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946B1 -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946B1
KR101722946B1 KR1020167007377A KR20167007377A KR101722946B1 KR 101722946 B1 KR101722946 B1 KR 101722946B1 KR 1020167007377 A KR1020167007377 A KR 1020167007377A KR 20167007377 A KR20167007377 A KR 20167007377A KR 101722946 B1 KR101722946 B1 KR 10172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ser equipment
baseband
pha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828A (ko
Inventor
휘 황
펭쳉 장
동메이 팡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4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2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ransmit antennas, e.g. of the amplitude or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1Crossed polarisation du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9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special antenna structures, e.g. cross polarized antenna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73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constraints in layer or codeword to antenna mapping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 H04B7/081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during preamble or gap peri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베이스 밴드 유닛,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유닛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베이스 밴드 유닛은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 하고,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IF/RF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IF/RF 유닛은, 4개의 송신 채널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케이블 보상 위상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4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DEVICE, BASEBAND UNIT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dual-columns cross polarization antennas)를 포함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밴드 유닛,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 유닛을 포함한다. IF/RF 유닛은 케이블을 통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IF/RF 유닛에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F/RF 유닛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IF/RF 유닛 내의 송신 경로 사이의 차이, IF/RF 유닛과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을 연결하는 케이블 사이의 차이, 및 정확하게 제어될 수 없는, 전송 신호의 다양한 경로 사이의 위상(phase)과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신호의 다양한 경로의 위상을 정확하게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통신 장치는, 베이스 밴드 유닛,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 유닛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Dual-Columns Cross Polarization Antennas)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은 광섬유를 통해 상기 IF/RF 유닛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IF/RF 유닛은 케이블들을 통해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IF/RF 유닛은 4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Co-Polarized)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m 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하며,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은,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phase)을 결정하고-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 하고, 보정된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IF/RF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IF/RF 유닛은,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1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페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2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고,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3 구현에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4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고-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5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7167712-pct00001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002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003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유닛이,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04
및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05
을 만족하면,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6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06
에 따라,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007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08
에 따라,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09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0
에 따라, 첫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1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2
은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3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4
는, 상기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5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한다.
제1 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7 구현에서, m은 2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6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1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0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1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2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3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4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5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6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7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8 구현에서, m은 4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8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9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8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2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2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3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4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5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6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7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8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39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0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9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10 구현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기지국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공되고, 베이스 밴드 유닛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여,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 유닛의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고 -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속한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m은 양의 정수임 -,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1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2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고,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3 구현에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4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페이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5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1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042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043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44
및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45
을 만족하면,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6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6
에 따라,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7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8
에 따라,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49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0
에 따라, 첫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1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2
은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3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4
는, 상기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5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한다.
제2 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7 구현에서, m은 2이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6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5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0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1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2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3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4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5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6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7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8 구현에서, m은 4이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8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9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8
에 따라, 4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6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2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3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4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5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6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7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8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79
Figure 112016026837614-pct00080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베이스 통신 방법은,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을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은 양의 정수이다.
제3 측면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1 구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2 구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들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3 구현에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4 구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 및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5 구현에서,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시그널이 수신될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7167712-pct00081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082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083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기지국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84
및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085
을 만족하면,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6 구현에서,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86
에 따라, 상기 p번째 시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087
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88
에 따라,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89
를 획득하는 단계; 및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0
에 따라, 첫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1
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2
는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3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4
는,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5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7 구현에서, m은 2이고,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6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09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0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1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2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3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4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5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6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7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8 구현에서, m은 4이고,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가능한 제8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9 구현에서, 상기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8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0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2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3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4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5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6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7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8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19
Figure 112016026837614-pct00120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공되고, 베이스 밴드 유닛은,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속한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이며,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은,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보정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m은 양의 정수이다.
제4 측면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1 구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2 구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고,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3 구현에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4 구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이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5 구현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7167712-pct00121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122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123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124
및 부등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125
을 만족하면,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한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6 구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26
에 따라,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127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결정 유닛이,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28
에 따라,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129
를 획득하고,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0
에 따라, 첫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1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2
은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3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4
는, p-1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5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7 구현에서, m은 2이고, 상기 생성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생성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6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3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0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1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2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3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4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5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6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7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내지 제6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8 구현에서, m은 4이고, 상기 생성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생성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가능한 제8 구현을 참조하면, 가능한 제9 구현에서, 상기 생성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생성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8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4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2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3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4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5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6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7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8
는 각각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59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0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다음에서,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분명한 것은,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별한 창작 노력 없이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 포트 매핑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 포트 매핑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한 것은,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단지 일부 실시예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 노력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의 방법은, 기지국 내의 베이스 밴드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방법은, 분산된 기지국, 매크로(macro) 기지국, 또는 스몰-셀(small-cell)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 내의 베이스 밴드에의해 실행 될 수 있다.
단계(110)에서, 4 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한다.
단계(120)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한다. 케이블 보상 위상은, 제1 그룹의 공동-편파(Co-Polarized)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공동-편파 안테나의 제2 그룹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가다.
단계(130)에서,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4 개의 채널을 생성한다.
단계(140)에서, 4 개의 송신 채널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을 통해, 보정된 베이스 밴드 신호의 4채널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4개의 송신 채널을 보정 한다.
