooth areas A2 for the left maxilla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half are derived by mirroring with respect to the midline M (S30 ). This is based on the symmetry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is, tooth regions are deriv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idli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uch as the decalcomanie.

전술된 치아 영역 도출과정은 상악과 하악에 대해서 모두 수행된다(S40). The above-described tooth area deriv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S40).

도 9는 상악과 하악에 대해서 치아 영역이 도출된 예를 보여준다. 하악의 경우에도 일측 하악에서 도출된 치단 안내선(L2)을 기초로 우선적으로 일측 하악의 치아 영역(C1)을 도출하고, 이를 정중선(M)을 기준으로 미러링하여 타측 하악의 치아 영역(C2)을 도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하악의 경우에도 임상적 케이스를 반영하여 견치와 제1 소구치, 제1 소구치와 제2 소구치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D1, D2)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도출된 모습을 보여준다.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ooth regions are derived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tooth area C1 of one mandible is preferentially extracted based on the tooth guide line L2 derived from one mandible and mirrored on the basis of the midline M to determine the tooth area C2 of the other mandible . FIG. 9 shows a case in which the canine tooth, the first premolar tooth, the first premolar tooth, and the tooth area D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molar are partially overlapped in the case of the mandible, reflecting the clinical case.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악과 하악의 치아들에 대한 치아 영역이 모두 도출되면, 유실 치아 검출부(40)는 각 치아 영역 내 치아의 유실 여부를 판별하여 유실 치아를 검출한다(S50). 유실 여부의 판단은 치아 유무에 따라 영상의 밝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치아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값의 평균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다른 치아 영역에 비하여 어둡게 나타나는 영역을 유실된 치아로 판별할 수 있다.If all the teeth regions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issing tooth detecting unit 40 detects the missing tooth in each tooth region and detects the missing tooth (S50). The determination of the los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eeth.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values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tooth area, the area appearing darker than the other tooth areas is discriminated as the missing tooth can do.

이어서, 차트 생성부(50)는 도출된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치아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한다(S60). Then, the chart generating unit 50 generates a tooth chart by overlaying the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the derived tooth area on the tooth image (S60).

생성된 치아 차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수정 기회를 부여할 수 있으며, 차트 수정부(60)는 하나의 식별도형이 수정될 때, 인접하거나 교합관계에 있는 식별도형 등 해당 수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치아들에 대한 식별도형이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The generated tooth char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to give a correction opportunity to the user. When one identification figure is modified, the chart correction unit 60 may update the identification chart, The identification shape of the affected teeth due to the correction is automatically correct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차트 생성부(50)는 식별도형을 이용하여 치아 영역을 시각화할 뿐 아니라, 각 치아 영역과 일대일로 연동되는 치아 아이콘 배열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치아 차트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t generating unit 50 not only visualizes the tooth area using the identification figure, but also provides a tooth icon array linked with each tooth area in a one-to-one manner to help the user easily manipulate the tooth chart .

도 10은 생성된 치아 차트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이다.10 i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generated tooth chart is displayed.

도 10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의 식별도형을 통해 각 치아 영역이 구분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유실 치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내부의 치아가 유실된 것으로 판별된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식별도형은 다른 식별도형과 색깔, 외곽선 형태 등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0, each tooth area is divided through a rectangular figure, and an identification figure corresponding to a tooth area determined to have lost an internal tooth is identified by a different identification Shapes, colors, outline shapes, and the like.

또한, 각 치아 영역과 일대일로 연동되는 치아 아이콘 배열(I)이 디스플레이되고, 치아 아이콘마다 치아 번호가 부여된다. 한편, 유실 치아 검출부(40)를 통해 검출된 유실 치아 영역과 대응되는 치아 번호를 가지는 치아 아이콘을 유실되지 않은 치아 영역에 대응되는 치아 아이콘과 색깔, 명도 등을 달리하는 표식을 통하여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유실 치아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 tooth icon array I interlocked with each tooth area is displayed, and a tooth number is assigned to each tooth icon. On the other hand, a tooth icon having a tooth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tooth area detected through the missing tooth detection unit 40 is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tooth icon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tooth area through markings having different colors, brightnes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missing tooth area.

차트 생성부(50)는 식별도형을 선택할 수도 있고, 대응되는 치아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조작하면 치아 영상 상에서 이에 대응되는 치아 영역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The chart generating unit 50 can select an identification figure or select and manipulate a corresponding tooth icon so that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ooth icon is processed on the tooth imag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술된 단계들은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tep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re examples of a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예컨대, 타측 반악의 경우에도 일측 반악의 치아 영역을 미러링하지 않고, 치단 안내선을 직접 도출하여 치아 영역을 도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the other half, it is possible to directly derive the tooth tip guide to derive the tooth area without mirroring the tooth area of one side half.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장치(100) 및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치아 영상을 기반으로 치아 차트를 생성함으로써 진료 정보를 입력할 때 시선이 분산될 염려가 없어 진료정보의 입력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환자의 진료내용에 대한 이해도 및 집중도가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ncern that a line of sight may be dispersed when a patient information is input by generating a tooth chart based on a patient's tooth image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i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f the medical care contents of the patient is improved.

