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965B1 -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965B1
KR101722965B1 KR1020150141943A KR20150141943A KR101722965B1 KR 101722965 B1 KR101722965 B1 KR 101722965B1 KR 1020150141943 A KR1020150141943 A KR 1020150141943A KR 20150141943 A KR20150141943 A KR 20150141943A KR 101722965 B1 KR101722965 B1 KR 10172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bracket
winding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찬규
Original Assignee
장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찬규 filed Critical 장찬규
Priority to KR102015014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9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4Sens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063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 변화에 맞게 장력을 가변 조정하여 권취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상기 권취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견인롤러의 하중에 더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무게조절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색 발현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원단을 견인하는 한 쌍의 제1견인롤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간에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에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제1견인롤러와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제2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견인롤러의 무게에 자중을 더하여 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무게조절추와, 상기 히터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고 필요에 따라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거나 권취봉에 권취된 원단을 풀어 상기 제2견인롤러를 거쳐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권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발현 장치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Winding apparatus with tension adjustment and color expression apparatus using this}
본 발명은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 변화에 맞게 장력을 가변 조정하여 권취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취장치라 함은 원단, 필름, 강판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피권취물을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적합한 직경과 재질을 갖는 권취봉에 권취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권취장치 중에서 원단과 관련된 권취장치는 인쇄장치에서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문양이 인쇄되도록 염료가 도포된 원단을 공급받아 권취하는 것이다.
종래의 권취장치는 인쇄장치에서 원단이 공급되는 속도와 원단이 권취되는 속도 차이로 인해 원단이 느슨한 상태로 권취되면서 원단에 주름이 생겨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회전롤러의 무게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당겨 장력을 부여하면서 원단을 구김 없이 권취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는 원단을 일정한 압력으로만 당겨 원단의 구김을 방지하는 구조이므로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 변화에 따라 원단을 당기는 압력을 대응되게 조절할 수 없어 정해진 원단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즉,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이 커지면서 그 무게가 증가하면 원단을 당기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여 원단이 구김이 생긴 상태로 권취되고,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이 작아지면서 그 무게가 감소하면 원단을 당기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여 원단이 늘어진 상태로 권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원단의 무게 변화에 관계없이 원단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 가능하게 원단을 당기는 압력을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는 권취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544호, 2014.04.21.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원단의 무게 변화에 관계없이 원단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 가능하게 원단을 당기는 압력을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는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상기 권취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견인롤러의 하중에 더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무게조절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색 발현 장치는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색 발현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원단을 견인하는 한 쌍의 제1견인롤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간에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에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제1견인롤러와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제2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견인롤러의 무게에 자중을 더하여 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무게조절추와, 상기 히터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고 필요에 따라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거나 권취봉에 권취된 원단을 풀어 상기 제2견인롤러를 거쳐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권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하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단의 다양한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에 관계없이 원단을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센서를 통해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의 견인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원단의 장력을 자동으로 유지하면서 원단을 견인할 수 있다.
한편, 견인롤러의 외면에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원단을 견인하여 권취하거나 원단을 견인하여 가열하여 착색하거나 원단을 풀어가며 착색할 때 원단 표면에 도포된 염료가 착색되기 이전에 견인롤러에 묻어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원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가 설치됨에 따라 인쇄장치의 후단에 배치할 때 간편하게 인쇄장치와 평행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원단을 틀어지거나 비스듬하지 않게 견인할 수 있다.
또한,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기 위한 권취대의 좌우 폭 조절이 용이함에 따라 원단의 폭에 맞는 권취봉 설치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의 구동모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의 견인롤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의 구동수단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의 제2견인롤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의 연동 모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의 권취 모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 장치의 독립 모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문양을 위한 염료가 표면에 인쇄된 형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공급받아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원단을 견인하여 원단 표면에 인쇄된 염료를 열기로 착색시키는 색 발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는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할 때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에 대응되게 원단을 당겨주는 압력을 가변 조절 가능하여 원단의 무게에 관계없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색 발현장치는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른 무게에 관계없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견인하여 착색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할 수도 있고 권취된 원단을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풀어가면서 착색시킬 수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각각의 특징들은 권취장치와 색 발현장치에 각각 원단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라 무게에 대응되게 원단을 당겨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100)는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F)을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1과 같이 본체(110)와 권취대(120) 및 장력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권취대(120)와 장력조절수단(13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110)는 도 1 및 2와 같이 지지프레임(111)과 상부브래킷(112) 및 하부브래킷(1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1)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부브래킷(112)은 지지프레임(11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며, 하부브래킷(113)의 지지프레임(111)의 하부 양측에 각각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프레임(111)의 하부 양측에는 인쇄장치의 후단에 배치될 때 인쇄장치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인쇄장치에 배출되는 원단(f)이 일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인쇄장치의 후단에 밀착되는 수평가이드바(114)가 각각 설치된다.