기지국은, 베이스 밴드 유닛, IF/RF 유닛,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은, 광섬유를 통해, IF/RF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IF/RF 유닛은, 케이블을 통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연결될수 있으며, IF/RF 유닛은, 4 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m 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하며, m은 양의 정수이다. 다른 유형의 기지국 내에서, IF/RF 유닛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된 기지국에서, IF/RF 유닛은 무선 원격 유닛(Radio Remote Unit, RRU)이라고 명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편파 안테나의 4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및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공동-편파 안테나의 제1 페어로서 명명될 수 있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공동-편파 안테나의 제2 페어로서 명명될 수 있다.
IF/RF 유닛은 4 안테나 인터위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각 안테나 인터위상은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내의 하나의 컬럼의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안테나의 컬럼은 하나의 케이블에 대응한다.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사이의 케이블 위상차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내의 안테나의 두 컬럼에 대응하는 케이블 사이의 위상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의 케이블 위상차는,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에 연결된 케이블 및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에 연결된 케이블 사이의 위상차일 수 있다.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사이의 케이블 위상차는,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내의 안테나의 두 컬럼에 대응하는 케이블 사이의 위상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의 케이블 위상차는,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에 연결된 케이블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에 연결된 케이블 사이의 위상차일 수 있다. 케이블 위상 보상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의 케이블 위상차와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의 케이블 위상차의 차이가다. 따라서, 케이블 보상 위상은, 공동-편파 안테나의 두 그룹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대한, 케이블 연결 안테나 인터위상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블 사이에 위상차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공동-편파 안테나의 다양한 그룹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은 일치하지 않는다. 종래의 보상 방식에서, 베이스 밴드 유닛은, 단순하게,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보정한다. 즉, 베이스 밴드 유닛은, 케이블 간의 위상차를 고려하지 않고, IF/RF 유닛 내의 송신 채널만을 보정한다. 그러나 그러한 위상차 때문에, 송신 신호의 위상은 정확하게 제어 될 수 없고, 다운링크 처리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가 전송될 때, 공동-편파 안테나의 다양한 그룹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의 차이는 충분히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밴드 유닛은, 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위상 보상 위상를 결정한다. 이후에, 베이스 밴드 유닛은,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하게 제어되고 시스템 다운링크 처리량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4 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보상 위상에 따라, 생성된 베이스 밴드 신호의 4 개의 송신 채널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이 결정되고, 4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4채널은 보정된다.
또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교하게 제어가능 하므로, 다운링크 처리량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하나의 그룹 시스템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여러 그룹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8-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두 그룹으로 간주될 수 있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각 그룹에 대해, 단계(110) 내지 단계(140)가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시예로서, 단계(110)에서, 4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은, 종래 기술의 보상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된 기지국에 대해, BBU(Baseband Unit)는, 각 송신 채널에 송신 보상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송신 채널, 보상 커플링 회로(correction coupling circuit), 및 보상 수신 채널을 통과한 이후, 송신 보상 기준 신호는 BBU에 리턴 된다. BBU는 각 송신 채널에 의해 리턴 된 신호 및 송신 보상 기준 신호 사이의 진폭 및/또는 위상차를 계산할 수 있고, 각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로써, 진폭 및/또는 위상차를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송신 채널의 진폭 및/또는 위상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추가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기지국에 대해, BBU는 송신 보상 기준 신호를 보상 송신 채널에 전송할 수 있고, 보상 송신 채널, 보상 커플링 회로(correction coupling circuit), 및 수신 채널을 통과한 이후, 수신 보상 기준 신호는 BBU로 리턴 될 수 있다. BBU는, 각 수신채널에 의해 리턴 된 신호 및 수신 보상 기준 신호 사이의 진폭 및/또는 위상차를 계산할 수 있고, 각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로써, 진폭 및/또는 위상차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사운딩 시그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기지국이 수신한 이후, 수신채널의 보상 계수를 사용한 보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수신 채널의 진복 및/또는 위상을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20)에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LOS)경로인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채널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 케이블, 및 IF/RF 유닛 내의 수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대해, 4채널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베이스 밴드 유닛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4채널은, 또한,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각 채널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편파 안테나의 1 컬럼 사이의 채널, 편파 안테나의 컬럼, 편파 안테나의 컬럼 및 기지국의 안테나 인터페이스 사이의 케이블, 및 기지국 내의 수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과 일대일 대응한다.
베이스 밴드 유닛에 의해 통신 방법이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 및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기지국 사이의 응답은,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사이의 채널 응답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분산된 기지국에 대해, 사용자 장비 및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BBU 사이의 채널 응답을 나타낼 수 있다.
