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98B1 -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98B1
KR101723598B1 KR1020160032780A KR20160032780A KR101723598B1 KR 101723598 B1 KR101723598 B1 KR 101723598B1 KR 1020160032780 A KR1020160032780 A KR 1020160032780A KR 20160032780 A KR20160032780 A KR 20160032780A KR 101723598 B1 KR101723598 B1 KR 10172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frame
frame
coupled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남천
정용길
고봉훈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to KR102016003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29C33/3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in a close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88Multi-face stack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2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에 맞는 형상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형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중간금형을 추가하여 금형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어로 구성된 구동장치를 이용해 안정적인 작동으로 제1성형공간과 제2성형공간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장비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 금형 프레임과 성형기 이동부 사이에 서브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성형기 이동부를 수정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성형기를 사용해, 장비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이 마주보는 면에는 금형을 다수 구비함으로써, 성형공간을 두 개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 한 번의 구동으로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형 장치 {MOLD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적에 맞는 형상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형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라 부름) 소재, 혹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부름) 소재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P 및 EPS 소재를 이용한 성형 방법은, 먼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알갱이 형상의 EPP 혹은 EPS 소재를 주입한 후 금형을 더욱 압축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EPP, EPS 소재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은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제품을 보호하는 포장용기, 자동차 범퍼 등 그 활용범위가 아주 광범위하다.
금형은 재료의 가동성, 유동성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속성의 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2)과 암형(3)으로 구성된다. 수형(2)과 암형(3)이 맞물리면 밀폐된 공간인 캐비티(4)가 형성되는데 이곳에 성형 재료를 주입하고 가열 또는 가압하여 성형품을 제작한다.
종래의 금형 장치(1)는 하나의 장비로 하나의 성형품만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 장치로 다수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성형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장비 제작 비용을 감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장비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 금형 프레임;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금형; 성형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제2 금형 프레임;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금형; 상기 제1 금형 프레임과 상기 제2 금형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 금형 프레임;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중간 금형; 일단이 상기 성형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봉; 일단이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성형기 이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이 이동할 경우 가이드봉이 상기 성형기 이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상기 제2 금형 프레임과 상기 성형기 이동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며, 상기 제1 금형 프레임 및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중간 금형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1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금형과 상기 중간 금형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2 성형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은 상기 성형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금형 프레임과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은 상기 제1 금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봉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금형 프레임과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은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일단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1 랙; 및 일단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2 랙;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랙과 상기 제2 랙의 톱니가 형성된 면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중간금형을 추가하여 금형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어로 구성된 구동장치를 이용해 안정적인 작동으로 제1성형공간과 제2성형공간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장비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 금형 프레임과 성형기 이동부 사이에 서브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성형기 이동부를 수정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성형기를 사용해, 장비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이 마주보는 면에는 금형을 다수 구비함으로써, 성형공간을 두 개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 한 번의 구동으로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금형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금형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금형 장치가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금형 장치가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금형 장치가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금형 장치가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금형 장치가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금형 장치가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성형기 고정부(101)에 결합되는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1 금형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금형(111), 성형기 이동부(102)에 결합되는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제2 금형(121) 및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 금형 프레임(13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중간 금형(1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단이 성형기 고정부(101)에 고정되고, 제2 금형 프레임(120)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봉(140)과, 일단이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성형기 이동부(102)에 고정되며, 제2 금형 프레임(120)이 이동할 경우 가이드봉(140)이 성형기 이동부(102)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성형기 이동부(102)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150) 및 제2 금형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며, 제1 금형 프레임(110) 및 중간 금형 프레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60)를 더 포함한다.
