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49B1 -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49B1
KR101723549B1 KR1020150069771A KR20150069771A KR101723549B1 KR 101723549 B1 KR101723549 B1 KR 101723549B1 KR 1020150069771 A KR1020150069771 A KR 1020150069771A KR 20150069771 A KR20150069771 A KR 20150069771A KR 101723549 B1 KR101723549 B1 KR 10172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dine
liquid crystal
present
formula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068A (ko
Inventor
정광운
김대윤
임푸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i.e. fused, bridged or spiro r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403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the structure containing one or more specific, optionally substituted ring or ring systems
    • C09K2019/0407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the structure containing one or more specific, optionally substituted ring or ring systems containing a carbocyclic ring, e.g. dicyano-benzene, chlorofluoro-benzene or cyclohexan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요오드와 혼합이 가능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6512109-pat00026

본 발명에 따른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용액을 이용한 편광필름은 기존의 광학필름과 비교할 때 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용액은 반응기를 가지고 있어 중합을 통해 요오드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필름 자체의 내화학성 및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용액은 RGB를 모두 가지는 이색성 염료인 요오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물질 혼합이나 적층 없이도 넓은 가시범위의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분리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Coating type polaroid filem using iodine and lyotropic liquid crystal, and manufacu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수에 우수한 용해성을 가지며 고분자 및 유리 표면 위에 높은 점착성을 나타내는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사방으로 진동하는 자연광을 받아들여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을 가리키며,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는 TFT-LCD의 패널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하나이다.
편광판은 LCD 모듈의 광원에서 나오는 비편광 상태의 빛을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빛은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만들어준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편광판의 종류인 폴리비닐알코올필름은 보호필름,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TAC film), 요오드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접착제 등을 연신과 압력 가공을 거쳐 만드는 복합 구조의 필름으로 모든 가시광선 영역 (400-800nm)에서 일정한 흡광도를 나타내며 뛰어난 투과도와 편광특성을 나타내지만 기존의 광학 필름과 비교할 때 공정이 길고 수율관리가 어려우며 요오드 자체의 높은 승화성 때문에 고온고습한 환경에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86280호는 요오드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요오드형 편광판을 개시하고 있다.
유방성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의 경우 코팅을 통한 배열이 가능하므로 높은 편광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투과도가 높으며 유기물과 고분자 필름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나 보호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편광필름과 대비하여 두께가 매우 얇고 유연한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식 편광필름은 다색체 염료를 이용하는 방법과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 액정상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의 피치는 일치하는 원편광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므로 자연광 중에 존재하는 특정한 파장인 원편광 빛을 투과하도록 분리하고, 나머지 반사된 빛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필름을 제조한다. 다색체 염료를 이용한 편광필름은 폴리아로마틱 분자의 코어를 함유하고 있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방성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러빙, 광배향 막 등을 이용하여 코팅식 편광필름을 제조한다.
코팅식 편광필름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RGB의 모든 빛을 흡수할 수는 없으므로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거나 적층하여 이용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상분리 및 안정성에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시광선 영역의 색 표현이 가능한 요오드를 유방성 액정에 혼합하여 높은 편광도를 갖는 동시에 얇은 두께와 유연성을 갖는 편광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한 보호필름이나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중합을 통해 요오드를 필름내에서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물질 및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모든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이방성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물질 및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편광 효율이 매우 높은 편광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요오드와 혼합이 가능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6512109-pat00022