가시선 경로는, 두 통신 당사자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않는 경로를 의미한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대해,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공동-편파 안테나의 하나의 그룹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 간 위상차는, 공동-편파 안테나의 다른 그룹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 간 위상차와 동일하다.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신 채널을 보정한 이후, 수신 채널의 응답은 일정하다. 즉,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및 기지국의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케이블 보상 위상은,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응답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채널 응답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종래 방식에 따른 참고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20)에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의 응답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 내의 각 요소들은,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의 각 두 채널 간 연관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지 아닌지가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20)에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안테나는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제2 안테나는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제3 안테나는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제4 안테나는 제4 개의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만약, 제1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2 채널과 제4 개의 채널 사이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인 것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양의 45°안테나의 제1 컬럼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음의 45°안테나의 제1 컬럼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안테나는 양의 45°안테나의 제2 컬럼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음의 45°안테나의 제2 컬럼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과 일대일 관계이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4 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 3채널, 및 제 4채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 응답은, 전체 대역에 걸쳐 동일한 진폭을 갖고, 위상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두 채널간 은 높은 연관관계가 있다.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크로수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 아니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과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응답은 각 서브캐리어가 다르다. 공동-편파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의 송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의 두 채널 사이는 낮은 연관 관계가 있다.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 내의 각 구성 요소는,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의 각 두 채널 간 연관을 의미한다. 수신 채널의 응답은 동일하고, 공동-편파 안테나의 두 그룹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는, 전 대역에 걸쳐, 채널 사이의 고정된 위상차를 야기하지만, 채널 연관의 진폭 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내에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채널 간 연관의 진폭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채널 간 연관의 진폭을 사용함으로써, 전대역-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가시선 경로은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사선 경로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 간 연관의 진폭 및 제2 채널 및 제4 개의 채널 간 연관의 진폭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및 제3 채널 사이의 연관이 임계치보다 큰지 결정될 수 있고, 제2 채널 및 제4 개의 채널 사이의 연관이 임계치보다 큰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두 연관이 모두 임계치 보다 크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인 것을 나타낸다. 임계치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임계치의 범위는 0에서 1 사이, 예를 들어, 0.8 또는 0.9로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에로서, 단계(120)에서,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은,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위상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 사이의 위상차이고, 제2 위상은 제2 채널 및 제4 개의 채널 사이의 위상차이다.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기 위해, 제1 위상 및 제2 위상의 차이 값은 필터링될 수 있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대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간 위상차는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간 위상차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 및 제3 안테나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간 위상차를 A라고 가정하고, 제2 안테나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 및 제4 안테나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간 위상차를 B라고 가정한다. 만약,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A와 B는 같다. 수신 채널의 응답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채널과 제3 채널간 위상차 및 제2 채널과 제4 개의 채널간 위상차는 결정될 수 있고,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은 계산될 수 있다. 에러를 줄이기 위해, 차이 값은 필터링 되어, 최종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는 연속적으로 수신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하나의 케이블 보상 위상이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는 현재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로 이해될 수 있고, 케이블 보상 위상은 현재 케이블 보상 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현재 수신된 사용자 장비의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가 아님이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로부터 이전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획득된 케이블 보상 위상은 현재 케이블 보상 위상으로서 사용된다. 즉, 케이블 보상 위상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남는다. 만약,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시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가 아님이 결정되면, 케이블 보상 위상은 디폴트(default)에 의해 0으로 간주 될 수 있다.
케이블 보상 위상이 결정되는 방식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사용하여, 다음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1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162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163
는, 베이스 밴드 유닛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다.
만약,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이하의 부등식 1 및 부등식 2를 만족하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인 것이 결정된다.
[부등식 1]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4
[부등식 2]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5
여기에서, Thre는 임계치를 의미한다. 임계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re는 0.8 또는 0.9로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P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6
은 이하의 수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7
여기에서,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8
은 제1 위상을 의미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69
는 제2 위상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0
을 필터링 하는 과정에는, 이하의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p가 1보다 클 때,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이 이하의 수식 4에 의해 필터링되어,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1
을 을 획들할 수 있다.
[수식 4]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2
여기에서,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3
는, P-1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4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한다.
p=1일 때,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5
은 이하의 수식 5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수식 5]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식 내의 심볼(symbol) '^'은 추정 값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케이블 보상 위상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는 실행될 수 있고, 획득된 케이블 보상 위상은, 현재 베이스 밴드 신호의 위상 보정을 위한 근거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 신호의 실시간 보정이 구현되고, 에러가 줄어든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p가 1보다 큰 경우, 부등식 1 또는 부등식 2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p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가 아닌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p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7
이다. 구체적으로, p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가 아니면, 사용자 장비로부터 이전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획득한 케이블 보상 위상이 현재 베이스 밴드 신호의 보정 위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가 1일 때,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가 아닌 것이 결정된다면, 케이블 보상 위상은 드폴트에 의해 0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였다.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한 이후, 기지국은, 논리 포트 및 물리적 안테나 사이의 매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30)에서, m은 2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2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한다. 4개의 채널의 배이스 밴드 신호는 이하의 수식 6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8
여기에서,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7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2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3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4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5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6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7
는 각각,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8
Figure 112016026837614-pct00189
는 각각,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두 논리 포트의 신호의 에너지의 총량은 상수가 되도록, 두 논리 포트의 신호는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채널 주파수 도메인 변동(fluctuation)을 피하고, 다운링크 처리 용량을 개선하며,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30)에서, m은 4일 수 있다.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제1 채널이 생성될 수 있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제2 채널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제3 채널이 생성될 수 있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제4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4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1 포트의 신호는 제1 송신 채널에 매핑될 수 있고, 제3 포트의 신호는 제2 송신 채널에 매핑될 수 있으며, 제2 포트의 신호는 제3 송신 채널에 매핑될 수 있고, 제4 포트의 신호는 제4 송신 채널에 매핑될 수 있다. 폐쇄-루프 MIMO 시스템(closed-loop MIMO system)에서, 대부분의 코드 위드(codewords)에 대해, 가중된, 첫 번째 두 논리 포트간 위상차는, 가중된, 두 번째 두 논리 포트간 위상차와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MIMO 채널 응답은 폐쇄-루프 MIMO 코드북(codebook)과 더 잘 매칭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처리 용량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30)에서, m은 4 일수 있고, 4개의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가 이하의 수식 7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7]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0
여기에서,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1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2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3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4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5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6
,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7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8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199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0
는 각각, 제1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1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2
는 각각, 제2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140)에서, 4개의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는 각각, 4개의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가 곱해질 수 있다. 4개의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 중 1개의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는, 추가로, 보정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케이블 보상 위상이 곱해질 수 있다.