단, 수평가이드바(114)는 각각 인쇄장치의 크기나 원단의 폭 등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권취대(120)는 본체(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F)을권취하기 위한 권취봉(R)의 양단을 축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권취대(120)는 도 1과 같이 상부브래킷(112)의 사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호 대향되도록 동일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권취대(121)와 제2권취대(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권취대(121)와 제2권취대(122)는 도 3과 같이 권취봉(R)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1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권취대(122)는 원단(F)의 폭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 권취봉(R)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부브레킷(112)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4와 같이 제2권취대(122)는 상부브래킷(1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바(12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압지하는 수평고정부재(125)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압지하는 수직고정부재(12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130)은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F)을 가이드하면서 원단(F)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장력조절수단(130)은 고정축(131)과 회동브래킷(132)과 견인롤러(133)와 체결홀(미도시) 및 무게조절추(135)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축(131)은 하부브래킷(113)의 전단에 권취봉(R)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회동브래킷(132)은 고정축(131)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것이다.
견인롤러(133)는 회동브래킷(132)의 일단 사이에 고정축(131)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F)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F)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단, 견인롤러(133)의 외주면에는 도 5와 같이 요철(13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133a)은 견인롤러(133)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F)의 표면과 견인롤러(133)이 접촉될 때 원단 표면의 염료가 견인롤러(133)의 외주면에 묻어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홀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동브래킷(132)의 타단에 형성되고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이고, 무게조절추(135)는 단부에 상기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사가 외면에 형성된 체결편(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견인롤러(133)의 하중에다가 자중을 더하여 원단(f)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단, 무게조절추(135)는 원단(F)의 무게에 관계없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할 수 있도록 원단(F)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하면 된다.
즉, 무게조절추(135)는 권취봉(R)에 권취되는 원단(F)의 폭과 두께 등에 따른 다양한 무게를 가진 무게조절추(135) 중에서 원단(F)의 무게에 가장 적합한 무게를 가진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원단(F)의 무게에 따라 다양한 무게의 무게조절추(135)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홀(134)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단(F)의 폭과 두께 등에 따라 무게가 다르더라도 원단(F)에 가해지는 힘을 대응되게 조절 가능하므로 원단(F)을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할 수 있다.
이때 회동브래킷(132)의 타단에는 도 2와 같이 무게조절추(135)를 체결하여 거치하는 거치홀(136)이 더 설치된다. 상기 거치홀(136)은 무게조절추(135)의 분실을 막기 위한 보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무게조절추(135)의 무게와 체결홀에 체결되는 무게조절추(135)의 무게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단(F)의 무게에 가장 적합한 힘으로 원단(F)을 당겨주는 기능을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100)는 도 2 및 4와 같이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구동모터(12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140)와 제어수단(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근접센서(140)는 도 2와 같이 하부브래킷(113)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동브래킷(132)의 위치를 감지하여 회동브래킷(132)의 위치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수단(150)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수단(150)은 도 4와 같이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근접센서(1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구동모터(123)로 송신하여 구동모터(123)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인쇄장치에서 원단(F)이 배출되어 권취봉(R)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도 6의 (a)와 같이 근접센서(140)가 회동브래킷(13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123)가 계속 구동되면서 원단(F)이 권취봉(R)에 권취된다. 그러다가 도 6의 (b)와 같이 근접센서(140)가 회동브래킷(132)을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23)가 정지되면서 원단(F)의 권취가 중지된다.