(상기 식에서, C는 방향족 화합물 또는 고리형 화합물이고, R은 탄소수 0내지 10의 탄화수소 화합물이고, A+ 및 B- 는 각각 산성기 (Acid), 염기성기 (Base)를 나타내는 이온이고, X는 중합이 가능한 모든 작용기이고, m은 0-10이고, n은 0-10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벤젠 또는 아줄렌과 결합한 수소는 Br, Cl, I, F, OH, CF3, NH2,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알킬기, 가지형 알킬기 및 알카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2의 벤젠 또는 아줄렌의 탄소는 질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은 10-1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R은 탄소수 1-10인 선형 알킬기, 가지형 알킬기, 알케닐기 및 알카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R의 탄소 중 어느 하나는 O, N, S, F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1의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알콕시기, 플루오르 알킬렌기, 에테르기, 플루오르에테르기 및 에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A는 H+, K+, Li+, Na+, Cs+, Ca2+, Sr2+, Mg2+, Ba2+, Co2+, Mn2+, Zn2+, Cu2+, Pb2+, Fe2+, Ni2+, Al3+, Ce3+, La3+, NH4 +, NH(CH3)+ 및 NH(C2H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산성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B는 Br-, Cl-, I-, COOCF3 -, CH3SO3 -, PO4 -, OH-, COO- 및 NO2 -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기성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X 는 광중합 및 열중합이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방성 액정은 요오드 화합물에 혼합된 후, 고분자 또는 유리기판에 코팅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1에서 C로 표시되는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과 R인 탄소수 0내지 10인 화합물을 1:1~10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단계에서 생성된 C-Rm과 A+B-(또는 B-A+)를 1:1~10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단계에서 생성된 C-Rm-B-A+를 Rn과 1:1~10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단계에서 생성된 C-Rm-B-A+-Rn을 X와 1~1:10.7의 몰비로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의 C-Rm-B-A+-Rn-X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성 액정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R은 Cl-R-Cl, Br-R-Br, I-R-I, HO-R-OH, NH2-R-NH2, Cl-R-OH, Br-R-OH, NH2-R-OH 및 이를 포함하는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A+, B-는 각각 산성기 및염기성기를 나타내는 이온, X는 중합기 가능한 화합물이며 R의 m및 n은 0-10 사이의 사슬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필름 제조방법으로,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유방성 액정 화합물과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 및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하는 단계의 혼합물을 고분자 또는 유리기판에 도포한 후, 전단을 가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은 증류수에 우수한 용해성을 가지며 고분자 및 유리 표면 위에 높은 점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은 기존의 코팅식 편광필름에 사용되는 물질들과 달리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거나 적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은 모든 가시광선 영역의 색 표현이 가능하며 높은 편광성을 갖는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은 고분자 또는 유리표면 기판 위에 별다른 표면 처리 없이 코팅하므로 기존의 편광필름에 비하여 얇은 두께의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N,N-Bis[2-dimethylaminoeth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의 1H NMR 분석결과이다.
도 2는 PDID-2의 1H NMR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PDID-3의 1H NMR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PDID-3의 LC/MS 분석결과이다.
도 5는 상기 용액의 혼합 후 POM 관찰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코팅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유방성 액정 화합물과 요오드 혼합용액의 코팅 후 편광필름 모식도이다.
도 8은 Iodine-PDID-3를 이용한 수용액을 이용해 필름을 제작한 후 광경화를 실시하고 난 뒤의 편광도 관찰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6512109-pat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C는 방향족 화합물 또는 고리형 화합물이고,
R은 탄소수 0내지 10의 탄화수소 화합물이고,
A+ 및 B- 는 각각 산성기 (Acid), 염기성기 (Base)를 나타내는 이온이고,
X는 중합이 가능한 모든 작용기이고,
m은 0-10이고, n은 0-10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요오드와 혼합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C로 표시되는 방향족 화합물 또는 고리형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5
상기 화학식 2의 벤젠 또는 아줄렌의 탄소와 근접한 수소는 Br, Cl, I, F, OH, CF3, NH2,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알킬기, 가지형 알킬기 및 알카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2의 벤젠 또는 아줄렌의 탄소는 질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은 10-1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R은 탄소수 1-10인 선형 알킬기, 가지형 알킬기, 알케닐기 및 알카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R의 탄소 중 어느 하나는 O, N, S, F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1의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알콕시기, 플루오르 알킬렌기, 에테르기, 플루오르에테르기 및 에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A는 H+, K+, Li+, Na+, Cs+, Ca2+, Sr2+, Mg2+, Ba2+, Co2+, Mn2+, Zn2+, Cu2+, Pb2+, Fe2+, Ni2+, Al3+, Ce3+, La3+, NH4 +, NH(CH3)+ 및 NH(C2H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산성기이며, 상기 화학식 1의 B는 Br-, Cl-, I-, COOCF3 -, CH3SO3 -, PO4 -, OH-, COO- 및 NO2 -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기성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X 는 광중합 및 열중합이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는 소수성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염의 존재로 인하여 수용액에서 높은 용해성을 보이며 유방성 액정을 나타내고 요오드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은 코팅형 편광필름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는 수용액상에서 유방성 액정상을 띠므로 코팅을 통한 편광필름 제작이 가능하며 기존의 요오드-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의 높은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두께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는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는 반응성 메조겐 (reactive mesogen)으로서 코팅 후 중합을 통해 요오드-유방성 액정의 코팅 후 용매 증발 후에도 높은 내화학성과 경도를 나타낸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형 편광필름은 고분자기판 또는 유리기판; 및 상기 기판 위에 전단을 가해 형성된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기판 또는 유리기판, 요오드, 유방성 액정 등은 공지된 방법, 기술,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한을 반드시 두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예를 하기에 제시하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의 요오드-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하기에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7026512109-pat00024
먼저,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로 나타나는 C와 탄소수 0내지 10사이의 탄화수소 화합물인 R을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Dimethyl formamide)를 용매로 하여 130 °C에서 5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물 C-Rm과 B-A+-Rn을 1:8의 비율로 혼합하여 100 °C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반응물 C-Rm-B-A+-Rn과 X를 1:2.5의 몰비로 혼합하여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dimethyamino) pyridine)을 촉매로 하여 상온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4와 같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C로 사용 가능한 화합물은 화학식 2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R로 하기 표 1에 예시된 화합물을 참고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8
상기 A+로 사용 가능한 이온은 H+, K+, Li+, Na+, Cs+, Ca2+, Sr2+, Mg2+, Ba2+, Co2+, Mn2+, Zn2+, Cu2+, Pb2+, Fe2+, Ni2+, Al3+, Ce3+, La3+, NH4 +, NH(CH3)+, NH(C2H5)+로부터 선택되어지며 B-로 사용 가능한 이온은 Br-, Cl-, I-, COOCF3 -, CH3SO3 -, PO4 -, OH-, COO-, NO2 - 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상기 X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은 화학식 17을 참고할 수 있다.
[화학식 17]
Figure 112015047909492-pat00009
본 발명의 화학식 4로 이용되어질 수 있는 물질들을 상기에서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예시 화합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유방성 액정 화합물에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 및 증류수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용액을 고분자 또는 유리기판 위에 도포하고 전단을 가해 코팅한 뒤 건조하는 방식으로 평광 필름이 제조된다.
실시예 1
N,N-Bis[2-dimethylaminoeth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의 합성
250ml 둥근 플라스크에 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2.5g, 6.4mmol)와 2-dimethylaminoethylamine (4ml, 20mmol)을 정제된 N,N-dimethylformamide (이하 DMF) 25ml에 혼합한다. 130 °C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킨 뒤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다. 150ml의 THF를 둥근 플라스크에 부어주어 침전 시킨 뒤 감압을 통해 침전물을 걸러냄으로써 N,N-Bis[diethylamine]-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 (이하 PDID-1)를 얻어낸다.
도 1은 N,N-Bis[2-dimethylaminoeth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의 1H NMR 분석결과이다.
도 1의 NMR 분석 결과값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TFA-d) : δ = 9.1-9.3 (d, 8H), 5.2 (t, 4H), 4.15 (d, 4H), 3.6 (s, 12H)
실시예 2
Perylene diimide derivative-2 (이하 PDID-2)의 합성
100ml 둥근 플라스크에 PDID-1 (1.5 g, 2.8 mmol)와 2-bromo-ethanol (1.6 ml, 22mmol)을 혼합한다. 100°C에서 12시간 동안 환류시킨 뒤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다. 150ml의 차가운 THF 용액에 합성물을 넣고 침전 시킨 뒤 침전물을 걸러낸다. 진공오븐에서 건조 뒤 100ml의 물을 넣고 용액을 걸러내어 동결건조 시킴으로써 PDID-2를 얻어낸다.
도 2는 PDID-2의 1H NMR 분석 결과이다.
도 2의 NMR 분석 결과값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d6) : δ = 8.18-8.2 (d, 8H), 4.5 (t, 4H), 4.0 (t, 4H), 3.7-3.8 (t, 8H), 3.18 (s, 12H)
실시예 3
Perylene diimide derivative-3 (이하 PDID-3)의 합성
100ml 둥근 플라스크에 PDID-2 (0.5g, 0.6mmol)와 methacrylic anhydride (1.0ml, 6.4mmol), 4-(dimethyamino) pyridine (DMAP)를 넣고 DMF 50ml를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때 methacrylic anhydride가 광중합기이므로 빛을 차단 시킨 상태에서 교반을 진행한다. 반응 종료 후 200ml의 THF에 합성물을 넣고 침전 시킨 뒤 침전물을 걸러낸 뒤 건조함으로써 PDID-3를 얻어낸다.
도 3은 PDID-3의 1H NMR 분석 결과이다.