다음은,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예는 단순히, 당업자의,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나은 이해를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나타난 시나리오에서, 기지국(210)은 베이스 스테이션에 분산될 수 있고, 통신은 기지국(210) 및 사용자 장비(22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BBU(211), RRU(212),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213)를 포함할 수 있다. BBU(211)는, 광섬유를 통해 RRU(212)에 연결될 수 있고, RRU(212)는 4개의 안테나 인터페이스(antenna interfaces,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4개의 안테나 인터페이스는, 4개의 케이블을 통해, 각각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213)에 연결될 수 있다.
RRU(212)는 송신 채널(0) 내지 송신 채널(3), 수신 채널(0) 내지 수신 채널(3), 보정 송신 채널, 보정 수신 채널, 및 보정 커플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213)는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채널, 수신 채널, 케이블, 및 편파 안테나는 일대일 대응한다.
다음은, 도 2에 나타난 시나리오를 기초로 하여, 기지국(210) 및 사용자 장비(220) 사이의 신호 전송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1)에서, BBU(211)는, RRU(212) 내의,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BBU(211)는, 송신 보정 기준 신호를 송신 채널(0) 내지 송신 채널(3) 각각에 전송할 수 있고, 송신 보정 기준 신호는, 보정 커플링 회로 및 보정 수신 채널을 통해, BBU(211)에 리턴 된다. BBU(211)는, 각 피드백 신호와 송신 보정 기준 신호 사이의, 진폭 및 위상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진폭 및 위상차를 대응하는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로서 사용한다.
BBU(211)는 수신 보정 기준 신호를 보정 송신 채널에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보정 기준 신호는, 보정 커플링 회로 및 각 수신 채널(0) 내지 수신채널(3)을 통해, BBU(211)에 리턴된다. BBU(211)는, 각 피드백 신호 및 수신 보정 기준 신호 사이의, 진폭 및 위상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진폭 및 위상차를, 대응하는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로서 사용한다.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송신 채널의 응답을 상수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즉,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3
이고, T0, T1, T2, 및 T3는 각각, 송신 채널(0) 내지 송신채널(3)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는, 수신 채널의 응답을 상수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즉,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4
이고, R0, R1, R2, 및 R3는 각각, 수신 채널(0) 내지 수신채널(3)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단계(2)에서, BBU(211)은 케이블 보상 위상을 계산한다.
도 2에서,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5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6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7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8
는 각각, RRU(212)와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사이의 케이블의 응답 특성, RRU(212)와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사이의 케이블의 응답 특성, RRU(212)와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 사이의 케이블의 응답 특성, 및 RRU(212)와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 사이의 케이블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6026837614-pct0020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2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213) 및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응답을 의미한다. K는 양의 정수이다. BBU(211)가 사용자 장비(220)으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시그널을 수신할 때마다, BBU(211)는 하나의 케이블 보상 위상을 계산한다. 다음, p 번째로 사용자 장비(220)로부터, BBU(211)가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A)BBU(211)는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채널 응답을 계산한다.
4개 채널은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에 존재한다.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각 채널은, 사용자 장비(220) 및 편파 안테나의 컬럼 사이의 채널, 편파 안테나의 컬럼 및 RRU(212) 사이의 케이블, 및 대응하는 수신 채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상이의 채널(0)은 사용자 장비(220) 및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사이의 채널,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 사이의 채널 및 RRU(212) 사이의 케이블, 및 수신 채널(0)을 포함한다.
BBU(211)은, p 번째로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k번째 서브케리어 상의,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i 번째 채널의 채널 응답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3
을 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할 때, BBU(211)는, 먼저, 단계(1)에서 계산된,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신호를 보상한다. 이후에, 보상된 업링크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k번째 서브케리어 상의,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i 번째 채널의 채널 응답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4
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각 채널은 수신 채널, 케이블,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i 번째 채널의 채널 응답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5
과 i 번째 수신 채널의 응답 특징 사이의 관계 및 i 번째 케이블의 응답 특징과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 및 BBU(211) 사이의 i 번째 채널의 응답 특징 사이의 관계는 수식 8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수식 8]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6
i는 0, 1, 2, 또는 3이다.
여기에서,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7
은, i 번째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에 따라 보정이 수행된 이후에 획득된 i 번째 수신 채널의 응답 특성이다. 단계(1)을 기초로하여, 수신 채널의 보상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수신 채널이 보정된 이후, 수신 채널들의 응답 특징은 동일하다.
B) BBU(211)는 수식 9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R)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 9]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8
K는 신호 대역폭 내의 서브케리어의 수이다. 예를 들어, 20 Mhz 대역폭의 LTE 시스템에 대해, K=200이다.