또한, 환자의 치단 상의 점을 지나는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치아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영상 처리를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정확하게 치아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tooth region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passing the point on the tooth tip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tooth chart relatively accurately without going through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Optical reader),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may be embodied as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an optical reader, and a digital storage medium.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such as an information carrier, e.g.,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such a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for processing by a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 computer program, such as the computer program (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nd may be stored as a stand-alone program or in a module, component, subroutine,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process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 purpose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Generally,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a read-only memory or a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The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Generally, a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or may receive data from them, transmit data to them, . ≪ / RTI >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such as a DVD (Digital Video Disk),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the like.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or includ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devic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치단 안내선 생성부
30: 치아 영역 도출부 40: 유실 치아 검출부
50: 차트 생성부 60: 차트 수정부
10: user interface unit 20: tide guide line generating unit
30: tooth region derivation unit 40: missing tooth detection unit
50: chart generating unit 60: chart calculating unit

Claims (14)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아 영상 내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각 치아별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상에 상기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배치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방법.
A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Creating a tooth tip guide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ooth tips of each tooth based on one or more points on the teeth image;
Deriving a tooth region for each tooth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line; And
And generating a tooth chart by disposing an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tooth areas in the tooth image.
제 1 항에 따른 치아 차트 생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execut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generating a tooth chart according to claim 1 is recorded.
전자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치아 영상 내 치단 상의 하나 이상의 점을 기초로 각 치아의 치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는 치단 안내선 생성부;
상기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각 치아별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치아 영역 도출부; 및
상기 치아 영상에 상기 각 치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도형을 배치하여 치아 차트를 생성하는 차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ooth chart,
A tooth tip guide lin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ooth tip guides guiding the position of tooth tips of each tooth based on one or more points on the teeth image in the tooth image;
A tooth reg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tooth region for each tooth based on the tooth tip guide line; And
And a char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by disposing an identification figur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tooth areas in the tooth im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중절치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근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1점, 및 악궁의 정중선과 가장 이격된 치아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원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2점을 기초로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ntal guide line generating unit comprises:
And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a centrifugal plane direction among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he mesial surface direction of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central incisor and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tooth most distant from the midpoint of the arch, And generates a guide 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중절치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근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1점, 악궁의 정중선과 가장 이격된 치아의 치단 상의 양 끝점 중 원심면 방향의 점에 해당하는 제 2점, 및 상기 제 1점과 상기 제 2점 사이의 점으로서 미리 결정된 치아의 치단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인 제 3점을 기초로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여 치아 배열의 곡률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ntal guide line generating unit comprises: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a centrifugal plane direction among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mesial surface of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central incisor and both end points on the tooth tip of the tooth most distant from the midpoint of the arch, And the tooth point guide line is generated based on a third point that is at least one point existing on a tooth point of a predetermined tooth as a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o reflect the curvature of the tooth arrange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단 안내선 생성부는, 악궁의 정중선의 일측 반악에 대하여 상기 치단 안내선을 생성하고,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상기 일측 반악의 치단 안내선을 기초로 도출된 상기 치아 영역을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미러링하여 타측 반악에 대한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ntal guide lin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dental guide line for one side of the midline of the arch of the arch,
Wherein the tooth area derivation unit derives a tooth area for the other half drum by mirroring the tooth area derived on the basis of the tooth tip guide of the one side half on the basis of the mid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환자의 연령, 성별, 국가 및 인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수에 따른 치아 통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각 치아별 크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ooth region deriving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tooth area is derived using a size value of each tooth determined based on the tooth statist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variables of age, sex, country, and race of the pati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치아 종류에 따른 악궁에서 차지하는 치아 비율에 관한 통계 정보와 상기 치단 안내선의 길이를 기초로 산출된 치아별 크기값에 대응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ooth region deriving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tooth area is derived corresponding to statistical information on a tooth ratio in an arch according to a tooth type and a size value calculated based on a length of the tooth guide 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치아의 유실 여부를 판단하는 유실 치아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트 생성부는 유실된 치아에 대응하는 상기 치아 영역과 유실되지 않은 치아에 대응하는 상기 치아 영역이 구분되도록 상기 식별도형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lost tooth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ooth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is lost or not,
Wherein the chart generation unit disposes the identification figure so that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lost tooth and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th that has not been lost are separa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 치아 검출부는,
상기 치아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밝기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평균값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치아의 유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st tooth detecting unit comprises: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brightness values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tooth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eth are los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ooth regio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생성부는,
치아가 유실된 상기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도형의 외곽선, 색깔, 및 깜빡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치아가 유실되지 않은 상기 치아 영역과 달리하여 상기 식별도형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t generating unit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utline, color, and blinking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where the tooth has been lost is different from the tooth area in which the tooth has not been lost,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영역 도출부는,
견치, 제1 소구치, 및 제2 소구치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이 해당 치아와 인접한 치아에 대응하는 치아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ooth region deriving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oth of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is derived so as to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tooth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th adjacent to the tooth.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도형의 위치 및 크기를 수정하는 차트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hart modifying unit for modify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dentification figure in response to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수정부는,
일 치아에 대한 상기 식별도형이 수정되면, 수정되는 상기 식별도형과 인접하거나 또는 교합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도형을 함께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차트 생성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hart modifying unit may include:
Wherein when said identification figure for one tooth is modifie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figure adjacent to or in an occlusion relationship with said identification figure being modified is modified together.
KR1020160049589A 2016-04-22 2016-04-22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723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89A KR101723654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89A KR101723654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654B1 true KR101723654B1 (en) 2017-04-06