즉, 인쇄장치에서 원단(F)이 계속 배출되는 경우에는 회동브래킷(132)의 일단인 견인롤러(133)가 감지각도 이하로 하방 회전되면서 구동모터(123)가 구동하여 원단(F)을 권취봉(R)에 권취하게 되고, 인쇄장치에서 원단 배출이 순간적으로 정지되는 경우에는 원단(F)에 의해 회동브래킷(132)의 일단인 견인롤러(133)가 감지각도로 상방 회전되면서 구동모터(123)가 정지하여 원단(F)의 권취를 자동으로 중지하게 된다.
단, 하부브래킷(113)의 하부에는 도 6의 (b)와 같이 견인롤러(133)의 하방 회전 각도로 제한하기 위하여 회동브래킷(132)의 일단을 간섭하는 스토퍼(115)가 회동브래킷(13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장치(200)는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F)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것으로, 이는 도 7 내지 9와 같이 본체(210)와 제1견인롤러(220)와 히터(230) 및 장력조절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견인롤러(220)와 히터(230) 및 장력조절수단(24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210)는 도 7과 같이 지지프레임(211)과 상부브래킷(212) 및 하부브래킷(2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11)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부브래킷(212)은 지지프레임(21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며, 하부브래킷(213)의 지지프레임(211)의 하부 양측에 각각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프레임(211)의 하부 양측에는 도 8과 같이 인쇄장치의 후단에 배치될 때 인쇄장치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인쇄장치에 배출되는 원단(f)이 일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인쇄장치의 후단에 밀착되는 수평가이드바(214)가 각각 설치된다.
단, 수평가이드바(214)는 각각 인쇄장치의 크기나 원단의 폭 등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견인롤러(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f)을 견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견인롤러(220)는 도 12와 같이 상부브래킷(212)의 사이 후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원단(f)의 상면과 하면을 압지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원단(f)의 두께보다 좁은 상하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된 상부견인롤러(221)와 하부견인롤러(2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견인롤러(221)는 도 11에 도시된 제1구동모터(2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하부견인롤러(222)와 함께 원단(f)을 압지하면서 견인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터(230)는 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견인롤러(220)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f)을 가열하여 원단(f)의 표면에 도포된 염료를 고열로 착색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히터(230)는 도 12와 같이 상부브래킷(212)의 사이 중간에 원단(f)이 견인되는 경로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230)는 원단(f)의 재질이나 두께, 염료의 온도특성에 따라 발열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240)은 본체(210)의 하부 전단에 설치되어 제1견인롤러(220)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f)에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장력조절수단(240)은 도 8과 같이 고정축(241)과 회동브래킷(242)과 제2견인롤러(243)와 체결홀(미도시)과 무게조절추(245) 및 권취대(246)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축(241)은 하부브래킷(213)의 전단에 제1견인롤러(22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회동브래킷(242)은 고정축(241)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것이다.
제2견인롤러(243)는 회동브래킷(242)의 일단 사이에 고정축(241)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F)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F)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때 제2견인롤러(243)의 외주면에는 도 10과 같이 요철(24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243a)은 제2견인롤러(243)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F)의 표면과 제2견인롤러(243)이 접촉될 때 원단(f) 표면의 염료가 제2견인롤러(243)의 외주면에 묻어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홀은 회동브래킷(242)의 타단에 형성되고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이고, 무게조절추(245)는 단부에 상기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사가 외면에 형성된 체결편(미도시)이 돌출 설치되어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제2견인롤러(243)의 하중에다가 자중을 더하여 원단(f)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단, 무게조절추(245)는 원단(F)의 무게에 관계없이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권취할 수 있도록 원단(F)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하면 된다.
즉, 무게조절추(245)는 권취봉(R)에 권취되는 원단(F)의 폭과 두께 등에 따른 다양한 무게를 가진 무게조절추(245) 중에서 원단(F)의 무게에 가장 적합한 무게를 가진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원단(F)의 무게에 따라 다양한 무게의 무게조절추(245)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홀(244)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단(F)의 폭과 두께 등에 따라 무게가 다르더라도 원단(F)에 가해지는 힘을 대응되게 조절 가능하므로 원단(F)을 구김이나 늘어짐 없이 견인하여 착색시킬 수 있다.