C) BBU(211)는 수식 1 및 수식 2를 만족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D) 수식 1 및 수식 2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한다면, BBU(211)는 사용자 장비(220) 및, 기지국(210)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은 가시선 경로인 것을 결정한다.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대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이면,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간 위상차는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두 채널간 위상차와 동일하다. 즉 이하의 수식 10을 만족한다.
[수식 10]
Figure 112016026837614-pct00219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BBU(211)는, 수식 11에 따라, p 번째로, 사용자 장비(220)으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0
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위상은,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와 BBU(211) 간 채널(0) 및,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와 BBU(211) 간 채널(2) 사이의 위상차일 수있다. 제2 위상은,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와 BBU(211) 간 채널(1) 및, 사용자 장비(220)의 송신 안테나와 BBU(211) 간 채널(3) 사이의 위상차일 수 있다.
[수식 11]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1
이후에, 수식 11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차이 값은, 수식 4에 따라 필터링 되어, 마지막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2
이 획득된다. 실제로, 수식 11에 따라 획득되는 결과는 필터링 되지 않은 케이블 보상 위상이다.
단계(3)에서, BBU(211)는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계(3)에서, BBU(211)는 논리 포트 및 수신 채널 사이의 매핑 동작을 수행한다.
A) 기지국(210)이, 2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하면, BBU(211)는 2개의 논리 포트를 4개의 송신 채널에 매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 포트 매핑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BU(211)는,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신호에 MIMO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수식 6, MIMO 인코딩의 방식으로 획득된,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3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4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5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6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7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8
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된 두 포트의 신호의 총 에너지 량이 같아지도록, 두 포트 사이의 신호는 상보적이다. 따라서, 채널 주파수 도메인의 변동(fluctucation)이 방지되고, 다운링크 처리량은 계선된다.
B) 기지국(210)은 4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하면, BBU(211)는 4개의 논리 포트를 4개의 송신 채널에 매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 포트 매핑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BBU(211)는,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신호에 MIMO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수식, MIMO 인코딩의 방식으로 획득된,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29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0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1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2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3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4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5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6
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논리 포트(0)는 송신 채널(0)에 매핑될 수 있고, 논리 포트(2)는 송신 채널(1)에 매핑될 수 있으며, 논리 포트(1)는 송신 채널(2)에 매핑될 수 있고, 논리 포트(3)는 송신 채널(3)에 매핑될 수 있다.
표 1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프로토콜(36.211)에서 구체화된 폐-루프 코드북(closed-loop codebook)이다. 4-포트 폐-루프 코드북은 총, 16개 코드 워드를 포함하고, 첫 12개 코드워드는 공통 특징을 포함한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통 특징은, 포트(0) 및 포트(1) 사이의 가중된 위상차는 포트(2) 및 포트(3) 사이의 가중된 위상 차이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코드 인덱스(Code Index) 포트 0 (Port 0) 포트 1 (Port 1) 포트 2 (Port 2) 포트 3 (Port 3)
0 1 1 1 1
1 1 i -1 -i
2 1 -1 1 -1
3 1 -i -1 i
4 1 0.707+0.707i i -0.707+0.707i
5 1 -0.707+0.707i -i 0.707+0.707i
6 1 -0.707-0.707i i 0.707-0.707i
7 1 0.707-0.707i -i -0.707-0.707i
8 1 1 -1 -1
9 1 i 1 i
10 1 -1 -1 1
11 1 -i 1 -i
12 1 1 1 -1
13 1 1 -1 1
14 1 -1 1 1
15 1 -1 -1 -1
상술한 바와 같이, 매핑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 응답은 폐-루프 MIMO 코드북과 일치한다. 따라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 채널 응답 및 폐-루프 MIMO 코드북 사이의 개선된 매칭이 달성된다.
단계(4)에서, BBU(211)는, 단계(1)에서 획득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단계(2)에서 획득된 케이블 위상 보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3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0
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BBU(211)는 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1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2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3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4
에, 대응하는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를 곱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5
에 송신 채널(0)의 보상 계수를 곱하고,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6
에 송신 채널(1)의 보상 계수를 등을 곱하여,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7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8
,
Figure 112016026837614-pct00249
, 및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0
를 획득한다.
이후에, BBU(211)는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1
의 케이블 위상을 보상한다. 즉,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2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3
를 곱하여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4
를 획득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가 획득된 이후, 획득된 4개의 베이스 밴드 신호는 보정된다.
구체적으로, BBU(211)는, 송신 채널(0) 및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을 통해,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5
를 사용자 장비(220)에 전송할 수 있고,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6
를, 송신 채널(1)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1 컬럼을 통해, 사용자 장비(2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채널(2) 및 양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을 통해,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7
를 사용자 장비(220)에 전송할 수 있고, 신호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8
를, 송신 채널(3) 및 음의 45°편파 안테나의 제2 컬럼을 통해, 사용자 장비(2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고, 4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의 기지국(500)은, 결정 유닛(510), 생성 유닛(520), 및 보정 유닛(530)을 포함한다.