Family

ID=5858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89A KR101723654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5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75A1 (en) * 2019-03-12 2020-09-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ooth number selection method using panoramic image,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KR20210006244A (en) * 2019-07-08 2021-01-18 서울대학교치과병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dental care data on a digital dental image
KR20210092974A (en) * 2020-01-17 2021-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creating nerve tube line and dental implant surgery planning device therefor
KR20210144267A (en) * 2020-05-22 2021-1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To Dental Formula Symbol, and Recording Medium
KR20220005873A (en) *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locking lesion detection and dentistry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WO2023080702A1 (en) * 2021-11-04 2023-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dental record write-up automation and dental insurance review automation,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verifying automated dental chart and dental treatment certificate
US11986325B2 (en) 2019-06-13 2024-05-21 Osstemimplant Co., Ltd. Treatm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reatment history on image of teeth in accumulated man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7472B2 (en) * 1973-11-12 1978-10-09
JP2009146178A (en) * 2007-12-14 2009-07-02 Hitachi Medical Computer Systems Inc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device and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program
KR101146862B1 (en) * 2010-12-02 2012-05-16 이준호 Method to change from two-dimensional panorama picture to three-dimensional picture and the recorded media thereof
JP5337472B2 (en) 2008-12-24 2013-11-06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Method for displaying cut surface image in 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dical image display program
KR101463871B1 (en) * 2013-03-27 2014-11-21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X-ray im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pplication perform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7472B2 (en) * 1973-11-12 1978-10-09
JP2009146178A (en) * 2007-12-14 2009-07-02 Hitachi Medical Computer Systems Inc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device and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program
JP5337472B2 (en) 2008-12-24 2013-11-06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Method for displaying cut surface image in 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dical image display program
KR101146862B1 (en) * 2010-12-02 2012-05-16 이준호 Method to change from two-dimensional panorama picture to three-dimensional picture and the recorded media thereof
KR101463871B1 (en) * 2013-03-27 2014-11-21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X-ray im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pplication performing the metho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75A1 (en) * 2019-03-12 2020-09-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ooth number selection method using panoramic image,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US11986325B2 (en) 2019-06-13 2024-05-21 Osstemimplant Co., Ltd. Treatm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reatment history on image of teeth in accumulated manner
KR20210006244A (en) * 2019-07-08 2021-01-18 서울대학교치과병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dental care data on a digital dental image
KR102267197B1 (en) * 2019-07-08 2021-06-21 서울대학교치과병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dental care data on a digital dental image
KR20210092974A (en) * 2020-01-17 2021-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creating nerve tube line and dental implant surgery planning device therefor
KR102339827B1 (en) 2020-01-17 2021-12-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creating nerve tube line and dental implant surgery planning device therefor
KR20210144267A (en) * 2020-05-22 2021-1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To Dental Formula Symbol, and Recording Medium
KR102356001B1 (en) 2020-05-22 2022-01-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To Dental Formula Symbol, and Recording Medium
KR20220005873A (en) *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locking lesion detection and dentistry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KR102413694B1 (en) * 2020-07-07 2022-06-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locking lesion detection and dentistry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WO2023080702A1 (en) * 2021-11-04 2023-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dental record write-up automation and dental insurance review automation,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verifying automated dental chart and dental treatment certific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54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864969B2 (en) Prioritization of three dimensional dental elements
KR101723652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S2959203T3 (en) Dental arch automatic mapping system and method
US20200397304A1 (en) Caries detection using intraoral scan data
AU2018221818B2 (en) Longitudin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under limited accuracy system
US88050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JP6605249B2 (en) Tooth analysis device and program thereof
JP5021482B2 (en) Method for placing orthodontic objects along an archwire 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US116789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KR102462185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rthodontics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rthodontics using deep learning ai algorithm
JP2020513918A (en) Methods for cephalometric analysis
KR20190142687A (en) A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 Tooth Image
KR20210018661A (en) Method for recommending crown model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KR102657610B1 (en) Panoram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ooth Analysis Screen
KR2022011807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390027A1 (en) Auto-smile design setup systems
KR102667673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KR102506836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583135B1 (en)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by superimposing them
KR20230037247A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KR20230023258A (en) System for providing orthodontic treatment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tient's tooth arrangement
KR20220008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