도 3의 NMR 분석 결과값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d6) : δ = 8.2-8.2 (d, 8H), 6.12 (s, 2H), 5.75 (s, 2H), 4.5-4.6 (t, 4H), 4.0 (t, 4H), 3.7-3.8 (t, 8H), 3.24 (s, 12H), 1.96 (s, 6H)
도 4는 PDID-3의 LC/MS 분석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함으로써 PDID-3 [C44H46N4O8]2+의 분자량 379.3 g/mo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요오드 3 mg, 요오드화칼륨 6 mg을 40°C 증류수 0.8 ml에 넣고 혼합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 뒤 유방성 액정을 0.2 g첨가함으로서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도 5는 상기 용액의 혼합 후 POM 관찰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함으로써 유방성액정과 요오드가 혼합되었을 때 액정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혼합 용액을 고분자 또는 유리 기판 위에 도포하고 전단을 가해 코팅을 진행한다. 도 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팅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실시예 6
유방성 액정 화합물과 요오드 혼합용액의 코팅 후 편광필름 모식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PDID-3의 합성 후의 유방성 액정상 관찰 및 요오드 혼합 후 액정상 관찰
도 5에 도시된 사진과 같이 요오드 혼합 후 액정상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8
PDID-3의 전단 코팅을 이용한 필름 제작 후 편광성 측정
도 8은 Iodine-PDID-3를 이용한 수용액을 이용해 필름을 제작한 후 광경화를 실시하고 난 뒤의 편광도 관찰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함으로써 편광도가 99.8%임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N,N-비스[디에틸아민]-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N,N-Bis[diethylamine]-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의 유도체인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으로,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요오드와 혼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요오드와 혼합된 후, 고분자 또는 유리기판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Figure 112017026512109-pat00025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편광필름 제조방법으로,
    제 11항의 유방성 액정 화합물과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 및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의 혼합물을 고분자 또는 유리기판에 도포한 후, 전단을 가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

KR1020150069771A 2015-05-19 2015-05-19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71A KR101723549B1 (ko) 2015-05-19 2015-05-19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71A KR101723549B1 (ko) 2015-05-19 2015-05-19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68A KR20160136068A (ko) 2016-11-29
KR101723549B1 true KR101723549B1 (ko) 2017-04-18

Family

ID=5770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71A KR101723549B1 (ko) 2015-05-19 2015-05-19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36B1 (ko) * 2018-10-15 2020-11-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요오드를 포함한 다이아세틸렌 계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형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2987160A (zh) * 2021-02-03 2021-06-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材料、偏光片、显示面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gew. Chem. Int. Ed., Vol. 51, pp.7739-7743(2012)*
Langmuir, Vol.31, pp.578-586(2014.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68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8613B (zh) A liquid crystal compound,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 optical film, and an optical laminate
TW201100377A (en) Chemical compound
CN110537123A (zh) 液晶组合物、光吸收各向异性膜、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WO2005096041A1 (ja) マイクロパターン位相差素子
KR20100014882A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액정 중합체 및 광학 이방체
EP3187566B1 (en)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compensation film,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07116573A1 (ja) 接着性を向上させた液晶性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液晶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搭載した液晶表示素子
JP2011518912A (ja) 有機化合物、その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32020A1 (ja) 偏光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08152A (ja) 重合性化合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
TW201734183A (zh) 液晶組成物
KR101723549B1 (ko)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8230222A1 (ja) 組成物、液晶配向膜、位相差板、偏光板、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液晶素子
JP4209530B2 (ja) 液晶フィルム及び光学素子
KR101291392B1 (ko) 디옥세탄 화합물, 양이온 중합성 조성물, 광학필름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82136B1 (ko) 요오드를 포함한 다이아세틸렌 계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형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4585A (ko) 복굴절성 필름, 다환식 화합물, 코팅액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3159569A (ja) 光応答性キラル化合物、液晶組成物、及び光応答性液晶素子
US20090246401A1 (en) Composition for photo-alignment film, photo-alignment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iquid crystal cell,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784897B2 (ja) 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偏光膜
JPWO2017195396A1 (ja) 光反応性液晶組成物、表示素子、光学素子、表示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の製造方法
TW200918611A (en) Processes for producing coating fluid and optically anisotropic film
KR102391230B1 (ko)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2004109381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光学補償素子、並びに当該補償素子を組み込んだ液晶表示素子
KR102112704B1 (ko) 신규한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