결정 유닛(510)은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한다. 결정 유닛(510)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한다. 베이스 밴드 유닛(500)이 속한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케이블 보상 위상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이다. 생성 유닛(520)은 m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m은 양의 정수이다. 보정 유닛(530)은 4개의 송신 채널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4개의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케이블 보상 위상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4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결정 유닛(510)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500)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50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50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결정 유닛(510)은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50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한다. 결정 유닛(510)은,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안테나는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제2 안테나는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제3 안테나는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제4 안테나는 제4 채널에 대응한다. 결정 유닛(510)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2 채널 및 제4 채널의 연관이 임계치보다 크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결정 유닛(510)은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위상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제2 위상은 제2 채널 및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이다. 결정 유닛(510)은,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밴드 유닛(500)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259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260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261
는, 베이스 밴드 유닛(500)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베이스 밴드 유닛(500)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다.
결정 유닛(510)은, 부등식 1 및 부등식 2를 모두 만족하면,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 로서, 결정 유닛(510)은, 수식 3에 따라,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2
을 결정할 수 있다.
p가 1보다 클 때, 결정 유닛(510)은, 수식 4에 따라,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3
을 필터링하여,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4
를 획득할 수 있다.
p=1일 때, 결정 유닛(510)은, 수식 5에 따라,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5
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2일 수 있다.
생성 유닛(520)은, 수식 6에 따라, 4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생성 유닛(520)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생성유닛(520)은, 수식 7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방법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현되도록, 베이스 밴드 유닛(500)은 도 1의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통신 방법의 실시예 및 베이스 밴드 유닛(500)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베이스 밴드 유닛(600)은 메모리(610) 및 프로세서(620)을 포함한다.
메모리(610)는, 데이터 버스(630)을 통해, 프로세서(620)에 연결되어 있다.
메모리(610)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10)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한다. 프로세서(620)는 IF/RF 유닛의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고, 베이스 밴드 유닛(600)이 속한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케이블 보상 위상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이다. 프로세서(620)는 m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m은 양의 정수이다. 프로세서(620)는 4개의 송신 채널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케이블 보상 위상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4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620)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600)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60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60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620)는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안테나는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제2 안테나는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제3 안테나는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제4 안테나는 제4 채널에 대응한다. 프로세서(620)는 제1 채널 및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2 채널 및 제4 채널의 연관이 임계치보다 크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620)는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위상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제2 위상은 제2 채널 및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이다. 프로세서(620)는,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620)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6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267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268
는, 베이스 밴드 유닛(600)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베이스 밴드 유닛(600)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다.
프로세서(620)는, 부등식 1 및 부등식 2를 모두 만족하면,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620)는, 수식 3에 따라,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69
을 결정할 수 있다.
p가 1보다 클 때, 프로세서(620)는, 수식 4에 따라,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0
을 필터링하여,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1
를 획득할 수 있다.
p=1일 때, 프로세서(620)는, 수식 5에 따라,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2
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2일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수식 6에 따라, 4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수식 7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방법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현되도록, 베이스 밴드 유닛(600)은 도 1의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통신 방법의 실시예 및 베이스 밴드 유닛(600)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의 통신 장치(700)는, 베이스 밴드 유닛(710), IF/RF 유닛(720),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7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광섬유를 통해 IF/RF 유닛(720)에 연결되어 있고, IF/RF 유닛(720)은 케이블을 통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730)와 연결되며, IF/RF 유닛(720)은 4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한다.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730)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통신 장치(700)는, m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하며, m은 양의 정수이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보상 위상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이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며,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IF/RF 유닛(7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IF/RF 유닛(720)은 4개의 송신 채널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730)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의 다양한 채널의 위상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케이블 보상 위상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4개 송신 채널의 보상 계수 및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로서, 통신 장치(700)는, 예를 들어, 분산(distributed) 기지국, 매크로(macro) 기지국, 또는 스몰-셀(small-cell) 기지국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의 분산 기지국은 베이스 밴드 유닛(Baseband Unit, BBU), RRU,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BBU는, 광섬유를 통해 RRU에 연결될 수 있다. RRU는 4개의 수신 채널 및 4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RRU는, 추가로, 4개의 안테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안테나 인터페이스는 1개의 캐이블을 통해 편파 안테나의 1컬럼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을 결정하고,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안테나는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제2 안테나는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제3 안테나는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제4 안테나는 제4 채널에 대응한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2 채널 및 제4 채널의 연관이 임계치보다 크면,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위상은 제1 채널 및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제2 위상은 제2 채널 및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이다. 결정 유닛(510)은,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밴드 유닛(710)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3
이고,
행렬
Figure 112016027167712-pct00274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027167712-pct00275
는, 베이스 밴드 유닛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부등식 1 및 부등식 2를 모두 만족하면,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 로서, 결정 유닛(510)은, 수식 3에 따라,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6
을 결정할 수 있다.
p가 1보다 클 때,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수식 4에 따라,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7
을 필터링하여, p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8
를 획득할 수 있다.