이때 회동브래킷(242)의 타단에는 도 9와 같이 무게조절추(245)를 거치하는 거치홀(247)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거치봉(246)은 무게조절추(245)의 분실을 막기 위한 보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무게조절추(245)의 무게와 체결홀(244)에 체결되는 무게조절추(245)의 무게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단(F)의 무게에 가장 적합한 힘으로 원단(F)을 당겨주는 기능을 하기 위함이다.
권취대(246)는 히터(230)와 회동브래킷(2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f)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봉(R)의 양단을 축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권취대(246)은 필요에 따라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을 권취봉(R)에 단순 권취할 때나 권취봉(R)에 권취된 원단(f)을 풀어 가열하여 착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권취대(246)은 도 12과 같이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을 바로 가열하여 착색하는 연동모드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도 13과 같이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을 권취봉(R)에 단순 권취하거나 도 14와 같이 권취봉(R)에 권취된 원단을 풀어 가열하여 착색시키는 독립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권취대(246)는 도 8과 같이 상부브래킷(212)의 사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호 대향되도록 동일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권취대(246a)와 제2권취대(246b)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권취대(246a)와 제2권취대(246b)는 권취봉(R)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구동모터(246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권취대(246b)는 원단(F)의 폭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 권취봉(R)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부브레킷(212)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권취대(246b)는 도 8과 같이 상부브래킷(2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바(246d)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압지하는 수평고정부재(246e)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압지하는 수직고정부재(246f)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 발현장치(200)는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제1구동모터(223)와 제2구동모터(246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250)와 제어수단(26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근접센서(250)는 하부브래킷(213)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동브래킷(242)의 위치를 감지하여 회동브래킷(242)의 위치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수단(260)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수단(260)은 근접센서(25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1구동모터(223)와 제2구동모터(246c)로 송신하여 제1구동모터(223)와 제2구동모터(246c)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을 견인하면서 가열하여 착색시키는 연동모드에서는 제1구동모터(223)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단(f)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착색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f)을 견인하여 권취봉(R)에 권취하는 감김이 독립모드에서는 제2구동모터(246c)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단(f)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권취하게 된다.
또한, 도 14와 같이 인쇄장치와는 별개로 권취봉(R)에 권취된 원단을 풀어가면서 가열하여 착색시키는 풀림이 독립모드에서는 제1구동모터(223)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단(f)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착색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연동모드와 독립모드에서 회동브래킷(242)의 일단인 제2견인롤러(243)가 감지각도 이하로 하방 회전되면 제1구동모터(223) 또는 제2구동모터(246c)가 구동하게 되고, 회동브래킷(242)의 일단인 제2견인롤러(243)가 감지각도로 상방 회전되면 제1구동모터(223) 또는 제2구동모터(243)가 중지하게 되면서 원단(f)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브래킷(213)의 하부에는 도 12와 같이 제2견인롤러(243)의 하방 회전 각도로 제한하기 위하여 회동브래킷(242)의 일단을 간섭하는 스토퍼(215)가 회동브래킷(24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권취장치
110: 본체
111: 지지프레임
112: 상부브래킷
113: 하부브래킷
114: 수평가이드바
115: 스토퍼
120: 권취대
121: 제1권취대
122: 제2권취대
123: 구동모터
124: 슬라이드바
125: 수평고정부재
126: 수직고정부재
130: 장력조절수단
131: 고정축
132: 회동브래킷
133: 견인롤러
133a: 요철
135: 무게조절추
136: 거치홀
140: 근접센서
150: 제어수단
200: 색 발현 장치
210: 본체
211: 지지프레임
212: 상부브래킷
213: 하부브래킷
214: 수평가이드바
215: 스토퍼
220: 제1견인롤러
221: 상부견인롤러
222: 하부견인롤러
223: 제1구동모터
230: 히터
240: 장력조절수단
241: 고정축
242: 회동브래킷
243: 제2견인롤러
243a: 요철
245: 무게조절추
246: 권취대
246a: 제1권취대
246b: 제2권취대
246c: 제2구동모터
246d: 슬라이드바
246e: 수평고정부재
246f: 수직고정부재
247: 거치홀
250: 근접센서
260: 제어수단
F: 원단
R: 권취봉

Claims (8)

  1.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상기 권취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홀에 구비된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가가 외면에 형성된 체결편이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견인롤러의 하중에다가 자중을 더하여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고 무게조절추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조절추를 거치하거나 별도의 무게조절추를 더 거치하여 상기 무게조절추의 분실을 막고 상기 별도의 무게조절추의 무게를 더할 수 있는 거치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롤러의 외주면에는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염료가 묻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는