종래의 금형 장치(1)는 2개의 금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성형기 이동부(102)에 원료주입구(171), 이젝터(172) 등이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간 금형(131)을 추가하여 다수의 성형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성형기 이동부(102)에도 원료 주입구(171)과 이젝터(172) 등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성형기 고정부(101)는 고정이 되어있어 원료 주입구(171)와 이젝터(172) 등을 설치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성형기 이동부(102)에 설치를 하게 될 경우 이동에 제약이 생기게 되며, 종래에 사용하던 성형기를 수정하는 것이 불가피 해진다. 또한, 금형 프레임을 이동시켜 맞물릴 때 성형기 이동부(102)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40)이 성형기 이동부(102)에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브 프레임(150)을 추가하여, 별도의 수정 없이 원료 주입구(171)와 이젝터(172)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돌출되는 가이드봉(140)이 성형기 이동부(102)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금형 프레임(110)은 성형기 고정부(101)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금형(111)과 결합되어 원료를 성형공간으로 공급하는 원료 주입구(171) 및 성형품을 제1 금형(11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17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금형(111)은 종래 기술의 암형(3)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금형 프레임(120)은 가이드봉(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금형(121)과 결합되어 원료를 성형공간으로 공급하는 원료 주입구(171) 및 성형품을 제2 금형(12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17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 금형 프레임(120)은, 일단이 성형기 고정부(101)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봉(140)의 타단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유압 실린더 등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형(121)은 종래 기술의 암형(3)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간 금형 프레임(130)은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의 사이에 가이드봉(140)으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 등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중간 금형(131)은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결합되어 있어, 종래 기술의 수형(2)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금형(111) 및 제2 금형(121)이 수형(2)으로 형성되고, 중간 금형(131)이 암형(3)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금형(111)과 중간 금형(131)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1 성형공간(181)이 형성되고, 제2 금형(121)과 중간 금형(131)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2 성형공간(182)이 형성된다. 제1 성형공간(181)과 제2 성형공간(182)은 높이가 동일하되 형상이 다른 것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 성형공간(181)과 제2 성형공간(182)이 형성되면 원료 주입구(171)를 통해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 Propylene, 이하 'EPP'라 부름),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부름) 등의 원료가 공급될 수 있다. EPP, EPS 스티로폼과 같은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쓰이는 소재로 내수성, 단열성, 완충성 등이 우수해 제품 포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적합하다.
금형 장치(100)의, 가이드봉(140)의 일단에 제1 금형 프레임(110)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중간 금형 프레임(130)과 제2 금형 프레임(120) 순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이 제1 금형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60)는,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161)과, 일단은 피니언(161)과 맞물리고 타단은 제1 금형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피니언(161)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1 랙(162) 및 일단은 피니언(161)과 맞물리고 타단은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고정되며, 피니언(161)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2 랙(163)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랙(162)과 제2 랙(163)의 톱니가 형성된 면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164)를 더 포함한다.
또한, 금형 장치(100)는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성형기 이동부(102) 사이에 서브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150)은 구동부(160)에 의해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이 제1 금형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성형기 이동부(102)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40)이 성형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서브 프레임(150)은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성형기 이동부(102)의 간격을 가이드봉(140)의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150) 내부에는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결합된 원료 주입구(171) 및 이젝터(17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70)가 포함된다. 또한, 제2 금형 프레임(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금형 장치(100)는 개방 상태(도 3), 가결합 상태(도 4), 완전 결합 상태(도 5)를 반복하며 성형품을 제작한다.
개방 상태에 있던 금형 장치(100)가 가결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2 금형 프레임(120)이 가이드봉(140)을 따라 제1 금형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랙(163)이 함께 움직이고,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161)이 제2 랙(162)에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피니언(161)의 제2 랙(163)에 맞물린 면의 이면에 맞물려 있는 제1 랙(162)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중간 금형 프레임(13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이 함께 제1 금형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간 금형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164)가 제1 랙(162)과 제2 랙(163)의 톱니가 형성된 면의 이면을 지지하고 있어 구동부(160)의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이 이동하여 가결합 상태가 되면, 제1 금형(111)과 중간 금형(131)이 만나 제1 성형공간(181)을 형성하고, 제2 금형(121)과 중간 금형(131)이 만나 제2 성형공간(182)을 형성한다. 이후, 원료 주입구(171)를 통해 각 성형 공간으로 원료가 주입되고, 가열한 후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을 완전 결합 상태가 되도록 완전 압착하여 제품을 성형한다.