p=1일 때,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수식 5에 따라, 첫 번째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79
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2일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수식 6에 따라, 4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m은 4일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수식 7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방법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현되도록,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도 1의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통신 방법의 실시예 및 베이스 밴드 유닛(710)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해결 방법의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또는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를 위해, 참조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분명히 이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의 실시 예는 단지 예시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부분은 단순히 논리적 기능 부문이며,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으며, 어떤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고 논의된, 상호 연결,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분리된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한 부분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구현 방식의 해결 수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의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각 유닛만으로 실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집적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집적 유닛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판매되거나 독립적 생성물로서 사용될 때, 집적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해결 수단,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결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억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 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이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는 모든 변형 또는 교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41)

  1.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베이스 밴드 유닛,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 유닛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Dual-Columns Cross Polarization Antennas)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은 광섬유를 통해 상기 IF/RF 유닛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IF/RF 유닛은 케이블들을 통해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IF/RF 유닛은 4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Co-Polarized)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m 개의 논리 포트가 있는 모드에서 동작하며,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은,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고-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 하고,
    보정된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IF/RF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IF/RF 유닛은,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LOS)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고,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고-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122204619-pct00280
    이고,
    행렬
    Figure 112016122204619-pct00281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122204619-pct00282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283
    및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284
    을 만족하면,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285
    에 따라,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286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287
    에 따라,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88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289
    에 따라, 첫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290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291
    은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292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293
    는, 상기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294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m은 2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295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296
    ,
    Figure 112016027167712-pct00297
    ,
    Figure 112016027167712-pct00298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299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0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1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2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3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4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5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6
    는 각각,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m은 4이고,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7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8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09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0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1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2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3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4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5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6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7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8
    Figure 112016027167712-pct00319
    는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렌즈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기지국인,
    통신 장치.
  12.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여,
    IF/RF(Intermediate Frequency/Radio Frequency) 유닛의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고 -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속한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는,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m은 양의 정수임 -,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를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밴드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LOS)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고,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베이스 밴드 유닛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122204619-pct00320
    이고,
    행렬
    Figure 112016122204619-pct00321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122204619-pct00322
    는,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수신한 때의,  상기 베이스 밴드 유닛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323
    및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324
    을 만족하면,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8. 제1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25
    에 따라,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326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27
    에 따라, 상기 P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328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29
    에 따라, 첫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330
    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31
    은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32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33
    는, 상기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34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19. 제12항에 있어서,
    m은 2이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335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36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37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38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39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0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1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2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3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4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5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6
    는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20. 제12항에 있어서,
    m은 4이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7
    에 따라, 4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8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49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0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1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2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3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4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5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6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7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8
    Figure 112016027167712-pct00359
    는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베이스 밴드 유닛.
  22. 통신 방법에 있어서,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Uplink Sounding Signal)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 기지국의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가,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은,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및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상차 사이의 차이임 -;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4개의 송신 채널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을 통해, 보정된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상기 4개의 송신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보상 계수 및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m은 양의 정수인,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사운딩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Line of sight, LOS)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full-band spatial correlation matrix)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들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는 제2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안테나는 상기 제4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응답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위상은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제2 위상은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 사이의 차이임 -; 및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은
    Figure 112016122204619-pct00360
    이고,
    행렬
    Figure 112016122204619-pct00361
    내의 구성 요소
    Figure 112016122204619-pct00362
    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p번째로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된 때의,  상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i 번째 채널 및 j 번째 채널 사이의 연관을 의미하며, 상기 p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의 연관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의 연관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363