    인쇄장치의 후단에 배치될 때 인쇄장치와 평행을 이루면서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이 일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인쇄장치의 후단에 밀착되고 인쇄장치의 크기나 원단의 폭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평가이드바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브래킷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회동브래킷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켜 상기 원단의 장력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3. 삭제
  4. 삭제
  5. 인쇄장치에서 염료가 표면에 도포된 상태로 배출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색 발현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원단을 견인하는 한 쌍의 제1견인롤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간에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염료를 착색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원단에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에 제1견인롤러와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중심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의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견인하면서 자중으로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는 제2견인롤러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홀에 구비된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가가 외면에 형성된 체결편이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원단의 무게에 대응되는 하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견인롤러의 하중에다가 자중을 더하여 원단을 당겨 장력을 부여하고 무게조절추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조절추를 거치하거나 별도의 무게조절추를 더 거치하여 상기 무게조절추의 분실을 막고 상기 별도의 무게조절추의 무게를 더할 수 있는 거치홀과, 상기 히터와 상기 회동브래킷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봉의 양단을 축지하여 필요에 따라 제2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권취봉에 권취하거나 권취봉에 권취된 원단을 풀어 상기 제2견인롤러를 거쳐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권취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견인롤러의 외주면에는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염료가 묻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전단 양측에는
    인쇄장치의 후단에 배치될 때 인쇄장치와 평행을 이루면서 인쇄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단이 일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인쇄장치의 후단에 밀착되고 인쇄장치의 크기나 원단의 폭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평가이드바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발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브래킷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회동브래킷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켜 원단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발현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141943A 2015-10-12 2015-10-12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KR10172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43A KR101722965B1 (ko) 2015-10-12 2015-10-12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43A KR101722965B1 (ko) 2015-10-12 2015-10-12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965B1 true KR101722965B1 (ko) 2017-04-04

Family

ID=5858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943A KR101722965B1 (ko) 2015-10-12 2015-10-12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072A (ko) * 2008-07-23 2008-08-21 크로다 우방 주식회사 가열식 전사장치 자동제어시스템
KR20140046544A (ko)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072A (ko) * 2008-07-23 2008-08-21 크로다 우방 주식회사 가열식 전사장치 자동제어시스템
KR20140046544A (ko)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6822C2 (ru) Машина с цифровым управлением для печати на тканях
US20110229239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US2984429A (en) Single rollstand web handling machine
JP2003261121A (ja) ラベル発行装置
US20170282601A1 (en) Adjustable s-rollers in a print system
KR101722965B1 (ko)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색 발현장치
KR101849947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US4606533A (en) Machine for converting rolled cloth into sheets
EP2918531B1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media reel-out method
US10696079B2 (en) Printer device for thermal printing or embossing
KR101110162B1 (ko) 합성수지 원단의 프린팅 장치
KR20150092520A (ko) 비닐 시트 포장장치
KR20170096536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테이크업장치
JPH11208987A (ja) 延反機
KR102112474B1 (ko) 출력매체용 언와인더의 텐션 유지장치
KR200323741Y1 (ko) 비닐 테이프 권취용 텐션 조절구
JP7056928B2 (ja) フィルムの原反径の計測システム
KR101210697B1 (ko) Ac모터를 이용한 위치 제어장치의 구동수단
JPH08216363A (ja) 自動紙通し装置のウェブ送り装置
CN218144912U (zh) 一种高弹性复合无纺布卷绕装置
KR20190068380A (ko) 롤원단 권출기구를 갖춘 전사기
KR200298340Y1 (ko) 접착식 스팽글 부착장치의 원단 텐션장치
US1137312A (en) Roller-spreading device for embroidering-machines.
KR20070111134A (ko) 플로터의 원단 장력조절 장치
KR900011215Y1 (ko) 종이자동연속 착색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