제품의 성형이 끝나면, 금형 장치(100)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이젝터(172)를 이용해 성형공간에 있는 성형품을 분리한다.
이와 같은 금형 장치(100)을 이용할 경우,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금형 프레임(130)의 양측에 형성된 중간 금형(131)은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제1 성형공간(181)과 제2 성형공간(182)에서 높이는 같지만 형상이 다른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성형기 이동부(102) 사이에 서브 프레임(150)을 구비함으로써, 성형기 이동부(102)를 수정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성형기 사용이 가능해 장비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금형 장치가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금형 장치가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이 중간 금형 프레임(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성형공간(181) 및 제2 성형공간(182)을 형성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금형 프레임(110) 및 중간 금형 프레임(130)과 가이드봉(140)의 결합 관계와 서브 프레임(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금형 프레임(110) 및 중간 금형 프레임(130)과 가이드봉(140)의 결합 관계와, 서브 프레임(150)에 대해서만 상술하며, 나머지 구성은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중간 금형 프레임(130)은 가이드봉(140)에 고정되며,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은 중간 금형 프레임(13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봉(140)에 결합된다.
이러한 금형 장치(100)는, 개방 상태(도 6), 가결합 상태(도 7), 완전 결합 상태(도 8)를 반복하며 성형품을 제작한다.
개방 상태에 있던 금형 장치(100)가 가결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2 금형 프레임(120)이 가이드봉(140)을 따라 중간 금형 프레임(130)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2 금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랙(163)이 함께 움직이고 제2 랙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16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161)의 제2 랙(163)에 맞물린 면의 이면에 맞물려 있는 제1 랙(162)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제1 랙(162)이 고정되어 있는 제1 금형 프레임(110)이 중간 금형 프레임(130)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이 이동하여 가결합 상태가 되면, 제1 금형(111)과 중간 금형(131)이 만나 제1 성형공간(181)을 형성하고, 제2 금형(121)과 중간 금형(131)이 만나 제2 성형공간(182)을 형성한다. 이후, 원료 주입구(171)를 통해 원료가 주입되고 가열한 후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을 완전 결합 상태가 되도록 완전 압착하여 제품을 성형한다.
제품의 성형이 끝나면, 금형 장치(100)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이젝터(172)를 이용해 성형공간에 있는 성형품을 분리하는데, 제1 금형 프레임(110)과 제2 금형 프레임(120)을 이동하여 동작을 할 경우, 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 제품을 분리하는 것이 더 유리해진다.