    및 부등식
    Figure 112016122204619-pct00364
    을 만족하면,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듀얼-컬럼 교차 편파 안테나들 사이의 채널이 가시선 경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Thre는 상기 임계치를 의미하는,
    통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대역 공간 연관 행렬에 따라,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65
    에 따라, 상기 p번째 시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위상과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
    Figure 112016026837614-pct00366
    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 사이의 차이 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케이블 보상 위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p가 1보다 클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67
    에 따라, 상기 p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368
    를 획득하는 단계; 및
    p=1일 때, 수식
    Figure 112016026837614-pct00369
    에 따라, 첫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
    Figure 112016026837614-pct00370
    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71
    는 상기 제1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72
    는 상기 제2 위상을 의미하며, p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73
    는, p-1 번째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업링크 사운딩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 보상 위상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6837614-pct00374
    는 필터링 계수를 의미하는,
    통신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m은 2이고,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375
    에 따라, 상기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76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77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78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79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0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1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2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d는 순환 지연 포인트(cyclic delay points)의 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2
    는 시스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포인트의 수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3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4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5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6
    는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통신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m은 4이고, 상기 m 개의 논리 포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m 개의 채널의 신호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2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3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논리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제4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7
    에 따라,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이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8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89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0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1
    는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 채널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2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3
    ,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4
    , 및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5
    는 각각 k 번째 서브캐리어 상의 4개의 논리 포트를 의미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6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7
    는 상기 제1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며,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8
    Figure 112016027167712-pct00399
    는 상기 제2 그룹의 공동-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통신 방법.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167007377A 2013-09-02 2014-01-07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 KR101722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392709.6 2013-09-02
CN201310392709.6A CN103475609B (zh) 2013-09-02 2013-09-02 通信设备、基带单元和通信方法
PCT/CN2014/070226 WO2015027675A1 (zh) 2013-09-02 2014-01-07 通信设备、基带单元和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828A KR20160045828A (ko) 2016-04-27
KR101722946B1 true KR101722946B1 (ko) 2017-04-18

Family

ID=4980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377A KR101722946B1 (ko) 2013-09-02 2014-01-07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29900B1 (ko)
JP (2) JP5981658B2 (ko)
KR (1) KR101722946B1 (ko)
CN (2) CN103475609B (ko)
WO (1) WO2015027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5609B (zh) * 2013-09-02 2016-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基带单元和通信方法
CN106161290B (zh) * 2015-03-23 2020-07-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流间干扰计算方法、装置及通信系统
CN106454871A (zh) * 2015-08-06 2017-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使用方法及装置
CN108432150A (zh) * 2015-12-21 2018-08-21 华为技术有限公司 Rru通道频率响应差异的获取方法及系统、基站设备
JP6930859B2 (ja) * 2017-05-30 2021-09-01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配置決定装置、アンテナ配置決定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3949468B (zh) * 2020-07-17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发射通道的初相校正方法、基站及计算机存储介质
US11272457B1 (en) * 2020-09-09 2022-03-08 Apple Inc. Listen-before-talk systems, devices, and methods based on intra-device operations
CN113938167B (zh) * 2021-10-22 2024-03-15 上海创远仪器技术股份有限公司 实现5g mimo信道模拟器外接电缆校准的系统及其方法
CN114070429B (zh) * 2021-10-28 2023-04-1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一种射频内外校正相结合的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46C (zh) * 1999-08-10 2003-08-13 信息产业部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校准智能天线阵的方法和装置
JP2001217760A (ja) * 2000-02-03 2001-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ダプティブアンテナ装置の校正システム
JP4523472B2 (ja) * 2005-03-31 2010-08-11 Kddi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用rf回路伝送特性調整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538740B2 (en) * 2006-03-06 2009-05-26 Alcatel-Lucent Usa Inc. Multiple-element antenna array for communication network
CN101080031B (zh) * 2006-05-26 2011-02-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基带拉远技术的智能天线校准系统及其方法
WO2008133582A2 (en) * 2007-04-30 2008-11-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dapting a multi-antenna transmission
CN101572576B (zh) * 2008-04-30 2012-11-28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多通道td-rru的通道校正方法
US8102785B2 (en) * 2008-05-21 2012-01-24 Alcatel Lucent Calibrating radiofrequency paths of a phased-array antenna
DE102008034567B4 (de) * 2008-07-24 2010-09-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Ortung von drahtlos kommunizierenden Funkteilnehmern
US8761835B2 (en) * 2009-06-08 2014-06-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a method related thereto
JP2011024099A (ja) * 2009-07-17 2011-02-03 Fujitsu Ltd 無線装置制御装置、基地局、およびデータ中継方法
CN102014094B (zh) * 2009-09-07 2013-04-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智能天线发射通道及接收通道的校准方法及相关装置
CN201797604U (zh) * 2010-03-26 2011-04-1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站子系统
EP2560306A4 (en) * 2010-04-15 2016-03-23 Nec Corp DEVICE FOR COMPENSATING A POLARIZATION INTERFEREN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MPENSATING A POLARIZATION INTERFERENCE
GB2482912A (en) * 2010-08-20 2012-02-22 Socowave Technologies Ltd Polarisation contro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hase mismatch
US8817834B2 (en) * 2011-05-02 2014-08-26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I/Q mismatch calibration and compensation for wideband communication receivers
CN102217210A (zh) * 2011-05-31 2011-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的发射方法、装置及系统
CN102955155B (zh) * 2011-08-26 2015-03-18 中国科学院空间科学与应用研究中心 一种分布式有源相控阵雷达及其波束形成方法
WO2013056398A1 (en) * 2011-10-21 2013-04-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cson (Publ) Methods, processing device, computer program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ntenna apparatus for calibration of antenna apparatus
CN102404033B (zh) * 2011-11-24 2014-07-09 北京交通大学 一种ofdm系统中的天线阵列校准方法和装置
JP2013150268A (ja) * 2012-01-23 2013-08-01 Sharp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475609B (zh) * 2013-09-02 2016-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基带单元和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828A (ko) 2016-04-27
WO2015027675A1 (zh) 2015-03-05
JP2015532076A (ja) 2015-11-05
EP3029900B1 (en) 2018-08-22
JP5981658B2 (ja) 2016-08-31
JP2016226007A (ja) 2016-12-28
CN103475609A (zh) 2013-12-25
CN103475609B (zh) 2016-11-09
EP3029900A4 (en) 2016-08-31
EP3029900A1 (en) 2016-06-08
CN106411378A (zh) 2017-02-15
CN106411378B (zh) 2019-11-29
JP6342956B2 (ja)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946B1 (ko) 통신 장치, 베이스 밴드 유닛 및 통신 방법
US10211900B2 (en) Beam forming for reference signals using an antenna arrangement
US9654264B2 (en) Beam forming using a dual polarized antenna arrangement
EP3560109B1 (en) Bandwidth reduction with beamforming and data compression
EP3567744A1 (en) Beam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US9413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channel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5306174B (zh) 一种基于码本设计和选择的干扰对齐实现方法及装置
EP3429105B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device
WO2014179991A1 (zh) 确定预编码矩阵指示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EP3637713B1 (en) Nr uplink codebook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EP2707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debooks and associated data in a network device
US11133855B2 (en) Uplink beam management
WO201920899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09261B2 (en) Antenna port mapping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05812073A (zh) 一种有源天线阵列水平和垂直联合校准方法及装置
WO2016183957A1 (zh) 一种天线通道的降阶方法及装置
KR20190104382A (ko)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단말 및 기지국
WO2018171786A1 (zh) 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EP3465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calibration using on-board receiver
EP3540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feeding back signal
CN108418654B (zh) 一种信号检测方法及装置
RU2575049C1 (ru)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систем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EP4200993A1 (en) Ue aided antenna calibration
KR20170075632A (ko) 송수신 신호 분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