또한, 제1 금형 프레임(110)이 성형기 고정부(101)와 중간 금형 프레임(130)의 사이를 좌우 이동하고, 제2 금형 프레임(120)이 중간 금형 프레임(130)방향으로 좌우 이동함으로써, 서브 프레임(150)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40)의 길이가,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중간 금형 프레임(130)이 함께 이동할 때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제2 금형 프레임(120)과 성형기 이동부(102)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서브 프레임(150)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금형 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은 넓히고, 서브 프레임(15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장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이 마주보는 면에는 금형을 다수 구비함으로써, 성형공간을 두 개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 한 번의 구동으로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금형 장치 101 : 성형기 고정부
102 : 성형기 이동부 110 : 제1 금형 프레임
111 : 제1 금형 120 : 제2 금형 프레임
121 : 제2 금형 130 : 중간 금형 프레임
131 : 중간 금형 140 : 가이드봉
150 : 서브 프레임 160 : 구동부
161 : 피니언 162 : 제1 랙
163 : 제2 랙 164 : 롤러
170 : 수용부 171 : 원료 주입구
172 : 이젝터

Claims (5)

  1. 성형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 금형 프레임;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금형;
    성형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제2 금형 프레임;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금형;
    일단이 상기 성형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봉;
    상기 제1 금형 프레임과 상기 제2 금형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중간 금형 프레임;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결합되는 중간 금형;
    일단이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성형기 이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이 이동할 경우 가이드봉이 상기 성형기 이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이상으로, 상기 제2 금형 프레임과 상기 성형기 이동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며,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중간 금형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1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금형과 상기 중간 금형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맞물렸을 때 밀폐되는 제2 성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성형공간 및 상기 제2 성형공간 내부로 원료를 주입하기 위한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제1 성형공간 및 상기 제2 성형공간에서 성형품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이젝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은 상기 성형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금형 프레임과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은 상기 제1 금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일단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제1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1 랙; 및
    일단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제2 금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면에 톱니를 형성한 제2 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랙과 상기 제2 랙의 톱니가 형성된 면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 금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KR1020160032780A 2016-03-18 2016-03-18 금형 장치 KR10172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80A KR101723598B1 (ko) 2016-03-18 2016-03-18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80A KR101723598B1 (ko) 2016-03-18 2016-03-18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598B1 true KR101723598B1 (ko) 2017-04-18

Family

ID=5870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780A KR101723598B1 (ko) 2016-03-18 2016-03-18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074A (ja) 2009-01-27 2010-08-12 Meiki Co Ltd 透明樹脂薄板のスタックモールド
JP2011179773A (ja) 2010-03-02 2011-09-15 Tokyo Gas Co Ltd ケミカルループ燃焼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酸化反応系装置と還元反応系装置
JP2012051019A (ja) 2010-09-03 2012-03-15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多重プレス成形装置
JP2012056150A (ja) * 2010-09-08 2012-03-22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多層成形用金型及び多層成形用金型の交換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074A (ja) 2009-01-27 2010-08-12 Meiki Co Ltd 透明樹脂薄板のスタックモールド
JP2011179773A (ja) 2010-03-02 2011-09-15 Tokyo Gas Co Ltd ケミカルループ燃焼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酸化反応系装置と還元反応系装置
JP2012051019A (ja) 2010-09-03 2012-03-15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多重プレス成形装置
JP2012056150A (ja) * 2010-09-08 2012-03-22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多層成形用金型及び多層成形用金型の交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7974A (es) Metodo y aparato para manufacturar productos.
KR101915147B1 (ko)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JP2010064278A (ja) 多色成形用金型
RU2007114912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астмассовых изделий
JP2014008727A (ja) 二色成形品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CN105291382A (zh) 一种内外多方向抽芯注射模具
KR100742011B1 (ko) 열가소성 재료로 제작된 물품의 열간 성형 장치 및 방법
CN101443176B (zh) 用于制造多层部件的方法
EP2454068B1 (en) A mould for the injection moulding of elements with undercuts made of plastic material, with an integrated ejection system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101723598B1 (ko) 금형 장치
CN104149290A (zh) 具有油缸抽芯结构的注塑模具
KR101487010B1 (ko) 횡축 및 종축 회전하는 멀티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의 사출방법
RU2007128764A (ru) Форма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изделий
CN201950773U (zh) 纵向双层注塑模具
CA2349873A1 (en) Reduced flash molding
CN203854160U (zh) 注塑模具及成型设备
CN203031830U (zh) 一种冰箱变温室左右导轨成型塑胶模
CN211165057U (zh) 一种新能源汽车零部件注塑模具
KR20150006611A (ko) 이중 탠덤 금형장치
JP4448701B2 (ja) 発泡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装置
CN105014880A (zh) 一种厚壁实心注塑产品成型模具
KR20160094796A (ko) 멀티 사출금형
CN204773274U (zh) 一种单型腔内实现双色注射的腔内切换机构
JP6199346B2 (ja) 成形品の突き出しに特徴を有する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